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263A -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263A
KR19980025263A KR1019980012330A KR19980012330A KR19980025263A KR 19980025263 A KR19980025263 A KR 19980025263A KR 1019980012330 A KR1019980012330 A KR 1019980012330A KR 19980012330 A KR19980012330 A KR 19980012330A KR 19980025263 A KR19980025263 A KR 1998002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asy
fill
packaging material
easy p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용
임영호
Original Assignee
윤범용
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범용, 임영호 filed Critical 윤범용
Priority to KR101998001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263A/ko
Publication of KR1998002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263A/ko

Links

Landscapes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고분자 수지를 원료로 하여 필름형태의 포장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지필 필름의 원료가 혼합 및 융용시키도록 혼련하고, 이를 필름형태로 제작하는 이지필 필름형성단계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지필 필름과 소정의 내용이 인쇄된 인쇄필름의 사이에 코팅수지가 접합되도록 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 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된 이지필 필름과 인쇄필름이 코팅수지와의 접착강성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키고 가압하는 냉각 및 가압단계와; 상기 냉각 및 가압단계후 이지필 필름을 말아서 보관할 때, 접촉되는 이지필 필름이 서로 늘어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분말을 코팅된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는 파우다 도포단계; 및 냉각된 이지필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감아두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재를 제작하여, 포장재의 신뢰도를 높이고, 작업의 생산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함은 물론, 경제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식품이나 섬유 또는 일반 잡화 등의 제품을 포장하는 필름형태의 포장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제품이 저장되는 특정의 용기(주로, 폴리프로필렌 이나 폴리 스틸렌으로 제작됨)에 대해 이지필(easy peel) 특성을 갖는 캐스트 필름(이하, '이지필 필름'이라 칭함)을 사용하여, 여러 화학적 작용에 반하는 성질이 우수하도록 하고 물리적 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한 제품용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포장한다는 의미는 변질되기 쉬운 식품이나 외부의 충격에서 제품의 보호 및 장기 보관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상기된 목적을 만족시키며,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과 포장의 개봉이 쉬워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용기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러 편리함을 강조하며 포장재의 원단이 되는 이지필 필름을 경제적으로 제작하려면, 보다 효과적인 제작방법이 필요함은 당연한 과제이다.
종래 이지필 필름의 제작은 단순히 폴리프로필렌을 박형의 판체 형상으로 제작하여 제품이 저장되는 용기와 접합시키거나, 상기 제작된 필름을 봉투처럼 제작하여 각 모서리부분을 상호 접합시키는 포장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포장방식을 사용하는 포장재 즉 폴리프로필렌은 열가소성이 높아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운 반면 자체적으로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 파손되기 쉽고 특히, 제품을 운반하거나 휴대할 경우, 제품파손의 우려가 크다는 결점이 발생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필름의 전면에 소정의 코팅수지를 접합하여 물리적인 강도를 강하게 한 기술이 창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은 포장용 필름에 단지 코팅을 하여 사용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코팅할 때의 제반 조건 및 코팅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을 수행할 때, 원료의 낭비나 포장재의 제작시간이 길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점과 단점을 내재한 기술로 제작된 이지필 필름은 제품의 강도나 제품의 내용물에 의한 화학적 작용, 특히, 식품이나 공업용 제품을 포장하였을 때 내용물이 산성의 종류 일 경우에 화학적인 작용에 의한 파손의 우려로 신뢰도가 낮고, 필름을 제작할 때나 필름에 코팅을 할 때의 환경조건이 불확실하면 재료의 낭비나 불량의 요인이 발생되어 비경제적인 단점 및, 이에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포장재로 사용되는 필름의 강도를 높이고, 제품의 내용물이 갖는 성질에 따라 여러가지 화학적인 작용에 대해 반하는 작용이 효과적이 되도록 하며, 제작할 때 보다 경제적이도록 한 이지필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지필 필름의 전면에 코팅을 하는 구체적인 환경조건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를 원료로 하여 필름형태의 포장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지필 필름의 원료가 혼합 및 융용되도록 혼련하고, 이를 필름형태로 제작하는 이지필 필름형성단계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지필 필름과 소정의 내용이 인쇄된 인쇄필름의 사이에 코팅수지가 접합되도록 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 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된 이지필 필름과 인쇄필름이 코팅수지와의 접착강성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키고 가압하는 냉각 및 가압단계와; 상기 냉각 및 가압단계후 이지필 필름을 말아서 보관할 때, 접촉되는 이지필 필름이 서로 늘어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분말을 코팅된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는 파우다 도포단계; 및 냉각된 이지필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감아두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 형성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의 성형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이 성형단계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에 코팅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에 코팅을 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과 접합되는 코팅수지를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과 접합되는 코팅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에 코팅수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제품의 용기에 이지필 필름이 부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구적 구성의 개략도.
