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29A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129A
KR20140005129A KR1020137003850A KR20137003850A KR20140005129A KR 20140005129 A KR20140005129 A KR 20140005129A KR 1020137003850 A KR1020137003850 A KR 1020137003850A KR 20137003850 A KR20137003850 A KR 20137003850A KR 20140005129 A KR20140005129 A KR 2014000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ild seat
base
arm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7636B1 (ko
Inventor
오사무 나카가와
레이 요시즈미
Original Assignee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3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back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구속 수단을 통해서 영유아를 시트 쿠션 내에서 구속하는 쉘의 배면 및 하부를 유지하는 암(11)과 베이스(12)와 중간부(13)가 일체로 된 보강 부재에 양단이 지지된 다리부(22)를 갖는 베이스 스탠드(20)를 부착한다. 차일드 시트(1)의 탑승자 좌석 상에서의 부착 형태에 따라 베이스 스탠드(20)를 회동시키고, 그 다리부(22)를 보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켜서 탑승자 좌석 상에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와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의 각각의 형태에 적합하게 해서 차일드 시트(1)의 저면을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와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의 일부(12a, 13a)에 의해 구성하여 차일드 시트(1)를 좌석에 고정할 때의 안정을 도모한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관계되고, 차량 내에서 영유아의 신체를 안전하게 구속하기 위해서 차량 등의 좌석에 적절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한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승차한 영유아의 신체를 안전하게 구속하기 위해서 차일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차일드 시트는 대상 영유아의 체중이나 대략의 연령에 따라 좌석으로의 부착 방법이 기준에 의해 정해져 있다.
현재 상태의 기준(예를 들면 유럽 공동체 기준)에서는 대상인 영유아의 체중 13㎏ 미만(대략 신생아부터 9개월 정도)까지는 차일드 시트는 차량 좌석에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고, 그 후에 4세경(체중 13∼18㎏ 정도)까지의 동안은 전방을 향하여 부착해서 사용할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생아부터 4세 정도까지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 차일드 시트에서는 각각의 부착 형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안정되게 부착되도록 여러 가지 연구가 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급 사양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시트면에 밀착한 비교적 대형의 베이스 상에 차일드 시트 본체가 리클라이닝 기구를 통해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차량의 좌석 상으로 방향을 바꿔서 적재된 베이스 상에서 리클라이닝 기구를 이용하여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는 등의 부착 형태에 따라 각각 적정한 클라이닝 각도를 설정해서 차일드 시트 본체를 고정할 수 있고, 적정한 영유아의 구속 자세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차일드 시트에서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서 제조 비용이 든다. 또한, 부착 방향에 영향받지 않는 안정된 대형의 베이스를 구비하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의 중량도 무겁다. 이에 대하여 보급품으로서의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안정되게 부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보급품인 차일드 시트의 개발 포인트는 각각의 부착 위치에서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넓게 확보하는 점에 있다. 이 점에 착안한 차일드 시트로서 분리 가능한 블록 형상의 다리부를 부착 방향에 따라 피봇축 주위에서 회전시켜서 그 위치를 바꾸도록 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전방을 향했을 때에 발생한 정면 충돌에 의해 차일드 시트가 고정점 전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후방을 향하여 설치했을 경우에도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고 평 6-79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6-15129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2개의 블록 형상의 다리부의 방향을 변경하여 차일드 시트의 부착 위치의 변경에 대응시키는 보조 시트에서는 리브(43)의 끝면은 다리부(51)의 대향면(53), 경사면(55)과 접촉시키기 위해서 평탄부(45, 46)를 가짐과 아울러 내부가 보강된 구조로 해야 한다. 또한, 다리부(51)가 각각의 리브(43)의 소정 위치에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의 맞물림 돌기(56)가 끼워지는 2개소의 노치(47)의 주위도 충분히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서는 리브(43)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리브(43)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져서 성형 작업도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서는 지지 다리(6)는 차일드 시트의 저부 앞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지만, 상면이 제품의 일부로서 노출되기 때문에 지지 다리의 상면은 다른 부위와 연속하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마무리되고, 또한 중앙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도려냄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차일드 시트를 후방을 향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2,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 상면이 반전해서 저면이 되고, 제 2 접촉부(4b)와 함께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 부재를 반전시킨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좌석 상에서의 접촉면은 확보할 수 있지만, 차일드 시트의 저면의 평면성은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의 고정시의 안정성이 결여된다. 