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712A - 코로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코로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712A
KR20140004712A KR1020137021183A KR20137021183A KR20140004712A KR 20140004712 A KR20140004712 A KR 20140004712A KR 1020137021183 A KR1020137021183 A KR 1020137021183A KR 20137021183 A KR20137021183 A KR 20137021183A KR 20140004712 A KR20140004712 A KR 2014000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rona treatment
electrode
corona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시 무토
노부오 데구치
도시타카 구라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027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047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19/08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7Generating plasma using corona discharges
    • H05H1/473Cylindrical electrodes, e.g. rotary dru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7Generating plasma using corona dis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7Generating plasma using corona discharges
    • H05H1/471Pointed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방전 전극(2)과 어스롤(3)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공정과, 코로나 방전 하에서, 어스롤(3) 상에 필름(10)을 주행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방법이다. 방전 전극(2)은 전극 커버(4)로 덮이고, 전극 커버(4)는 어스롤(3)측에 개구부(4c)를 가지며,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가 횡방향, 경사 상방향, 또는, 상방향을 향한다.

Description

코로나 처리 방법{CORONA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필름형상의 피코로나 처리물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2에는, 편광 필름 등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함으로써, 그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코로나 처리는, 통상, 고주파 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고주파ㆍ고전압 출력을, 코로나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방전 전극과 어스롤(earth roll)과의 사이에 인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코로나 방전 하에 편광 필름 등의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을 통과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그러나, 코로나 처리를 장기간에 걸쳐 행하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에 결정형상 이물질이 부착되어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오존 및 질소산화물(NOx)이 생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3에서는, 오존 및 질소산화물(NOx)의 발생량을, 소정 구조를 가지는 코로나 처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저감시키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코로나 처리 장치는, 상기 서술한 코로나 처리를 장기간에 걸쳐 행할 때의 결정형상 이물질의 부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꼭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코로나 처리 장치를 소정 구조로 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코로나 처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13314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8860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보 제4194766호
본 발명의 과제는,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지견을 발견하였다.
즉, 코로나 처리 완료된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에 부착된 결정형상 이물질을 분석한 결과, 상기 결정형상 이물질은, 옥살산, 옥살산염, 옥살산암모늄, 질산알루미늄, 질산암모늄 등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결정형상 이물질의 유래에 대하여,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이들 결정형상 이물질은, 코로나 방전을 행함에 따라 코로나 처리 장치에 축적된 것으로, 이것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에 낙하하여 부착된 것이라는 지견을 얻었다. 그리고, 이 지견에 근거하여, 더욱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코로나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전극 커버의 개구부가 특정 방향이 되도록 코로나 처리 장치를 배치하면, 코로나 처리 장치에 축적되는 결정형상 이물질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에 낙하하여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코로나 처리 방법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코로나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방전 전극과 어스롤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코로나 방전 하에 상기 어스롤을 통하여 필름형상의 피코로나 처리물을 통과시켜, 상기 피코로나 처리물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코로나 처리 장치는, 상기 방전 전극을 덮음과 함께, 상기 어스롤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전극 커버를 더욱 구비하고, 이 전극 커버의 개구부가 횡방향 내지 상방향이 되도록, 상기 코로나 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처리 방법.
(2) 상기 코로나 처리 장치가, 내식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코로나 처리 방법.
(3) 상기 코로나 처리 장치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코로나 처리 방법.
(4) 상기 전극 커버가, 투명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로나 처리 방법.
(5) 상기 필름형상의 피코로나 처리물이, 광학 필름 및 보호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로나 처리 방법.
