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460B1 - 쇼트블라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쇼트블라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460B1
KR102053460B1 KR1020180159444A KR20180159444A KR102053460B1 KR 102053460 B1 KR102053460 B1 KR 102053460B1 KR 1020180159444 A KR1020180159444 A KR 1020180159444A KR 20180159444 A KR20180159444 A KR 20180159444A KR 102053460 B1 KR102053460 B1 KR 102053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
ball
compressed air
shot bal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조숙현
Original Assignee
이철우
조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조숙현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2018015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1/00Selection of abrasive materials or additives for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을 도색하기에 앞서 금속대상물 표면 상의 스케일, 녹, 도료피막 등을 제거하여 도색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쇼트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는, 주변공기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일측은 상기 에어컴프레셔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며 타측에는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는 압축공기탱크와, 내부에는 쇼트볼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라인으로 쇼트볼을 배출하는 쇼트볼배출기가 구비되는 쇼트볼 저장탱크와, 상기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고 내부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로 상기 압축공기라인을 통해 공급된 쇼트볼을 분사시키며 일측 바닥에는 배출관로가 연결되는 블라스트처리실과, 상기 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된 쇼트볼을 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해 이송된 쇼트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볼분리기와, 상기 쇼트볼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쇼트볼을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저장하는 쇼트볼 재순환탱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도색방법은 주변공기를 에어컴프레셔로 압축하여 압축공기탱크 내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쇼트볼 저장탱크 내에 쇼트볼을 충전하는 제 2 단계와, 블라스트처리실 내에 금속대상물을 거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압축공기탱크 내의 압축공기를 압축공기라인을 통해 블라스트처리실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 내의 쇼트볼을 상기 압축공기라인으로 혼입시켜 상기 블라스트처리실 내에서 금속대상물의 표면에 쇼트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금속대상물을 도색작업실로 이송시킨 후 상기 금속대상물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금속대상물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트블라스트 장치{SHOT BLAST APPARATUS}
본 발명은 경질입자를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고압으로 금속대상물 표면에 분사시키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화물차 적재함 등과 같은 대상물을 도색하는 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블라스트(shot blast) 장치는 쇼트볼 또는 그리트(grit)라 불리는 경질입자를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금속대상물 표면에 고압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금속대상물 표면을 연마하고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쇼트블라스트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1691호(2003.04.26. 공고)에는 쇼트볼을 저장하는 블라스트 탱크(100)와, 상기 블라스트 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라스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쇼트볼과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혼합하는 혼합수단과, 상기 혼합수단에서 혼합된 에어와 쇼트볼의 혼합물을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피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고 분사된 쇼트볼과 연마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회수하는 블라스팅 건과, 상기 블라스트 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블라스팅 건을 통해 흡입되는 쇼트볼과 분진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1차 사이클론과, 상기 1차 사이클론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는 2차 사이클론과, 상기 2차 사이클론에 연결되어 에어에 포함된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백필터를 포함하는 백필터 탱크와, 상기 백필터 탱크에 연결되는 루츠 블로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40003162호(2014.05.28. 공개)에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이며, 메쉬 형태의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고, 블라스팅용 그리트가 수용되며, 상기 그리트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 내부로 가압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가 저장된 에어 탱크와, 상기 압력용기와 상기 에어 탱크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탱크 내에 저장된 에어를 상기 압력용기 내부로 이송시키되, 제 1 개폐밸브를 구비한 제 1 에어라인과, 상기 에어 탱크와 분사노즐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탱크 내에 저장된 에어를 상기 분사노즐로 이송시키되, 제 2 개폐밸브를 구비한 제 2 에어라인과,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 2 에어라인 상에 연결된 유출라인을 포함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쇼트블라스트 장치의 경우에는 토목건축 구조용 빔(H빔)이나 선박자재용 철판, 주조물 등과 같은 금속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청정화하거나, 금속대상물의 버(burr)를 제거하거나, 금속대상물의 표면의 피로응력을 증대시키고 부식을 방지하고 표면강도를 향상시키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왔을 뿐, 예를 들어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을 도색하기 위한 전처리 용도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1691호(2003.04.26. 