KR20140005367A - 파스너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파스너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367A
KR20140005367A KR20137032429A KR20137032429A KR20140005367A KR 20140005367 A KR20140005367 A KR 20140005367A KR 20137032429 A KR20137032429 A KR 20137032429A KR 20137032429 A KR20137032429 A KR 20137032429A KR 20140005367 A KR20140005367 A KR 20140005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engaging
peripheral
portions
engag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3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409B1 (ko
Inventor
고스케 세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44B19/06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with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s having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40Connection of separate, or one-piece, interlocking members to stringer tapes; Reinforcing such connections, e.g. by stitching
    • A44B19/403Connection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88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means for attaching components of slider togeth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10, 30)는 맞물림 헤드부(11, 31)와 한 쌍의 다리부(13, 33)를 구비하고,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제1 면에 맞물림 오목부(14)가 오목 형성되고,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제2 면에 맞물림 볼록부(1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는, 능선 형상으로 구성된 제1 주연부(17a)와, 상기 제1 주연부(17a)의 양측에 배치되어, 경사면 형상 또는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제2 주연부(17b, 37b)를 갖고, 각 제2 주연부(17b, 37b)의 일단부는 맞물림 오목부(14)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10, 30)의 감촉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드 파스너의 횡인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스너 엘리먼트 {FASTENER ELEMEN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맞물림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감촉이 양호한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금속제 파스너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의 파스너 엘리먼트(이하, 단순히 금속 엘리먼트라고도 한다)는, 일반적으로, 맞물림 헤드부와, 동 맞물림 헤드부의 기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몸통부와, 동 몸통부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되어 후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금속 엘리먼트는 이하와 같은 2개의 대표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금속 엘리먼트의 제1 제조 방법은, 금속제의 평각 선재를 압박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서 맞물림 헤드부 등을 성형하는 동시에, 그 성형된 평각 선재를 펀치나 다이 등을 사용해서 엘리먼트의 형상에 펀칭하거나 또는 잘라 떨어뜨림으로써, 파스너 엘리먼트가 하나씩 흩어진 상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파스너 엘리먼트는, 배럴 연마나 화학 연마 등의 연마 공정이나, 엘리먼트 표면에 클리어 도장 등을 실시하는 도장 공정이 행해진 후, 코킹 수단을 사용하여, 파스너 테이프의 일측 테두리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씩 이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금속 엘리먼트가 파스너 테이프에 배열된 파스너 스트링거가 연속되어 제조된다.
이와 같이 평각 선재로부터 금속 엘리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가 미국 특허 제2,116,712호 명세서(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제조 방법에서는, 맞물림 헤드부 등을 성형하기 전에, 평각 선재를 한 쌍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서 평각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좌우측 테두리부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평각 선재가 모나 있던 좌우측 테두리부가 둥글게 되어, 매끄러운 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우측 테두리부를 둥글게 한 금속제 선재에 압박을 가해서 맞물림 헤드부 등을 성형하고, 그 후, 당해 선재를 커팅 다이에 의해 엘리먼트의 형상으로 잘라 떨어뜨리는 동시에, 펀치에 의해 다리부를 폭방향으로 넓힌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51) 및 다리부(52)의 제1 및 제2 면측(하면 및 상면측)에 있어서의 좌우 측방의 외측 테두리부를 둥글게 한 금속 엘리먼트(50)가 제조된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이러한 금속 엘리먼트(50)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함으로써, 금속 엘리먼트(50)의 외측 테두리부가 매끄럽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이 용이해지고, 또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금속 엘리먼트의 제2 제조 방법은, 우선, 원형의 단면을 갖는 장척의 금속 선재를 복수의 압연 롤에 통과시키고, 횡단면이 대략 Y 형상을 띠도록 성형하고, 그 성형한 선재(소위, Y 바)를 커팅 펀치와 커팅 다이를 사용해서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함으로써, 엘리먼트 소자가 순차 제작된다. 계속해서, 얻어진 엘리먼트 소자의 맞물림 헤드부에 맞는 부분을 국부적으로 압박 변형시키고, 맞물림 볼록부 및 맞물림 오목부를 성형함으로써 금속 엘리먼트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금속 엘리먼트는, 맞물림 볼록부 및 맞물림 오목부의 성형에 계속해서, 금속 엘리먼트와는 별도로 이송되는 파스너 테이프의 일측 테두리부에, 코킹 수단(코킹 펀치)을 사용해서 하나씩 이식되어, 파스너 스트링거가 제조된다.