(6) 상기 필름형상의 피코로나 처리물의 길이가, 1만m 이상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로나 처리 방법.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어스롤"은, 방전 전극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코로나 방전 하에 필름형상의 피코로나 처리물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되며, 이른바 처리 롤이나 백 롤 등으로 일컬어지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형상"은, 필름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필름형상 내지 시트형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른 측면의 발명은, 방전 전극과 어스롤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공정과,
상기 코로나 방전 하에, 상기 어스롤 상에 필름을 주행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전 전극은 전극 커버로 덮이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어스롤측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극 커버의 개구부가 횡방향, 경사 상방향, 또는 상방향을 향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방전 전극, 상기 어스롤, 및, 상기 전극 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내식성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방전 전극, 상기 어스롤, 및, 상기 전극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극 커버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관에 의하여 배기되고, 상기 배기관이 내식성재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배기관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방전 전극이 전극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전극 홀더가 내식성재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전극 홀더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극 커버가, 투명한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름이, 광학 필름 및 보호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름의 길이가, 1만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로나 처리 장치에 축적되는 결정형상 이물질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에 낙하하여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는 코로나 처리 장치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 처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코로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a)~도 2(c)는, 도 1에 나타내는 코로나 처리 장치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a), 도 3(b)는, 도 1에 나타내는 코로나 처리 장치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코로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코로나 처리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코로나 처리 방법은, 도 1에 나타내는 코로나 처리 장치(1)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다.
코로나 처리 장치(1)는, 방전 전극(2)과, 이 방전 전극(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어스롤(3)과, 방전 전극(2)을 덮고 있는 전극 커버(4)와, 방전 전극(2)을 지지하고 있는 전극 홀더(5)와, 전극 커버(4)의 어스롤(3)측에 위치하는 일단면(4a)과 반대의 타단면(4b)측에 위치하는 배기관(6)을 구비하고 있다.
방전 전극(2)은, 대략 막대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부(2a)가 전극 커버(4)의 일단면(4a)보다 전극 커버(4)의 내측에 위치하며, 그 후단부(2b)가 전극 홀더(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다만, 방전 전극(2)의 형상은, 방전 가능한 한 대략 막대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바늘형상, 판형상, 원기둥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어스롤(3)은, 어스되어 있음과 함께, 방전 전극(2)의 선단부(2a)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방전 전극(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어스롤(3)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회전 구동 수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의 원주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극 커버(4)는, 어스롤(3)측에 위치하는 일단면(4a)에 개구되는 개구부(4c)를 가지고 있다. 또, 전극 커버(4)는, 한 쌍의 측면(4d, 4d)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면(4d, 4d)은, 일단면(4a)으로부터 타단면(4b)을 향하여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뻗어 있다.
배기관(6)은, 그 외주의 일부가 전극 커버(4)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공간 내로 통하고 있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배기관 출구가 진공 펌프 등의 흡인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전극 커버(4)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공간 내의 기체를, 배기관(6)을 통하여 흡인하여 코로나 처리 장치(1)의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 처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존을, 배기관(6)을 통하여 코로나 처리 장치(1)의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배기관(6)의 배기관 출구에 있어서의 풍량으로는, 오존의 배기를 확실히 행하기 위하여, 0.1m3/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코로나 처리 장치(1)를 사용하여 행하는 본 실시형태의 코로나 처리 방법은,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고주파ㆍ고전압 출력을, 방전 전극(2)과 어스롤(3)과의 사이에 인가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코로나 방전 하에 어스롤(3)을 통하여 필름형상의 피코로나 처리물(10)을 통과시켜, 이로써 피코로나 처리물(10)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방법이다. 즉, 코로나 방전 하에, 상기 어스롤 상에 필름을 주행시켜, 이로써,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한다.
코로나 처리 강도로는,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따라 원하는 강도를 채용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200~2000W 정도이다. 코로나 처리 강도가 너무 낮으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전폭에 걸쳐 안정된 코로나 방전을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또 너무 높으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내열 특성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주름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코로나 처리 방법에서는, 도 2(a)~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가 횡방향 내지 상방향이 되도록 코로나 처리 장치(1)를 배치한다. 즉,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가, 횡방향, 경사 상방향, 또는 상방향을 향한다. 이로써, 코로나 처리 장치(1)에 축적되는 결정형상 이물질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낙하하여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가 횡방향보다 경사 하방향 내지 하방향이 되도록 코로나 처리 장치(1)를 배치하면, 코로나 처리 장치(1)에 축적되는 결정형상 이물질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낙하하여 버린다.