또한, 베이스 상에 반전된 부재가 겹쳐지므로 차일드 시트의 시트면이 높아져서 영유아를 태우고 내리기가 힘들어진다고 하는 사용시의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 형성되는 암 형상의 리브의 구성을 거의 이용할 수 있고, 부착 방향에 의하지 않고 안정된 설치 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유아가 착좌하는 측이 시트 쿠션에 의해 덮이고, 구속 수단을 통해서 영유아를 상기 시트 쿠션 내에서 구속하는 쉘과, 상기 쉘의 배면 및 하부를 유지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탑승자 좌석에 시트 벨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쉘을 배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2개의 암과, 상기 암 하단에 중간부를 개재해서 연속하는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암 사이에 본체의 양측부에 일체 형성된 다리부를 갖는 베이스 스탠드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탑승자 좌석 상에서의 부착 형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탠드를 회동시켜서 상기 다리부를 상기 보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키고, 각각의 부착 형태에 적합한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상기 다리부와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의해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 형태는 상기 탑승자 좌석 상에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와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상기 다리부를 위치시켜서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고,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에서는 상기 암 하단측에 상기 베이스 스탠드를 회동하고, 이동 후의 상기 다리부와 상기 중간부의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는 지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부착 형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탠드를 회동시켜서 상기 다리부의 지지 리브가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하여 차일드 시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의 지지 리브가 상기 보강 부재의 암 내면판의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스탠드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회동 핀이 형성되어 상기 암 내면판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의 쉘을 보강하는 부재의 일부에 콤팩트한 스탠드를 부착함으로써 그 스탠드의 다리부에서 차일드 시트의 저면의 일부를 확보하도록 했으므로, 간이한 수단에 의해 차일드 시트를 용이하게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는 형태로 탑승자 좌석에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장착된 베이스 스탠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장착된 베이스 스탠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장착된 베이스 스탠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장착된 베이스 스탠드의 일부 단면도를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차일드 시트를 차량 좌석에 전방을 향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b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차일드 시트를 차량 좌석에 후방을 향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a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차일드 시트를 구성하는 쉘과 암과, 암에 부착된 베이스 스탠드에 의해 차일드 시트를 전방을 향하여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b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차일드 시트를 구성하는 쉘과 암과, 암에 부착된 베이스 스탠드에 의해 차일드 시트를 후방을 향하여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베이스 스탠드의 암으로의 유지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의 실시하기 위한 형태로서 이하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1)를 평평한 면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1)를 평평한 면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상태는 통상 차량의 좌석에 차일드 시트를 전방을 향하여 부착한 상태에 상당한다. 도 1b는 합성 수지제 쉘(3)의 영유아(도시하지 않음)가 앉는 쪽이 시트 쿠션(2)에 의해 덮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쉘(3)의 배면측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부재(10)가 쉘(3)을 서포트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보강 부재(10)는 영유아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쉘(3)을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2개의 암(11)과, 각 암(11)의 하부에 있어서 곡면 형상의 쉘(3)을 안정되게 시트면 상에 설치하는 베이스(12)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중간부(13)를 개재해서 일체로 되어 쉘(3)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도 1b에서는 시트 벨트를 정규 위치에 유지시키는 벨트 가이드 등의 쉘(3)과 암(11)에 설치되어 있는 각 부재에 대해서는 도면의 간단화를 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보강 부재(10)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쉘(3) 배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암(11)과, 쉘(3)의 저부를 지지하는 베이스(12)와, 양자를 연결하는 중간부(13)가 일체 성형되고, 측면으로 보았을 때 전체가 대략 J자 형상을 이룬 쉘(3)과 동일 소재의 수지 제품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각 암(11)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외면판(11a)과 2매의 내면판(11b)과, 이것들을 연결하는 복수매의 리브(11c)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11c)는 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외면판(11a)과 내면판(11b)을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각 암(11)에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부여한다.
