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864B1 -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864B1
KR101713864B1 KR1020160132748A KR20160132748A KR101713864B1 KR 101713864 B1 KR101713864 B1 KR 101713864B1 KR 1020160132748 A KR1020160132748 A KR 1020160132748A KR 20160132748 A KR20160132748 A KR 20160132748A KR 101713864 B1 KR101713864 B1 KR 101713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asy
peel
groove
magnet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공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텍
Priority to KR102016013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29C47/00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2Combined thermoform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밀폐를 위해 용기에 부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 그 중에서도 특히 프로필렌 용기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ET) 용기에 대해서도 열 실링을 한 후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필름을 공급하는 포장필름 공급파트, 그리고 상기 포장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파트, 그리고 상기 포장필름의 일면에 토출되는 박리필름을 공급하는 박리필름 공급파트, 그리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포장필름과 상기 박리필름을 압출 접합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접합파트, 그리고 제조된 상기 이지-필 필름을 갈무리하는 와인딩파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EASY-PEEL FILM}
본 발명은 이지-필(Easy-Peel) 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밀폐를 위해 용기에 부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 그 중에서도 특히 프로필렌 용기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ET) 용기에 대해서도 열 실링을 한 후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음료, 요리, 야채 등 다양한 물품들은 그 장기 보존성을 유지하기 위해 용기에 진공포장 되는데, 이 때 용기의 개구된 부분에 필름을 열 실링 접합하여 용기의 밀폐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사용되는 용기의 재질로는 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ET)이 대표적이고, 필름은 주로 PET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히 PET용기와 PET 필름이 열 실링 접합되면 상호 접착 강도가 높아져 필름이 쉽게 박리되지 않는 바, 사용자가 강한 외력을 주어 필름을 파손하거나 또는 별도의 박리도구를 이용하여야만 용기의 개봉이 가능했다.
이를 위해 고안된 것이 바로 이지-필 필름인데, 이지-필 필름은 용기에 열 실링 접합한 후에도 쉽게 박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뜯으면 용기에서 바로 분리되어 깔끔하게 용기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지-필 필름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19403호(2007년05월11일)[열융착성 적층 필름 및 포장체](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뛰어난 밀봉성, 개봉 용이성, 내열성, 내유성, 위생성, 가공성을 갖는 열융착성 필름(이지-필 필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고 있어,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밀폐를 위해 용기에 부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 그 중에서도 특히 프로필렌 용기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ET) 용기에 대해서도 열 실링을 한 후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유의 조성비를 갖는 박리필름을 도입을 통해 적절한 박리성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김서림까지 방지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박리필름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건조시켜, 유해 휘발성분이 제거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포장필름을 공급하는 포장필름 공급파트, 그리고 상기 포장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파트, 그리고 상기 포장필름의 일면에 토출되는 박리필름을 공급하는 박리필름 공급파트, 그리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포장필름과 상기 박리필름을 압출 접합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접합파트, 그리고 제조된 상기 이지-필 필름을 갈무리하는 와인딩파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박리필름은 폴리프로필렌수지를 포함하되, 이 폴리프로필렌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수지 90 ~ 1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2 ~ 0.6 중량부, 마찰저감제 0.3 ~ 0.9 중량부, 김서림 방지제 0.3 ~ 0.9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 도포파트와 상기 박리필름 공급파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제의 유해 휘발성분을 건조하는 드라이파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필름 접합파트와 상기 와인딩파트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지-필 필름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표면처리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 접합파트는 상기 이지-필 필름의 박리면에 요철부를 생성하는 요철생성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처리파트는 코로나를 발생시켜 상기 요철부의 요철 간격을 보다 미세하게 하는 전극과, 이 전극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외측 제1바디 및, 내측 제2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ET) 용기에 대해서도 열 실링을 한 후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유의 조성비를 갖는 박리필름을 도입을 통해 적절한 박리성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김서림까지 방지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박리필름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건조시켜, 유해 휘발성분이 제거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7은 각 파트 별 구체적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밀폐를 위해 용기에 부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Easy-Peel) 필름, 그 