미국 특허 제2,116,712호 명세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파스너 엘리먼트(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51) 및 다리부(52)의 좌우 측방의 외측 테두리부를 둥글게 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둥글게 되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맞물림 헤드부(51) 및 다리부(52)의 좌우 측방의 외측 테두리부뿐이며, 맞물림 헤드부(51)의 좌우 측방의 외측 테두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선단부측의 중앙 주연부는 커팅 다이에 의해 절단된 채의 절단 단부 테두리이기 때문에, 그 단면이 거의 직각으로 모나 있던 능선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의 파스너 엘리먼트(50)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라이드 파스너를 개방하고, 그 개방된 개구부에 손을 삽입했을 때에, 파스너 엘리먼트(50)의 맞물림 헤드부(51)측의 선단 주연부(특히, 그 선단 주연부가 엘리먼트 폭방향으로 평행한 선단의 평행 영역으로부터 맞물림 헤드부의 좌우 측방의 외측 테두리부를 향해서 만곡 또는 굴곡하도록 커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커브 영역)에 손이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때, 특허문헌 1의 파스너 엘리먼트(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51)에 있어서의 선단부측의 주연부가 모나 있던 능선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구부에 손을 삽입해서 손이 파스너 엘리먼트(50)에 접촉했을 때에, 따끔따끔한 감촉의 나쁜 감촉이나, 가볍게 긁히는 것 같은 감촉을 받기 쉬워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런데,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에 맞물림 오목부가 배치되고, 제1 면과는 반대인 제2 면에 맞물림 볼록부가 배치된 복수의 금속 엘리먼트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가 구성되어 있을 경우, 슬라이드 파스너의 폐쇄 상태에서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를 외측을 향해서 잡아당기는 횡력을 받았을 때에, 각 파스너 엘리먼트의 맞물림 볼록부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의 내벽면(특히, 맞물림 오목부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내벽면)에 접촉해서 당해 맞물림 오목부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에 체인 벌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선단부측의 폭방향으로 평행한 선단 주연부가, 특허문헌 1과 같은 능선 형상의 주연부와는 달리, 모난 코너부가 깎아진 것 같은 라운딩을 띤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같은 파스너 엘리먼트의 경우, 당해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부에서는, 맞물림 오목부의 내벽면으로부터 선단부의 외측면(맞물림 헤드부의 정상면)까지의 엘리먼트 길이 방향의 두께(이하, 이 두께를 정상면측 두께라고 한다)가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측에 근접함에 따라서 얇아진다.
이와 같은 파스너 엘리먼트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슬라이드 파스너의 폐쇄 상태에서 횡력을 받았을 때에, 각 파스너 엘리먼트의 맞물림 볼록부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의 내벽면에 접촉해서 당해 내벽면에 압박력이 더하여진다. 그러나, 이 경우, 각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전술한 정상면측 두께가 얇기 때문에, 맞물림 오목부의 내벽면이 압박력을 받았을 때에,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소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각 파스너 엘리먼트의 맞물림 볼록부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의 횡인(橫引) 강도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구부에 사용자가 손을 삽입했을 때에 따끔따끔한 감촉이나 긁히는 것 같은 감촉을 받기 어렵고, 슬라이드 파스너의 감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의 횡인 강도의 저하, 게다가 절곡 강도나 올림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는 금속제의 파스너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파스너 엘리먼트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맞물림 헤드부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로부터 가랑이부를 통해서 분기 연장설치된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에 맞물림 오목부가 오목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제2 면에 맞물림 볼록부가 돌출 설치된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금속제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상기 제1 면측의 외주연부는, 상기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외측면에 의해 능선 형상으로 구성된 제1 주연부와, 상기 제1 주연부의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에 걸쳐 하행 경사면 형상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제2 주연부를 갖고, 각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주연부측의 일단부는, 상기 맞물림 오목부에 대하여,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오목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상기 다리부측의 타단부는, 상기 맞물림 오목부에 대하여, 엘리먼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오목부의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단부 테두리 위치보다도 상기 다리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연부는, 상기 맞물림 오목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주연부와 상기 맞물림 오목부 사이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의 측방측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측의 영역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서는, 한 쌍의 상기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폭방향의 최대 치수의 20% 이상 6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엘리먼트의 상기 제1 면측의 외주연부는,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엘리먼트 폭방향으로 평행한 선단 평행 영역과, 상기 맞물림 헤드부 및 상기 다리부에 걸쳐서 엘리먼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측부 테두리 영역과, 상기 선단 평행 영역과 상기 측부 테두리 영역 사이를 만곡 형상 또는 굴곡 형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커브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주연부는, 적어도 상기 커브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서는, 상기 다리부의 상기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외측면에 걸쳐 하행 경사면 형상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3 주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주연부와 상기 제3 주연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2 주연부와 상기 제3 주연부가 서로 이격해서 형성되어서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엘리먼트에서는, 맞물림 헤드부의 맞물림 오목부가 오목 형성된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적어도,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능선 형상의 제1 주연부(능선부)와, 제1 주연부의 양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주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주연부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능선 형상으로 모가난 외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주연부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된 것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으로부터 외측면에 걸쳐 하행 경사면 형상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볼록형의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동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제1 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외면 형상이 능선 형상의 제1 주연부보다도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맞물림 헤드부의 외측면은, 맞물림 헤드부를 선단부측 및 좌우측 테두리측에서 보았을 때에, 외부로 표출하는 일련의 측면을 말한다.
