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74U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174U
KR20140005174U KR2020130002643U KR20130002643U KR20140005174U KR 20140005174 U KR20140005174 U KR 20140005174U KR 2020130002643 U KR2020130002643 U KR 2020130002643U KR 20130002643 U KR20130002643 U KR 20130002643U KR 20140005174 U KR20140005174 U KR 20140005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cave portion
lower container
lun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모토 타모츠
키다 마키코
와타나베 타쿠마
아벨 에반
Original Assignee
헬렌 오브 트로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렌 오브 트로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헬렌 오브 트로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5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2단식으로 배치 가능함과 함께 분리하여 조립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단 용기(2)와, 하단 용기(2)의 상면에 배치 가능한 상단 용기(3)를 구비하는 2단식의 도시락통(1)이, 상단 용기(3)의 하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하단 용기(2)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단 용기(3)의 오목부와 하단 용기(2)의 오목부를 서로 감합시키고, 상단 용기(3)의 길이 방향과 하단 용기(2)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 가능하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특히 도시락통 등의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하단 용기와 하단 용기의 상면에 배치 가능한 상단 용기를 갖는 2단식의 용기, 예를 들면 2단식의 도시락통이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이와 같은 도시락통은 예를 들면 하단 용기에 부식을 수용하고, 상단 용기에 주식을 수용하도록 하여 사용된다. 도시락통의 운반시에는 하단 용기의 상부면에 상단 용기를 배치하고,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가 고무 밴드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다른 한편, 도시락통 사용시, 즉, 수용된 식품을 먹을 때에는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가 서로 분리되어, 테이블 등에 배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00-116425호 공보
그러나, 사용자가 도시락통 내의 식품을 먹을 때에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배치하기 위한 테이블 등의 평면이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공원의 벤치에 않아 도시락통 내의 식품을 먹을 때에는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불안정한 무릎 위에 따로 따로 놓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에 상단 용기 또는 하단 용기가 무릎 위에서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2단식으로 배치 가능함과 함께 분리하여 조립 가능한 용기를 제공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고안에 따르면, 하단 용기와 상기 하단 용기의 상부면에 배치 가능한 상단 용기를 구비하는 2단식의 용기로서, 상기 상단 용기의 하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용기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용기의 오목부와 상기 하단 용기의 오목부를 서로 감합시키고, 상기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상기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고안에서는 용기의 운반시에는 하단 용기의 상부면에 상단 용기를 배치하는 2단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바닥 면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서 수납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상태를 "세로형 배치"라고 한다. 다른 한편, 수용된 삭품을 먹을 때에는 이 상태에서 상단 용기를 분리하여 들어 올려 연직축선 주위로 회전시키고, 즉,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교차, 예를 들면,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상단 용기를 하단 용기의 위에서 덮어씌워 상단 용기의 오목부와 하단 용기의 오목부를 서로 감합함시킴으로써 조립한다. 또한, 이 상태를 "가로형 배치"라고 한다. 이 가로형 배치 상태에서는 하단 용기를 들어 올림으로써 아울러 상단 용기도 일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 말하면,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일체적으로 무릎 위에 놓을 수가 있으며, 하단 용기를 들어 올림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식품을 먹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고안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한 고안에서, 상기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상기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위쪽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한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위쪽에서 보았을 때의 의장성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고안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고안에서, 상기 상단 용기 또는 상기 하단 용기의 한쪽에 마련된 감합 돌기와, 상기 상단 용기 또는 상기 하단 용기의 다른 쪽에 마련한 감합 홈이 상기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상기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감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한 