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426B1 - 다점식 버클 - Google Patents

다점식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426B1
KR101758426B1 KR1020140013542A KR20140013542A KR101758426B1 KR 101758426 B1 KR101758426 B1 KR 101758426B1 KR 1020140013542 A KR1020140013542 A KR 1020140013542A KR 20140013542 A KR20140013542 A KR 20140013542A KR 101758426 B1 KR101758426 B1 KR 10175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ngaging
buckle
engagement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906A (ko
Inventor
가쿠 카와구치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10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7Four-point seat belt systems, e.g. with the two upper points connect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강성이 높고, 결합 상태가 견고하며, 조작이 용이한 다점식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벨트의 단부가 장착된 복수의 제1 결합 부재(20) 및 복수의 제2 결합 부재(30)가 결합 가능하고,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하는 결합구(13)가 양 옆쪽에 개구하며, 제2 결합 부재(30)가 인접하여 끼워맞춤 하는 끼워맞춤부(18)가 제1 결합 부재(20)의 결합 방향에 교차하는 한쪽 방향으로 형성한 버클 본체(10)에,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를 결합하여 다점식 버클을 구성한다. 끼워맞춤부(18)를, 버클 본체(10)의 본체 주면(15)으로부터 돌출한 본체 돌부(16)와, 본체 주면(15)의 내측에 형성한 중실부(14)로 구성하며,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주면(35)에 본체 돌부(16)와 끼워맞춤 하는 제2 부재 홈부(36)를 개구한다.

Description

다점식 버클{MULTI-WAY BUCKLE ASSEMBLY}
본 발명은, 복수의 벨트를 일점에서 연결하는 버클인 다점식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교통수단의 좌석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 벨트에는, 복수의 벨트를 일점에서 연결하는 버클인 다점식 버클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점식 버클로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다점식 버클 조립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다점식 버클 조립체는, 복수의 개구부(開口部)와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벨트의 걸림(係止) 상태를 해제하는 버튼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의 개구부의 각각에 삽입됨과 아울러 본체의 내부에서 버튼의 일부와 걸려서 본체와 끼워맞춤(嵌合) 하는 주(主) 텅(tongue) 부재와, 본체의 홈에 끼워맞춤 되는 측부(側部) 텅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543,101호 명세서
그러나 상기한 다점식 버클 조립체는, 본체의 홈에 끼워맞춤 된 측부 텅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측부 텅 부재에 의해 홈이 강제로 벌려져 내측으로부터 본체가 타파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점식 버클 조립체는 측부 텅이 끼워맞춤 되는 홈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주 텅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좁게 형성되어, 주 텅 부재를 삽입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다. 즉, 강성(剛性)이 높고, 결합 상태가 견고하며, 조작이 용이한 다점식 버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벨트의 단부가 장착된 복수의 제1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結合口)가 양 옆쪽에 개구됨과 아울러, 벨트의 단부가 장착된 복수의 제2 결합 부재가 인접하여 끼워맞춤 되는 끼워맞춤부(嵌合部)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한쪽에 형성된 버클 본체에,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결합된 다점식 버클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가, 상기 버클 본체의 주면(周面)인 본체 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본체 돌부(突部)와, 상기 본체 주면의 내측에 형성된 중실부(中實部)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이 제2 결합 부재의 주면인 제2 부재 주면의 한쪽에 개구되어 상기 본체 돌부와 끼워맞춤 되는 제2 부재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상기 제2 부재 홈부에, 이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단(開放端)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 홈부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방단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돌부와 끼워맞춤 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부재 주면의 한쪽이 상기 본체 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이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부재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만곡(灣曲)하여 상기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드라진(延出) 제2 부재 다리편(脚片)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1 부재 홈부에 상기 제2 부재 다리편을 끼워맞춤 시켜서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상기 본체 주면이, 상기 결합구로부터 상기 본체 돌부까지 만곡하거나, 또는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상기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 돌부가 버클 본체의 본체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주면의 내측을 중실(中實)로 할 수 있다. 버클 본체는, 중실부(中實部)가 형성된 것에 의해 본체 돌부 및 그 근방의 본체 주면이 견고하다. 