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42A -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42A
KR20140003142A KR1020120070914A KR20120070914A KR20140003142A KR 20140003142 A KR20140003142 A KR 20140003142A KR 1020120070914 A KR1020120070914 A KR 1020120070914A KR 20120070914 A KR20120070914 A KR 20120070914A KR 20140003142 A KR20140003142 A KR 2014000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journal cross
plate
tripo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석
김영환
권규태
심대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2007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42A/ko
Publication of KR2014000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특성에 적합하게 고정하여 해체 및 유지보수작업시 안정적으로 베어링을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고정하여 분해 및 조립하는 작업대에 있어, 상면에 상기한 베어링(1)의 바닥면을 수용되는 안치홈(2)이 구비된 판 상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에 상기 안치홈(2)의 일 측방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이 베어링(1)의 일 측면이 수용되어 고정하도록 된 수용공(4)이 구비된 수직지지수단과, 상기 몸체(3)에 상기 안치홈(2)의 타 측방에 상기 수직지지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1)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수직지지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1)이 고정되도록 된 가압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A Worktable of a Tripod Journal Cross Bearing}
본 발명은 철도에 있어 KTX열차의 동력전달장치의 일 구성품인 트리포드 저어널크로스 베어링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특성에 적합하게 고정하여 해체 및 유지보수작업시 안정적으로 베어링을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운행중인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견인전동기에서 발생한 동력이 모터감속기와 차축기어 감속장치를 거쳐 차축(윤축)에 전달되며 최종적으로는 차륜에 전달되어 열차가 움직이게 된다.
상기에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품들 중 하나인 트리포드(tripod)란 모터감속기와 차축기어 감속장치 사이에 차축(윤축)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견인전동기에서 발생한 동력을 차륜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KTX 고속열차는 고속으로 주행할 뿐만 아니라 고전력을 사용하게 되므로 견인전동기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차륜까지 전달하는 과정에서 견인전동기 자체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장치 계통에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특히 동력전달장치의 유지보수에 노력을 해야하고, 이러한 구성품들의 유지 보수 작업시 구성품을 분해 및 조립하는 작업은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는 이와 같은 KTX 고속열차의 유지 보수시에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의 분해, 조립 작업을 할 경우에는 적합한 작업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고정을 확고히 하지 못함에 따라 특히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분해와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일반적인 작업지그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분해 및 조립작업을 수행할 경우 바닥고정구와 수직지지 관의 유격이 발생하여 분해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운활하게 분해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특성에 적합하게 고정하여 해체 및 유지보수작업시 안정적으로 베어링을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는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고정하여 분해 및 조립하도록 된 작업대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한 베어링의 바닥면을 수용되는 안치홈이 구비된 판 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안치홈의 일 측방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이 베어링의 일 측면이 수용되어 고정하도록 된 수용공이 구비된 수직지지수단과, 상기 몸체에 상기 안치홈의 타 측방에 상기 수직지지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수직지지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도록 된 가압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는 하부에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가 구비된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몸체에 볼트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이 형성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판에 형성된 수용공은 일반형의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일측부가 수용되는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판의 전면에는 POS형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일측부가 수용되는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수용공이 형성된 보조지지판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판의 전면에는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판이 나사를 통해 상기 나사체결홈과 나사결합함에 따라 지지판에 착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압지지수단은 상기 몸체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판에 착탈되며 로드의 전면에 상기 베어링의 일 측면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된 수용편이 마련된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실린더의 일 부위에는 상기 고정판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체결되는 체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는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특성에 