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71A -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71A
KR20140003671A KR1020120067295A KR20120067295A KR20140003671A KR 20140003671 A KR20140003671 A KR 20140003671A KR 1020120067295 A KR1020120067295 A KR 1020120067295A KR 20120067295 A KR20120067295 A KR 20120067295A KR 20140003671 A KR20140003671 A KR 2014000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upper support
lower support
adherent
attachm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911B1 (ko
Inventor
엄성
Original Assignee
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 filed Critical 엄성
Priority to KR102012006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9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부착성 해양생물이 부착되는 부착기질(附着基質)을 좌우 지그재그로 접힌 상단과 하단이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면서 다단을 형성하는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부착기질의 관리나 운반 등의 작업이 용이하여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 종묘 생산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사각틀 형상의 상부지지틀; 상기 상부지지틀과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지지틀; 상기 상부지지틀과 상기 하부지지틀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되 단일 구조물로 좌우 지그재그로 접힌 상단과 하단이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다단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부착기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Structure for production of artificiality seed of marine life with adhesive property}
본 발명은 가리비류, 피조개, 새꼬막, 홍합, 멍게, 미더덕, 담치, 및 오만둥이 등의 일시 부착성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기 유생을 인공적으로 부착시켜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치패 또는 성패로 성장하도록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국내 특허등록 제10-0794269호, 2008.01.07.자 등록.
[문헌 2] 국내 특허등록 제21-0926471호, 2009.11.05.자 등록
일반적으로 종묘생산은 가리비류, 피조개, 새꼬막, 홍합, 멍게, 미더덕, 담치, 및 오만둥이 등의 일시 부착성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을 양식하기 위해 필요한 종묘를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종묘생산은 부착기질(附着基質)을 일정기간 동안 특정장소에서 수중에 잠입시켜 부착기 유생의 부착을 유도하여 종묘를 얻는 자연채묘 방식과, 온도자극 등의 방법으로 육상수조에서 모패의 산란을 유도한 후 그 유생을 양성하여 부착기에 접어들면 채묘기에 부착하여 종묘를 생산하는 인공종묘 방식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 자연채묘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인공종묘 방식과 비교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자연채묘 방식보다는 생산성이 우수하며 노동력이 절감되는 인공종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인공종묘 방식을 위해서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부착기 유생을 부착기질에 부착시켜 양식장으로 옮겨 치패로 성장하게 하는 양성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양성과정을 효율적으로 행하도록 문헌 1의 피조개 부착 치패 보호망이 안출되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피조개 유생이 부착되는 부착기질인 채묘망(200)을 둘러싸는 그물망(110), 상기 그물망(11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체(121)와 하부지지체(122), 및 상기 하부지지체(122)에 설치된 유실방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피조개 유생이 부착되어 치패로 성장되는 채묘망(200)을 그물망(110)으로 보호하고 상기 채묘망(200)에서 탈락되는 피조개 유생의 유실을 유실방지부재(130)로 방지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 1의 피조개 부착치패 보호망(100)은 채묘망(200)이 단 하나로만 구성되어 그물망(110)에 수용된 구조이므로 차지하는 공간에 비하여 피조개 유생이 부착되는 공간이 매우 작으므로 높은 생산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문헌 2의 피조개 치패의 중간 육성장치가 안출되었는데, 이는 도 2와 같이 부착기질인 복수 개의 치패부착망(114)이 상부틀과 하부틀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치패육성틀(110), 상기 치패육성틀(110)의 외부에서 감싸도록 설치된 치패유실방지망(120), 및 상기 치패육성틀(110)의 상부를 가리는 햇빛차단망(130)을 포함한 구조이다.