따라서, 버클 본체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버클 본체와 제2 결합 부재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 돌부가 버클 본체의 본체 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의 내측에 있어서 제1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結合口)가 차지하는 비율을 크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큰 제1 결합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제2 부재 홈부에,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단이 형성되고, 제2 부재 홈부가, 제1 결합 부재가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단 측으로부터 본체 돌부와 끼워맞춤 됨과 아울러, 제2 부재 주면의 한쪽이 본체 주면에 접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와 버클 본체는, 제2 부재 주면과 본체 주면이 접촉함으로써 제2 부재 홈부와 본체 돌부의 끼워맞춤 상태가 보강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와 제2 결합 부재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제1 결합 부재에, 이 제1 결합 부재가 버클 본체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부재 홈부가 형성되고, 제2 결합 부재에, 만곡하여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드라진 제2 부재 다리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가 제1 부재 홈부에 제2 부재 다리편을 끼워맞춤 시켜 버클 본체의 결합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부재는, 제2 부재 다리편이 만곡하여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가 버클 본체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버클 본체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와 제2 결합 부재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 다리편이, 만곡하여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드라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는, 제2 부재 홈부가 버클 본체의 본체 돌부와 끼워맞춤 되고,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드라진 제2 부재 다리편이 제1 결합 부재의 제1 부재 홈부와 끼워맞춤 된다. 즉, 제2 결합 부재는 역방향인 두 곳이 끼워맞춤 되어 버클 본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버클 본체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와 제2 결합 부재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식 버클은, 본체 주면이, 결합구로부터 본체 돌부까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만곡하거나, 또는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가 버클 본체에 결합될 때, 제2 결합 부재는 제2 부재 주면의 일부가 버클 본체의 본체 주면에 접촉하여 본체 주면을 미끄러져, 제2 부재 홈부가 버클 본체의 본체 돌부로 안내되어 끼워맞춤 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와 제2 결합 부재의 결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외관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외관을 나타내며, (a)가 평면 B―B 단면도, (b)가 평면도, (c)가 정면도, (d)가 우측면도, (e)가 배면도, (f)가 우측면 A―A 단면도, 및 (g)가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버클 본체의 외관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버클 본체의 외관을 나타내며, (a)가 평면 C―C 단면도, (b)가 평면도, (c)가 정면도, (d)가 우측면도, (e)가 배면도, (f)가 우측면 D―D 단면도, 및 (g)가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제1 결합 부재의 외관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제1 결합 부재의 외관을 나타내며, (a)가 평면 E―E 단면도, (b)가 평면도, (c)가 좌측면도, (d)가 정면도, (e)가 우측면도, (f)가 배면도, 및 (g)가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제2 결합 부재의 외관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제2 결합 부재의 외관을 나타내며, (a)가 평면도, (b)가 좌측면도, (c)가 정면도, (d)가 우측면도, (e)가 배면도, (f)가 우측면 F―F 단면도, (g)가 저면도, 및 (h)가 저면 G―G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며,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다점식 버클(1)의 방향을 평면(위쪽), 저면(아래쪽), 우측면·좌측면(오른쪽, 왼쪽), 정면(앞), 및 배면(뒤)을 기준으로 하여 각 부재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점식 버클(1)은 평평한 대략 십자형으로, 상하좌우에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이들 복수의 벨트를 일점에서 연결시킨다. 다점식 버클(1)은, 전체의 중심에 배치되어 각 부재가 결합된 버클 본체(10), 버클 본체(10)의 좌우 측면 쪽에 결합된 제1 결합 부재(20), 제1 결합 부재(20)를 통해 서로 인접하여 버클 본체의 평면 측(위쪽)에 결합된 제2 결합 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버클 본체(10),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는, 버클 본체(10)를 중심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는, 각각 2개가 한 세트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형상이 버클 본체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오른쪽만의 각 부재(20, 30)의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버클 본체(10)는,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11), 본체 결합부(11)의 저면 측(아래쪽)으로 이어지고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감아 걸리는 본체 벨트 감아걸기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결합부(11)는 대략 원반(圓盤) 모양이며, 한편, 본체 벨트 감아걸기부(12)는 대략 판(板) 모양이다. 이들은 동일 평면상으로 이어져 있다.