도 13은 도 12에 의해 형성된 포장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지필 필름 형성단계 110: 세팅단계
120: 혼련단계 140: 성형단계
150:필름 냉각단계 160: 방전처리단계
170: 필름 권취단계 300: 코팅단계
310: 코팅작업 세팅단계 320: 접착제 도포단계
330: 건조단계 340: 코팅수지 공급단계
350:접착단계 400: 냉각 및 가압단계
500: 파우다 도포단계 600: 권취단계
700: 절단단계 P: 이지필 필름
B: 접착제 R: 이송로울러
A: 인쇄필름 C: 코팅수지
상기와 같은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의 전반적인 작업 단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지필 필름형성단계(100)와, 상기 인쇄된 이지필 필름과 일정한 무늬 및 로고 등이 인쇄된 인쇄필름의 사이에 소정의 코팅수지를 접합하도록 한 코팅단계(300)와, 상기 코팅수지를 일정온도로 급냉시키고, 접합된 각각의 필름을 보다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냉각 및 가압단계(400)와, 상기 이지필 필름의 일면에 분말을 도포하기 위한 파우다 도포단계(500) 및 포장재로 제작된 이지필 필름을 보관하기 위한 권취단계(600)와, 상기 권취된 이지필 필름을 소정의 크기로 자르는 절단단계(700)로 이루어져, 절단단계(700)까지 완료된 제품 포장재는 완제품으로 출하된다.
여기서, 상기 이지필 필름의 자체로도 포장재의 역할을 수행함이 가능하지만 전술한 바 있듯이 물리적·화학적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본 설명에서는 코팅된 이지필 필름을 포장재라 명칭하기로 할 것임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인쇄필름은 이미 제작된 소정의 필름 일면에 무늬 및 모양 또는 로그 등이 표현되도록 한 공지의 필름을 사용한다.
도 2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및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와 단면도 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단계를 설명하면, 세팅단계(110)는 각각의 기구적 구성을 작업에 필요한 상태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혼련단계(120)는 이지필 필름원료(이하, '원료'라 약칭함)를 액체상태로 융용시킴과 동시에 교반하는 작업으로 이지필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된다.
성형단계(140)는 혼련된 액체상태의 원료를 목적하는 두께를 갖는 판체형상의 이지필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단계이다.
냉각단계(150)는 성형단계(140)에서 형성된 이지필 필름의 형상이 작업도중 변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목적하는 온도로 급냉시키는 작업단계이다.
방전처리단계(160)는 이지필 필름에 물리적·화학적인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적인 성질을 이지필 필름에 전도시키는 작업단계이다.
이지필 필름 권취단계(170)는 보관 및 이송을 위해 이지필 필름을 소정량으로 감아두는 작업단계이다.
숙성단계(180)는 상기에서 형성된 이지필 필름을 코팅작업으로 이송하거나 제품의 출하를 위해 일정한 온도에서 고분자를 안정화시키는 작업단계이다.
위에서와 같은 작업단계를 갖는 이지필 필름 형성단계(100)의 구체적인 기구적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측에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111)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111)의 일측에 투입된 원료를 가열하여 녹이고 교반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131)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131)의 내부에는 교반스크류(132)가 설치되어 교반과 원료이송 작업을 동시에 병행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31)의 끝단에는 이송되어진 원료를 목적하는 두께를 갖는 이지필 필름(P)으로 성형하는 성형다이스(141)가 설치된다.
