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462U -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462U
KR20140002462U KR2020120009452U KR20120009452U KR20140002462U KR 20140002462 U KR20140002462 U KR 20140002462U KR 2020120009452 U KR2020120009452 U KR 2020120009452U KR 20120009452 U KR20120009452 U KR 20120009452U KR 20140002462 U KR20140002462 U KR 201400024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male member
groove
receiving groo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726Y1 (ko
Inventor
김낙준
Original Assignee
김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준 filed Critical 김낙준
Priority to KR2020120009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2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에 관한 것으로,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이동을 안내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하며 끈이 통과하는 2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암부재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끈을 고정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접근 이동하는 동시에 상대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단지 손가락의 작은 누름력만으로 가볍게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상호 걸림 또는 걸림 해제할 수 있다. 즉, 코드 록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ONE-TOUCH ASSEMBLY TYPE CORD LOCK}
본 발명은 코드 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작업이 용이한 코드 록에 관한 것이다.
코드 록(cord lock)은 끈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암부재와 수부재를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끈을 고정하거나 끈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장치이다.
코드 록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하기 선행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코드 록(R)은 수부재(1)와, 상기 수부재(1)의 일부가 탄지수단(3)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면서 압입조작이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암부재(2)를 가지며, 상기 수부재(1)의 소정의 압입 위치에서 상기 수부재(1) 및 암부재(2)의 측부에 형성된 끈의 관통구멍(13,22)이 정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1)와 암부재(2)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상기 수부재(1)를 상기 암부재(2) 내로 끼워넣는 과정에서 수부재(1)의 양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5)의 경사면(15c)이 피걸어맞춤부(25)에 맞닿음으로써 1쌍의 피걸어맞춤부(25,25)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피걸어맞춤부(25)를 탄성 변형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15)의 정상부(15a)가 상기 피걸어맞춤부(25)의 아래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걸어맞춤부(15)의 정상부(15a)가 상기 피걸어맞춤부(25)의 아래에 끼워지면 피걸어맞춤부(25)는 탄성복귀하게 되며, 상기 걸어맞춤부(15)의 걸어맞춤면(15b)이 탄지수단(3)의 탄지에 의해 상기 피걸어맞춤부(25)의 하면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수부재(1)와 암부재(2)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부재(1)가 암부재(2) 내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어맞춤부(15)가 피걸어맞춤부(25)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커다란 힘이 필요하므로 망치 등의 타격 도구가 필요할 수밖에 없고, 상기 타격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부재(1)와 암부재(2)의 접촉부분이 손상되어 불량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적 작은 부피의 수부재(1)와 암부재(2)를 대상으로 타격을 해야 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어렵고 조립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수부재(1)와 암부재(2)가 플라스틱 등 금속보다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자체적인 강도가 약하여 사용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 불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불량의 발생으로 수율이 좋지 않아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32520호(코드 록)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경도가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더라도 조립작업이 용이한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은,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이동을 안내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하며 끈이 통과하는 2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암부재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끈을 고정하는 코드 록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접근 이동하는 동시에 상대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부재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암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하며 상기 안내홈과 연결되는 걸림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용홈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걸림구멍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구멍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걸림구멍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부재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암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용홈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통공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의 바닥과 대향하는 상기 수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접근 이동하는 동시에 상대 회전 이동하여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걸림 결합하게 되어 있으므로, 단지 손가락의 작은 누름력만으로 가볍게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상호 걸림 또는 걸림 해제할 수 있다. 즉, 코드 록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하며 조립시간도 절감되고 조립시 제품 손상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수부재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암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하며 상기 안내홈과 연결되는 걸림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접근 이동하는 동시에 상대 회전 이동하는 동작이 매우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립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어 재료낭비로 인해 생산원가가 올라가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용홈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걸림구멍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수용홈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삽입된 후,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무리없이 상기 걸림구멍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홈만 대응시키면 간단히 수부재와 암부재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걸림구멍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걸림구멍의 측면에 연결되므로, 안내돌기가 상기 안내홈과 걸림구멍 사이의 날카로운 걸림턱에 걸려서 스스로 안내홈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의 바닥과 대향하는 상기 수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이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중 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중 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과 끈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종단면도이다.
도 5(a)~(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에서 안내돌기와 안내홈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안내홈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에서 안내돌기와 안내홈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5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의 종단면도이고, 도 5(a)~(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에서 안내돌기와 안내홈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1000)은, 수부재(100)와, 상기 수부재(100)를 수용하는 동시에 이동을 안내하는 수용홈(21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210)과 연통하며 끈(C)이 통과하는 2개 이상의 통공(220)이 형성되는 암부재(200)와, 상기 수용홈(210) 내에서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끈(C)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상기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서로 접근하도록 눌려진 경우 상기 끈(C)의 고정이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부재(100)의 양측면에는 끈(C)이 통과하는 통과홈(110) 또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서로 접근하도록 눌려져 상기 통과홈(110) 또는 통과공이 상기 암부재(200)의 통공(220)과 일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끈(C)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통과홈(110) 또는 통과공이 상기 암부재(200)의 통공(220)과 어긋나는 경우 상기 끈(C)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상호 접근 이동하는 동시에 상대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상호 걸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단지 손가락의 힘만으로 가볍게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를 상호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코드 록(1000)에 따르면, 상기 수부재(100)의 외측면에 안내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210)을 형성하는 암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200)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210)과 연통하며 상기 안내홈(230)과 연결되는 걸림구멍(240)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230)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상기 안내홈(230)은 상기 수용홈(210)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걸림구멍(240)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120)가 상기 수용홈(210)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안내홈(230)을 따라 삽입된 후,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홈(230)을 따라 무리없이 상기 걸림구멍(240)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홈(230)으로 인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서로에 대해 눌려져서 상호 접근 이동할 때, 상기 안내돌기(120)가 상기 안내홈(23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상대 회전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안내돌기(120)는 자연스럽게 상기 걸림구멍(240)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의 상호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돌기(120)가 상기 걸림구멍(240)의 단부에 걸려서 상기 수부재(100)가 암부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걸림구멍(240)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장공(長孔)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내홈(230)은 상기 원호형 단부를 벗어난 걸림구멍(240)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돌기(120)가 상기 안내홈(230)과 걸림구멍(240) 사이의 날카로운 걸림턱(250)에 걸려서 스스로 안내홈(230)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암부재(200)의 수용홈(210) 바닥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210)의 바닥과 대향하는 상기 수부재(100)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300)이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230)에 형성된 경사진 부분은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1000')이 나타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1000')은, 수부재(100')와, 상기 수부재(100')를 수용하는 동시에 이동을 안내하는 수용홈(21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210')과 연통하며 끈(미도시)이 통과하는 2개 이상의 통공(220')이 형성되는 암부재(200')와, 상기 수용홈(210') 내에서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부재(100')에는 끈이 통과하는 통과홈 또는 통과공(1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가 서로 접근하도록 눌려져 상기 통과홈(110') 또는 통과공이 상기 암부재(200')의 통공(220')과 일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끈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통과홈(110') 또는 통과공이 상기 암부재(200')의 통공(220')과 어긋나는 경우 상기 끈이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수부재(100')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210')을 형성하는 암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230')은 통공(220')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230')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수부재(100')와 암부재(200') 사이의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안내돌기(120')가 걸리는 별도의 걸림구멍 대신 통공(220')에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공(220')에 상기 안내돌기(120')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통공(220')을 통해 끈(미도시)을 통과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230')은 상기 수용홈(210')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통공(220')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수부재
110... 통과홈
120... 안내돌기
150... 삽입홈
200... 암부재
210... 수용홈
211... 걸림돌기
220... 통공
230... 안내홈
240... 걸림구멍
250... 걸림턱
300... 스프링
1000... 코드 록
C... 끈