본체 결합부(11)는 정면의 대략 중앙이 개구되며, 그곳에 제1 결합 부재(20)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결합 해제 버튼(2)이 스프링(3)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본체 결합부(11)는,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되는 결합구(13)가 좌우 측면(좌우측 쪽)으로 개구되며,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도 9 참조)과 상하로 교차하는 방향의 한쪽인 평면 측(위쪽)에 끼워맞춤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8)는, 본체 결합부(11)의 주면인 본체 주면으로서의 본체 외주면(15)으로부터 평면 측(위쪽)으로 돌출한 본체 돌부(16), 본체 외주면(15)의 평면 측(위쪽)의 내측에 형성된 중실부(14)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돌부(16)는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을 따라 좌우에 옆으로 길게 형성되며, 네모나 있다. 본체 외주면(15)은 경사면이어도 좋다. 중실부(14)는 본체 돌부(16)의 토대이며 중실이다. 또, 중실부(14)는, 이른바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본체 결합부(11)와 제2 결합 부재(3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지는 정도의 강성을 실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이른바 살빼기(肉拔) 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 벨트 감아걸기부(12)는,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이어진 본체 대향면(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제1 결합 부재(20)는, 제1 부재 기부(21), 제1 부재 기부(21)의 옆쪽(오른쪽)으로 이어진 제1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22), 제1 부재 기부(21)의 옆쪽에서 제1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22)와 반대 측(왼쪽)에 이어진 제1 부재 결합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제1 부재 기부(21)를 통해 동일 평면상으로 이어져 있다. 제1 결합 부재(20)는, 제1 부재 결합편(23)이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에 삽입되며, 제1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22)에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감아 걸린다. 제1 결합 부재(20)의 배면은 제1 부재 홈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 기부(21)는,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맞추어서 호(弧) 형상으로 만곡한 제1 부재 내주면(24)이 형성되며, 이 제1 부재 내주면(24)의 양단에 이어진 제1 부재 대향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 결합편(23)은 제1 부재 내주면(24)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1 부재 홈부(25)는, 제1 부재 기부(21)의 배면에 있어서, 제1 부재 결합편(23)과 제1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2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 홈부(25)는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도 9 참조)과 상하로 교차하는 방향(상하 방향)에 형성되며, 제1 부재 내주면(24)에 맞춰져서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맞추어서 호 형상으로 만곡해 있다. 제1 부재 결합편(23)의 배면은, 위치 결정 홈부(26)가 제1 부재 홈부(25)로 이어져 있다. 제1 부재 홈부(25)와 위치 결정 홈부(26)의 교차 지점은 제1 부재 볼록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 볼록부(28)는 제1 결합 부재(20)의 배면 측으로 돌출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제2 결합 부재(30)는, 제2 부재 기부(31), 제2 부재 기부(31)의 평면 측(위쪽)으로 이어진 제2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32), 제2 부재 기부(31)의 저면 측(아래쪽)으로 이어진 제2 부재 다리편(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제2 부재 기부(31)를 통해 동일 평면상으로 이어져 있다. 제2 결합 부재(30)는, 제2 부재 다리편(33)이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홈부(25)에 끼워맞춤 되며, 제2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32)에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감아 걸린다.