상기 성형다이스(1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써, 내부에 원료가 주입되는 원료주입통로(144)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이송통로(144)의 끝단 주변에는 하향연장된 보스부(145)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145)에서 부터 성형다이스(141)의 외면에 까지 조절나사(142)가 설치된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가 성형다이스(141)의 하측으로는 성형다이스(141)의 끝단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고온으로 인출된 이지필 필름(P)을 냉각시키는 1차냉각로울러(152)가 구비되고, 상기 1차 냉각로울러(152)와 성형다이스(141)의 사이에 공기분사노즐(151)이 구비되어 성형다이스(141)에서 성형되어 인출되는 이지필 필름(P)의 냉각을 돕는다.
그리고, 상기 1차 냉각로울러(15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2차 냉각로울러(153)가 구비되어 1차 냉각로울러(152)가 냉각시키지 못한 이지필 필상에 잔재하는 열의 온도를 목적하는 온도로 낮추어 주게 된다.
상기 2차 냉각로울러(15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이송로울러(R)에 의해 이송되어진 이지필 필름(P)의 면에 전기적 성질을 가하는 방전처리기(161)가 설치된다.
상기 방전처리기(161)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방전처리된 이지필 필름(P)을 감아주는 권취기(17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작업단계마다 이지필 필름(P)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로울러(R)가 설치됨은 당연하다.
도 6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필 필름(P)에 코팅을 하기 위한 작업단계 및 기구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와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이지필 필름에 코팅작업을 하는 각각의 작업단계를 설명하면, 세팅단계(310)는 이지필 필름(P)과 인쇄필름(A)을 코팅기기에 장착하고 코팅기기가 작업에 적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작업단계이다.
접착제 도포단계(320)는 이지필 필름(P)과 인쇄필름(A)의 일면에 코팅수지와 접합되기 위한 접착제를 일정량 바르는 작업단계이다.
건조단계(330)는 인쇄필름(A)에 도포된 접착제에 바람을 분사하는 방법으로 접착용제를 일정량 휘발시키는 작업단계이다.
코팅제 공급단계(340)는 코팅수지를 필름의 형태로 성형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인쇄필름(A)측으로 이송시키는 작업단계이다.
접착단계(350)는 이지필 필름(P)과 인쇄필름(A)의 사이에 필름형태로 성형된 코팅수지(A)가 간섭되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작업단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작업단계를 갖는 코팅작업의 기구적 구성을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살펴보면, 일측에 권취된 인쇄필름(A)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필름(A)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접착제(B)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로울러(321)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로울러(321)의 일측에 인쇄필름(A)에 도포된 접착제(B)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실(331)이 설치되고, 건조실(331)과 소정거리를 두고 인쇄필름(A)의 접착제(B)가 도포된 면에 코팅수지(C)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수지 공급기(345)가 설치된다.
그리고, 코팅수지 공급기(345)의 일측에는 권취된 이지필 필름(P)이 구비되어 코팅수지 공급기(345)에서 코팅수지(C)가 공급될 때, 인쇄필름(A)과 접합되는 코팅수지(C)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코팅수지 공급기(345)의 하측으로는 접합된 이지필 필름(P)과 인쇄필름(A)의 양측면에서 압력을 가하며, 인출되는 코팅수지(C)를 급냉시키기 위한 냉각로울러(36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수지 공급단계(340)에는 코팅수지(C)를 성형하기 위한 작업단계가 존재하며, 이를 첨부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팅수지 성형작업은 코팅수지 공급기(345)에 코팅수지원료를 투입하고 코팅수지 공급기(345)가 작업에 적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세팅단계(341)와, 상기 코팅원료를 실린더(348)에서 녹이는 코팅원료 가열단계(342) 및 상기 녹아 있는 코팅원료를 성형다이스(349)에서 이지필 필름(P)과 대응되도록 성형하는 코팅수지 성형단계(343)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냉각로울러(361)의 일측에는 이지필 필름(P)과 코팅수지(C)의 접합물이 권취될 때 잔재하는 열에 의하여 서로 늘어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합물의 일면에 소정의 분말을 도포하는 파우다 도포기(501)가 구비되어 파우다 도포단계(500)와 관련된다.
이 때에도 각 작업단계로 이지필 필름(P)을 이송시키는 구성은 이송로울러(R)가 된다.