이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있어서, 매끄러운 외면 형상을 갖는 제2 주연부가 제1 주연부의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동 파스너 엘리먼트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그 슬라이드 파스너가 개방된 개구부에 사용자가 손을 삽입해서 그 수단이 파스너 엘리먼트에 접촉해도, 사용자가 특허문헌 1의 파스너 엘리먼트와 같은 따끔따끔한 감촉이나, 긁히는 것 같은 감촉을 받기 어려워져,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서는,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제1 주연부측의 일단부가, 즉 제1 주연부와 제2 주연부의 경계부가, 맞물림 오목부에 대하여,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을 안정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는, 한 쌍의 제2 주연부의 사이에 능선 형상에 모가난 제1 주연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주연부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맞물림 헤드부의 정상면까지의 엘리먼트 길이 방향의 두께(정상면측 두께)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동 슬라이드 파스너가 횡력을 받았을 때에, 각 파스너 엘리먼트의 맞물림 볼록부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내벽면에 접촉해서 압박력을 부여해도, 각 파스너 엘리먼트의 정상면측 두께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부가 절곡되는 것 같이 소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파스너 엘리먼트의 맞물림 볼록부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슬라이드 파스너에 체인 벌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파스너의 큰 횡인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오목부의 소성 변형을 억지할 수 있음으로, 당해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절곡 강도나 밀어올림 강도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다리부측의 타단부는, 맞물림 오목부에 대하여, 엘리먼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의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단부 테두리 위치보다도 다리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에 배치되는 제2 주연부의 영역을 크게 확보하고,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을 보다 안정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제2 주연부는 맞물림 오목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이, 제2 주연부와 맞물림 오목부 사이에, 맞물림 오목부의 측방측의 영역으로부터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영역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오목부의 주변부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하고, 슬라이드 파스너의 횡인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제1 주연부측의 일단부 사이의 간격, 바꾸어 말하면, 능선 형상의 제1 주연부의 간격은,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폭방향의 최대 치수의 2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상술한 정상면측 두께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슬라이드 파스너의 횡인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주연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 사이의 간격이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폭방향의 최대 치수%의 65% 이하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기 쉬운 영역에, 매끄러운 외면 형상을 갖는 제2 주연부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스너 엘리먼트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는,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에 배치되어, 엘리먼트 폭방향으로 평행한 선단 평행 영역과, 맞물림 헤드부 및 다리부에 걸쳐서 엘리먼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부 테두리 영역과, 선단 평행 영역과 좌우의 측부 테두리 영역과의 사이를 만곡 형상 또는 굴곡 형상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커브 영역을 갖고 있고, 매끄러운 외면 형상을 갖는 제2 주연부가 적어도 커브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기 쉬운 영역에 제2 주연부가 확실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을 안정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서는, 다리부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제1 면으로부터 외측면에 걸쳐 하행 경사면 형상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3 주연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이나 외관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를 사용해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했을 때에, 파스너 엘리먼트에 대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작게 하고,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폐 조작을 보다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스너 엘리먼트의 외주연부에 있어서, 제2 주연부와 제3 주연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의 감촉감이나 외관이 한층 높아지는 동시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했을 때에 파스너 엘리먼트에 대하여 슬라이더를 한층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파스너 엘리먼트의 외주연부에 있어서, 제2 주연부와 제3 주연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2 주연부와 제3 주연부의 경계부에 있어서 버어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나오지만, 예를 들어 제2 주연부와 제3 주연부가 서로 이격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의 외주연부에 버어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동 슬라이드 파스너에 장착된 파스너 엘리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파스너 엘리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좌우의 파스너 엘리먼트가 맞물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동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좌우의 파스너 엘리먼트가 맞물려진 상태를 단면에서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파스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파스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파스너 엘리먼트에는, 단면이 Y자 형상의 장척 선재(Y 바)를 순차 절단해서 제조되는 금속 엘리먼트, 평각 선재를 엘리먼트의 형상으로 펀칭하거나 또는 잘라 떨어뜨리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엘리먼트, 및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엘리먼트 등이 포함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각각 동 슬라이드 파스너에 장착된 파스너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엘리먼트 상하 방향은, 동 파스너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했을 때에 테이프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이며, 특히 파스너 엘리먼트의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는 제1 면측을 하면측이라고 하고 맞물림 볼록부가 형성되는 제2 면측을 상면측이라고 한다.