고안에서는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 사이의 감합에 의해 하단 용기뿐만 아니라, 상단 용기를 들어 올림으로써도 용기 전체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술한 예에서 말하면, 사용자가 식품을 먹을 때에 용기를 잡는 부분을 신경쓰지 않고,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일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된 상태에서 식품을 먹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고안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고안에서, 상기 하단 용기의 오목부에 배치 가능한 중단 용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용기가 제공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한 고안에서는, 수용량을 늘릴수 있으며, 또한, 하단 용기의 상부면에 상단 용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단 용기의 오목부와 상단 용기의 오목부 사이에 생긴 공간에 중단 용기가 배치되므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청구항에 기재한 고언에 따르면,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를 2단식으로 배치 가능함과 함께 분리하여 조립 가능한 용기를 제공한다고 하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2단식 도시락통의 세로형 배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락통의 뚜껑을 한 상태의 가로형 배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시락통의 뚜껑을 벗긴 상태의 가로형 배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단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단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단 용기용의 상단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하단 용기용의 하단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중단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중단 용기용의 중단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구획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단 용기 및 하단 용기 사이의 감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시락통의 가로형 배치의 대략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붙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시락통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언을 그 밖의 용기에 적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2단식 도시락통(1)의 세로형 배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락통(1)은 하단 용기(2)와 상단 용기(3)를 갖는다. 상단 용기(3)는 상단 뚜껑(4)에 의해 상부 개구가 폐쇄된다. 상단 뚜껑(4) 위에는 다시 상부 커버(5)가 씌워진다. 하단 용기(2)는 2개의 하단 뚜껑(6)에 의해 상부 개구가 각각 폐쇄된다.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 사이에는 중단 용기(7)가 배치된다. 중단 용기(7)는 중단 뚜껑(8)에 의해 상부 개구가 폐쇄된다. 상단 용기(3)에는 하단 용기(2)의 상부면, 즉, 하단 뚜껑(6) 위에 배치됨으로써, 도시락통(1)의 세로형 배치가 가능해진다. 세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은 바닥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서 수납하기 쉬워진다. 세로형 배치의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는 스트랩(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하, 도시락통(1)의 사용 방법 및 각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락통(1)의 뚜껑을 한 상태의 세로형 배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시락통의 뚜껑을 벗긴 상태의 가로형 배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락통(1)을 세로형 배치에서 가로형 배치로 만들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세로형 배치로부터 스트랩(9)을 벗긴 후, 상단 용기(3)를 분리하여 들어 올려 연직축선 둘레로 90도 회전시킨다. 즉, 상단 용기(3)의 길이 방향과 하단 용기(2)의 길이 방향이 위쪽에서 보아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상단 용기(3)를 하단 용기(2)의 위에서 덮어씌워 상단 용기(3)의 후술하는 제2 오목부(33)(도 5)와 하단 용기(2)의 후술하는 제1 오목부(23)(도 4)를 서로 감합함으로써 조립한다. 이 가로형 배치 상태에서는 하단 용기(2)를 들어 올림으로써 아울러 상단 용기(3)도 일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를 일체적으로 무릎 위에 놓을 수가 있으며, 하단 용기(2)를 들어 올림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식품을 먹을 수 있다.
가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은 위쪽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단 용기(3)를 하단 용기(2)는 가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이 위쪽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을 형성하도록 개개의 저면 형상 또는 상면 형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도시락통(1)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쪽에서 보았을 때의 의장성이 우수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단 용기(2)의 사시도이다. 하단 용기(2)는 양단에 한 쌍의 제1 용기(21)와 이들 제1 용기(21)의 대향하는 아래쪽 부분을 연결하는 평판상의 제1 접속 부재(22)를 갖는다. 