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95U - 상품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상품 포장 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3495U KR20140003495U KR2020120010956U KR20120010956U KR20140003495U KR 20140003495 U KR20140003495 U KR 20140003495U KR 2020120010956 U KR2020120010956 U KR 2020120010956U KR 20120010956 U KR20120010956 U KR 20120010956U KR 20140003495 U KR20140003495 U KR 2014000349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s
- fixing
- products
- sides
- low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85—Paper elements the elements forming grooves, ribs, or the like, situated on opposed walls and between which the articles are loc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상품 포장 박스는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하단 양쪽에 오목한 홈들을 갖는 상품들을 수용하며, 상품의 홈들과 결합하여 상품들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품 포장 박스에 포장된 상품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품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상품을 안정적으로 포장하기 위한 상품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포장 상자는 식품류, 인체 세정용품류, 전기전자용품류, 의류 등의 포장에 주로 적용되며, 골판지, 백판지, 아이보리지, 마닐라지, 황판지, 색판지 또는 다양한 수지로 제작된다.
종래의 상자의 경우, 상자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각 공간에 상품을 배치한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0-0006797호에는 여러 공간에 다수의 상품을 배치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자는 상기 상품들이 고정되지 않고 상기 공간들에 상기 상품들이 단순히 놓여진 상태이므로, 상기 상자가 뒤집어지거나 심하게 흔들이는 경우 상기 상품들의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상기 상자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수의 상품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진열할 수 있는 상품 포장 박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 박스는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하단 양쪽에 오목한 홈들을 갖는 상품들을 수용하며, 상기 상품의 홈들과 결합하여 상기 상품들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품들을 수용하는 다수의 제1 개구부들을 갖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들과 대응하는 제2 개구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들 각각의 세로 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2 개구부들에 수용되는 상기 상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들 각각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품의 홈들과 결합하여 상기 상품들을 고정하는 고정부들을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절곡 부위 양단에 돌기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돌기들이 상기 제1 부재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는 제2 개구부들의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절곡부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품 포장 박스는 하단 양쪽에 오목한 홈들을 갖는 상품들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가지므로, 다수의 상품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진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품 포장 박스가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상기 상품들이 진열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포장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포장 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포장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포장 박스(100)는 다수의 상품(10)들을 포장한다. 이때, 상품(10)들은 하부면 양측에 홈(12)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품(10)은 포장지 등으로 포장되며, 상기 포장지에 홈(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품 포장 박스(100)의 재질은 골판지, 백판지, 아이보리지, 마닐라지, 황판지, 색판지 또는 다양한 수지 등일 수 있다.
상품 포장 박스(100)는 하부 케이스(110), 고정 부재(120) 및 상부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면이 개방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부 케이스(130)는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부 케이스(130)는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면을 개폐한다.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30)는 일반적인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부재(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품(10)들을 수용하며, 상품(10)의 홈(12)들과 결합하여 상품(10)들을 고정한다.
고정 부재(120)는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2)를 포함한다.
제1 부재(121)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제1 개구부(122)들을 갖는다. 제1 개구부(122)들은 다양한 형태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구부(122)들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22)들에 상품(10)들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21)는 제1 지지부(123)를 갖는다. 제1 지지부(123)는 제1 부재(121)의 사방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절곡된다. 고정 부재(120)가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때, 제1 지지부(123)는 제1 부재(120)를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시킨다.
제2 부재(125)는 전개되었을 때 대략 사각 평판 형태를 갖는다. 제2 부재(125)는 제1 부재(121) 상에 배치되어 제1 부재(121)와 결합한다. 제2 부재(125)는 제2 개구부(126)들, 제2 지지부(127)들, 고정부(128)들 및 절곡부(129)들을 갖는다.
제2 개구부(126)들은 제1 개구부(122)들과 동일한 형태로 배치된다. 제2 부재(125)가 제1 부재(121) 상에 배치될 때, 제2 개구부(126)들은 제1 개구부(122)들 상에 위치한다. 즉, 제1 개구부(122)들과 제2 개구부(126)들은 서로 연통한다. 제2 개구부(126)들은 상품(10)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7)들은 제2 개구부(126)들 각각의 세로 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다. 제2 지지부(127)들은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제1 부재(121)와 결합하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127)들은 절곡 부위 양단에 각각 돌기(127a)들을 갖는다. 제2 지지부(127)들이 하방으로 절곡될 때 돌기(127a)들이 제1 부재(121)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제2 부재(125)가 제1 부재(121)와 결합한다.