제2 부재 기부(31)는,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맞추어서 호 형상으로 만곡한 제2 결합 부재(30)의 주면인 제2 부재 주면으로서의 제2 부재 내주면(35)이 형성되며, 이 제2 부재 내주면(35)의 왼쪽 끝에 교차하여 이어진 제2 부재 대향면(34) 및 오른쪽 끝에 이어진 제2 부재 대향 단부면(段部面)(3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 내주면(35)의 한쪽인 저면 측(아래쪽)은 제2 부재 홈부(36)가 개구되어 있다. 제2 부재 홈부(36)는, 길이가 제2 부재 내주면(35)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깊이가 제2 부재 내주면(35)의 평면 측(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 홈부(36)는 제2 부재 대향 단부면(39) 측(오른쪽)이 폐색하고, 제2 부재 대향면(34) 측인 깊이 방향(위쪽)과 교차하는 방향이 개방된 개방단(38)이다.
제2 부재 다리편(33)은 제2 부재 기부(31)로부터 제2 부재 홈부(36)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저면 측(아래쪽)으로 돌출해 있다. 제2 부재 다리편(33)은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맞추어서 호 형상으로 만곡하며, 제2 부재 내주면(35)으로 이어져 있다. 제2 부재 다리편(33)은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홈부(25)와 거의 같은 형상이다. 제2 부재 다리편(33)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 대략 중앙에,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가 호 형상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며, 함몰한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는 제1 부재 홈부(25)의 위치 결정 홈부(26)와 거의 같은 형상이며, 한편,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40)는 제1 부재 홈부(25)의 제1 부재 볼록부(28)와 거의 같은 형상이다.
이상이 다점식 버클(1)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다점식 버클(1)의 결합 순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제2 결합 부재(30)의 정면과 제1 결합 부재(20)의 배면을 중첩하여 서로 끼워맞춤 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다리편(33)의 정면과,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홈부(25)를 끼워맞춤 시킨다. 제2 부재 다리편(33)은,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가 제1 부재 홈부(25)의 위치 결정 홈부(26)에 끼워맞춤 하며,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40)가 제1 부재 홈부(25)의 제1 부재 볼록부(28)에 끼워맞춤 한다. 서로 끼워맞춤 된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는, 제1 부재 내주면(24), 제2 부재 내주면(35), 및 제2 부재 다리편(33)으로 동일 곡면에 맞춰지고, 제2 부재 홈부(36)와 제1 부재 결합편(23)이 곡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결합 부재(30)가 끼워맞춤 된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결합편(23)을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에 삽입하여(X 방향), 제1 결합 부재(20)를 본체 결합부(11)에 결합시킨다. 그때, 제2 부재 홈부(36)의 개방단(38)의 가장자리(제2 부재 내주면(35))가 본체 결합부(11)의 만곡한 본체 외주면(15)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제2 부재 홈부(36)에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돌부(16)가 안내되어 받아들여진다. 제2 부재 내주면(35)이 본체 외주면(15)에 접촉한다.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다리편(33)과 제2 부재 내주면(35), 및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내주면(24)을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접촉시켜, 제1 결합 부재(20)와, 이 제1 결합 부재(20)를 통해 제2 결합 부재(30)를 본체 결합부(11)에 결합시킨다. 그때, 제2 부재 다리편(33)의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가 결합구(13)의 내측에 삽입된다.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결합편(23)이,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 내에서 결합 해제 버튼(2)의 뒤쪽에 걸려, 버클 본체(10)에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가 결합된다(도 1 참조).
버클 본체(10)의 본체 대향면(17)과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대향면(27),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대향면(27)과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대향 단부면(39), 및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대향면(34)끼리는, 각각 접촉해 있다(도 1 참조).