한편, 일반적인 코로나 처리 장치는, 전극 홀더(5)나 배기관(6) 등을 구성하는 부재에 알루미늄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결정형상 이물질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재에 많이 부착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코로나 처리 장치(1)(예를 들면 방전 전극, 어스롤, 전극 커버, 전극 홀더, 및 배기관 중 적어도 하나)는, 알루미늄 이외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식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식성 부재로는, 예를 들면 세라믹스, 스테인리스강(SUS) 등을 들 수 있다. 또, 코로나 처리 장치(1) 자체를 내식성 부재로 구성하는 대신에, 코로나 처리 장치(1)(예를 들면, 방전 전극, 어스롤, 전극 커버, 전극 홀더, 및 배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내식성 부재로 피복하거나, 또는 그 표면을 내식 처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내식 처리로는, 예를 들면 알마이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내식성 부재나 내식 처리의 적용은, 코로나 처리 장치(1) 전체에 대하여 적용해도 되고, 코로나 처리 장치(1) 중 결정형상 이물질이 부착되기 쉬운 부재나 영역에 대하여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극 커버(4)를, 투명성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극 커버(4)가 투명해지므로, 그 전극 커버(4)를 통하여 방전 전극(2), 전극 홀더(5) 등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투명성 부재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이란, 가시광(예를 들면, 390~750nm)에 대하여 투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극 커버(4)의 측면(4d)의 내측은, 결정형상 이물질이 축적되기 쉬운 홈이나 요철 등이 없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 장치(1)에 의하여 코로나 처리되는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으로는, 코로나 처리가 필요한 원하는 필름형상의 것이 채용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편광 필름 등의 광학 필름, 이 광학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구비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고, 보호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등을 들 수 있다.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길이(이하, ?낯??이라고 한다.)로는, 1만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만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만m~6만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처리량에 대하여 종래의 코로나 처리를 행하면,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결정형상 이물질이 부착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본 실시형태의 코로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처리량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술한 처리량을 가지는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은, 장척의 필름(피코로나 처리물)이 롤형상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1개의 원반롤로부터 풀려나오는 것이어도 되고, 각각이 소정의 처리량을 가지는 복수의 피필름(코로나 처리물)을 이은 것이어도 된다.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두께로는, 통상, 10~300㎛ 정도,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폭으로는, 통상, 300~2500mm 정도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으로서 편광 필름 및 보호 필름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이들의 표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코로나 처리를 행하는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가 횡방향이 되도록 2개의 코로나 처리 장치(1, 1)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어서,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을, 코로나 처리 전 가이드롤(15a, 15b)을 통하여 각각 화살표 A, B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때,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은, 각각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 전 가이드롤(15a, 15b)과 접촉하도록 반송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고주파 고전압 출력을, 방전 전극(2)과 어스롤(3)과의 사이에 인가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코로나 방전 하에 어스롤(3)을 통하여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을 통과시킨다.
이로써,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의 각각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할 수 있음과 함께,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가 횡방향이 되도록 코로나 처리 장치(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코로나 처리 장치(1)에 축적되는 결정형상 이물질이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에 낙하하여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코스트를 삭감하기 위해서는,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을 반송하기 전에 미리 저가의 필름을 리드 필름으로서 반송하고, 그 후,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을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리드 필름 반송 중에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이 어스롤(3) 상을 통과할 때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 후의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은, 코로나 처리 후 가이드롤(16a, 16b)을 통하여 각각 화살표 C, D방향으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코로나 처리에 의하여 활성화된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 후 가이드롤(16a, 16b)에 접촉하면, 이들 코로나 처리 후 가이드롤(16a, 16b)이 오염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로는, 코로나 처리 후의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의 표면에는, 코로나 처리에 의하여 생성되는 옥살산 등이 존재하고 있어, 이것이 코로나 처리 후 가이드롤(16a, 16b)에 부착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로나 처리에 의하여 활성화된 표면과 반대의 이면이 코로나 처리 후 가이드롤(16a, 16b)과 접촉하도록 코로나 처리 후의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을 반송한다.