즉, 치패유실방지망(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치패육성틀(110)의 개수를 늘려 피조개 치패를 고밀도로 양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 2의 피조개 치패의 중간 육성장치는 복수 개의 치패육성틀(110)이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서 모두 개별적으로 분리 설치된 구조로서, 치패육성틀(110)을 운반, 관리하는 작업을 비롯하여 치패육성틀(110)에서 양성된 피조개 치패를 수거하는 작업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치패육성틀(110)을 운반하거나 치패육성틀(110)에서 피조개 치패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간섭이나 마찰이 발생하면서 치패육성틀(110)에 부착된 많은 피조개 치패가 쉽게 탈락하여 유실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문헌 1 및 문헌 2의 경우는 피조개 유생을 피조개 치패로 양성하는 중간양성 과정에서만 사용 가능한 구조로서 사용 범위가 제한되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부착기 유생을 부착기질에 고밀도로 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기질의 운반,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부착기질을 부착기 유생이 치패로 양성되는 중간양성 과정은 물론이고 치패가 성패로 양성되는 본양성 과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은,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사각틀 형상의 상부지지틀; 상기 상부지지틀과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지지틀; 상기 상부지지틀과 상기 하부지지틀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되 단일 구조물로 좌우 지그재그로 접힌 상단과 하단이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다단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부착기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외면에는 표면부재가 탈리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은 내부체; 상기 내부체의 외측에 설치되고 내식성을 가지며 유독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외부체;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기질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부착기질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으로 삽입 설치되는 고정로프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고정로프는 케이블타이 또는 벨크테이프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기질과 하부지지틀의 외측에는 상기 부착기질에 부착된 부착기 유생을 해저생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망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은,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에 설치되는 부착기질이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부착기질의 관리나 운반 등의 작업을 용이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은 구조적 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이중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부착기질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부착기질과 상부지지틀 및 하부지지틀의 외측에 보호망이 더 구비됨에 따라 부착기질에서 양성되는 부착기 유생 또는 치패 또는 성패를 해저생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은, 부착기질을 통해 가리비류, 피조개, 새꼬막, 홍합, 멍게, 미더덕, 담치, 및 오만둥이 등과 같이 일시 부착성을 포함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부착기 유생을 부착시켜 치패 또는 성패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착기 유생 또는 치패가 부착된 부착기질의 운반, 관리 등이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부착기질에 부착된 치패 또는 성패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부착기질을 부착기 유생을 치패로 양성하는 중간양성 단계는 물론이고 치패를 성패로 양성하는 본양성 단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 형태의 부착기질이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형성되어 좌우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접힌 양측 상단과 하단이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면서 다단을 이루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즉, 종래와 달리 부착기질을 복수 개로 분리 구성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다단으로 접어서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의 사이에 설치한 구조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부착기질이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되더라도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된 종래의 부착기질보다 더 넓은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부착기 유생을 고밀도로 부착시켜 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기질이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되어 운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착기질에 부착된 치패를 수거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착기질이 상부지지틀과 하부지지틀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수조나 양식장에 설치 가능하고 간편하게 운반 가능하여 인공적으로 부착시킨 부착 해양생물의 탈락을 최소화하여 중간 양성장으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치패로 양성하는 중간양성 단계는 물론 성패로 양성하는 본양성 단계에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100)은, 상부지지틀(110), 하부지지틀(120), 및 부착기질(13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지지틀(110)은 도 3과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측에는 상기 부착기질(130)의 상단 양측이 각각 고정되고 그 전측과 후측의 양단에는 도 6과 같이 부구(B)에 고정된 원줄(M)과 연결되는 연결줄(C)이 설치되어, 부착기질(130)이 수중에서 부상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지지틀(110)은 염분이 함유되는 바닷물로부터의 부식을 방지하고 부착기질(130)에서 부착시킨 해양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내부는 일정 중량을 가지면서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철근이나 금속관 등의 내부체(111)로 구성되고 외부는 내식성을 가지고 유독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PVC관이나 에폭시 수지 등의 외부체(112)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지지틀(110)의 외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에 강하고 바닷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쿠킹랩 등의 얇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진 표면부재(113)가 탈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면부재(113)는 상부지지틀(110)의 재사용시 그 외면에서 간편하게 탈리함으로써 수조나 양식장 등에서 그 외면에 부착될 수 있는 해저생물, 이끼, 물때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상부지지틀(110)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지지틀(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틀(110)과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측에는 부착기질(130)의 하단 양측이 각각 고정되어, 부착기질(130)이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완전히 펼쳐지도록 한다.
즉, 하부지지틀(120)은 자중에 의해 수중으로 잠입하여 상단 양측이 상부지지틀(110)에 고정된 부착기질(130)을 수직으로 길게 펼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부착기질(130)에 부착된 부착기 유생 또는 치패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부지지틀(120)은 상부지지틀(110)과 동일하게 내부는 일정중량을 가지면서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철근이나 금속관 등의 내부체(121)로 구성되고 외부는 내식성을 가지고 유독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PVC관이나 에폭시 수지 등의 외부체(122)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틀(120)의 외면은 상부지지틀(110)과 동일하게 얇은 쿠킹랩 등과 같은 얇은 비닐 재질의 표면부재(123)가 탈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부착기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부착기 유생이 치패 또는 성패로 성장될 때까지 부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부착기질(130)은 단일 구조물로 구성되어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의 사이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연속해서 다단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착기질(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번갈아가면서 연속해서 지그재그로 접힌 상태에서 그 접힌 부분의 상단은 상부지지틀(110)의 일측과 타측에 번갈아가면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그 접힌 부분의 하단은 하부지지틀(120)의 일측과 타측에 번갈아가면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다단을 이루는 구조이다.