중에서도 특히 프로필렌 용기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ET) 용기에 대해서도 열 실링을 한 후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지-필 필름(F) 제조장치(이하 본 장치(E))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E)는 포장필름 공급파트(P1), 접착제 도포파트(P2), 드라이파트(P3), 박리필름 공급파트(P4), 필름 접합파트(P5), 표면처리파트(P6) 및 와인딩파트(P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장치(E)는 각 파트 간(P1 ~ P7)의 필름 이송을 제공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송수단은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구성에 불과한 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은 각 파트 별 구체적인 실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구성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포장필름 공급파트(P1)는 포장필름(111)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필름(111)과 이 포장필름(111)이 감기는 공급롤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포장필름(111)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폴리에틸렌(PET)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만일 포장필름(111)을 PET로 구성하는 경우 PET용기에 열 실링 접착하게 되면 박리가 어렵게 되어 박리도구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장필름(111)에 후술하는 박리필름을 접합하여 PET용기에 대해서도 박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지-필 필름(F)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접착제 도포파트(P2)는 포장필름(1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성으로, 여기에서 포장필름(111)의 일면은 후술하는 박리필름이 접착될 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파트(P2)는 포장필름(1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노즐(1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드라이파트(P3)는 접착제 도포파트(P2)와 박리필름 공급파트(P4) 사이에 구비되어, 접착제의 유해 휘발성분을 건조하는 구성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필름(111)을 건조하여 접착제에 포함된 유해성분 중 휘발성 성분을 제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드라이파트(P3)는 건조장비(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박리필름 공급파트(P4)는 포장필름(111)의 일면에 토출되는 박리필름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포장필름(111)의 일면에 박리필름을 토출하는 토출유닛(141)과 이 토출유닛(141)이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이동수단(도면참조부호 미 병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 이러한 박리필름은 폴리프로필렌수지를 포함하되, 이 폴리프로필렌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수지 90 ~ 1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2 ~ 0.6 중량부, 마찰저감제 0.3 ~ 0.9 중량부, 김서림 방지제 0.3 ~ 0.9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치를 갖는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박리필름은 용기에 열 실링 접착된 상태에서도 외력(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용기에서 쉽게 박리되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지-필 필름(F)이 용기에 열 실링된 상태에서도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한 수치 한정은 나름의 의미를 갖는데, 만약 블로킹 방지제와 마찰저감제의 사용량이 각각 0.2 중량부, 0.3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이지-필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고, 많은 경우에는 열 실링 접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너무 쉽게 박리되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수치를 갖는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박리필름은 김서림이 방지되어 투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장치(E)를 사용하여 이지-필 필름(F)을 제조할 때, 포장필름(111)의 일면에 도포되는 박리필름을 폴리프로필렌수지 10g, 폴리에틸렌수지 10g, 블로킹 방지제 0.04g, 마찰저감제 0.06g, 김서림 방지제 0.06g 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박리필름을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필름(111)에 토출한 후 압출 접합을 통해 적층시켰다. 이 후 요철 생성,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처리 등의 후처리 과정을 거쳐 이지-필 필름(F)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이지-필 필름(F) 100개를 100개의 용기에 열 실링 접착한 후 시험자가 직접 손으로 이지-필 필름(F)을 분리하는 박리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모든 이지-필 필름(F)이 무리 없이 박리되었다.
다음으로, 필름 접합파트(P5)는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필름(111)과 박리필름을 압출 접합하여 이지-필 필름(F)을 제조하는 구성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장치(E)에 의해 제조되는 이지-필 필름(F)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지-필 필름(F)은 포장필름(111) 측의 포장면(F2), 박리필름 측의 박리면(F1)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접착제는 당연히 포장면(F2)과 박리면(F1) 사이에 형성되며, 이지-필 필름(F)을 용기에 열 실링 접착하는 경우 포장면(F2)은 외부로 노출되고 박리면(F1)은 내부에 자리 잡거나 또는 용기에 접합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E)에 의해 제조된 이지-필 필름(F)은 이지-필 기능 강화를 위해 박리면(F1)에 형성된 요철부(F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F3)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요철생성롤러(153)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접합파트(P5)에 관한 설명을 이어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접합파트(P5)는 인수롤러(151), 가압롤러(152), 요철생성롤러(153) 및 인도롤러(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 롤러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인수롤러(151)는 접착제 도포파트(P2)(또는 드라이파트(P3))의 후단에 연결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필름(111)을 인수하는 구성이다.