공고)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40003162호(2014.05.2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을 도색하기에 앞서 금속대상물 표면 상의 스케일, 녹, 도료피막 등을 제거하여 도색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쇼트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주변공기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일측은 상기 에어컴프레셔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며 타측에는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는 압축공기탱크와, 내부에는 쇼트볼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라인으로 쇼트볼을 배출하는 쇼트볼배출기가 구비되는 쇼트볼 저장탱크와, 상기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고 내부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로 상기 압축공기라인을 통해 공급된 쇼트볼을 분사시키며 일측 바닥에는 배출관로가 연결되는 블라스트처리실과, 상기 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된 쇼트볼을 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해 이송된 쇼트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볼분리기와, 상기 쇼트볼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쇼트볼을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저장하는 쇼트볼 재순환탱크를 포함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축공기라인으로부터 가압공기라인이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의 직전 위치에서 분기되고, 상기 가압공기라인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의 내부에 쇼트볼을 하부로 가압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쇼트볼은 철(Fe)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쇼트볼은 0.3 ~ 0.9 mm의 입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쇼트볼의 분사압력은 7.0 ~ 8.6 Kg/㎠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쇼트볼의 분사량은 100 ~ 150 kg/min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라스트처리실에서 분사되는 쇼트볼의 분사시간은 5 ~ 20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라스트처리실의 배출관로 내에는 쇼트볼의 강제이송을 위한 이송스크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라스트처리실의 배기관로에는 제 1 필터유닛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쇼트볼분리기는 원심분리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쇼트볼분리기의 배기관로에는 제 2 필터유닛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쇼트볼 재순환탱크는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라스트처리실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은 기 사용된 덤프트럭의 적재함, 저장탱크 및 선박용 철판 중 하나이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주변공기를 에어컴프레셔로 압축하여 압축공기탱크 내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쇼트볼 저장탱크 내에 쇼트볼을 충전하는 제 2 단계와, 블라스트처리실 내에 금속대상물을 거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압축공기탱크 내의 압축공기를 압축공기라인을 통해 블라스트처리실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 내의 쇼트볼을 상기 압축공기라인으로 혼입시켜 상기 블라스트처리실 내에서 금속대상물의 표면에 쇼트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금속대상물을 도색작업실로 이송시킨 후 상기 금속대상물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금속대상물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도색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5 단계에서는 상기 금속대상물의 표면에 도료원액을 에어리스스프레이로 도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에 의하면,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을 도색하기에 앞서 쇼트볼의 고압 분사를 통해 금속대상물 표면 상의 스케일, 녹, 도료피막 등을 제거한 다음 도료원액이 도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도색품질이 향상되고 표면강도 및 도색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에 의하면, 쇼트볼이 재활용됨에 따라 산업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을 신제품과 동일한 품질로 도색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의 전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 쇼트볼 저장탱크의 상세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도색방법의 공정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의 전체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 쇼트볼 저장탱크의 상세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변공기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10)와, 일측은 상기 에어컴프레셔(10)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며 타측에는 압축공기라인(21)이 연결되는 압축공기탱크(20)와, 내부에는 쇼트볼(3)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라인(21)으로 쇼트볼을 배출하는 쇼트볼배출기(31)가 구비되는 쇼트볼 저장탱크(30)와, 상기 압축공기라인(21)이 연결되고 내부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5)로 상기 압축공기라인(21)을 통해 공급된 쇼트볼(3)을 분사시키며 일측 바닥에는 배출관로(41)가 연결되는 블라스트처리실(40)과, 상기 배출관로(41)를 통해 배출된 쇼트볼(3)을 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50)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5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엘리베이터(50)에 의해 이송된 쇼트볼(3)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볼분리기(60)와, 상기 쇼트볼분리기(60)에 의해 분리된 쇼트볼(3)을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30)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저장하는 쇼트볼 재순환탱크(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컴프레셔(10)는 주변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압축공기탱크(20)로 강제이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소형 에어컴프레셔가 아니라 대형 에어컴프레셔로 형성된다. 에어컴프레셔(10)의 유입구 측에는 강제흡입되는 주변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분리제거하기 위한 필터유닛(미도시)이 별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에는 헤파필터, VOC 필터, 활성탄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에어컴프레셔(10)에는 압축공기탱크(20)가 연결된다. 압축공기탱크(20)는 에어컴프레셔(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금속제 압력탱크로 형성 가능하다.
압축공기탱크(20)의 타측에는 블라스트처리실(40)로 쇼트블라스트 처리용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압축공기라인(21)이 연결된다.
전술한 압축공기탱크(20)와 블라스트처리실(40)을 연결하는 압축공기라인(21)에는 쇼트볼 저장탱크(30)가 연결된다. 쇼트볼 저장탱크(30)은 쇼트블라스트 처리를 위한 쇼트볼(3)을 저장하는 수용용기로, 통상의 금속제 탱크로 형성된다.