또한, 엘리먼트 길이 방향(또는 전후 방향)이란, 동 파스너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했을 때에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 폭방향이 되는 방향이며, 특히 맞물림 헤드부의 선단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다리부 연장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엘리먼트 폭방향(또는 좌우 방향)은, 동 파스너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했을 때에 테이프 표리 방향이 되는 방향이다.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1)는 한 쌍의 파스너 테이프(3)의 대향하는 테이프 측부 테두리부에 복수의 금속제 파스너 엘리먼트(10)가 병설되어서 엘리먼트열이 형성된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와, 각 파스너 스트링거(2)의 일단부에 엘리먼트열에 인접해서 배치된 제1 고정구(4)(상부 고정구라 함)와,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의 타단부에 걸치도록 엘리먼트열에 인접해서 배치된 제2 고정구(5)(하부 고정구라 함)와, 엘리먼트열에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6)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파스너(1)는 파스너 엘리먼트(10)의 형태에 특징을 갖고 있고, 파스너 엘리먼트(10) 이외의 부재에 대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파스너 엘리먼트(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하고, 파스너 엘리먼트(10) 이외의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스너 엘리먼트(10)는 동합금, 니켈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10)가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 측부 테두리부에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각 파스너 엘리먼트(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11)와, 맞물림 헤드부(11)로부터 가랑이부(12)를 통해서 후방을 향해서 분기 연장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있고, 엘리먼트 폭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을 대칭면으로서 좌우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파스너 테이프(3)에 장착된 상태의 파스너 엘리먼트(10)가 도시되어 있고, 장착 전의 파스너 엘리먼트(10)는, 좌우의 다리부(13)가 가랑이부(12)로부터 엘리먼트 폭방향으로 개방하고, 동 파스너 엘리먼트(10)를 상면 또는 하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Y자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동 파스너 엘리먼트(10)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11)의 하면에는, 맞물림 오목부(14)가 오목 형성되어 있고, 맞물림 헤드부(11)의 상면측에 있어서의 맞물림 오목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맞물림 볼록부(15)가 상방을 향해서 산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14)는 파스너 엘리먼트(10)를 하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폭방향으로 긴 대략 긴 원 형상을 보이도록 형성되어 있고, 파스너 엘리먼트(10)의 하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저면부(14a)와, 저면부(14a)로부터 파스너 엘리먼트(10)의 하면(제1 면)을 향해서 테이퍼 형상으로 경사진 내벽면부(14b)를 갖고 있다.