다음, 가압롤러(152)는 인수롤러(151)에서 인수된 포장필름(111)과 상기한 토출유닛(141)에 의해 토출된 박리필름의 접합체를 가압하여 압출하는 구성으로, 인수롤러(151)의 전방 측에 인수롤러(151)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인수롤러(151)를 후방 측으로 가압한다.
다음, 요철생성롤러(153)는 압출된 이지-필 필름(F)의 박리면(F1)에 요철부(F3)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인수롤러(151)의 후방 측에 인수롤러(151)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인수롤러(151)를 전방 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엄밀하게 따지면, '포장필름(111)과 박리필름의 접합체'는 요철생성롤러(153)와 인수롤러(151)의 사이에서 가압롤러(152)가 인수롤러(151)를 가압하는 작용에 의해 압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철생성롤러(153)의 표면에는 이지-필 필름(F)의 박리면(F1)에 형성될 요철부(F3)에 대응되는 요철대응부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다음, 인도롤러(154)는 제조된 이지-필 필름(F)을 와인딩파트(P7)(또는 표면처리파트(P6))로 인도하는 구성으로, 각 롤러 중 가장 후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표면처리파트(P6)는 필름 접합파트(P5)와 와인딩파트(P7)에 사이에 구비되어, 이지-필 필름(F)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로나를 발생시켜 요철부(F3)의 요철 간격을 보다 미세하게 하는 전극(30)과, 이 전극(30)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극(30)과 지지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하우징(40) 하우징 내 구비되어,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지-필 기능의 향상은 방전하우징(4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와인딩파트(P7)는 제조된 이지-필 필름(F)을 갈무리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이지-필 필름(F)이 감기는 와인딩롤러(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변형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20)의 길이조절을 통한 이지-필 기능의 발현 정도 조절에 관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면처리파트(P6)는 코로나 방전을 제공하는 전극(30)을 통해. 요철생성롤러(153)에 의해 이지-필 필름(F)의 박리면(F1)에 형성된 요철부(F3)의 요철 간격을 보다 미세하게 함으로써 이지-필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은 전극(30)에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바, 요철부(F3)가 형성된 박리면(F1)이 전극(30)과 가까울수록 요철부(F3)의 간격이 보다 미세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극(30)을 지지하는 지지대(20)의 길이조절을 통해 요철부(F3)의 간격 정도를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이지-필 기능의 발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장치(E)의 일 구성인 표면처리파트(P6)의 지지대(20)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외측 제1바디(21) 및, 내측 제2바디(22)로 이루어지고, 또한 지지대(20)에는 이 제1바디(21) 및 제2바디(22)의 중첩 정도를 조절하여 지지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수단(5)은 크게 외측 제1바디(21) 측에 구비되는 조절돌기(51), 출입홈(52), 탄성부재(53)와, 내측 제2바디(22) 측에 구비되는 걸림홈(5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먼저 조절돌기(51)는 외측 제1바디(21) 측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돌출되게끔 구성된다.
다음 출입홈(52)은 외측 제1바디(21)에 형성되어 조절돌기(51)가 출입하는 구성으로, 내측 제2바디(22)의 외면에 의해 가압된 조절돌기(51)를 수용한다.
다음 탄성부재(53)는 출입홈(52) 내부에 구비된 구성으로, 내측 제2바디(22)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출입홈(52) 내에 수용된 조절돌기(5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때(조절돌기(51)가 걸림홈(55)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위치할 때), 조절돌기(51)를 밀어내어 걸림홈(55)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 걸림홈(55)은 제2바디(22)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고, 탄성부재(53)에 의해 밀려난 조절돌기(51)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제1바디(21)와 제2바디(22)의 중첩 길이 조절을 통해 지지대(20)의 길이가 조절되고, 걸림돌기와 걸림홈(55) 간의 결합, 즉 걸림돌기가 다수의 걸림홈(55)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조절된 지지대(20)의 길이가 유지된다.