Claims (8)

  1.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이동을 안내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하며 끈이 통과하는 2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암부재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끈을 고정하는 코드 록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접근 이동하는 동시에 상대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가 상호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암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하며 상기 안내홈과 연결되는 걸림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용홈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걸림구멍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멍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걸림구멍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암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용홈의 개방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구간까지 상기 상호 접근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연이어서 상기 통공까지 상기 상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의 바닥과 대향하는 상기 수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8.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KR2020120009452U 2012-10-19 2012-10-19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KR200472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52U KR200472726Y1 (ko) 2012-10-19 2012-10-19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52U KR200472726Y1 (ko) 2012-10-19 2012-10-19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62U true KR20140002462U (ko) 2014-04-29
KR200472726Y1 KR200472726Y1 (ko) 2014-05-21

Family

ID=5149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52U KR200472726Y1 (ko) 2012-10-19 2012-10-19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658A (ko) * 2014-11-05 2016-05-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버클 장치
CN110578771A (zh) * 2018-06-08 2019-12-17 香港多耐福有限公司 绳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867B1 (en) 2019-09-08 2021-09-21 Productive Collaboration, LLC Push button slide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282676B1 (ko) * 2019-09-23 2021-07-27 김재옥 끈멈춤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311U (ja) * 1992-02-12 1993-11-02 吉田工業株式会社 紐類の抜止具
JPH0593224U (ja) * 1992-05-20 1993-12-21 吉田工業株式会社 紐締め具
JP2586970Y2 (ja) * 1992-11-04 1998-12-14 スコービ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プッシュ式紐調節具
KR100758543B1 (ko) 2006-10-19 2007-09-13 유영실 끈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658A (ko) * 2014-11-05 2016-05-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버클 장치
CN110578771A (zh) * 2018-06-08 2019-12-17 香港多耐福有限公司 绳锁
CN110578771B (zh) * 2018-06-08 2022-06-21 香港多耐福有限公司 绳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726Y1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726Y1 (ko)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JP6029741B2 (ja) バックル
KR100759011B1 (ko) 유체 이송 시스템용 커플링
US9113680B2 (en) Buckle
US10439325B2 (en) Swivelling lever arrangement for housing arrangement
JP2008544164A (ja) プラスチックファスナー
JP5181573B2 (ja) コネクタ
KR101295969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JP6764883B2 (ja) バックル
JP201902149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85260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RU199639U1 (ru) Прямолинейно собранный, легко соединяющийся износостойкий блок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5256904B2 (ja) トリガスイッチ
KR20130054245A (ko) 의료용 스테이플러
KR101758426B1 (ko) 다점식 버클
CN101454603A (zh) 用于连接两根设计为分别具有末端凸缘的管的套环
WO2020115894A1 (ja) バックル用のプラグ及びバックル
JP5147792B2 (ja) 留め具
KR101274751B1 (ko) 차량용 휠가드 조립체
GB2290105A (en) Cord clamp
JP2013045608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JP5931040B2 (ja) バックル
CN107455857B (zh) 带扣
KR101545708B1 (ko) 조립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