베이스(12)의 저면(12a)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평면 형상을 이루어서 차일드 시트(1)가 차량의 좌석의 시트면에 안정되게 적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13) 위치의 암(11)의 내면판(11b)에는 베이스 스탠드(20)가 회동 핀(23)을 통해서 축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스탠드(20)는 그 다리부(구성은 후술함)의 한 면이 도 1의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11) 하단의 베이스(12)의 저면(12a)과 거의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차일드 시트(1)의 저면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베이스 스탠드(2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베이스 스탠드(20)의 정면도, 도 2b는 베이스 스탠드(20)의 측면도, 도 2c는 베이스 스탠드(20)의 배면도, 도 2d는 베이스 스탠드(20)의 IId-IId선 절단면에서의 일부 단면도를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베이스 스탠드(20)는 스탠드 본체(21)와, 스탠드 본체(21)의 양측면에 일체 성형된 다리부(22)로 이루어진다. 스탠드 본체(21)와 다리부(22)는 모두 외장판(21a, 22a)과 그 내부에 형성된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21b, 22b)를 일체 성형한 합성 수지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등이 바람직하지만, 베이스 스탠드로서의 강도, 내구성 등을 충족시키고, 성형 작업성, 비용면에서 적정한 소재이면 각종 수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 본체(21)는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IIb-IIb선으로부터 측면으로 보았을 때의 외형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편평한 상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폭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암(11)의 내면판(11b) 사이와 거의 동일하다. 스탠드 본체(21)의 상부의 양측 외면에는 소정 직경의 원기둥 돌기 형상을 이루고 회동축을 가상적으로 형성하는 회동 핀(23)과, 회동 핀(23)보다 작은 직경의 록킹 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탠드 본체(21)의 폭은 2개의 암(11)의 내면판(11b) 사이에 끼워지는 정도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스탠드 본체(21)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동 핀(23)은 암(11)의 내면판(11b)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감합된 상태에서 가상의 회동축으로서 기능한다. 스탠드 본체(21)는 2개의 암(11)에 회동 핀(23)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리부(22)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보았을 때의 외형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상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스탠드 본체(21)의 측면 하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부재이다. 다리부(22)의 폭은 암(11)의 외면판(11a)과 내면판(11b)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다리부(22)의 내부 공간의 스탠드 본체(21)측에는 도 2c,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22b)와 다른 형상의 지지 리브(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리브(25)는 후술하는(도 5 참조) 바와 같이 베이스 스탠드(20)의 지지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지지면에 암(11)의 내면판(11b)의 하단이 접촉하고, 암(11)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때문에, 지지 리브(25)의 형상은 차일드 시트(1)를 좌석에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경우와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에 있어서 각각 지지 리브(25)의 일부가 암(11) 하단과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리브(25)의 형상은 2개소의 지지면(25a, 25b)을 갖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S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그 형상은 기능적으로 2개소의 지지 위치(면)가 확보되면 가공성, 강도를 고려해서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록킹 핀(24)은 스탠드 본체(21)의 측면의 회동 핀(23)과 다리부(22)의 부착 위치 사이에 설치되고, 회동 핀(23)보다 작은 직경인 소형의 원기둥 돌기이다. 록킹 핀(24)은 베이스 스탠드(20)를 회동 핀(23) 주위에서 회동시키고, 상술한 2개소의 지지 위치까지 회동시켰을 때에 암(11)에 형성된 유지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감합하여 베이스 스탠드(20)를 각 지지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록킹 핀(24)은 베이스 스탠드(20)의 회동시에는 록킹 핀(24)의 선단이 암(11) 내면에 접촉해서 암(11) 하단을 약간 휘게 하면서 이동하고, 지지 위치에서 유지 구멍에 감합하여 록킹 상태가 된다.
이하, 베이스 스탠드(20)를 이용해서 차일드 시트(1)의 탑승자 좌석에 부착하는 방향을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게 한 부착 형태에 대해서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각 도면에서는 도 1b와 마찬가지로 암(11) 및 베이스(12)의 외면판(11a)이 나타내어져 있다. 차일드 시트(1)는 각 좌석에 대응해서 장비된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좌석에 고정하지만, 본 도면에서는 도면의 간단화를 위해서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차일드 시트(1)를 전방을 향하여 부착할 경우에는 베이스 스탠드(20)는 도 1b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의 저면(22c)이 베이스(12)의 저면(12a)과 대략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는 지지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암(11) 배면을 좌석(50)의 등받이(backrest)(51)에 접촉시켜서 도시하지 않은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차일드 시트(1)를 좌석(50) 상에 고정한다.
한편, 후방을 향하여 부착할 경우에는 베이스 스탠드(20)를 도 1b의 위치로부터 회동 핀(23) 주위에서 회동시켜서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의 앞면 (22d)이 새로운 저면이 되게 한다. 이때, 암 외면판(11a)의 하단과, 암 외면판(11a)과 베이스(12) 사이의 중간부(13)의 외측 가장자리(13a)가 대략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어 새로운 저면이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차일드 시트(1)의 다리측을 좌석(50)의 등받이(51)에 접촉시키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차일드 시트(1)를 좌석(50) 상에 고정한다.