그리고, 코로나 처리에 의하여 활성화된 서로의 표면끼리를 좌우 한 쌍의 접합롤(17a, 17b)에 의하여 접합하고, 화살표 E방향으로 빼내서 편광판(13)으로 한다. 다만, 이 편광판(13)의 층구성은, 편광 필름(11)의 표면에 보호 필름(12)이 접합된 2층 구성이지만, 편광 필름(11)의 이면에도 보호 필름(12)을 접합하여 3층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편광 필름(11), 보호 필름(12)의 접합은, 예를 들면 접착제, 점착제(감압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상기 서술한 도 1에 나타내는 코로나 처리 장치(1)를 사용하여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였다. 그리고,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대한 결정형상 이물질의 부착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사용한 코로나 처리 장치(1)의 구성,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 및 코로나 처리 조건을 이하에 나타냄과 함께,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코로나 처리 장치(1)의 구성)
ㆍ전극 홀더(5), 배기관(6): 표면을 알마이트 처리(내식 처리)한 알루미늄제
ㆍ전극 커버(4): 투명한 아크릴계 수지제
ㆍ전극 커버(4)의 개구부(4c)의 방향: 경사 상방향(도 2(b) 참조)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 및 코로나 처리 조건)
ㆍ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 각각이 소정의 처리량을 가지는 편광 필름, 시클로올레핀 필름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이은 것
ㆍ코로나 처리 강도: 600W
ㆍ처리량: 49654m
[비교예]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의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도 3(b) 참조), 처리량을 49747m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고,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0)에 대한 결정형상 이물질의 부착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의 방향 처리량 결정형상 이물질의 부착 유무
실시예 경사 상방향 49654m 없음
비교예 하방향 49747m 있음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전극 커버(4)의 개구부(4c)의 방향을 경사 상방향으로 한 실시예는, 개구부(4c)의 방향을 하방향으로 한 비교예보다,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코로나 처리 장치
2 방전 전극
3 어스롤
4 전극 커버
4a 일단면
4b 타단면
4c 개구부
4d 측면
5 전극 홀더
6 배기관
10 필름(피코로나 처리물)
11 편광 필름
12 보호 필름
13 편광판
15a, 15b 코로나 처리 전 가이드롤
16a, 16b 코로나 처리 후 가이드롤
17a, 17b 접합롤

Claims (8)

  1. 방전 전극과 어스롤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공정과,
    상기 코로나 방전 하에, 상기 어스롤 상에 필름을 주행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전 전극은 전극 커버로 덮이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어스롤측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극 커버의 개구부가 횡방향, 경사 상방향, 또는, 상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 상기 어스롤, 및, 상기 전극 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내식성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 상기 어스롤, 및 상기 전극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관에 의하여 배기되고, 상기 배기관이 내식성 부재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배기관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이 전극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전극 홀더가 내식성 부재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전극 홀더의 표면이 내식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광학 필름 및 보호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길이가 1만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21183A 2011-02-03 2012-01-30 코로나 처리 방법 KR20140004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1461A JP5787306B2 (ja) 2011-02-03 2011-02-03 コロナ処理方法
JPJP-P-2011-021461 2011-02-03
PCT/JP2012/052005 WO2012105503A1 (ja) 2011-02-03 2012-01-30 コロナ処理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871A Division KR102137918B1 (ko) 2011-02-03 2012-01-30 코로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12A true KR20140004712A (ko) 2014-01-13

Family

ID=466027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183A KR20140004712A (ko) 2011-02-03 2012-01-30 코로나 처리 방법
KR1020197012871A KR102137918B1 (ko) 2011-02-03 2012-01-30 코로나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871A KR102137918B1 (ko) 2011-02-03 2012-01-30 코로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87306B2 (ko)
KR (2) KR20140004712A (ko)
CN (2) CN107041060B (ko)
TW (1) TWI601618B (ko)