좌우의 다리부(13)는, 맞물림 헤드부(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다리부 본체(13a)와, 다리부 본체(13a)의 후단부에 서로 접근하는 방향(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갈고리부(13b)와, 좌우의 다리부 본체(13a)의 대향하는 내면으로 돌출 설치된 돌기부(13c)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다리부(13)를 갖는 본 제1 실시예의 파스너 엘리먼트(10)는, 좌우의 다리부(13)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3)의 도시하지 않은 코어 스트립부가 수용되어서 끼움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파스너 테이프(3)에 소정의 자세로 안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상면측에는, 맞물림 볼록부(15)와 좌우의 다리부(13)를 구획하는 절단부(16)가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를 폐쇄할 때에, 각 파스너 엘리먼트(10)의 맞물림 볼록부(15)를 맞물림 상대방의 파스너 엘리먼트(10)의 맞물림 오목부(14) 내에 안정되게 끼워 넣어서, 좌우의 파스너 엘리먼트(10)를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1)의 맞물림 강도나 절곡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의 파스너 엘리먼트(10)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외주연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측(정상면측)에 배치되어, 엘리먼트 폭방향으로 평행한 선단 평행 영역(21)과, 맞물림 헤드부(11) 및 다리부(13)에 걸쳐서 엘리먼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좌우의 측부 테두리 영역(22)과, 선단 평행 영역(21)과 좌우의 측부 테두리 영역(22) 사이를 만곡 형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커브 영역(23)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파스너 엘리먼트(10)의 하면측의 외주연부에 있어서의 선단 평행 영역(21) 내에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되고 있지 않고, 능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주연부(능선부)(17a)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제1 주연부(17a)는, 비(非) 모따기부로서, 맞물림 헤드부(11)의 하면과 외측면이 교차함으로써 단면이 거의 직각 형상으로 모가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제1 주연부(17a)는, 엘리먼트 폭방향의 중앙 부분에, 파스너 엘리먼트(10)의 가랑이부(12)에 대하여 맞물림 오목부(14)를 사이에 끼워서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주연부(17a)가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측의 선단 평행 영역(21)에 적극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의 하면측 근방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14)의 내벽면으로부터 맞물림 헤드부(11)의 정상면(전단부측 외측면)까지의 엘리먼트 길이 방향의 두께(정상면측 두께)를 소요의 치수로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강도(특히, 엘리먼트 폭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1)의 큰 횡인 강도를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주연부(17a)는, 맞물림 헤드부(11)의 하면과 외측면에 의해, 후술하는 제2 주연부(17b)보다도 모가 난 능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제조시에 프레스 가공이나 절단 가공 등이 행해진 것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교차하는 코너부를 약간 깎을 수 있거나, 또한 미소한 만곡면 형상을 보이고 있어도 된다.
이 제1 주연부(17a)의 좌우 양측에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된 것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11)의 하면에서 외측면에 걸쳐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측 테두리 형상이 하향 경사면 형상으로,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볼록형의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제2 주연부(모따기부)(17b)가 제1 주연부(17a)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2 주연부(17b)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11)의 하면에서 외측면까지의 외면 형상은 능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주연부(17a)보다도 매끄럽게 마무리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의 제2 주연부(17b)는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외주연부에 있어서의 커브 영역(23)의 전체를 포함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제2 주연부(17b)에 있어서의 제1 주연부(17a) 측의 일단부는, 동 파스너 엘리먼트(10)를 하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맞물림 오목부(14)에 대하여, 엘리먼트 폭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14)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에, 특히 맞물림 오목부(14)의 저면부(14a)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좌우의 제2 주연부(17b)에 있어서의 제1 주연부(17a) 측의 일단부 사이의 간격, 즉 제1 주연부(17a)의 양단부 사이의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맞물림 헤드부(11)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폭방향의 최대 치수에 대하여, 20% 이상 65% 이하의 크기로,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0% 이하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주연부(17a)의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맞물림 헤드부(11)의 최대폭 치수에 대하여 2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제1 주연부(17a)의 형성 영역(형성 면적)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고,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강도를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주연부(17a)의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맞물림 헤드부(11)의 최대폭 치수에 대하여 65% 이하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맞물림 헤드부(11)의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기 쉬운 커브 