또한, 제2 지지부(127)들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돌기(127a)들이 제1 부재(121)의 하면을 지지하므로, 제2 지지부(127)들이 제2 개구부(126)들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127)들은 제2 개구부(126)들에 수용되는 상품(10)들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128)들은 제2 개구부(126)들 각각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고정부(128)들은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제2 개구부(126)들에 수용되는 상품(10)의 홈(12)들과 결합하여 상품(10)들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품 포장 박스(100)가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상품(10)이 고정 부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28)들은 절곡부(129)들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128)들은 절곡부(129)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절곡부(129)들은 제2 개구부(126)들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29)들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제2 개구부(126)들 사이에 배치된다. 절곡부(129)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접혀진다. 이때, 절곡부(129)는 단면이 삼각형 모양을 갖는다. 절곡부(129)의 단면이 삼각형 모양인 경우, 제2 개구부(126)들의 가로 방향 양측이 경사면을 이루게 되므로, 상품(10)들을 제2 개구부(126)들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절곡부(129)는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곡부(129)들은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 제2 개구부(126)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2 개구부(126)들의 상기 세로 방향 양측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부(128)들은 제2 개구부(126)들의 상기 세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127)들은 제2 개구부(126)들의 상기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 부재(120)가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5)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제2 부재(125)에서 절곡부(129)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가장자리 부위에 제1 부재(121)의 제1 지지부(123)와 같은 지지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 제1 부재(121)없이 제2 부재(125)만으로 고정 부재(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부(127)들이 제1 부재(121)와 결합될 필요가 없으므로, 돌출부(127a)들이 불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품 포장 박스는 하단 양쪽에 오목한 홈들을 갖는 상품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품 포장 박스가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상기 상품들이 최초 포장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품 포장 박스 110 : 하부 케이스
120 : 고정 부재 121 : 제1 부재
122 : 제1 개구부 123 : 제1 지지부
125 : 제2 부재 126 : 제2 개구부
127 : 제2 지지부 128 : 고정부
129 : 절곡부 10 : 상품
12 : 홈
120 : 고정 부재 121 : 제1 부재
122 : 제1 개구부 123 : 제1 지지부
125 : 제2 부재 126 : 제2 개구부
127 : 제2 지지부 128 : 고정부
129 : 절곡부 10 : 상품
12 : 홈
Claims (4)
-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하단 양쪽에 오목한 홈들을 갖는 상품들을 수용하며, 상기 상품의 홈들과 결합하여 상기 상품들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품들을 수용하는 다수의 제1 개구부들을 갖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들과 대응하는 제2 개구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들 각각의 세로 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2 개구부들에 수용되는 상기 상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들 각각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품의 홈들과 결합하여 상기 상품들을 고정하는 고정부들을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절곡 부위 양단에 돌기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돌기들이 상기 제1 부재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제2 개구부들의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절곡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956U KR200473371Y1 (ko) | 2012-11-28 | 2012-11-28 | 상품 포장 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956U KR200473371Y1 (ko) | 2012-11-28 | 2012-11-28 | 상품 포장 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3495U true KR20140003495U (ko) | 2014-06-11 |
KR200473371Y1 KR200473371Y1 (ko) | 2014-07-01 |
Family
ID=5199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0956U KR200473371Y1 (ko) | 2012-11-28 | 2012-11-28 | 상품 포장 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37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55455A (zh) * | 2019-06-24 | 2019-08-23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颈挂式音响的包装盒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5041Y1 (ko) | 2020-07-07 | 2022-02-18 | (주)대성팩키지 | 포장 상자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39179B2 (ja) * | 1989-03-06 | 1998-04-08 | 小橋紙器株式会社 | 果菜類の包装用中仕切板並びに果菜類の収容包装構造 |
JPH0796933A (ja) * | 1993-09-22 | 1995-04-11 | Kinbara Noriten:Kk | 物品梱包用台紙 |
KR20080102333A (ko) * | 2007-05-20 | 2008-11-25 | 조성대 | 판지의 결합구조 |
KR20100004536U (ko) * | 2008-10-24 | 2010-05-04 | (주)우성지엔드피 | 포장용 안치대 |
-
2012
- 2012-11-28 KR KR2020120010956U patent/KR200473371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55455A (zh) * | 2019-06-24 | 2019-08-23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颈挂式音响的包装盒 |
CN110155455B (zh) * | 2019-06-24 | 2024-04-26 |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颈挂式音响的包装盒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3371Y1 (ko) | 2014-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73002B1 (en) | Box for containing items | |
US20070051662A1 (en) | Packaging for electrical extension cord | |
RU2490184C2 (ru) |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способ 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заготовка | |
RU2470784C1 (ru) | Упаковка | |
KR200452126Y1 (ko) | 쿠키 포장상자 | |
KR200473371Y1 (ko) | 상품 포장 박스 | |
US20030116468A1 (en) | Package | |
US8881902B2 (en) | Packaging assembly | |
JP2011025953A (ja) | 包装用箱 | |
JP2008013218A (ja) | 梱包箱および梱包用スペーサ | |
JP4533729B2 (ja) | 頂部把持型カートン | |
JP3180498U (ja) | 卵パック | |
JP6073069B2 (ja) | 商品陳列用包装具および当該包装具を用いた商品包装体 | |
KR200458043Y1 (ko) | 음료용기용 포장상자 | |
JP2016166031A (ja) | 収納箱 | |
KR20090009456U (ko) | 포장상자용 트레이 | |
KR20160000032U (ko) | 종이판재로 제작되어 박스형태가 유지되는 치킨 포장용 쇼핑백 | |
KR20100010849U (ko) | 쿠키 포장상자 | |
KR200457871Y1 (ko) | 쿠키 포장용 트레이 | |
JP2008081147A (ja) | ピロー包装商品の中仕切り | |
JP2008087828A (ja) | 薄板構造体 | |
JP2007055653A (ja) | 商品包装箱 | |
JP6339390B2 (ja) | 収納箱 | |
JP2019142564A (ja) | 被梱包物の梱包体及び被梱包物の梱包方法 | |
KR200394206Y1 (ko) | 병포장 상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