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969B1 -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969B1
KR101295969B1 KR1020110058476A KR20110058476A KR101295969B1 KR 101295969 B1 KR101295969 B1 KR 101295969B1 KR 1020110058476 A KR1020110058476 A KR 1020110058476A KR 20110058476 A KR20110058476 A KR 20110058476A KR 101295969 B1 KR101295969 B1 KR 10129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lock member
lock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08A (ko
Inventor
츠요시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0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1)에 있어서, 파이프(2)가 끼워지고 빠지는 커넥터 본체(3)와; 파이프(2)를 거는 파이프 걸림부(23)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걸림부(23)가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로크위치와 상기 파이프(2)를 걸은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커넥터 본체(3)에 유지되는 로크부재(4)와; 로크부재(4)를 로크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33,41);을 구비하고, 파이프 걸림부(23)는 로크부재(4)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탄지수단(33,41)이 상기 커넥터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후면(34a), 하측 외주면(57a) 및 경사면(62a)에 맞닿음으로써 탄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탄지수단(33,41)의 탄지력에 의해서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대상에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로서, 파이프가 끼워지고 빠지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며, 삽입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에는 커넥터 본체의 둘레면에 개구되는 구멍 내에 유지됨과 아울러 커넥터의 지름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훅을 가지는 유지 암이 형성되고, 상기 훅은 그 선단의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로크부재가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의 벌지(bulge)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파이프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경사면이 커넥터 본체의 구멍의 주연부에 눌려짐으로써 그 반지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유지 암의 후단측에 접속된 해제 암이 눌려지면, 로크부재가 파이프의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훅의 경사면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어 훅은 지름방향 외측(파이프의 연결이 해제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107085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커넥터에 연결된 파이프에 이것을 빼내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로크부재가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훅의 경사면에 대한 누름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파이프는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로크부재에 대해서 파이프의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사용자에 의한 통상의 해제 조작과는 관계 없이 파이프의 벌지부에 대한 훅의 걸어맞춤이 해제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파이프(2)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1)로서, 상기 파이프(2)가 끼워지고 빠지는 커넥터 본체(3)와; 상기 파이프(2)를 거는 파이프 걸림부(23)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걸림부(23)가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로크위치와 상기 파이프(2)를 걸은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3)에 대해서 유지되는 로크부재(4)와; 상기 로크부재(4)를 상기 로크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33,41);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걸림부(23)는 상기 로크부재(4)가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탄지수단(33,41)이 상기 커넥터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후면(34a), 하측 외주면(57a) 및 경사면(62a)에 맞닿음으로써 탄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탄지수단(33,41)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3)와 상기 로크부재(4)는, 일방에 가이드 면(28b,57a)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방에 상기 로크부재(4)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 면(28b,57a)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드 접촉부(26a,51)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걸림부(23)는 상기 탄지수단(33,41)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26a,51)가 상기 가이드 면(28b,57a) 상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33,41)은 상기 커넥터 본체(3)와 상기 로크부재(4) 중 일방에 형성되고, 그 타방에 맞닿아서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탄지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탄지편(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걸림부(23)는 상기 커넥터 본체(3)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26a) 또는 상기 가이드 면(28b) 중 일방이 상기 파이프 걸림부(2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51)가 상기 탄성 탄지편(3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파이프 걸림부는 로크부재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파이프를 거는 방향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로크부재에 대한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파이프를 거는 방향으로 파이프 걸림부를 변위시키는 힘으로 용이하게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간이하고 컴팩트한 구성이면서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부품수가 적은 간이한 구성이면서, 로크부재에 대한 탄지력을 이용하여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제 4 및 제 5 측면에 의하면, 간이하고 컴팩트한 구성이면서, 로크부재에 대한 탄지력을 이용하여 파이프와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Ⅵ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해제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
도 12는 도 9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연결동작에 있어서의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히 설명이 없는 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및 파이프에 관한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서 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1)(이하, 간단히 '커넥터'라 한다)는 유체 수송용 파이프(2)를 연결대상(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유체 수송용 호스)에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파이프(2)가 끼워지고 빠지는 커넥터 본체(3)와, 상기 커넥터 본체(3)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며, 그 전후 이동에 따라서 파이프(2)를 고정하고 또한 이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로크부재(4)로 크게 구성된다.