이하, 위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제품 포장재의 작업공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지필 필름형성 작업의 세팅상태를 설정하면, 이지필 필름(P)을 제작할 원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이고, 그 비율은 폴리에틸렌(50% - 80%) : 폴리프로필렌(10% - 40%) : 폴리스틸렌(0% - 10%)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팅상태에서는 형성될 이지필 필름(P)의 두께, 밀도, 폭과 얼마만큼의 양을 형성할 것인지에 따라 기기에서 이지필 필름(P)을 인출해내는 인출속도를 규정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요건이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인출속도(m/h)= 압출량(㎏/h)÷{두께(m)×밀도(㎏/m3)×폭(m)}
따라서, 인출속도는 이지필 필름(P)의 두께, 밀도, 폭과 반비례됨을 알 수 있는 것으로써, 일 예로 이지필 필름(P)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려면 인출속도를 낮게 세팅하고, 반대로 얇게 하려면 인출속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세팅작업이 완료된 후,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원료를 호퍼(111)에 투입하면, 원료는 실린더(131)내로 이동되어 융용된다.
실린더(131)내로 이동되어 녹은 원료는 교반스크류(132)가 회전됨으로 인해 교반되며 성형다이스(141)측으로 이송되고, 성형다이스(141)까지 이송된 원료는 성형다이스(141)의 토출구(144)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때, 성형다이스(141)의 토출구(144) 형상에 의해 원료는 도 5에서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체형상의 이지필 필름(P)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실린더(131)와 성형다이스(141)는 원료를 가열하는 온도가 대단히 중요한 요인인데, 상기 실린더(131)와 성형다이스(132)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일정한 구간(C1 - C5, D1, D2)이 구분되고, 각 구간별로 온도가 상이한 것으로 각 구간별 온도는 표 1에 의한다.
C1 C2 C3 C4 C5 D1 D2
200℃ 220℃ 240℃ 250℃ 260℃ 260℃ 250℃
이 때, 이지필 필림(P)의 1차적인 두께 설정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절나사(142)를 회전시켜 성형다이스(141)의 토출구(144) 갭(L)을 조절하여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지필 필름(P)이 형성되면 필림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인출된 이지필 필름(P)은 내재된 열이 제거도록 냉각되는데, 상기 냉각작업은 성형다이스(141)의 인근 위치에 구비된 공기분사노즐(151)에서 분사되는 공기로 첫 냉각되고, 1차 냉각로울러(152)와 접촉되며 두 번째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은 도 5에서와 같이 1차 냉각로울러(152)의 회전속도에 따라 이지필 필름(P)은 폭(W)의 차이가 발생되는데,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1차 냉각로울러(152)의 회전속도가 빠르면 양측면의 간격(L')이 넓어지고, 상대적으로 이지필 필름(P)의 폭(W)은 줄어들기 때문에 권취속도와 성형다이스(141)에서 인출되는 이지필 필름(P)의 인출 속도는 위의 사항을 감안하여 세팅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차 냉각로울러(152)에서 냉각된 후 잔존하는 열은 2차 냉각로울러(153)에 의해 목적하는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된 이지필 필름(P)은 화학적·물리적인 강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방전처리기(161)까지 이송되어 방전처리된다.
상기 방전처리 작업을 할 때 이지필 필름(P)에 가하는 전압은 표 2에 의한다.
전원 필름에 가하는 전압 필름에 가하는 전류
220V 4㎸ - 5㎸ 1.0A - 1.5A
상기와 같이 방전처리된 이지필 필름(P)은 이미 세팅된 권취속도에 의해 권취기(171)에 감기게되고, 감겨진 이지필 필름(P)은 숙성실로 보내져 고분자 안정화를 목적으로 숙성된다.
이 때, 숙성실의 숙성온도는 20℃ -40℃ 사이의 온도로써, 24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작업이 완료된 이지필 필름(P)은 목적하는 규격으로 절단하여 완성시킨 후 완제품화되어 출하되거나 코팅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코팅작업시 코팅수지(C)로 사용되는 코팅원료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이에 따라 접착제로는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나 이민계 접착제를 사용한다.
위에서와 같은 재료의 선택작업이 완료된 후, 도 7에서와 같이 상기된 인쇄필름(A)과 이지필 필름(P)을 코팅작업대 상에 장착시킨 후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이송되는 인쇄필름(A)은 우선 접착제 도포로울러(321)를 지나가며 접착제 도포로울러(321)와 접촉된 면에 접착제(B)가 발라지게 되고, 건조실(331)을 거치면서 건조실(331)의 내부에서 접착제(B)가 소정량 휘산되며 마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조실(331)을 거친 인쇄필름(A)은 코팅수지 공급기(345)까지 이송되고, 접착제(B)가 도포된 면에 코팅수지(C)가 이송되어 접합된다.