이어서,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가 암(11) 내면판(11b)의 일부를 지지하는 형태에 대해서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양 도면은 차일드 시트(1)의 시트 쿠션을 제거하고, 쉘(3)을 암(11)과 베이스(12)에 의해 지지한 상태를 도 1a의 IVa-IVa선 단면선을 따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차일드 시트(1)의 각 부착 상태(전방을 향함, 후방을 향함)에 있어서의 암(11) 내면판(11b)과 베이스 스탠드(20) 다리부(22) 내의 지지 리브(25)의 위치 관계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암(11) 내면판(11b)의 하단과 베이스(12)의 중간부(13)의 외형 형상은 베이스 스탠드(20)의 스탠드 본체(21)(도 4, 도 5에서는 가상 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의 회동 핀(23)을 지지하는 베어링 구멍을 중심으로 한 대략 반원형상의 가장자리부(14)와 그것의 양측에 연속하는 대략 V자형 가장자리부(15, 16)로 구성되어 있다(도 4a, 도 4b). 전방을 향하여 부착한 상태(도 4a)에서는 다리부(22)의 지지 리브(25)가 가장자리부(14)의 하측의 대략 V자형 가장자리부(15)의 하단에 접촉하고, 차일드 시트(1)의 하중의 일부가 다리부(2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후방을 향하여 부착한 상태(도 4b)에서는 다리부(22)의 지지 리브(25)가 상측의 대략 V자형 가장자리부(16)의 상측에 접촉한다. 이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좌석(50)에 부착했을 경우(도 3b), 차일드 시트(1)의 하중의 일부는 암(11) 내면판(11b)의 대략 V자형 가장자리부(16)를 통해서 다리부(22)에 전달된다.
도 5는 도 4a, 도 4b에서 나타낸 베이스 스탠드(20)의 유지 상태를 설명을 위하여 동시에 확대해서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상태에서는 암(11) 내면판(11b)의 대략 V자형 가장자리부(15)가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의 지지 리브(25a)에 올라타도록 접촉하여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에 하중이 전달된다. 한편, 후방을 향하여 부착할 경우에는 베이스 스탠드(20)를 도면 중 상방을 향하여 회동시켜서 록킹 핀(24)에 의해 도 4b에 나타낸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암(11)의 대략 V자형 가장자리부(16)가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의 지지 리브(25b)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도 3b, 또는 도 4b의 가상 선(L)을 따르는 방향을 저면으로 하여 차일드 시트(1)를 설치하면 차일드 시트(1)의 암(11)으로부터의 하중은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에 전달되어 다리부(22)의 지지 리브(25b)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시트면에 지지 리브(25)의 다른 부위가 접촉하여 차일드 시트(1)로부터의 하중은 암 외면판(11a)의 하단 중간부(13)의 가장자리부(13a)와 다리부(22)에서 부담한다.
상술한 베이스 스탠드(20)의 다리부(22) 내의 지지 리브(25)의 배치 형상, 두께 등은 암(11)측의 접촉부와 하중이 스무스하게 전달될 수 있는 형상이면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이외에도 내하중,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베이스 스탠드(20)의 형상은 도 2의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지만, 예를 들면 수지 일체 성형된 회동 핀(23) 대신에 대향한 암(11)의 내면판(11b) 사이를 관통하는 강봉을 사용해서 양단을 암 내면판(11b) 위치에서 너트 고정해도 좋다. 또한, 구멍에 감합하는 록킹 핀 기구 대신에 노치부에 록킹 수단을 록킹시키도록 한 록킹 기구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22)의 형상도 상술한 기능을 갖는 지지 리브(25)에 상당하는 부재를 갖고, 좌석 상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 치수인 것이라면 각종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의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즉,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시킨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원은 2010년 7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0-166599호에 의거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 특허 출원 2010-166599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도입되는 것으로 한다.