쇼트볼 저장탱크(30)의 하부에는 압축공기라인(21)으로 쇼트볼(3)을 배출하기 위한 쇼트볼배출기(31)가 구비된다. 쇼트볼배출기(31)는 압축공기라인(21)으로 균일한 양의 쇼트볼(3)을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배출스크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쇼트볼 저장탱크(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의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3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된다.
또한 쇼트볼(3)이 쇼트볼 저장탱크(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쇼트볼배출기(31)를 통해 압축공기라인(21)으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쇼트볼 저장탱크(30) 내의 쇼트볼(3)은 자중 뿐만 아니라 압축공기에 의해 쇼트볼배출기(31) 측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쇼트볼(3)이 저장되는 쇼트볼 저장탱크(30)의 하측은 도 2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으로부터 쇼트볼 저장탱크(30)의 직전 위치에서 분기되어 쇼트볼 저장탱크(3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가압공기라인(23)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압공기라인(23)은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을 관류하는 압축공기의 일부를 쇼트볼 저장탱크(30)의 내부 상측으로 제공함에 따라 압축공기탱크(20)의 쇼트볼(5)이 압축공기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쇼트볼 저장탱크(30) 내에 저장되는 쇼트볼(3)은 철(Fe) 재질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쇼트볼(3)은 예를 들어 기 사용된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이 쇼트블라스트 처리될 금속대상물(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금속대상물(5)의 표면에 동종 금속입자가 고압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금속대상물(5)의 표면이 이종 금속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쇼트볼(3)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쇼트볼 저장탱크(30) 내에 저장되는 쇼트볼(3)은 0.3 ~ 0.9 mm의 입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트볼(3)의 입도가 0.3 mm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대상물(5)의 표면 연마에 관련된 쇼트블라스트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파열에 의해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쇼트볼(3)의 입도가 0.9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대상물(5)의 과도한 표면 연마로 인해 금속대상물의 표면이 오히려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쇼트볼(3)은 특히 10회 이상의 재사용을 위해 0.7 mm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은 블라스트처리실(40)에 연결된다. 블라스트처리실(40)은 내부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5)로 압축공기라인(21)을 통해 공급된 쇼트볼(3)을 분사시켜 금속대상물(5)의 표면 상의 스케일, 녹, 도료피막 등을 제거하는 쇼트블라시트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쇼트볼(3)의 분사를 위해 압축공기라인(21)에 연통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블라스트처리실(40)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5)은 기 사용된 덤프트럭의 적재함, 저장탱크 및 선박용 철판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쇼트볼(3)의 분사압력은 7.0 ~ 8.6 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쇼트볼(3)의 분사압력이 7.0 Kg/㎠ 미만인 경우에는 분사압력이 약해 금속대상물(5)의 표면 연마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쇼트볼(3)의 분사압력이 8.6 K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대상물(5)의 과도한 표면 연마로 인해 금속대상물(5)의 표면이 오히려 손상될 수 있으며 쇼트볼(3)의 파열이 심해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쇼트볼(3)의 분사압력은 7.8 K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분사되는 쇼트볼(3)의 분사시간은 금속대상물(5)에 따라 5 ~ 2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분사되는 쇼트볼(3)의 분사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대상물(5)의 표면 연마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분사되는 쇼트볼(3)의 분사시간이 2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대상물(5)의 과도한 표면 연마로 인해 금속대상물(5)의 표면이 오히려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라스트처리실(40)의 일측 바닥에는 배출관로(41)가 연결된다. 배출관로(41)는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금속대상물(5)로 분사된 후 바닥으로 떨어진 쇼트볼(3)을 재사용을 위해 이송시키는 쇼트볼(3)의 회수관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배출관로(41) 내에는 쇼트볼(3)의 강제이송을 위한 이송수단, 특히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쇼트볼(3)을 강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3)가 설치된다.
또한 블라스트처리실(40)의 배기관로(45)에는 블라스트처리실(4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제 1 필터유닛(47)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필터유닛(47)에는 헤파필터, VOC 필터, 활성탄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블라스트처리실(40)의 배출관로(41)의 단부측에는 쇼트볼(3)이 수집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집공간에는 배출관로(41)를 통해 배출된 쇼트볼(3)을 쇼트볼분리기(60)로 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엘리베이터(50)는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류형 이송엘리베이터 또는 버킷형 무한궤도가 구비되는 버킷형 이송엘리베이터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이송엘리베이터(50)의 상부에는 쇼트볼분리기(60)가 구비된다. 쇼트볼분리기(60)는 이송엘리베이터(50)에 의해 이송된 쇼트볼(3)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쇼트볼(3)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에를 들어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원심분리기로 형성 가능하다.