제1 접속 부재(22)가 제1 용기(21) 사이의 아래쪽 부분을 연결하므로 제1 접속 부재(22)의 위쪽, 즉, 하단 용기(2)의 상면에는 제1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 접속 부재(22)의 상부면에는 위쪽에서 보아 정사각형이고, 중단 용기(7)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접속 부재(22)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상단 용기(3)의 감합 돌기(34)와 감합하는 감합 홈(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24)의 각 제1 용기(21)측의 내벽면에는 중단 용기(7)의 후술하는 계합 돌기(72)와 계합하는 계합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단 용기(3)의 사시도이다. 상단 용기(3)는 양단에 한 쌍의 제2 용기(31)와 이들 제2 용기(31)의 대향하는 위쪽 부분을 연결하는 제2 접속 부재(32)를 갖는다. 제2 접속 부재(32)는, 저벽(32a)과 저벽(32a)의 측연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32b)을 갖는다. 제2 접속 부재(32)의 저벽(32a) 및 측벽(32b) 그리고 한 쌍의 제2 용기(31)는 연속된 하나의 수용 공간을 구성한다. 제2 접속 부재(32)가 제2 용기(31) 사이의 위쪽 부분을 연결하므로 제2 접속 부재(32)의 아래쪽, 즉, 상단 용기(3)의 하부면에는 제2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2 오목부(33)의 대향하는 내벽면, 즉, 제2 용기(31)의 대향하는 외벽면에는 하단 용기(2)의 감합 홈(25)과 감합하는 감합 돌기(34)(도 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단 용기(3)용의 상단 뚜껑(4)의 사시도이다. 상단 뚜껑(4)은, 상단 용기(3)의 상부 개구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상단 뚜껑 본체(41)와 상단 뚜껑 본체(41) 상면의 둘레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위쪽으로 연장되는 리브(42)를 갖는다. 상단 뚜껑(4)의 양단 부분의 리브(42)는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융기부(43)를 갖는다. 상단 뚜껑 본체(41)와 리브(42)와 융기부(43)는 제2 오목부(44)를 구성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5)의 사시도이다. 상부 커버(5)는 상단 용기(3)의 상부 개구, 즉, 상단 뚜껑(4)의 상단 뚜껑 본체(41)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상부 커버 본체(51)를 갖는다. 상부 커버 본체(51)의 하부면에는 상단 뚜껑 본체(41)의 제3 오목부(44)에 대응하는 제4 오목부(52)(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 뚜껑(4) 위에 상부 커버(5)를 씌운 상태에서는 상단 뚜껑(4)의 제3 오목부(44)와 상부 커버(5)의 제4 오목부(52)가 하나의 폐쇄 공간을 구성하고, 그 속에 물품, 예를 들면, 젓가락, 스푼 및 포크 등을 수용할 수가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하단 용기(2)용의 하단 뚜껑(6)의 사시도이다. 하단 뚜껑(6)은 하단 용기(2)의 제1 용기(21)의 상부 개구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하단 뚜껑 본체(61)와 하단 뚜껑 본체(61) 상면의 둘레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리브(62)를 갖는다. 하단 용기(2)의 양단 부분에 대응하는 하단 뚜껑(6)의 리브(62)는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융기부(63)를 갖는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중단 용기(7)의 사시도이다. 중단 용기(7)는 상자형 중단 용기 본체(71)를 갖는다. 중단 용기 본체(71)의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 아래쪽 부분에는 하단 용기(2)의 수용 오목부(24)에 형성된 계합 돌기(26)와 계합하는 계합 돌기(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단 용기 본체(71)의 일측면의 위쪽 부분에는 후크 형상의 계지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중단 용기(7)용의 중단 뚜껑(8)의 사시도이다. 중단 뚜껑(8)은 중단 용기(7)의 상부 개구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중단 뚜껑 본체(81)와 중단 뚜껑 본체(81) 상면의 둘레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위쪽으로 연장되는 리브(82)를 갖는다. 중단 뚜껑(8)의 하나의 대각선 상의 부분의 리브(82)는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융기부(83)를 갖는다.
중단 용기(7)는 중단 뚜껑(8)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중단 용기(7)의 계합 돌기(72)와 하단 용기(2)의 계합 돌기(6)를 계합시킴으로써 하단 용기(2)의 수용 오목부(24)에 감입할 수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단 용기(7) 및 중단 뚜껑(8)은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에 배치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단 용기(7) 및 중단 뚜껑(8)을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단 용기(2)의 상면에 상단 용기(3)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시락통(1)이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에 더하여 중단 용기(7)를 추가로 가짐으로써 식품의 수용량을 즐릴 수가 있다. 또한, 세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에서,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와 상단 용기(3)의 제2 오목부(33) 사이에 생긴 공간에 중단 용기(7)가 배치되므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에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단 용기 본체(71)의 계지부(73)를 상단 용기(3) 또는 하단 용기(2)의 상부 개구 둘레 테두리에 계지시킴으로써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와 일체적으로 중단 용기(7)를 다루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랩(9)의 사시도이다. 스트랩(9)은 가늘고 긴 형상의 스트랩 본체(91)와 일단에 마련된 제1 버튼(92)과 보다 중앙 근처의 부분에 마련된 제2 버튼(93)을 갖는다. 스트랩 본체(91)의 타단에는 제1 버튼 구멍(94)이 형성되고, 보다 중앙 근처의 부분에는 제2 버튼 구멍(9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락통(1)의 세로형 배치의 경우에는 도시락통(1)의 중앙 부분 주위에 스트랩(9)를 감고, 제1 버튼(92)을 제1 버튼 구멍(94)을 지나게 함으로써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가 서로 고정된다. 