여기서, 코팅수지 공급기(345)의 일측에 구비된 이지필 필름(P)도 인출되는 코팅수지(C)의 일면에 접합된다.
이 때, 코팅수지(C)가 공급되는 과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346) 내로 코팅원료를 투입하면, 투입된 코팅원료는 실린더(348)에서 액체상태로 녹고, 녹아진 원료는 실린더(348) 내부에 설치된 교반스크류에 의해 교반되며 성형다이스(349)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성형다이스(349)로 이송된 코팅원료는 성형다이스(349)의 토출구를 지나며 이지필 필름(P)과 마찬가지로 판체형상의 코팅수지(C)로 성형된다.
이 때, 코팅수지(C)와 이지필 필름(P)은 상호 대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코팅수지(C)의 두께, 폭, 밀도에따라 인출되는 속도는 이지필 필름(P)에서와 동일한 수학식 1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7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상기와 같이 접착작업이 완료된 이지필 필름(P)과 코팅수지(C) 및 인쇄필름(A)의 접합물은 코팅수지 공급기(345)의 하측에 위치된 냉각로울러(361)에 의해 양면이 가압되어 상기 이지필 필름(P)과 코팅수지(C) 및 인쇄필름(A)은 보다 견고히 접합되며, 상기 냉각로울러(361)에 의해 코팅수지(C)는 급냉된다.
그리고, 코팅작업이 마무리된 이지필 필름(P)은 파우다 도포기(501)로 이송되어 일면에 소정의 분말이 도포된 후 권취기(171)에 감겨지며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파우다 도포작업은 이지필 필름(P)이 권취기(171)에 권취될 때, 겹쳐지는 이지필 필름(P) 사이에서 슬립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여 필름(P)이 서로 늘어붙거나 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권취작업 후 상품화하여 출하 되려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700)의 작업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팅된 이지필 필름(P), 즉 제품 포장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지필 필름(P)과 인쇄필름(A)의 사이에 코팅수지(C)가 간섭된 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1은 제품의 용기에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제작된 포장재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지필 필름(P)의 일면이 용기와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 12 및 도 13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를 살펴보면 인쇄필름(A)에 접착제(B)를 도포하고, 이를 이지필 필름(P)과 바로 접합하여 인쇄필름(A)이 코팅층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한 것이다.
도 13은 상기 도 12에 의해 형성된 포장재의 단면도인데, 원 발명에서의 코팅수지가 제거되어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코팅할 때, 코팅수지 공급단계를 제거하여 보다 낮은 가격의 포장재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은 물리적·화학적 강성이 높아 포장재의 파손이 감소되어 포장되는 제품의 선택 폭이 더욱 넓어지고, 보다 구체적인 포장재 제작방법을 제시하였으므로 제작작업을 수행할 때 재료의 낭비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재의 신뢰도를 높이고, 작업의 생산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함은 물론, 경제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고분자 수지를 원료로 하여 필름형태의 포장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지필 필름의 원료를 혼합시키며 융용시키도록 혼련하고, 이를 필름형태로 제작하는 이지필 이지필 필름형성단계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지필 필름과 소정의 내용이 인쇄된 인쇄필름의 사이에 코팅수지가 접합되도록 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 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된 이지필 필름과 인쇄필름이 코팅수지와의 접착강성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키고 가압하는 냉각 및 가압단계와;
    상기 냉각 및 가압단계후 이지필 필름을 말아서 보관할 때, 접촉되는 이지필 필름이 서로 늘어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분말을 코팅된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는 파우다 도포단계; 및
    냉각된 이지필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감아두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 필름형성단계는
    이지필 필름형성을 하기 위한 원료를 필름형성 기기내로 투입하고, 이지필 필름을 형성하여 기기에서 인출해내는 인출속도와 목적하는 인출량 및 형성될 이지필 필름의 두께, 밀도, 폭을 적정하게 규제하는 세팅단계와;
    상기와 같이 세팅된 원료를 200℃ - 260℃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고 혼합하는 혼련단계와;
    상기 혼합된 원료를 필름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작업도중 이지필 필름의 형상을 얇은 판체의 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성형직후 이지필 필름성형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필름 냉각단계와;
    이지필 필름의 접착성 및 물리적·화학적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지필 필름에 4㎸ - 5㎸ 사이의 전압으로 1.0A - 1.5A의 전류를 가하는 방전처리단계와;
    상기 성형된 이지필 필림을 소정의 길이로 보관하기 위한 필름권취단계; 및
    상기 권취된 이지필 필름을 고분자 안정화시키기 위해 20℃ - 40℃ 사이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작업대 상에 이지필 필름과 인쇄필름을 설치하고 접착제를 구비하도록 한 세팅단계와;