커넥터 본체(3)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가 외주부에 장착되는 통형상의 파이프 삽입부(11)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11)의 전단부에서 하측으로 향해서 연이어 형성된 호스 접속부(12)를 구비한다. 호스 접속부(12)에는 파이프(2)의 연결대상이 되는 유체 수송용 호스가 접속된다. 파이프 삽입부(11)는 상하와 좌우가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파이프(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3) 내에는 유로를 밀봉하기 위한 2개의 O링(14,15), 스페이서(16) 및 부시(17)가 장착된다.
로크부재(4)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통형상의 부재로서, 상하와 좌우가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로크부재(4)의 좌우에는 그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향해서 길게 형성된 상하의 슬릿(21,22)에 의해서 구획된 탄성 걸림편(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림편(23)의 자유단부에는 로크부재(4)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걸림돌조(2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걸림편(23)은 전방의 기단부(23a)를 지지점으로 하여 걸림돌조(25)를 로크부재(4)의 지름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걸림돌조(25)는 커넥터 본체(3)의 좌우의 걸림 개구부(26)에 외측에서 삽입됨으로써 파이프(2)에 대해서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파이프(2)의 외주부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서 플랜지형상의 벌지(bulge)부(27)(도 5 참조)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벌지부(27)는 파이프(2)가 커넥터(1)에 연결되었을 때에 걸림돌조(25)에 의해서 걸리게 된다. 또, 걸림돌조(25)는 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그 본체부(25a)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대략 삼각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돌기부(28)를 가지고 있다.
또, 로크부재(4)의 상하에는 그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향해서 길게 형성된 좌우의 슬릿(31,32)에 의해서 구획된 탄성 탄지편(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탄성 탄지편(33)은 후방의 기단부(33a)를 지지점으로 하여 자유단부(33b)를 로크부재(4)의 지름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커넥터 본체(3)의 파이프 삽입부(11)의 전단부에는 탄성 탄지편(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돌편(34)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3∼도 7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커넥터(1)와 파이프(2)의 연결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연결되기 전의 커넥터(1)에서는 로크부재(4)가 초기 위치에 있고, 또 탄성 걸림편(23)이 변형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 있다. 이 때, 탄성 탄지편(33)은 그 자유단부(33b)가 커넥터 본체(3)의 돌편(34)의 경사진 후면(34a)(도 2 참조)에 놓여짐으로써 지름방향 외측으로 탄성변형된 상태에 있다. 로크부재(4)는 탄성 탄지편(33)의 탄성 복원력(탄지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된 상태에 있다. 또한, 탄성 걸림편(23)은 그 걸림돌조(25)가 커넥터 본체(3)의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에 맞닿음과 동시에 이 후연부(26a)에 돌기부(28)가 걸림으로써 지름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넥터 본체(3)의 삽입구멍(13)에 파이프(2)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지부(27)가 걸림돌조(25)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이프(2)를 더 전방으로 압입하면, 로크부재(4)가 탄성 탄지편(33)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걸림돌조(25)가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돌기부(28)와의 걸림상태도 해제된다. 이 때, 파이프(2)의 벌지부(27)가 돌기부(28)의 내측 경사면(28a)(도 6 참조)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돌조(25)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면서 벌지부(27)를 타고넘어서 그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가 로크위치(상기한 초기 위치와 같은 위치)로 되돌아오고, 파이프(2)의 벌지부(27)가 걸림돌조(25)에 의해서 걸림으로써 파이프(2)의 커넥터(1)에 대한 연결이 완료된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는 그 내측의 모서리부가 돌기부(28)의 외측 경사면(28b)에 슬라이드 접촉한 상태에 있다. 외측 경사면(28b)은 후방으로 향하여 갈수록 지름방향 외측에서 지름방향 내측으로 향하도록 파이프(2)의 삽입방향(전후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탄성 탄지편(33)의 탄지력은 걸림돌조(25)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지름방향 내측{즉,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걸림돌조(25)는 그 돌기부(28)가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의 전방 내측으로 깊숙히 파고 들어가도록 탄지되며, 즉 벌지부(27)에 대한 걸림돌조(25)의 걸림상태가 강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탄성 탄지편(33)의 탄지력을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걸림돌조(25)를 변위시키는 힘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외측 경사면(28b)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경사면을 커넥터 본체(3) 측에 형성하고,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와 같은 기능을 하는 부위를 탄성 걸림편(23) 측에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사용자가 로크부재(4)의 상하에 형성된 파지부(4a)를 손가락으로 집고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위치에 있는 로크부재(4)를 전방의 로크해제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탄성 걸림편(23)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23b)에 대해서 커넥터 본체(3)의 걸림 개구부(26)의 전연부(26b)가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써, 탄성 걸림편(23)이 지름방향 외측으로 탄성변형한다. 