영역(23)에, 매끄러운 외면 형상의 제2 주연부(17b)를 설치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10)의 감촉감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제2 주연부(17b)에 있어서의 다리부(13)측의 타단부는, 동 파스너 엘리먼트(10)를 하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맞물림 오목부(14)에 대하여, 엘리먼트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 맞물림 오목부(14)의 전단부측의 단부 가장자리 위치보다도 다리부(13) 부근에, 특히 맞물림 오목부(14)의 저면부(14a)에 있어서의 전단부측의 단부 테두리 위치보다도 다리부(13)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매끄러운 외면 형상을 갖는 제2 주연부(17b)를, 맞물림 헤드부(11)의 외주연부에 있어서의 커브 영역(23)보다도 넓은 범위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주연부(17b)는, 경사면 또는 만곡면의 크기나 각도를 소정의 크기로 설정하는 것 등에 의해, 맞물림 오목부(14)로부터 이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10)의 하면은, 제2 주연부(17b)와 맞물림 오목부(14) 사이에,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로부터, 맞물림 오목부(14)의 좌우 양측의 영역을 통해서 좌우의 다리부(13)에 이르기까지, 연속하는 단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스너 엘리먼트(10)의 하면이, 제2 주연부(17b)를 설치함으로써 분단되는 일 없고, 연속한 하나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맞물림 오목부(14)의 주변부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좌우 다리부(13)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외주연부와 상면측의 외주연부에, 다리부(13)의 하면 및 상면에서 외측면에 걸쳐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측 테두리 형상이, 모따기 가공이 실시된 것 같이 하행 경사면 형상으로,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볼록형의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제3 주연부(모따기부)(17c)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다리부(13)의 하면측에 설치된 제3 주연부(17c)는 제2 주연부(17b)로부터 연속 설치되어 있고, 제2 주연부(17b)의 타단부로부터 다리부(13)의 후단부측까지의 영역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리부(13)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3 주연부(17c)는,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상면측에 배치된 절단부(16)의 위치로부터, 다리부(13)의 후단부측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 주연부(17c)가, 좌우 다리부(13)의 하면측 및 상면측의 외주연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외주연부의 외면 형상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파스너 엘리먼트(10)의 감촉감이나 외관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더(6)의 파스너 엘리먼트(10)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6)의 조작성을 향상시켜서, 슬라이드 파스너(1)의 개폐 조작을 보다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파스너(1)는, 각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외주연부의 소정 위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 형상이 코너부를 절제한 것 같은 매끄럽게 가공면에 마무리할 수 있었던 제2 및 제3 주연부(17b, 17c)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슬라이더(6)를 미끄럼 이동시켜서 슬라이드 파스너(1)를 개방했을 경우에 있어서, 동 슬라이드 파스너(1)의 개구부에 사용자가 손을 삽입했을 때에 그 수단이 파스너 엘리먼트(10)에 접촉해도, 사용자가, 파스너 엘리먼트(10)로부터 따끔따끔한 감촉이나 긁히는 것 같은 감촉 등과 같은 불쾌감을 받지 않고, 매끄러운 감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파스너(1)에서는, 슬라이더(6)를 파스너 엘리먼트(10)의 맞물림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 엘리먼트(10)의 맞물림 볼록부(15)를 맞물림 상대방의 파스너 엘리먼트(10)의 맞물림 오목부(14) 내에 끼워넣게 해서, 좌우의 파스너 엘리먼트(10)를 순차 맞물리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를 매끄럽게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본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파스너(1)에서는, 각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선단 평행 영역(21)에 능선 형상의 제1 주연부(17a)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 오목부(14)의 내벽면으로부터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측 외측면(정상면)까지의 엘리먼트 길이 방향의 두께가 소요의 크기를 갖고 있고, 그것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11)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외력을 받았을 때에, 파스너 엘리먼트(10)의 맞물림 볼록부(15)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14)의 내벽면[특히, 맞물림 오목부(14)에 있어서의 전단부측의 내벽면]에 접촉해서 압박해도,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헤드부(11)가 그 압박력에 의해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맞물림 볼록부(15)가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14) 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파스너(1)에 있어서 큰 횡인 강도를, 또한 큰 절곡 강도 및 밀어올림 강도를 안정되게 얻을 수 있고, 폐쇄 상태의 슬라이드 파스너(1)에 체인 벌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스너 엘리먼트(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다리부(13)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외주연부와 상면측의 외주연부에, 매끄러운 외면 형상을 갖는 제3 주연부(17c)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하면측의 제3 주연부(17c)는 제2 주연부(17b)의 타단부로부터 다리부(13)의 후단부측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측의 제3 주연부(17c)는 파스너 엘리먼트(10)의 절단부(16)로부터 다리부(13)의 후단부측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다리부(33)의 외주연부에 배치되는 제3 주연부의 형성 영역이나 