적합하게 수직지지수단과 가압지지수단을 구성하여 고정함으로써 베어링의 해체 및 유지보수작업시 안정적으로 베어링을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베어링의 종류에 따라 예컨데 일잔형 및 POS형에 따라 적합하게 교체하여 고정함으로써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의 요부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의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주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는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고정하여 분해 및 조립하는 것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업대는 상면에 상기한 베어링(1)의 바닥면을 수용되는 안치홈(2)이 구비된 판 상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에 상기 안치홈(2)의 일 측방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이 베어링(1)의 일 측면이 수용되어 고정하도록 된 수용공(4)이 구비된 수직지지수단과, 상기 몸체(3)에 상기 안치홈(2)의 타 측방에 상기 수직지지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1)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수직지지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1)이 고정되도록 된 가압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안치홈(2)에 베어링(1)의 하단이 위치되어 몸체(3)에서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지지수단에 의해 안치홈(2)에 안치된 베어링(1)이 수직지지수단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된 후 수직지지수단과 가압지지수단 사이에 베어링(1)이 위치된 후 확고히 고정되어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베어링이 흔들리거나 유동되지 않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업대에서 상기한 몸체(3)는 하부에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5)가 구비된 테이블(6)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테이블(6)에 놓인 미 도시된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베어링(1)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작업대에서 상기한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몸체(3)에 볼트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4)이 형성된 지지판(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7)에 형성된 수용공(4)은 일반형의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일측부가 수용되는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일반형의 베어링을 분해 조립할 때 고정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기한 지지판(7)의 전면에는 POS형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일측부가 수용되는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수용공(4)이 형성된 보조지지판(8)이 착탈되어, POS형 베어링의 분해 및 조립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보조지지판(8)을 지지판(7)에 착탈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일반형 및 POS형 베어링들을 원활하게 분해 및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지지판(7)의 전면에는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판(8)이 나사를 통해 상기 나사체결홈과 나사 결합함에 따라 지지판(7)에 착탈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체결요소를 통해 착탈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기한 몸체(3)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판(7)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9)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0)이 구비되어 지지판(7)이 몸체(3)에 더욱 확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업대에서 상기한 가압지지수단은 상기 몸체(3)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판(11)에 착탈되며 로드(12)의 전면에 상기 베어링(1)의 일 측면이 수용되는 수용홈(13)이 구비된 수용편(14)이 마련된 실린더(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15)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로드(12)에 의해 안치홈(2)에 놓인 베어링(1)이 수직지지수단 측으로 가압된 후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판(11)에는 상기 실린더(15)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16)이 형성되고, 실린더(15)의 일 부위에는 상기 고정판(11)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체결되는 체결판(17)이 구비되어 실린더(15)를 교체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12)의 형상이 일반형 베어링 혹은 POS형 베어링에 적합한 형태로 구비시킴에 따라 필요 시 교체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베어링(1)에 적합하게 교체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한 몸체(3)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판(11)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9)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0)이 구비되어 고정판(11)이 몸체(3)에 더욱 확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업대를 이용하여 베어링(1)을 분해 및 조립하고자 할 때, 먼저 상기 작업하고자 하는 베어링(1)이 일반형일 경우에 상기 지지판(7)에서 보조지지판(8)을 분리하고, 상기 고정판(11)에 일반형 베어링에 적합한 형태의 로드(12)를 가지는 실린더(15)를 고정하고, 상기 안치홈(2)에 베어링(1)을 올려놓는다.
이와 같이 안치홈(2)에 일반형 베어링이 올려 놓이면 실린더(15)를 구동하여 로드(12)를 이완시키면 로드(12)가 안치홈(2)에 놓인 베어링(1)의 일 측면에 접촉된 후 더욱 가압하여 지지판(7)으로 가압하여 지지판(7)과 로드(12)의 사이에 베어링(1)이 위치되게 한 후 더욱 가압하여 확고히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7)과 로드(12)의 사이에 고정된 베어링(1)을 테이블(6)에 구비된 미 도시된 각종 도구를 사용하여 분해 및 조립하면 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실린더(15)를 역 구동하여 베어링(1)을 해제 한 후 꺼내면 된다.
