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62U -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62U
KR20140003162U KR2020120010649U KR20120010649U KR20140003162U KR 20140003162 U KR20140003162 U KR 20140003162U KR 2020120010649 U KR2020120010649 U KR 2020120010649U KR 20120010649 U KR20120010649 U KR 20120010649U KR 20140003162 U KR20140003162 U KR 20140003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vessel
grit
air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62U/ko
Publication of KR20140003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이며, 메쉬(mesh) 형태의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고, 블라스팅용 그리트가 수용되며, 그리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압력용기와, 압력용기 내부로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가 저장된 에어 탱크와, 압력용기와 에어 탱크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에어 탱크 내에 저장된 에어를 압력용기 내부로 이송시키되, 제1개폐밸브를 구비한 제1에어라인과, 에어 탱크와 분사노즐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에어 탱크 내에 저장된 에어를 분사노즐로 이송시키되, 제2개폐밸브를 구비한 제2에어라인 및 압력용기의 하부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제2에어라인 상에 연결된 유출라인을 포함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그리트가 수용되는 압력용기 상하부에 에어 탱크에 의해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에어라인에 별도의 개폐 밸브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점검시 블라스팅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압력용기의 점검 시 발생할 수 있는 점검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블라스팅 작업의 중단으로 인한 블라스팅 전체 공정의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Injection system for ship blasting having open and close valve}
본 고안은 선박의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리트가 수용되는 압력용기 상하부에 에어 탱크에 의해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에어라인에 별도의 개폐 밸브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점검시 블라스팅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는 선박 또는 철 구조물에 도장작업을 하기에 앞서 표면에 발생 된 산화 막을 제거하거나, 이물질이 부착된 강판을 전처리하는 작업은 피 도장물에 도장재료가 적절하게 도장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선박과 같이 이물질을 분리하는 데 사용하는 블라스트 장치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선박의 블라스팅 셀 내에서 작업자에 의한 블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블라스팅(blasting)이란 강철제의 녹 제거 등의 도장 바탕을 만드는 데 이용되는 공법이다.
다시 말해 강재의 분사 표면 처리법의 일종으로, 경도가 큰 모래, 강(鋼) 쇼트, 그리트 및 모래나 규석 입자 등의 소립자를 압축 공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고속으로 가공표면에 분사하여 스케일, 녹 및 도막(塗膜)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선박의 블라스팅 셀 내에서 이루어지는 블라스팅 작업을 위해서는 대량의 그리트(Grit) 등과 같은 연마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그리트 분사는 샌딩 호스라고 불리는 블라스팅 호스에 노즐을 부착하여 핸들링을 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전량 수작업에 의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박의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은 압력용기(10), 에어 탱크(20), 제1에어라인(30), 제2에어라인(40) 및 유출라인(5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용기(1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으로 메쉬(mesh) 형태의 격벽(12)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며, 블라스팅용 그리트가 수용되고, 상기 그리트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 탱크(20)는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가 저장되는데, 별도의 컴프레셔와 같은 가압장치에 의해 에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에어라인(30)은 상기 에어 탱크(20)와 상기 압력용기(10)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에어라인(30)을 통해 상기 에어 탱크(20) 내에 저장된 가압 된 에어가 상기 압력용기(10)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에어라인(30)은 두 갈래로 분기 되어 상기 압력용기(1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에어라인(40)은 상기 에어 탱크(20)와 작업자의 분사노즐(미도시)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에어라인(40)을 통해 상기 에어 탱크(20) 내에 저장된 가압 된 에어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2에어라인(40)은 상기 에어 탱크(20)에 복수이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제2에어라인(40)에는 손잡이(411)가 구비한 개폐 밸브(41)가 설치된다.
상기 유출라인(50)은 상기 압력용기(10)의 하부 배출구(11)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에어라인(40) 상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2에어라인(40)을 통해 이송되는 가압 된 에어와 상기 유출라인(50)을 통해 이송되는 그리트가 상기 제2에어라인(40)에 유입되어 에어와 그리트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이 상기 제2에어라인(40)을 통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각각의 작업자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은, 상기 제2에어라인(40)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제2에어라인(40)에 설치된 개폐밸브(41)를 이용하여 상기 제2에어라인(40)을 통해 이동하는 에어를 차단한 후, 개별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라인을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는 반면에, 압력용기(10)를 점검해야 할 경우에는 에어 탱크(20)의 작동을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제2에어라인(40)과 달리 상기 제1에어라인(30)에는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에어를 차단하는 어떠한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 탱크(20)의 작동을 중단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 탱크(20)의 작동을 중간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블라스팅 작업이 중단되고, 이로 인해 선박의 블라스팅 전체 공정이 상당히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8841호(2012년 02월 01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과제는, 그리트가 수용되는 압력용기 상하부에 에어 탱크에 의해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에어라인에 별도의 개폐 밸브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점검시 블라스팅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이며, 메쉬(mesh) 형태의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고, 블라스팅용 그리트가 수용되며, 상기 그리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 내부로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가 저장된 에어 탱크, 상기 압력용기와 상기 에어 탱크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탱크 내에 저장된 에어를 상기 압력용기 내부로 이송시키되, 제1개폐밸브를 구비한 제1에어라인, 상기 에어 탱크와 분사노즐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탱크 내에 저장된 에어를 상기 분사노즐로 이송시키되, 제2개폐밸브를 구비한 제2에어라인 및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에어라인 상에 연결된 유출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에어라인은 두 갈래로 분기 되어 상기 압력용기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에어라인의 개폐밸브에는 개폐손잡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그리트가 수용되는 압력용기 상하부에 에어 탱크에 의해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에어라인에 별도의 개폐 밸브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점검시 블라스팅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압력용기의 점검 시 발생할 수 있는 점검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블라스팅 작업의 중단으로 인한 블라스팅 전체 공정의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은 압력용기(100), 에어 탱크(200), 제1에어라인(300), 제2에어라인(400) 및 유출라인(5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용기(1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으로 메쉬(mesh) 형태의 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며, 블라스팅용 그리트가 수용되고, 상기 그리트가 배출되는 배출구(110)가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 탱크(200)는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가 저장되는데, 별도의 컴프레셔와 같은 가압장치에 의해 에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에어라인(300)은 상기 에어 탱크(200)와 상기 압력용기(100)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에어라인(300)을 통해 상기 에어 탱크(200) 내에 저장된 가압 된 에어가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에어라인(300)은 두 갈래로 분기 되어 상기 압력용기(10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라인(300)은 상기 압력용기(100)로부터 이송되는 가압 된 에어를 차단할 수 있는 제1개폐밸브(3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밸브(310)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개폐손잡이(311)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에어라인(300)에 상기 제1개폐밸브(310)가 하나 설치되거나, 두 갈래로 각각 분기 되어 상기 압력용기(10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라인에 각각 하나씩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라인(400)은 상기 에어 탱크(200)와 작업자의 분사노즐(미도시)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에어라인(400)을 통해 상기 에어 탱크(200) 내에 저장된 가압 된 에어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2에어라인(400)은 상기 에어 탱크(200)에 복수이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제2에어라인(400)에는 손잡이가 구비한 제2개폐밸브(410)가 설치된다.
상기 유출라인(500)은 상기 압력용기(100)의 하부 배출구(110)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에어라인(400) 상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2에어라인(400)을 통해 이송되는 가압 된 에어와 상기 유출라인(500)을 통해 이송되는 그리트가 상기 제2에어라인(400)에 유입되어 에어와 그리트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이 상기 제2에어라인(400)을 통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각각의 작업자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압력용기 110: 배출구
120: 격벽 200: 에어 탱크
300: 제1에어라인 310: 제1개폐밸브
311: 개폐손잡이 400: 제2에어라인
410: 제2개폐밸브 500: 유출라인