형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파스너 엘리먼트(30)를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33)의 하면측 및 상면측에 배치되는 제3 주연부(37c)의 형성 영역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도 작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변형예에 관한 파스너 엘리먼트(30)에 있어서, 다리부(33)의 하면측의 제3 주연부(37c)는, 엘리먼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파스너 엘리먼트(30)의 가랑이부(32)의 위치보다도 후방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는 상이하고, 제2 주연부(37b)로부터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33)의 상면측의 제3 주연부(37c)도, 엘리먼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파스너 엘리먼트(30)의 가랑이부(32)의 위치보다도 후방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 파스너 엘리먼트(30)의 상면측에 배치된 절단부(36)로부터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주연부(37c)를 파스너 엘리먼트(30)의 가랑이부(32)의 위치보다도 후방측의 영역에 설치했을 경우라도, 파스너 엘리먼트(30)의 감촉감이나 외관을 부분적으로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더(6)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다리부(33)의 하면측의 제3 주연부(37c)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31)측의 일단부와, 상면측의 제3 주연부(37c)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31)측의 일단부가 엘리먼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파스너 엘리먼트(30)의 외관을 더한층 향상시켜서, 슬라이드 파스너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2 주연부(17b)와 제3 주연부(17c)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파스너 엘리먼트(10)에 있어서, 제2 주연부(17b)와 제3 주연부(17c)가 단일 가공이 아니고, 각각 별도의 가공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서는, 제2 주연부(17b)와 제3 주연부(17c)의 경계부에 있어서 버어 등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것에 대하여, 도 6 도시한 변형예에 관한 파스너 엘리먼트(30)와 같이, 제2 주연부(37b)와 제3 주연부(37c)가 서로 이격해서 형성됨으로써, 제2 주연부(37b)와 제3 주연부(37c)가 별도의 가공에 의해 형성될 경우라도, 파스너 엘리먼트(30)의 외주연부에 버어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제3 주연부의 형성 자체를 생략하고, 다리부의 하면측 및 상면측에 있어서의 외주연부를 모가 난 능선 형상으로 형성해서 파스너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슬라이드 파스너
2 : 파스너 스트링거
3 : 파스너 테이프
4 : 제1 고정구(상부 고정구)
5 : 제2 고정구(하부 고정구)
6 : 슬라이더
10 : 파스너 엘리먼트
11 : 맞물림 헤드부
12 : 가랑이부
13 : 다리부
13a : 다리부 본체
13b : 갈고리부
13c : 돌기부
14 : 맞물림 오목부
14a : 저면부
14b : 내벽면부
15 : 맞물림 볼록부
16 : 절단부
17a : 제1 주연부(능선부)
17b : 제2 주연부(모따기부)
17c : 제3 주연부(모따기부)
21 : 선단 평행 영역
22 : 측부 테두리 영역
23 : 커브 영역
30 : 파스너 엘리먼트
31 : 맞물림 헤드부
32 : 가랑이부
33 : 다리부
36 : 절단부
37b : 제2 주연부
37c : 제3 주연부

Claims (8)

  1. 맞물림 헤드부(11, 31)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로부터 가랑이부(12, 32)를 통해서 분기 연장설치된 한 쌍의 다리부(13, 33)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제1 면에 맞물림 오목부(14)가 오목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제2 면에 맞물림 볼록부(15)가 돌출 설치된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금속제 파스너 엘리먼트(10, 30)이며,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상기 제1 면측의 외주연부는,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외측면에 의해 능선 형상으로 구성된 제1 주연부(17a)와, 상기 제1 주연부(17a)의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에 걸쳐 하행 경사면 형상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제2 주연부(17b, 37b)를 구비하고,
    각 제2 주연부(17b, 37b)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주연부(17a)측의 일단부는,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에 대하여, 엘리먼트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 위치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연부(17b, 37b)에 있어서의 상기 다리부(13, 33)측의 타단부는,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에 대하여, 엘리먼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의 맞물림 헤드부 선단측의 단부 테두리 위치보다도 상기 다리부(13, 33)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연부(17b, 37b)는 상기 맞물림 오목부(14)로부터 이격해서 배치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주연부(17b, 37b)와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의 사이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의 측방측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선단측의 영역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 주연부(17b, 37b)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폭방향의 최대 치수의 20% 이상 6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엘리먼트(10, 30)의 상기 제1 면측의 외주연부는,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엘리먼트 폭방향으로 평행한 선단 평행 영역(21)과, 상기 맞물림 헤드부(11, 31) 및 상기 다리부(13, 33)에 걸쳐서 엘리먼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측부 테두리 영역(22)과, 상기 선단 평행 영역(21)과 상기 측부 테두리 영역(22) 사이를 만곡 형상 또는 굴곡 형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커브 영역(23)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주연부(17b, 37b)는 적어도 상기 커브 영역(23)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3, 33)의 상기 제1 면측의 외주연부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외측면에 걸쳐 하행 경사면 형상 또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3 주연부(17c, 37c)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연부(17b)와 상기 제3 주연부(17c)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연부(37b)와 상기 제3 주연부(37c)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KR1020137032429A 2011-08-24 2011-08-24 파스너 엘리먼트 KR101447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9067 WO2013027281A1 (ja) 2011-08-24 2011-08-24 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67A true KR20140005367A (ko) 2014-01-14