(걸림홈(55)들은 모두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하의 설명에서 걸림홈(55)이라는 표현은 다수의 걸림홈(55)들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55)들은 사각홈으로 4개의 내벽(w1)(w2)(w3)(w4)을 갖는데, 이러한 걸림홈(55)의 내벽 중 하부 제1내벽(w1)과 일 측부 제2내벽(w2)은 각각 제1경사부(s1)와 제2경사부(s2)를 갖고, 제1 및 제2경사부(s1)(s2)는 걸림홈(55)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1내벽(w1)은 지지대(20)의 직립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의 내벽이고, 제2내벽(w2)은 좌측부의 내벽 또는 우측부의 내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2내벽(w2)이 우측부의 내벽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경사부(s1)(s2)가 걸림홈(55)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제1 및 제2경사부(s1)(s2)에 의해 걸림홈(55)의 외측 폭이 걸림홈(55)의 내측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표현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가 걸림홈(55)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걸림홈(55)의 제1내벽(w1)과 관련한 구조는 지지대(20)의 길이를 늘이는 방향으로만 외측 제1바디(21)가 움직일 수 있게끔 한다.
구체적으로, 외측 제1바디(21)의 하강 시, 제1내벽(w1)이 제1경사부(s1)를 갖기 때문에 조절돌기(51)가 걸림홈(55)에서 쉽게 이탈되어 스토핑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에 걸림홈(55)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지대(20)의 길이를 늘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 제1바디(21)가 상승 하려고 하면, 상부 제3내벽(w3)에 의해 조절돌기(51)가 걸림홈(55)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스토핑이 이루어져, 이에 걸림홈(55)에 의해 지지대(20)(2)의 길이가 줄어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55)의 제1내벽(w1)과 관련한 구조에 의해 지지대(20)는 사용자가 외측 제1바디(21)를 잡아 당겨 그 길이를 늘일 수만 있고, 외력이 작용하여도 길이가 줄어들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내벽(w1)에 의해 지지대(20)는 길이가 늘어나기만 하는데, 걸림홈(55)을 구성하는 제2내벽(w2)의 구조에 의해 그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돌기(51)가 걸림홈(55)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측 제1바디(21)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제2내벽(w2)을 우측벽으로 설정한 것에 따름), 제2내벽(w2)이 제2경사부(s2)를 갖기 때문에 조절돌기(51)가 걸림홈(55)에서 쉽게 이탈되어 수직으로 배열된 걸림홈(55) 군(群)의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조절돌기(51)가 내측 제2바디(22)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출입홈(52)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이 후 조절돌기(51)가 출입홈(52) 내부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제1바디(21)는 걸림홈(55)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승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대(2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지지대(20)의 길이가 줄어든 다음 다시 지지대(20)의 길이를 조절(늘이는 조절)을 하고자 할 때는 다시 외측 제1바디(21)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조절돌기(51)가 걸림홈(55) 군(群)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외측 제1바디(21)를 하강시키면 된다.