따라서 부착기질(130)이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구성되더라도 지그재그로 접힌 형태에 의해 다단을 이루면서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부착기질이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된 종래보다 더 많은 부착기 유생을 고밀도로 부착하여 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기질(130)은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의 사이에서 그대로 상하로 포개어져 도 7과 같이 복수 개를 상하로 적층 가능하므로 운반이나 보관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착기질(130)은 단일 구조물이므로 부착기 유생을 치패로 양성하는 중간양성은 물론이고 치패를 성패로 양성하는 본양성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부착기질이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되어 본양성 단계를 위해 상기 분리 구성된 부착기질을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본양성 단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서 분리한 부착기질(130)을 길게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여 수중에 잠입시킴으로써 상기 부착기질(130)에 부착된 치패를 성패로 양성하는 본양성 단계에서 편리하게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기질(130)은 단일 구조물로 구성됨에 따라 중간양성 과정 또는 본양성 과정을 통해 부착기질(130)에서 양성된 치패 또는 성패를 수거하는 작업도 전용의 기계장치를 통해 자동화 방식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때 부착기질(130)의 상단과 하단 길이방향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로프(140)가 삽입 설치되는데, 이는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 부착기질(130)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로프(140)를 매개로 부착기질(130)의 상단과 하단이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 고정된다. 단, 고정로프(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수단(150)은 케이블타이 또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타이는 일회용으로 부착기 유생이 치패에서 성패로 양성할 때까지 부착기질(130)을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서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크로테이프는 반복 사용 가능한 것으로 부착기 유생을 치패로 양성한 후 부착기질(130)을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100)은, 상기한 구성으로도 목적한 바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지만, 양식장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해양생물로부터 부착기 유생 또는 치패를 보호하는 보호망(160)이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기질(130)과 하부지지틀(120)을 감싸는 형태로 보호망(16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부착기질(130)에 부착된 부착기 유생 또는 치패를 다른 해양생물로부터의 공격을 차단하고 안전하게 치패 또는 성패로 성장할 수 있게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보호망(160)의 상단 모서리부는 부구(B)에 고정된 원줄(M)과 연결되는 연결줄(C)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하단은 보호망(16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중량물(161)이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보호망(160)은 연결줄(C)과 중량물(161)에 의해 수중에서 펼쳐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부착기질(130)을 외측에서 감싸 다른 해양생물의 침투를 방어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망(160)의 그물눈은 2~5㎜정도가 적합한데, 이는 그물눈 크기가 2mm보다 작은 경우 부착기질(130)로의 영양분 공급이 차단될 우려가 있고 그물눈 크기가 5mm보다 큰 경우 해저생물이 쉽게 내부로 침입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100)은, 부착기질(130)의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구성되므로 부착기 유생을 고밀도로 부착하여 연승수하식 양식이 가능하고, 부착기질(130)의 운반이나 관리 등의 작업이 편리하며, 부착기질(130)에서 성장한 치패 또는 성패를 수거하는 작업도 용이하고, 다른 해양생물로부터 안전하여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구조물 110: 상부지지틀
111: 내부체 112: 외부체
113: 표면부재 120: 하부지지틀
121: 내부체 122: 외부체
123: 표면부재 130: 부착기질
140: 고정로프 150: 고정수단
160: 보호망 161: 중량물
B: 부구 M: 원줄
C: 연결줄

Claims (6)

  1.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사각틀 형상의 상부지지틀(110);
    상기 상부지지틀(110)과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지지틀(120);
    상기 상부지지틀(110)과 상기 하부지지틀(120)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되, 단일 구조물로 좌우 지그재그로 접힌 상단과 하단이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다단을 이루는 그물망 형상의 부착기질(1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의 외면에는,
    표면부재(113)(123)가 탈리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은,
    내부체(111)(121);
    상기 내부체(111)(121)의 외측에 설치되고 내식성을 가지고 유독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외부체(112)(122);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질(13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부착기질(130)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으로 삽입 설치되는 고정로프(140)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프(140)는,