쇼트볼분리기(60)의 배기관로(61)에는 쇼트볼분리기(6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제 2 필터유닛(63)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필터유닛(63)에는 헤파필터, VOC 필터, 활성탄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쇼트볼분리기(60)에 의해 분리된 쇼트볼(3)은 쇼트볼 저장탱크(30)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쇼트볼 재순환탱크(7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쇼트볼 재순환탱크(70)는 쇼트볼 저장탱크(30)와 별개의 탱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쇼트볼 저장탱크(30) 자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도색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도색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변공기를 에어컴프레셔(10)로 압축하여 압축공기탱크(20) 내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쇼트볼 저장탱크(30) 내에 쇼트볼(3)을 충전하는 제 2 단계와, 블라스트처리실(40) 내에 금속대상물(5)을 거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압축공기탱크(20) 내의 압축공기를 압축공기라인(21)을 통해 블라스트처리실(40)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30) 내의 쇼트볼을 상기 압축공기라인(21)으로 혼입시켜 상기 블라스트처리실(40) 내에서 금속대상물(5)의 표면에 쇼트볼(3)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금속대상물(5)을 도색작업실로 이송시킨 후 상기 금속대상물(5)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금속대상물(5)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제 5 단계에서는 금속대상물(5)의 표면에 도료원액을 희석하지 않고 도료원액 그 자체를 에어리스스프레이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도료를 거조하는 제 6 단게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도색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5)을 도색하기에 앞서 쇼트볼(3)의 고압 분사를 통해 금속대상물(5) 표면 상의 스케일, 녹, 도료피막 등을 제거한 다음 도료원액이 도포되도록 함에 따라 도색품질이 향상되고 표면강도 및 도색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블라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도색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금속대상물(5)로 고압분사된 쇼트볼(3)이 수거된 후 다시 블라스처리실(44)에서 금속대상물(5)로 재분사됨에 따라 산업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기 사용중인 덤프트럭의 적재함과 같은 금속대상물(5)을 신제품과 동일한 품질로 도색처리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쇼트블라스트 장치
3 : 쇼트볼
5 : 금속대상물
10 : 에어컴프레셔
20 : 압축공기탱크
21 : 압축공기라인
23 : 가압공기라인
30 : 쇼트볼 저장탱크
31 : 쇼트볼배출기
33 : 지지다리
40 : 쇼트블라스트 처리실
41 : 배출관로
43 : 배출스크류
45 : 배기관로
47 : 제 1 필터유닛
50 : 이송엘리베이터
60 : 쇼트볼분리기
61 : 배기관로
63 : 제 2 필터유닛
70 : 쇼트볼 재순환탱크

Claims (15)

  1. 주변공기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셔(10);
    일측은 상기 에어컴프레셔(10)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며 타측에는 압축공기라인(21)이 연결되는 압축공기탱크(20);
    내부에는 쇼트볼(3)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라인(21)으로 쇼트볼을 배출하는 쇼트볼배출기(31)가 구비되는 쇼트볼 저장탱크(30);
    상기 압축공기라인(21)이 연결되고 내부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5)로 상기 압축공기라인(21)을 통해 공급된 쇼트볼(3)을 분사시키며 일측 바닥에는 배출관로(41)가 연결되는 블라스트처리실(40);
    상기 배출관로(41)를 통해 배출된 쇼트볼(3)을 이송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50);
    상기 이송엘리베이터(5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엘리베이터(50)에 의해 이송된 쇼트볼(3)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볼분리기(60); 및
    상기 쇼트볼분리기(60)에 의해 분리된 쇼트볼(3)을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30)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저장하는 쇼트볼 재순환탱크(7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라인(21)으로부터 가압공기라인(23)이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30)의 직전 위치에서 분기되고, 상기 가압공기라인(23)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30)의 내부에 쇼트볼(3)을 하부로 가압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며,
    상기 블라스트처리실(40)의 배출관로(41) 내에는 쇼트볼(3)의 강제이송을 위한 이송스크류(43)가 설치되고,
    상기 블라스트처리실(40)의 배기관로(45)에는 제 1 필터유닛(47)이 연결되며,
    상기 쇼트볼분리기(60)의 배기관로(61)에는 제 2 필터유닛(63)이 연결되고,