Claims (3)

  1.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이며, 메쉬(mesh) 형태의 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고, 블라스팅용 그리트가 수용되며, 상기 그리트가 배출되는 배출구(110)가 하부에 형성된 압력용기(100);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로 가압 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가 저장된 에어 탱크(200);
    상기 압력용기(100)와 상기 에어 탱크(200)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탱크(200) 내에 저장된 에어를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로 이송시키되, 제1개폐밸브(310)를 구비한 제1에어라인(300);
    상기 에어 탱크(200)와 분사노즐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탱크(200) 내에 저장된 에어를 상기 분사노즐로 이송시키되, 제2개폐밸브(410)를 구비한 제2에어라인(400); 및
    상기 압력용기(100)의 하부 배출구(110)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에어라인(400) 상에 연결된 유출라인(500)을 포함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라인(300)은 두 갈래로 분기 되어 상기 압력용기(10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라인(300)의 개폐밸브에는 개폐손잡이(311)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KR2020120010649U 2012-11-20 2012-11-20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KR201400031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49U KR20140003162U (ko) 2012-11-20 2012-11-20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49U KR20140003162U (ko) 2012-11-20 2012-11-20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62U true KR20140003162U (ko) 2014-05-28

Family

ID=5244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49U KR20140003162U (ko) 2012-11-20 2012-11-20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39A (ko) 2017-09-23 2019-04-02 정수찬 스마트 수납 침낭
KR102053460B1 (ko) 2018-12-11 2019-12-10 이철우 쇼트블라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39A (ko) 2017-09-23 2019-04-02 정수찬 스마트 수납 침낭
KR102053460B1 (ko) 2018-12-11 2019-12-10 이철우 쇼트블라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5300B (zh) 一种高压弥雾船舶除锈设备及船舶除锈方法
AU2018211929B2 (en) Dry wet blast media blasting system
US9956567B2 (en) System for coating, in particular for painting, articles, in particular vehicle bodies
WO2014045607A1 (ja) 混気ジェットブラスト方法及び装置
CN111843849B (zh) 安全环保型飞机蒙皮漆层的物理清除工艺及清除系统
CN105500219A (zh) 一种气动水雾除锈除漆装置和除锈除漆方法
KR20140003162U (ko)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CN104526566B (zh) 一种并联型式柔性介质喷磨装置
CN105797886A (zh) 涂料静电喷涂系统
CN106141933A (zh) 干湿两用便携式环保喷砂机
CN202592223U (zh) 一种无粉尘喷砂机
CN207983141U (zh) 一种移动式管内壁喷砂装置
CN202449449U (zh) 粉料运输罐体总成及粉料运输车
CN205815978U (zh) 一种涂料静电喷涂系统
CN108789169A (zh) 一种全气动多喷砂枪的喷砂机
JP5887249B2 (ja) 土木構造物補修用ブラスト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土木構造物補修方法
CN107470599B (zh) 一种液压阀体铸件内腔油道清理装置
KR20140009893A (ko) 안전 블라스팅 장치
KR102591670B1 (ko) 이산화탄소 펠릿 블라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889461B1 (ko)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직분사 세척장치
CN205438249U (zh) 一种气动水雾除锈除漆装置
KR200486930Y1 (ko) 배관용 잔류가스 급속 배출장치
KR20140092726A (ko) 샌드젯을 이용한 세정장치
KR20230045276A (ko) 분진 저감용 연마재 분사장치
CN213258963U (zh) 一种三相融合智能化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