이것에 의해서, 파이프(2)의 삽입시와 마찬가지로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에 대한 돌기부(28)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걸림돌조(25)가 외측으로 변위함으로써 벌지부(27)에 대한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경사면(23b)은 외측 경사면(28b)과 마찬가지로 파이프(2)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며, 또 상기한 파이프(2)의 연결시에도 같게 기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1)에서는 탄성 걸림편(23)이 상기 로크부재(4)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파이프(2)의 걸림방향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파이프(2)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과는 관계 없이, 로크부재(4)에 대해서 작용하는 파이프(2)의 고정을 해제하는 방향의 힘{즉, 로크부재(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로크부재(4)를 로크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탄지편(33)과 돌편(34)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와 로크부재(4)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41)을 탄지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3)의 파이프 삽입부(11)에는 압축 스프링(41)의 전단측을 지지하는 원환형상의 스프링 지지부(42)가 상기한 돌편(34) 대신에 형성되고, 또 로크부재(4)의 전단측에는 압축 스프링(41)의 후단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유지 스페이스를 구획하는 단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도 9∼도 13을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도 13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특히 언급하는 사항을 제외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로크부재(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중앙에서 각각 좌우 하측으로 연장되는 1쌍의 만곡 암형상의 탄성 탄지편(33)과, 상기 1쌍의 탄성 탄지편(33) 사이에 배치되되 상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1쌍의 다리형상의 걸림편(23)을 가진다. 탄성 탄지편(33)의 자유단부에는 걸어맞춤돌조(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걸림편(23)은 탄성변형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또, 로크부재(4)는 커넥터 본체(3)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며, 그 상하 이동에 따라서 파이프(2)를 고정하고 또한 이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또, 커넥터 본체(3)에는 로크부재(4)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유지하면서 그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1쌍의 가이드 편(53,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가이드 편(53,54)에 의해서 로크부재(4)의 부착부(57)가 구획되어 있다. 부착부(57)의 좌우에는 걸어맞춤오목부(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파이프(2)가 끼워지고 빠지는 삽입구멍(13)에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로를 밀봉하기 위한 O링 등이 장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커넥터(1)와 파이프(2)의 연결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연결되기 전의 커넥터(1)에서는 로크부재(4)가 커넥터 본체(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로크해제위치(초기 위치)에 있다. 이 때, 탄성 탄지편(33)은 그 선단의 걸어맞춤돌조(51)가 커넥터 본체(3)의 걸어맞춤오목부(52)에 각각 걸어맞춰진 상태에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탄성 탄지편(33)은 그 기단부(33a)를 지지점으로 하여 약간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부착부(57)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 1쌍의 걸림편(23)은 그 선단부가 부착부(57)의 상부에 형성된 1쌍의 걸림 개구부(26)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넥터 본체(3)의 삽입구멍(13)에 대해서 도 10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파이프(2)를 삽입한 후,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를 하측의 로크위치까지 하측으로 눌러 내린다. 이 때, 걸림편(23)은 그 하단 내측에 형성된 원호부(23c)가 파이프(2)의 벌지부(27)의 후방에 있어서의 상부 외주면에 맞닿게 된다. 또, 1쌍의 걸림편(23) 사이에 형성된 부착홈(55)에 대해서 1쌍의 걸림 개구부(26) 사이에 형성된 부착바(56)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파이프(2)의 벌지부(27)가 걸림편(23)에 의해서 걸림으로써, 파이프(2)의 커넥터(1)에 대한 연결이 완료된다.