    상기 쇼트볼 재순환탱크(70)는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30)로 형성되며,
    상기 블라스트처리실(40)에 거치되는 금속대상물(5)은 기 사용된 덤프트럭의 적재함, 저장탱크 및 선박용 철판 중 하나이고,
    상기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블라스트처리된 금속대상물(5)은 도색작업실로 이송되어 도색처리되되, 상기 금속대상물(5)의 표면에는 도료원액이 에어리스스프레이로 도포된 후 건조되며,
    상기 쇼트볼(3)은 상기 금속대상물(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볼(3)은 철(Fe)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볼(3)은 0.3 ~ 0.9 mm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쇼트볼(3)의 분사압력은 7.0 ~ 8.6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탱크(20)의 압축공기라인(21)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쇼트볼(3)의 분사량은 100 ~ 150 kg/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처리실(40)에서 분사되는 쇼트볼(3)의 분사시간은 5 ~ 2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볼분리기(60)는 원심분리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블라스트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159444A 2018-12-11 2018-12-11 쇼트블라스트 장치 KR102053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44A KR102053460B1 (ko) 2018-12-11 2018-12-11 쇼트블라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44A KR102053460B1 (ko) 2018-12-11 2018-12-11 쇼트블라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460B1 true KR102053460B1 (ko) 2019-12-10

Family

ID=6900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444A KR102053460B1 (ko) 2018-12-11 2018-12-11 쇼트블라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691Y1 (ko) 2003-01-27 2003-04-26 권주봉 쇼트 블라스터
KR100825057B1 (ko) * 2007-07-06 2008-04-24 (주)와이제이테크 에지부용 에어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0443893Y1 (ko) * 2008-06-05 2009-03-23 최봉호 차량탑재형 이동식 표면처리 및 도장장치
KR20130019868A (ko) * 2011-08-18 2013-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폐회로 블라스팅장치
KR20140003162U (ko) 2012-11-20 2014-05-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691Y1 (ko) 2003-01-27 2003-04-26 권주봉 쇼트 블라스터
KR100825057B1 (ko) * 2007-07-06 2008-04-24 (주)와이제이테크 에지부용 에어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0443893Y1 (ko) * 2008-06-05 2009-03-23 최봉호 차량탑재형 이동식 표면처리 및 도장장치
KR20130019868A (ko) * 2011-08-18 2013-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폐회로 블라스팅장치
KR20140003162U (ko) 2012-11-20 2014-05-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3154B (zh) 在线高压水射流喷砂表面清理系统
US9022835B1 (en) Mobile abrasive blasting material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JP6444232B2 (ja) 鋼構造物の保全塗装工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循環式ブラスト装置
CN205009063U (zh) 一种前混式水喷砂机
TWI680835B (zh) 噴嘴組立體及使用該噴嘴組立體的表面處理方法
CA2086275C (en) Mobile separation system for abrasive blasting material
KR102053460B1 (ko) 쇼트블라스트 장치
WO2017141823A1 (ja) 鋼構造物の予防保全工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循環式ブラスト装置
JPH11207624A (ja) 構造物表面の研掃システム
CN110000040A (zh) 一种smc制品自动喷涂生产线
JPH09109029A (ja) 構造物表面の研掃システム
JP7011112B2 (ja) 研削材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CN202462240U (zh) 双枪环保循环回收式喷砂机
CN204748348U (zh) 无房环保型喷砂机
CN210333132U (zh) 一种smc制品自动喷涂生产线
KR20100104944A (ko) 연마제 이송관을 구비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 및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제 이송방법
US3138845A (en) Glass peening machine and dustcollecting system
JP6621507B2 (ja) サンドブラスト装置セットおよび鉄塔の素地調整方法
CN210046532U (zh) 一种除尘效果好的抛丸机
CN211992500U (zh) 一种双磨料喷砂设备
CN206484432U (zh) 一种海绵磨料喷砂除尘装置
JP7006999B1 (ja) ブラスト装置及びブラスト材回収再生方法
CN218052104U (zh) 喷砂处理设备
JPH02273207A (ja) 塗装プラスチック製品の再生処理方法
JP6949314B2 (ja) 鋼構造物の保全工法、及び鋼構造物の保全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