부연 설명을 덧붙이면, 제2내벽(w2)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4내벽(w4)에도 역시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외측 제1바디(21) 또는 내측 제2바디(22)에는 외측 제1바디(21)가 필요 이상으로 과 회전하지 않도록 외측 제1바디(2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한 조절돌기(51)의 동작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돌기(51)의 단부에는 제1자성부(61)가 구비되고, 걸림홈(55)의 내면에는 제2자성부(62)가 구비되며, 걸림홈(55)의 제1내벽(w1)(제1경사부(s1))에는 제3자성부(63)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자성부(61)와 제3자성부(63)는 동일한 극으로 이루어지고, 제1자성부(61)와 제2자성부(62)는 상이한 극으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제1자성부(61)가 N극이라고 가정하면, 제2자성부(62)는 S극으로 이루어지고, 제3자성부(63)는 N극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1 내지 제3자성부(61)(62)(63)의 다른 쪽 면은 노출되지 않고 매립되어 있으며, 이 다른 쪽 면은 반대 극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에 조절돌기(51)가 걸림홈(55)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1자성부(61)와 제2자성부(62)가 서로 끌어당겨 조절돌기(51)의 이동이 강화되고, 조절돌기(51)가 출입홈(52)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제1자성부(61)와 제3자성부(63)가 서로 밀어내어 조절돌기(51)의 이동이 강화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자성부(61)(62)(63)는 조절돌기(51) 또는 걸림홈(55)에 부착 또는 용융 접착되는 자성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8 하부 우측 쇄선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부(62)는 걸림홈(55) 측 단부에 구비되고, 헤드(621a)와 이 헤드(621a)보다 폭이 작은 기둥(621b)으로 이루어진 끼움돌기(6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홈(55)의 내면에는 끼움돌기(621)가 삽입되고, 끼움돌기(621)의 헤드(621a)를 수용하는 광폭부(551a)를 구비한 끼움홈(551)이 형성되어, 제2자성부(62)를 걸림홈(55) 내면에 부착(또는 용융 접착)할 때 끼움돌기(621)와 끼움홈(551) 간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8에서는 제3자성부(63)를 제1내벽(w1)에 구비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제2내벽(w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끼움돌기(621) 및 끼움홈(551) 구조 역시 도 8에서는 제2자성부(62)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1자성부(61) 및 제3자성부(63)에도 마찬가지로 도입 가능한 것이고, 제1자성부(61)에 끼움돌기(621)를 구비하는 경우 끼움홈(551)은 조절돌기(51)에, 제3자성부(63)에 끼움돌기(621)를 구비하는 경우 끼움홈(551)은 제1내벽(w1)에 구비될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E: 본 장치(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P1: 포장필름 공급파트 P2: 접착제 도포파트
P3: 드라이파트 P4: 박리필름 공급파트
P5: 필름 접합파트 P6: 표면처리파트
P7: 와인딩파트
F: 이지-필 필름 F1: 박리면
F2: 포장면 F3: 요철부
20: 지지대 30: 전극
5: 길이조절수단

Claims (4)

  1. 포장필름을 공급하는 포장필름 공급파트(P1);
    상기 포장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파트(P2);
    상기 포장필름의 일면에 토출되는 박리필름을 공급하는 박리필름 공급파트(P4);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포장필름과 상기 박리필름을 압출 접합하여 이지-필 필름(F)을 제조하는 필름 접합파트(P5); 및
    제조된 상기 이지-필 필름(F)을 갈무리하는 와인딩파트(P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필름 접합파트(P5)와 상기 와인딩파트(P7)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지-필 필름(F)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표면처리파트(P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 접합파트(P5)는 상기 이지-필 필름(F)의 박리면(F1)에 요철부(F3)를 생성하는 요철생성롤러(153)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처리파트(P6)는 코로나를 발생시켜 상기 요철부(F3)의 요철 간격을 보다 미세하게 하는 전극(30)과, 이 전극(30)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0)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외측 제1바디(21) 및, 내측 제2바디(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20)에는 상기 외측 제1바디(21) 측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조절돌기(51)와, 상기 외측 제1바디(21)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돌기(51)가 출입하는 출입홈(52)과, 이 출입홈(52)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53)와, 상기 내측 제2바디(22)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고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밀려난 조절돌기(51)가 삽입되는 걸림홈(55)들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수단(5)이 구비되되,
    상기 걸림홈(55)은 사각홈으로 4개의 내벽(w1)(w2)(w3)(w4)을 갖고, 상기 걸림홈(55)의 내벽(w1)(w2)(w3)(w4) 중 하부 제1내벽(w1)과 일 측부 제2내벽(w2)은 각각 제1경사부(s1)와 제2경사부(s2)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s1)(s2)는 상기 걸림홈(55)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돌기(51)의 단부에는 제1자성부(6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55)의 내면에는 제2자성부(62)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홈(55)의 제1내벽(w1)에는 제3자성부(63)가 구비되되,
    상기 제1자성부(61)와 상기 제3자성부(63)는 동일한 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자성부(61)와 상기 제2자성부(62)는 상이한 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리필름은