다른 한편, 도시락통(1)은 그 전체가 아니라, 상단 용기(3)만을 운반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단 용기(3)를 상단 뚜껑(4)에 의해 폐쇄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 커버(5)를 위에서 덮어 씌운다. 이 상태에서, 도 1과 마찬가지로 스트랩(9)을 상단 용기(3)에 감는데, 동일하게 하면, 스트랩(9)이 남아 버린다. 그래서, 제1 버튼(42)은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융기부(43)를 갖는다. 상단 뚜껑 본체(41)와 리브(42)와 융기부(43)는 제3 오목부(44)를 구성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5)의 사시도이다. 상부 커버(5)는 상단 용기(3)의 상부 개구, 즉, 상단 뚜껑(4)의 상단 뚜껑 본체(41)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상부 커버 본체(51)를 갖는다. 상부 커버 본체(51)의 하부면에는 상단 뚜껑 본체(41)의 제3 오목부(44)에 대응하는 제4 오목부(52)(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 뚜껑(4) 위에 상부 커버(5)를 씌운 상태에서는 상단 뚜껑(4)의 제3 오목부(44)와 상부 커버(5)의 제4 오목부(55)가 하나의 폐쇄 공간을 구성하고, 그 속에 물품, 예를 들면 젓가락, 스푼 및 포크 등을 수용할 수가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하단 용기(2)용의 하단 뚜껑(6)의 사시도이다. 하단 뚜껑(6)은 하단 용기(2)의 제1 용기(21)의 상부 개구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하단 뚜껑 본체(61)와 하단 뚜껑 본체(61) 상면의 둘레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위쪽으로 연장되는 리브(62)를 갖는다. 하단 용기(2)의 양단 부분에 대응하는 하단 뚜껑(6)의 리브(62)는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융기부(62)를 갖는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중단 용기(7)의 사시도이다. 중단 용기(7)는 상자형의 중단 용기 본체(71)를 갖는다. 중단 용기 본체(71)의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 아래쪽 부분에는 하단 용기(2)의 수용 오목부(24)에 형성된 계합 돌기(26)를 계합하는 계합 돌기(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단 용기 본체(71)의 일측면의 위쪽 부분에는 후크 형상의 계지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중단 용기(7)용의 중단 뚜껑(8)의 사시도이다. 중단 뚜껑(8)은 중단 용기(7)의 상부 개구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중단 뚜껑 본체(81)와 중단 뚜껑 본체(81) 상부면의 둘레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위쪽으로 연장되는 리브(82)를 갖는다. 중단 뚜껑(8)의 하나의 대각선 상 부분의 리브(82)는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융기부(83)를 갖는다.
중단 용기(7)는, 중단 뚜껑(8)에 의해 폐쇄한 상태에서 중단 용기(7)의 계합 돌기(72)와 하단 용기(2)의 계합 용기(26)를 계합함으로써 하단 용기(2)의 수용 오목부(24)에 감입할 수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단 용기(7) 및 중단 뚜껑(8)은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에 배치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단 용기(7) 및 중단 뚜껑(8)을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단 용기(2)의 상부면에 상단 용기(3)을 배치할 수 있다. 도시락통(1)이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에 더하여 중단 용기(7)를 추가로 가짐으로써 식품의 수용량을 늘릴수 있다. 또, 세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에서,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와 상단 용기(3)의 제2 오목부(33) 사이에 생긴 공간에, 중단 용기(7)가 배치되므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에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단 용기 본체(71)의 계지부(73)를 상단 용기(3) 또는 하단 용기(2)의 상부 개구 둘레 테두리에 계지시킴으로써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와 일체적으로 중단 용기(7)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랩(9)의 사시도이다. 스트랩(9)은 가늘고 긴 형상의 스트랩 본체(91)와 일단에 마련된 제1 버튼(92)과 보다 중앙 근처의 부분에 마련된 제2 버튼(93)을 갖는다. 스트랩 본체(91)의 타단에는 제1 버튼 구멍(94)이 형성되고, 보다 중앙 근처의 부분에는 제2 버튼 구멍(9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시락통(1)의 세로형 배치의 경우에는 도시락통(1)의 중앙 부분 주위에 스트랩(9)을 감고, 제1 버튼(92)을 제1 버튼 구멍(94)를 지나게 함으로써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가 서로 고겅된다. 다른 한편, 도시락통(1)은 그 전체가 아니라, 상단 용기(3)만을 운반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단 용기(3)를 상단 뚜껑(4)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다시 상부 커버(5)를 위에서 덮어씌운다. 이 상태에서, 도 1과 마찬가지로 스트랩(9)을 상단 용기(3)에 감는데, 동일하게 하면, 스트랩(9)이 남아 버린다. 그래서, 제1 버튼(92)을 제2 버튼 구멍(95)을 지나고, 또한, 제2 버튼(93)을 제1 버튼 구멍(94)을 지남으로써, 상단 용기(3) 및 상부 커버(5)를 서로 고정할 수가 있어, 스트랩(9)이 남아 버리지도 않는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구획판(10)의 사시도이다. 구획판(10)은 구획판 본체(101)와, 구획판 본체(101)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는 지지벽(102)과 구획판 본체(101) 및 대향하는 지지벽(102)을 연결하는 저벽(103)을 갖는다. 구획판(10)을 상단 용기(3)의 제2 접속 부재(32)의 저벽(32a) 위의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상단 용기(3)의 수용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가 있다.