1 : 차일드 시트 2 : 시트 쿠션
3 : 쉘 10 : 보강 부재
11 : 암 11a : 암 외면판
11b : 암 내면판 12 : 베이스
13 : 중간부 20 : 베이스 스탠드
21 : 스탠드 본체 22 : 다리부
23 : 회동 핀 24 : 록킹 핀
25 : 지지 리브

Claims (5)

  1. 영유아가 착좌하는 측이 시트 쿠션에 의해 덮이고 구속 수단을 통해서 영유아를 상기 시트 쿠션 내에서 구속하는 쉘과, 상기 쉘의 배면 및 하부를 유지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탑승자 좌석에 시트 벨트를 통해서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쉘을 배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2개의 암과, 상기 암 하단에 중간부를 개재해서 연속하는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암 사이에 본체의 양측부에 일체 형성된 다리부를 갖는 베이스 스탠드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탑승자 좌석 상에서의 부착 형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탠드를 회동시켜서 상기 다리부를 상기 보강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키고, 각각의 부착 형태에 적합한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상기 다리부와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의해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형태는 상기 탑승자 좌석 상에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와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상기 다리부를 위치시켜서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고, 후방을 향하여 부착하는 형태에서는 상기 암 하단측에 상기 베이스 스탠드를 회동하여 이동 후의 상기 다리부와 상기 중간부의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는 지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부착 형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탠드를 회동시켜서 상기 다리부의 지지 리브가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하여 차일드 시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부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지지 리브는 상기 보강 부재의 암 내면판의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탠드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회동 핀이 형성되어 상기 암 내면판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137003850A 2010-07-24 2011-05-25 차일드 시트 KR101807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6599A JP5603694B2 (ja) 2010-07-24 2010-07-24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10-166599 2010-07-24
PCT/JP2011/061945 WO2012014559A1 (ja) 2010-07-24 2011-05-25 チャイルド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29A true KR20140005129A (ko) 2014-01-14
KR101807636B1 KR101807636B1 (ko) 2017-12-11

Family

ID=4552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850A KR101807636B1 (ko) 2010-07-24 2011-05-25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03694B2 (ko)
KR (1) KR101807636B1 (ko)
CN (1) CN103025570B (ko)
WO (1) WO2012014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9123B (zh) * 2013-12-13 2017-03-0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支撑脚装置
JP6181563B2 (ja) * 2014-01-22 2017-08-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11440446B2 (en) * 2019-01-10 2022-09-13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restraint system
GB2585917B (en) * 2019-07-24 2022-02-09 Yoto Ltd An interactive apparatus
CN113352964A (zh) * 2020-03-03 2021-09-07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前向误用报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951U (ja) * 1984-10-19 1986-02-03 國新産業株式会社 乳幼児の自動車用椅子
JPS62141541U (ko) * 1986-03-03 1987-09-07
JPH067972Y2 (ja) * 1989-09-18 1994-03-02 リーマン株式会社 補助シート
GB9307446D0 (en) * 1993-04-08 1993-06-02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DE20006227U1 (de) * 2000-04-06 2000-06-29 Kiddy Gmbh Autokindersitze Sitz zum Aufstellen auf einen Kraftfahrzeugsitz
JP2006151299A (ja) * 2004-11-30 2006-06-15 Car Mate Mf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8290580A (ja) * 2007-05-24 2008-12-04 Tokai Rika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RU2595888C2 (ru) * 2012-03-19 2016-08-27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Узел связ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акетов и программ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636B1 (ko) 2017-12-11
JP5603694B2 (ja) 2014-10-08
WO2012014559A1 (ja) 2012-02-02
CN103025570B (zh) 2016-05-04
JP2012025289A (ja) 2012-02-09
CN103025570A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635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KR20140005129A (ko) 차일드 시트
US20120013160A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US7845724B2 (en) Automotive seating configuration
GB2492270A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GB2425463A (en) Tilt and/or swivel child seat
JP5632503B2 (ja) 折畳み可能な支持装置及び折畳み可能な支持装置を備える子供安全シート
JP2011230658A (ja) 車両用シート
CN102371918A (zh) 育儿器具的座席构造
JP5984734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2030742A (ja) バックル結合体を装備した車両用シート
AU2006213943B2 (en) Child seat with recess for vehicle head rest
JP2011068201A (ja) アームレストの支持構造
JP2021079894A (ja) 乗物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6230872B2 (ja) 乳幼児収容具
JP3168619U (ja) 乳母車、およびおむつ替えシート
US10843595B2 (en) Vehicle seat
JP2017178036A (ja) 車両用座席装置
GB2468647A (en) Integrated child restraint system for vehicles
JP5387977B2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ル取付け構造
US9718380B2 (en) Vehicle seat assembly accommodating a rear facing child seat
JP6646237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0083192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14034253A (ja) 車両用シート
CN207523496U (zh) 一种俯仰调节的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