또, 이 때, 탄성 탄지편(33)의 걸어맞춤돌조(51)는 커넥터 본체(3)의 걸어맞춤오목부(52)에서 빠져나와서 부착부(57)의 하측 외주면(57a)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탄성 탄지편(33)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상태보다 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되므로, 그 걸어맞춤돌조(51)가 부착부(57)의 하측 외주면(57a)의 좌우에 슬라이드 접촉한 상태가 된다. 하측 외주면(57a)은 부착부(57)의 하부 중앙으로 향해서 내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탄성 탄지편(33)의 탄성 복원력(탄지력)은 로크부재(4){걸림편(23)}를 하측{즉,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걸림편(23)은 그 원호부(23c)가 파이프(2)의 상부 외주면을 누루도록 탄지되기 때문에,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연결상태{즉, 벌지부(27)에 대한 걸림편(23)의 걸림상태}가 강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연결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돌조(51)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착부(57)에는 그 좌우 측벽에 융기부(5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연결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도 14∼도 17을 참조하면서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도 17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특히 언급하는 사항을 제외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로크부재(4)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와 좌우가 대칭인 형상을 가지며, 그 전단측의 환형상부(4b)에서 후방으로 향해서 좌우 1쌍의 탄성 걸림편(23)이 돌설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림편(23)은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환형상부(4b)에 연이어지는 전방의 기단부(23a)를 지지점으로 하여 걸림돌조(25)를 로크부재(4)의 지름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또, 로크부재(4)에는 환형상부(4b)에서 후방으로 향해서 상하 1쌍의 탄성 탄지편(33)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탄성 탄지편(33)은 환형상부(4b)에 연이어지는 전방의 기단부(33a)를 지지점으로 하여 자유단부(33b)를 로크부재(4)의 지름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탄성 탄지편(33)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유단부(33b)에서 지름방향 내측{파이프 삽입부(11) 측}으로 향해서 돌기부(33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 삽입부(11)의 상하의 외주면은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후측 외주면(11a)이 전측 외주면(11b)에 비해서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다. 후측 외주면(11a)에는 돌편(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편(61)의 전면이 탄성 탄지편(33)의 자유단부(33b)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탄성 탄지편(33)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돌편(61)의 전방에는 전측 외주면(11b)에서 후측 외주면(11a)으로 연이어지는 경사면(62a)을 가지는 경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커넥터(1)와 파이프(2)의 연결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연결되기 전의 커넥터(1)에서는 로크부재(4)가 초기 위치에 있다. 이 때, 탄성 탄지편(33)은 그 자유단부(33b)가 지름방향 외측으로 탄성변형됨과 동시에 돌기부(33c)가 경사면(62a)에 슬라이드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4)는 탄성 탄지편(33)의 탄성 복원력(탄지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탄성 걸림편(23)은 그 걸림돌조(25)가 커넥터 본체(3)의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에 맞닿음과 동시에 이 후연부(26a)에 돌기부(28)가 걸림으로써 지름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파이프(2)를 커넥터 본체(3)에 대해서 삽입함으로써, 로크부재(4)가 탄성 탄지편(33)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걸림돌조(25)가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돌기부(28)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걸림돌조(25)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면서 벌지부(27)를 타고넘어서 그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가 로크위치(상기한 초기 위치와 같은 위치)로 되돌아오고, 파이프(2)의 벌지부(27)가 걸림돌조(25)에 의해서 걸림으로써 파이프(2)의 커넥터(1)에 대한 연결이 완료된다. 이 때, 탄성 탄지편(33)의 탄성 복원력(탄지력)은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크부재(4){걸림돌조(25)}를 지름방향 내측{즉,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도 6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돌조(25)는 그 돌기부(28)가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의 전방 내측으로 깊숙히 파고 들어가도록 탄지되며, 즉 벌지부(27)에 대한 걸림돌조(25)의 걸림상태가 강고하게 유지된다.