    상기 권취된 이지필 필름과 인쇄필름을 풀어 이송시키며 각 필름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인쇄필름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 시키기 위하여 접착용제를 일정량 휘발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접착면에 코팅수지를 공급하고 이지필 필름을 공급하여 인쇄필름과 코팅수지 및 이지필 필름이 동시에 접합되도록 하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접합된 이지필 필름과 코팅수지 및 인쇄필름을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해 이지필 필름과 인쇄필름의 양측에서 동시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이지필 필름 원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을 혼합하여 사용되고, 그 비율은 폴리에틸렌(50% - 80%) : 폴리프로필렌(10% - 40%) : 폴리스틸렌(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 필름을 형성할 때 인출속도 및 압출량과 이지필 필름의 두께, 밀도, 폭과의 상관 관계는 인출속도(m/h) = 압출량(㎏/h) ÷{두께(m) × 밀도(㎏/m3) ×폭(m)}의 수학식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액체상태로 교반된 원료의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최고 성형온도가 260℃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980012330A 1998-04-08 1998-04-08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25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330A KR19980025263A (ko) 1998-04-08 1998-04-08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330A KR19980025263A (ko) 1998-04-08 1998-04-08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63A true KR19980025263A (ko) 1998-07-06

Family

ID=6586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330A KR19980025263A (ko) 1998-04-08 1998-04-08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2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64B1 (ko) * 2016-10-13 2017-03-09 주식회사 포스텍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KR102456147B1 (ko) * 2021-05-28 2022-10-17 이제선 항균성이 우수하고 정전기가 방지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64B1 (ko) * 2016-10-13 2017-03-09 주식회사 포스텍 이지-필 필름 제조장치
KR102456147B1 (ko) * 2021-05-28 2022-10-17 이제선 항균성이 우수하고 정전기가 방지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8876A (en) Carton blanks printed with a heat sealable composition and method thereof
EP0081963B1 (en) Self adhesive labels
KR101793611B1 (ko) 다목적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KR102652641B1 (ko) 개선된 보호용 환경-친화성 파우치의 형성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포장 및 생성물
KR101523041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CN108081780A (zh) 一种卷对卷卡纸包装盒印刷工艺
US20160096354A1 (en) Glue application method for cold seal cohesive packaging
CN103894319A (zh) 一种封缄胶带涂布机及胶带涂布方法
KR20190119866A (ko) 재활용성이 개선된 인몰드 라벨지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25263A (ko) 이지필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4316757B2 (ja) 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の連続塗工方法および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001648A (ja) ポリウレタン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0342301B (zh) 一种薄膜的涂布生产设备
WO2014129535A1 (ja) 未加硫ゴムの供給方法、供給システム及び未加硫ゴムの輸送方法
US6787246B2 (en) Manufacture of flat surfaced composites comprising powdered fillers in a polymer matrix
KR100776015B1 (ko) 핫멜트 도포장치
KR102146486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포장용 필름의 제조 장치
CN108165017A (zh) 一种全透明液体硅橡胶及硅橡胶超薄膜制作方法
US10573204B2 (en) In-line production of linerless labels
WO2002036343A1 (en) Process for coating and laminating film using 100% solids adhesive at room temperature
US2157212A (en) Impervious sheet material
RU221565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ленточного покрытия из пластмассовой ленты на металлическую подложку в форме ленты
KR102558702B1 (ko) 포장지 제조방법
KR20180094586A (ko) 포장지용 필름 제조방법
EP3683282A1 (en) Linerless lab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