KR101447409B1 KR101447409B1 (ko) 2014-10-06

Family

ID=4774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429A KR101447409B1 (ko) 2011-08-24 2011-08-24 파스너 엘리먼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64053B2 (ko)
EP (1) EP2749183B1 (ko)
JP (1) JP5628433B2 (ko)
KR (1) KR101447409B1 (ko)
CN (1) CN103763967B (ko)
BR (1) BR112014001025B1 (ko)
TW (1) TWI504359B (ko)
WO (1) WO2013027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5068B1 (en) 2013-09-09 2020-10-07 YKK Corporation Fastener chain, slide fastener, and fastene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CN203986428U (zh) * 2014-07-18 2014-12-10 垦青(浙江)拉链有限公司 一种金属冲制拉链
WO2016031094A1 (ja) * 2014-08-27 2016-03-03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それを備えた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7072925A1 (ja) * 2015-10-29 2017-05-04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型
CN111031837B (zh) * 2017-08-30 2022-08-23 Ykk株式会社 拉链用链牙
CN112543602B (zh) * 2018-08-06 2023-05-09 Ykk株式会社 链牙以及拉链
CN110089813A (zh) * 2019-06-03 2019-08-06 宜兴市德林服饰科技有限公司 一种球头形布带筋可变形拉链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6712A (en) 1935-07-11 1938-05-10 George E Prentice Method of making fastener units
US2489718A (en) * 1943-08-13 1949-11-29 Louis H Morin Method of producing double-action separable fasteners
FR1217364A (fr) * 1958-10-15 1960-05-03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fermetures à glissière et aux procédés de fabrication d'éléments constitutifs de ces fermetures
JPS5748405Y2 (ko) * 1974-07-16 1982-10-23
JPH0122505Y2 (ko) 1984-09-14 1989-07-05
JP2803739B2 (ja) * 1993-01-29 1998-09-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および務歯成形方法
JP3355041B2 (ja) * 1994-08-24 2002-12-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JP3917452B2 (ja) * 2002-04-11 2007-05-2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務歯形成用金属線材と同金属線材から形成され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
EP2014188B1 (en) * 2007-07-10 2011-03-02 YKK Corporation Metallic double-sided element and slide fastener
WO2009128136A1 (ja) * 2008-04-14 2009-10-22 Ykk株式会社 金属製片面務歯及び両開き式スライドファスナー
TWI396513B (zh) * 2009-04-15 2013-05-21 Ykk Corp Metal single-sided chain teeth and left and right double-open zipper
CN201640713U (zh) * 2010-03-30 2010-11-24 陈富荣 一种用于制造金属拉链链牙的成型线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9183B1 (en) 2016-11-16
BR112014001025B1 (pt) 2021-07-27
TWI504359B (zh) 2015-10-21
CN103763967B (zh) 2016-06-22
CN103763967A (zh) 2014-04-30
JPWO2013027281A1 (ja) 2015-03-05
KR101447409B1 (ko) 2014-10-06
EP2749183A1 (en) 2014-07-02
TW201318576A (zh) 2013-05-16
US20140182092A1 (en) 2014-07-03
EP2749183A4 (en) 2015-06-03
BR112014001025A2 (pt) 2020-10-27
US9364053B2 (en) 2016-06-14
WO2013027281A1 (ja) 2013-02-28
JP5628433B2 (ja)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409B1 (ko) 파스너 엘리먼트
US8418326B2 (en) Metallic one-side teeth and two-way slide fastener
EP2014188A2 (en) Metallic double-sided element and slide fastener
CN102858200B (zh) 金属制两面啮合齿以及拉链
JP4749389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両面務歯
JP6161708B2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CN102469860B (zh) 拉链
TWI532446B (zh) Zipper chain and chain
JP3194534U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止具、及び止具を使用したスライドファスナー
TWI620522B (zh) Zipper chain and zipper chain
CA112449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elements
JP3164407U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止具
WO2013080302A1 (ja) 金属製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
JP2023000778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金属製エレメント、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金属製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CN116709946A (zh) 拉链链牙、拉链牙链带及拉链链条
GB203787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