또, 도 7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사용자가 로크부재(4)의 상하에 형성된 파지부(4a)를 손가락으로 집고서, 로크위치에 있는 로크부재(4)를 전방의 로크해제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걸림 개구부(26)의 후연부(26a)에 대한 돌기부(28)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벌지부(27)에 대한 걸림돌조(25)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에서도 탄성 걸림편(23)이 상기 로크부재(4)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파이프(2)와의 연결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파이프의 연결대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호스 접속부에 접속되는 호스에 한정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 접속부를 형성하지 않고, 파이프의 연결대상이 될 수 있는 기기의 하우징 등의 일부로서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각 구성요소는 반드시 모두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적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2 - 파이프
3 - 커넥터 본체 4 - 로크부재
23 - (탄성) 걸림편(파이프 걸림부) 25 - 걸림돌조
26a - 후연부(슬라이드 접촉부) 26b - 전연부
27 - 벌지(bulge)부 28 - 돌기부
28b - 외측 경사면(가이드 면) 33 - 탄성 탄지편(탄지수단)
34 - 돌편 41 - 압축 스프링(탄지수단)
51 - 걸어맞춤돌조(슬라이드 접촉부) 52 - 걸어맞춤오목부
53,54 - 가이드 편 57 - 부착부
57a - 하측 외주면(가이드 면)

Claims (5)

  1. 파이프(2)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1)로서,
    상기 파이프(2)가 끼워지고 빠지는 커넥터 본체(3)와;
    상기 파이프(2)를 거는 파이프 걸림부(23)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걸림부(23)가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로크위치와 상기 파이프(2)를 걸은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3)에 대해서 유지되는 로크부재(4)와;
    상기 로크부재(4)를 상기 로크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33,41);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걸림부(23)는 상기 로크부재(4)가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탄지수단(33,41)이 상기 커넥터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후면(34a), 하측 외주면(57a) 및 경사면(62a)에 맞닿음으로써 탄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탄지수단(33,41)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3)와 상기 로크부재(4)는, 일방에 가이드 면(28b,57a)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방에 상기 로크부재(4)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 면(28b,57a)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드 접촉부(26a,51)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걸림부(23)는 상기 탄지수단(33,41)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26a,51)가 상기 가이드 면(28b,57a) 상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파이프(2)를 거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33,41)은 상기 커넥터 본체(3)와 상기 로크부재(4) 중 일방에 형성되고, 그 타방에 맞닿아서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탄지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탄지편(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걸림부(23)는 상기 커넥터 본체(3)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26a) 또는 상기 가이드 면(28b) 중 일방이 상기 파이프 걸림부(2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51)가 상기 탄성 탄지편(3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20110058476A 2010-06-28 2011-06-16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1295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5947A JP5613478B2 (ja) 2010-06-28 2010-06-28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JPJP-P-2010-145947 2010-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08A KR20120001608A (ko) 2012-01-04
KR101295969B1 true KR101295969B1 (ko) 2013-08-13

Family

ID=4540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476A KR101295969B1 (ko) 2010-06-28 2011-06-16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22914B2 (ko)
JP (1) JP5613478B2 (ko)
KR (1) KR101295969B1 (ko)
CN (1) CN102959304B (ko)
WO (1) WO2012001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78454T3 (es) * 2013-11-06 2020-08-10 Becton Dickinson & Co Ltd Sistema conectador con un miembro de bloqueo para un dispositivo médico