그리고, POS형 베어링을 분해 및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7)에 보조지지판(8)을 체결하고 고정하고, 상기 고정판(11)에 POS형 베어링에 적합한 형태의 로드(12)를 가지는 실린더(15)로 교체한 후 상술한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작업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1 : 베어링 2 : 안치홈
3 : 몸체 4 : 수용공
5 : 다리 6 : 테이블
7 : 지지판 8 : 보조지지판
9 : 가이드돌기 10 : 가이드홈
11 : 고정판 12 : 로드
13 : 수용홈 14 : 수용편
15 : 실린더 16 : 삽입홈
17 : 체결판

Claims (10)

  1. KTX 고속열차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고정하여 분해 및 조립하도록 된 작업대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한 베어링의 바닥면을 수용되는 안치홈이 구비된 판 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안치홈의 일 측방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이 베어링의 일 측면이 수용되어 고정하도록 된 수용공이 구비된 수직지지수단과,
    상기 몸체에 상기 안치홈의 타 측방에 상기 수직지지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착탈되게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수직지지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도록 된 가압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하부에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가 구비된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지지수단은 상기 몸체에 볼트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이 형성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판에 형성된 수용공은 일반형의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일측부가 수용되는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판의 전면에는 POS형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의 일측부가 수용되는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수용공이 형성된 보조지지판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판의 전면에는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판이 나사를 통해 상기 나사체결홈과 나사결합함에 따라 지지판에 착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지지수단은 상기 몸체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판에 착탈되며 로드의 전면에 상기 베어링의 일 측면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된 수용편이 마련된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실린더의 일 부위에는 상기 고정판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체결되는 체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KR1020120070914A 2012-06-29 2012-06-29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KR20140003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914A KR20140003142A (ko) 2012-06-29 2012-06-29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914A KR20140003142A (ko) 2012-06-29 2012-06-29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42A true KR20140003142A (ko) 2014-01-09

Family

ID=5013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914A KR20140003142A (ko) 2012-06-29 2012-06-29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756A1 (ko) * 2016-04-15 2017-10-19 한국철도공사 트리포트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 분해 및 조립장치
CN108087435A (zh) * 2017-12-20 2018-05-29 中山市雅乐思商住电器有限公司 一种偏心轴承装配设备
KR102515651B1 (ko)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756A1 (ko) * 2016-04-15 2017-10-19 한국철도공사 트리포트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 분해 및 조립장치
KR20170118386A (ko) 2016-04-15 2017-10-25 한국철도공사 트리포트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 분해 및 조립장치
CN108087435A (zh) * 2017-12-20 2018-05-29 中山市雅乐思商住电器有限公司 一种偏心轴承装配设备
KR102515651B1 (ko)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852B1 (ko)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 분해 및 조립장치
CN201979268U (zh) 衬套装夹具
CN106271664B (zh) 中重型车主减速器壳体轴承座裂解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106112533B (zh) 一种钻孔和攻丝复合加工中心
CN102248512A (zh) 拆卸和安装轴承的装置
KR20140003142A (ko)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용 작업대
CN209954263U (zh) 一种用于金属件加工夹具
KR20100041955A (ko) 리어액슬의 서포터 조립장치
JP6134952B1 (ja) 巻上機
CN104607907A (zh) 行星排小齿轮轴压装机
US6568890B2 (en) Inside broaching machine
KR101185775B1 (ko)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KR200484009Y1 (ko) 전동기용 기어커플링 취외장치
KR101083686B1 (ko) 엑슬빔의 끝단 가공장치
CN202245433U (zh) 玻璃纤维布卷取机的分离式双缸伸缩夹头结构
CN202438710U (zh) 一种数控电机座深孔镗床
CN101934401A (zh) 桌面式拉削机床
CN101342657A (zh) 轴向对接装配机械调整装置
CN105668379A (zh) 一种方便安装更换的轮系装置
CN105414614A (zh) 设有双铣刀的滑动式键加工机构
KR20110134553A (ko) 출력기어의 베어링 해체용 지그
CN106862962A (zh) 一种底座夹紧装置
CN102873633A (zh) 一种轴类工件内孔挤压抛光的加工方法
JP2017185618A (ja) 頭上での組立および分解中にスクリュー接続部のための保持デバイス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06159374A (ja) リニアガイド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及びリニアガイド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