WO (1) WO20121055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64B1 (ko) * 2016-10-13 2017-03-09 주식회사 포스텍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9843B2 (ja) * 2017-03-03 2023-07-1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6421962B1 (ja) * 2017-08-09 2018-11-14 春日電機株式会社 表面改質装置
CN108705788B (zh) * 2018-05-24 2020-05-05 金凌印刷(苏州)有限公司 一种材料表面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6540A (ja) * 1988-03-28 1989-10-02 Konica Corp コロナ放電処理におけるオゾン除去方法
JP3427130B2 (ja) * 1993-12-17 2003-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偏光板又は位相差板貼付用粘着剤層の積層方法
JP2681625B2 (ja) * 1995-06-27 1997-11-26 春日電機株式会社 放電処理方法及び放電処理装置
US6423924B1 (en) * 1998-03-10 2002-07-23 Tepla Ag Method for treating the surface of a material or an object and implementing device
KR100411455B1 (ko) * 1998-11-13 2003-12-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방전표면처리방법 및 방전표면처리용 전극
JP2001290338A (ja) * 2000-04-04 2001-10-19 Canon Inc 電子写真装置
JP4194766B2 (ja) 2001-01-12 2008-12-10 株式会社リコー コロナ放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23172B2 (ja) * 2002-09-05 2006-09-20 春日電機株式会社 コロナ処理用電極構造
JP4830258B2 (ja) 2004-01-28 2011-12-07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の貼合方法。
JP4208870B2 (ja) * 2005-10-05 2009-01-14 春日電機株式会社 フィルム等の長尺処理対象物の表面処理装置
KR20070116309A (ko) * 2006-06-05 2007-12-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및 편광판
JP4744483B2 (ja) 2007-06-27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22641A (ja) * 2007-10-25 2009-06-04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237489A (ja) * 2008-03-28 2009-10-15 Sumitomo Chemical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043215A (ja) * 2008-08-18 2010-02-25 Toray Ind Inc 電気絶縁性シートの表面処理装置、表面処理方法、および、電気絶縁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5332526B2 (ja) * 2008-11-11 2013-11-06 株式会社ニチレイフーズ 表面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64B1 (ko) * 2016-10-13 2017-03-09 주식회사 포스텍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6843A (en) 2012-09-16
CN103338856B (zh) 2016-11-09
JP2012161703A (ja) 2012-08-30
CN103338856A (zh) 2013-10-02
CN107041060B (zh) 2019-08-23
KR102137918B1 (ko) 2020-07-24
JP5787306B2 (ja) 2015-09-30
TWI601618B (zh) 2017-10-11
WO2012105503A1 (ja) 2012-08-09
KR20190053277A (ko) 2019-05-17
CN107041060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712A (ko) 코로나 처리 방법
US86032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device
KR960032595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TW201425248A (zh) 玻璃間隔紙及玻璃板捆包體
US20160272456A1 (en)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JP6258622B2 (ja) フィルム積層体からの異物除去方法、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189770B1 (ko) 접합 장치, 접합 방법, 광학 표시 장치의 생산 시스템 및 광학 표시 장치의 생산 방법
KR101216490B1 (ko) 필름 세정 시스템
KR101965028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및 접합 시스템
WO2009116568A1 (ja) シート積層体の清掃装置およびシート積層体の清掃方法
JP2831280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5466056B2 (ja) 溶液製膜方法
JP6383849B2 (ja) 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073399A (ja) 表面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ガラス基板
CN210880959U (zh) 一种用于玻璃扩散板的防污染贴膜结构
JP5477839B2 (ja) トリアセチルセルロースフィルムの表面処理方法
CN217443571U (zh) 光学层叠体及其层间密着特性评价系统
JPWO2020050112A1 (ja) 成膜方法
JP2553199B2 (ja) 差圧シール装置
JP2023139811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411573B2 (ja) 表面活性化接合による金属クラッド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3134406A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JPH03122277A (ja) 差圧シール装置
JP2018030277A (ja) 表面改質装置
TW201502096A (zh) 玻璃的二次強化製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5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03

Effective date: 2019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