US10458583B2 (en) * 2015-08-31 2019-10-29 A. Raymond Et Cie Unlocking tool for a quick connector assembly
CN107883087B (zh) * 2017-12-13 2024-04-30 浙江方顿仪表阀门有限公司 一种接头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DE102019108768A1 (de) * 2019-04-03 2020-10-08 Norma Germany Gmbh Einsatzstück zum Einsetzen in eine Schnellverbinder-Vorrichtung für Fluidleitungen
DE102019111865A1 (de) * 2019-05-07 2020-11-12 Illinois Tool Works Inc. Kopplungssystem
DE202020107414U1 (de) * 2020-12-18 2022-03-21 Neoperl Gmbh Schlauchanschlu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1124A1 (en) * 2007-10-08 2009-04-09 Staubli Faverges Female coupling element and a coupling including such an element
JP4330415B2 (ja) * 2003-10-01 2009-09-16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803A (en) * 1986-02-26 1987-04-28 Suncast Corporation Quick coupling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liquid conduits
US5284369A (en) * 1990-08-24 1994-02-08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JPH086867B2 (ja) * 1990-08-24 1996-01-2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2753774B1 (fr) 1996-09-24 1998-11-20 Connecteur rapide a verrouillage
JP3319712B2 (ja) * 1997-11-14 2002-09-03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雌部材
DE19831897C2 (de)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JP4462671B2 (ja) * 1998-09-17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JP3494581B2 (ja) * 1998-12-15 2004-02-09 東亜高級継手バルブ製造株式会社 管継手
JP4085362B2 (ja) * 2002-05-23 2008-05-1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JP4663254B2 (ja) * 2004-05-25 2011-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SE529111C2 (sv) * 2005-09-30 2007-05-02 Itw Sverige Ab Kopplingsanordning för sammankoppling av rörformade segment samt kopplingssystem innefattande kopplingsanordning
BRPI0619152A2 (pt) * 2005-12-06 2011-09-20 Tokai Rubber Ind Ltd conector rápido capaz de ser instalado com um verificador, verificador capaz de ser instalado em um conector rápido, e conector rápido
JP2009270606A (ja) * 2008-05-02 2009-11-19 Benex Corp 管継手の製造方法
JP5420991B2 (ja) * 2008-09-30 2014-02-1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0415B2 (ja) * 2003-10-01 2009-09-16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US20090091124A1 (en) * 2007-10-08 2009-04-09 Staubli Faverges Female coupling element and a coupling including such an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1903A1 (ja) 2012-01-05
JP2012007704A (ja) 2012-01-12
US20130221665A1 (en) 2013-08-29
CN102959304A (zh) 2013-03-06
JP5613478B2 (ja) 2014-10-22
CN102959304B (zh) 2015-09-30
US9822914B2 (en) 2017-11-21
KR20120001608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969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JP6250126B2 (ja) 自動連結による安全なチューブカップリング
KR101421857B1 (ko) 커넥터
JP5306868B2 (ja)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KR101797866B1 (ko) 커넥터
JP4926239B2 (ja) 流体パイプカップリング
CN110220056B (zh)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KR100769998B1 (ko)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JP2008016261A (ja) コネクタ
CN108139009B (zh) 连接器
JP2006086090A (ja) コネクタ
JP4543953B2 (ja) コネクタ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4924902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6281543B2 (ja) コネクタ
JP6142836B2 (ja) コネクタ
CN210459421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KR101788931B1 (ko) 커넥터
WO2012096143A1 (ja) パイプコネクタ
JP5931040B2 (ja) バックル
US20240019061A1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ame
KR200497939Y1 (ko) 검증기 기구를 갖는 퀵 커넥터
JP6284075B2 (ja) コネクタ
CN117386910A (zh) 母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JP201617099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