도 13은,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 사이의 감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즉, 가로형 배치의 도시락통(1)에서, 상단 용기(3)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종단면도이다. 상단 용기(3)를 하단 용기(2) 위에서 덮어씌워 상단 용기(3)의 제2 오목부(33)와 하단 용기(2)의 제1 오목부(23)를 서로 감합시킬 때에 상단 용기(3)의 감합 돌기(34)와 하단 용기(2)의 감합 홈(25)이 스냅식으로 감합한다. 그것에 따라 하단 용기(2)뿐만 아니라, 상단 용기(3)를 들어 올림으로써도 도시락통(1) 전체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식품을 먹을 때에 도시락통(1)을 잡는 부분을 신경쓰지 않고, 상단 용기(3) 및 하단 용기(2)를 일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된 상태에서 식품을 먹을 수 있다.
하단 용기(2)와 상단 용기(3)와 상부 커버(5)와 중단 용기(7)와 구획판(10)은, 경질의 합성 수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이들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도, 또한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단 뚜껑(4)과 하단 뚜껑(6)과 중단 뚜껑(8)과 스트랩(9)은 연질의 합성 수지 등의 탄성 재료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이것들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락통(1)의 가로형 배치의 상태에서, 위쪽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이었으나, 그 밖의 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직교가 아니라, 그 밖의 각도에서 교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시락통(11)의 가로형 배치의 대략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의 형상을 원형을 조합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삼각형을 조합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1: 도시락통 2: 하단 용기
3: 상단 용기 4: 상단 뚜껑
5: 상부 커버 6: 하단 뚜껑
7: 중단 용기 8: 중단 뚜껑
9: 스트랩 10: 구획판

Claims (4)

  1. 하단 용기와 상기 하단 용기의 상면에 배치 가능한 상단 용기를 구비하는 2단식의 용기로서,
    상기 상단 용기의 하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용기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용기의 오목부와 상기 하단 용기의 오목부를 서로 감합시키고, 상기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상기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상기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위쪽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용기 또는 상기 하단 용기의 한쪽에 마련된 감합 돌기와, 상기 상단 용기 또는 상기 하단 용기의 다른 쪽에 마련된 감합 홈이, 상기 상단 용기의 길이 방향과 상기 하단 용기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감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용기의 오목부에 배치 가능한 중단 용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2020130002643U 2013-03-22 2013-04-09 용기 KR2014000517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3-001590 2013-03-22
JP2013001590U JP3183850U (ja) 2013-03-22 2013-03-22 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74U true KR20140005174U (ko) 2014-10-01

Family

ID=5042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643U KR20140005174U (ko) 2013-03-22 2013-04-09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83850U (ko)
KR (1) KR20140005174U (ko)
CN (1) CN203262508U (ko)
TW (1) TWM46055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964A (zh) * 2014-01-22 2014-04-09 曹敏娜 一种附有餐具的综合便当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3850U (ja) 2013-05-30
CN203262508U (zh) 2013-11-06
TWM460557U (zh) 201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9541S1 (en) Three level nesting/stacking containers
US20120234844A1 (en) Extension frame for a transport box or a pallet
JP5020413B1 (ja) 容器セット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20140005174U (ko) 용기
KR200471704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JP3200776U (ja) 食品包装用容器
KR101249002B1 (ko) 찬합식 도시락 용기
JP5468308B2 (ja) 合成樹脂発泡体製容器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6134165B2 (ja) 容器
KR200486389Y1 (ko) 조립식 원통용기
JP2004167112A (ja) 箸で携帯枠に固定する段積み弁当箱セット
KR101658596B1 (ko) 적층운반용 상자
US20090223987A1 (en) Easy-carried food container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101380304B1 (ko) 다목적 컵
KR200471748Y1 (ko)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JP3137275U (ja) 果実包装用容器
KR101552574B1 (ko) 적층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JP2012254827A (ja) 包装用容器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JP7259276B2 (ja) 蓋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