    폴리프로필렌수지를 포함하되, 이 폴리프로필렌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수지 90 ~ 1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2 ~ 0.6 중량부, 마찰저감제 0.3 ~ 0.9 중량부, 김서림 방지제 0.3 ~ 0.9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파트(P2)와 상기 박리필름 공급파트(P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제의 유해 휘발성분을 건조하는 드라이파트(P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자성부(61)(62)(63)는 조절돌기(51) 또는 걸림홈(55)에 부착 또는 용융 접착되는 자성시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자성부(62)는 상기 걸림홈(55) 측 단부에 구비되고, 헤드(621a)와 이 헤드(621a)보다 폭이 작은 기둥(621b)으로 이루어진 끼움돌기(621)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55)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돌기(621)가 삽입되고, 상기 끼움돌기(621)의 헤드(621a)를 수용하는 광폭부(551a)를 구비한 끼움홈(5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KR1020160132748A 2016-10-13 2016-10-13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KR101713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48A KR101713864B1 (ko) 2016-10-13 2016-10-13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48A KR101713864B1 (ko) 2016-10-13 2016-10-13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864B1 true KR101713864B1 (ko) 2017-03-09

Family

ID=5840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748A KR101713864B1 (ko) 2016-10-13 2016-10-13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103B1 (ko) * 2023-03-03 2023-09-11 주식회사 포스텍 Pet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및 그 pet 이지-필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63A (ko) * 1998-04-08 1998-07-06 윤범용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07843B1 (ko) * 2005-04-07 2006-08-02 임경보 밀폐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4674A (ko) * 2007-05-29 2008-12-03 주식회사 포스텍 이지필 필름의 제조장치
KR20140004712A (ko) * 2011-02-03 2014-01-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코로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63A (ko) * 1998-04-08 1998-07-06 윤범용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07843B1 (ko) * 2005-04-07 2006-08-02 임경보 밀폐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4674A (ko) * 2007-05-29 2008-12-03 주식회사 포스텍 이지필 필름의 제조장치
KR20140004712A (ko) * 2011-02-03 2014-01-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코로나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103B1 (ko) * 2023-03-03 2023-09-11 주식회사 포스텍 Pet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및 그 pet 이지-필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9331A1 (en) Integrated squeezable dispensing container
WO2012101669A1 (ja)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ES2812538T3 (es) Un laminado para uso en embalajes, un método para hacer un laminado recerrable y uso del mismo
KR101713864B1 (ko)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JP2017510378A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針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方法
US20120321225A1 (en) Zipper tape and package bag with zipper tape
JP2003312688A (ja) 包装袋
TW200400110A (en) Packaging bag material for hardenable composition
KR101196147B1 (ko)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5590489B2 (ja) 包装用密封袋
JP5788223B2 (ja) 容器の蓋体と、それを使用する包装容器
AU2003265830A1 (en) Metalized polyester film with heat-seal layer on opposite side for flyback transformer application
JP7369586B2 (ja) 再封性シール材用積層体、再封性シール材、再封性シール材付き容器、包装体
KR101442398B1 (ko) 상단 일면에 접착되지 않은 파지부가 제공된 봉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4322408A (ja) 光反応性組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1939239A (zh) 用于向双面胶带施加突出拉舌的装置及其使用方法
US9833979B2 (en) Seal provided with non-adhesive holding part on top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NZ525332A (en) Multi-laminae food storage wrap
AU2015100579A4 (en) Multi-functional floor mop brush
JP6315671B2 (ja) 容器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03437A (ja) 密封包装体
KR20080104674A (ko) 이지필 필름의 제조장치
JP2003261844A (ja) ガスバリアー性熱収縮接着テープ
JP4394874B2 (ja) ガス置換包装体の製造方法、ガス置換包装体及び密封用包装容器
JP2016166047A (ja) 個包装用離型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カイロ製品の包装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