    케이블타이 또는 벨크테이프로 구성되는 고정수단(150)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틀(110)과 하부지지틀(120)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질(130)과 하부지지틀(120)의 외측에는,
    상기 부착기질(130)에 부착된 부착기 유생을 해양생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망(16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KR1020120067295A 2012-06-22 2012-06-22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KR101383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295A KR101383911B1 (ko) 2012-06-22 2012-06-22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295A KR101383911B1 (ko) 2012-06-22 2012-06-22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71A true KR20140003671A (ko) 2014-01-10
KR101383911B1 KR101383911B1 (ko) 2014-04-14

Family

ID=5013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295A KR101383911B1 (ko) 2012-06-22 2012-06-22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91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63B1 (ko) * 2014-02-28 2015-05-28 장용호 그물망 수하식 굴 양식방법
CN105248328A (zh) * 2015-10-29 2016-01-20 苏州市美人半岛齐力生态农产品专业合作社 一种人工养殖华贵栉孔扇贝的方法
CN105325340A (zh) * 2015-10-29 2016-02-17 苏州市美人半岛齐力生态农产品专业合作社 一种海湾扇贝人工养殖方法
KR101632849B1 (ko) *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20160094661A (ko) 2015-02-02 2016-08-1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KR20180064788A (ko) 2016-12-06 2018-06-15 임수경 물고임 방지형 타프
KR20190002814U (ko) * 2018-05-02 2019-11-12 오장영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KR102094038B1 (ko) * 2019-10-30 2020-03-30 대한민국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2094037B1 (ko) * 2019-10-30 2020-05-26 대한민국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WO2023101085A1 (ko) * 2021-12-03 2023-06-08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77B1 (ko) * 2015-09-15 2016-07-28 대한민국 해상 가두리 중간 육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484Y2 (ja) * 1990-08-08 1996-11-20 秀一 岩佐 多段アワビ付着器
JPH0548663U (ja) * 1991-12-02 1993-06-29 北陸製網株式会社 あわび養殖具
KR100926471B1 (ko) * 2009-06-02 2009-11-13 이영민 피조개 치패의 중간 육성장치 및 그를 이용한 대량 생산 육성방법
KR101755386B1 (ko) * 2010-05-24 2017-07-11 영어조합법인지스텍 수산종묘 배양구조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63B1 (ko) * 2014-02-28 2015-05-28 장용호 그물망 수하식 굴 양식방법
KR20160094661A (ko) 2015-02-02 2016-08-1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CN105248328A (zh) * 2015-10-29 2016-01-20 苏州市美人半岛齐力生态农产品专业合作社 一种人工养殖华贵栉孔扇贝的方法
CN105325340A (zh) * 2015-10-29 2016-02-17 苏州市美人半岛齐力生态农产品专业合作社 一种海湾扇贝人工养殖方法
KR101632849B1 (ko) *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20180064788A (ko) 2016-12-06 2018-06-15 임수경 물고임 방지형 타프
KR20190002814U (ko) * 2018-05-02 2019-11-12 오장영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KR102094038B1 (ko) * 2019-10-30 2020-03-30 대한민국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KR102094037B1 (ko) * 2019-10-30 2020-05-26 대한민국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WO2023101085A1 (ko) * 2021-12-03 2023-06-08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KR20230083537A (ko) * 2021-12-03 2023-06-12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911B1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911B1 (ko)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CN105123565B (zh) 一种单体牡蛎外海深水养殖方法及装置
CN103392675B (zh) 刺参池塘多物种立体综合生态养殖方法
KR100953803B1 (ko) 잘피 이식용 구조물
CN105658049B (zh) 被养殖生物的养殖方法及其养殖设施
JP2010148521A (ja) 付着性海生動物の培養
CN205455363U (zh) 一种多功能华贵栉孔扇贝养殖套网笼
JP6001142B2 (ja) ヒメジャコの陸上効率養殖方法
JP2016127865A5 (ko)
CN204837559U (zh) 一种单体牡蛎外海深水养殖装置
CN108967285A (zh) 一种罗氏沼虾亲虾选育方法
CN106719183A (zh) 织锦巴非蛤苗种的海区中培方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KR101538500B1 (ko) 패류 양식용 상자
KR101402683B1 (ko)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JP6858946B2 (ja) カキの採苗方法及び養殖方法
JP2017055719A (ja) ナマコの種苗放流方法
CN110651743B (zh) 林蟹贝共生海水生物净化装置
KR20130021305A (ko)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KR20160094661A (ko)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JP4981002B2 (ja) 人工魚礁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JP2004033174A (ja) こんぶ科植物の養殖方法
CN105532518B (zh) 一种象鼻蚌海区滩涂塑料大盆的人工养殖方法
KR101043046B1 (ko) 부착성 패류의 채묘용 박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