제2 결합 부재(30)는, 제2 부재 홈부(36)가 본체 돌부(16)에 끼워맞춤 하며,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가 결합구(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즉 역방향인 두 곳이 끼워맞춤 되어 본체 결합부(1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과 정면, 배면(전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2 결합 부재(30)는, 제2 부재 다리편(33)이 본체 결합부(11)와 제1 결합 부재(20)에 끼워지며,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을 따라 호 형상으로 만곡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20)가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 즉 버클 본체(10)의 평면, 저면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1 결합 부재(20)와 제2 결합 부재(30)가 버클 본체(10)에 결합된 다점식 버클(1)은, 버클 본체(10)의 본체 결합부(11)에 장착된 결합 해제 버튼(2)을 내리누름으로써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는 버클 본체(10)로부터 뽑혀 제거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체 결합부(11)는 평면 측(위쪽)에 끼워맞춤부(18)가 형성되고,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으로부터 평면 측(위쪽)으로 돌출한 본체 돌부(16), 본체 외주면(15)의 평면 측(위쪽)의 내측에 형성된 중실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 돌부(16)가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의 위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외주면(15)의 내측을 중실로 할 수 있다. 본체 결합부(11)는, 중실부(14)가 형성된 것에 의해 본체 돌부(16) 및 본체 외주면(15)의 위쪽이 견고하다. 따라서, 버클 본체(10)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버클 본체(10)와 제2 결합 부재(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 돌부(16)가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의 평면 측(위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결합부(11)의 내측에서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되는 결합구(13)가 차지하는 비율을 크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큰 제1 결합 부재(20)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기부(31)는,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맞추어서 호 형상으로 만곡한 제2 부재 내주면(35)이 형성되고, 제2 부재 내주면(35)의 저면 측(아래쪽)에 제2 부재 홈부(36)가 개구되어 있다. 제2 부재 홈부(36)는 제2 부재 대향면(34) 측이며 깊이 방향(위쪽)과 교차하는 방향이 개방된 개방단(38)이다. 제2 결합 부재(30)가 끼워맞춤 된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결합편(23)을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에 삽입하며(X 방향), 제2 부재 내주면(35)을 본체 외주면(15)에 접촉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30)와 본체 결합부(11)는, 제2 부재 내주면(35)의 아래쪽과 본체 외주면(15)의 위쪽이 접촉함으로써 제2 부재 홈부(36)와 본체 돌부(16)의 끼워맞춤 상태가 보강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10)와 제2 결합 부재(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홈부(25)는, 제1 부재 기부(21)의 배면에 있어서,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부재 내주면(24)에 맞춰져서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외주면(15)에 맞추어서 호 형상으로 만곡해 있다. 한편, 제2 부재 기부(31)는, 제2 부재 다리편(33)이 제2 부재 기부(31)로부터 제2 부재 홈부(36)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저면 측(아래쪽)으로 돌출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20)가 제1 부재 홈부(25)에 제2 부재 다리편(33)을 끼워맞춤 시켜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부재(30)는, 제2 부재 다리편(33)이 만곡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20)가 본체 결합부(11)의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과 상하에서 교차하는 방향, 즉 버클 본체(10)의 평면, 저면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본체 결합부(11)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10)와 제2 결합 부재(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부재 결합편(23)의 배면은, 위치 결정 홈부(26)가 제1 부재 홈부(25)로 이어져 있다. 한편, 제2 부재 다리편(33)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 대략 중앙에,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가 호 형상의 내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는 제1 부재 홈부(25)의 위치 결정 홈부(26)와 거의 같은 형상이다.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40)는 제1 부재 홈부(25)의 제1 부재 볼록부(28)와 거의 같은 형상이다.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는 제1 부재 홈부(25)의 위치 결정 홈부(26)에 끼워맞춤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30)는, 제2 부재 홈부(36)가 본체 돌부(16)에 끼워맞춤 하며,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37)가 결합구(13)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제2 결합 부재(30)는, 역방향인 두 곳이 끼워맞춤 되어 본체 결합부(1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구(13)에 결합되는 방향(X)과 정면, 배면(전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본체 결합부(11)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버클 본체(10)와 제2 결합 부재(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부재 홈부(25)와 위치 결정 홈부(26)의 교차 지점은 제1 부재 볼록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 볼록부(28)는 제1 결합 부재(20)의 배면 측에 돌출해 있다. 한편, 제2 부재 다리편(33)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 대략 중앙에, 함몰한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40)는 제1 부재 홈부(25)의 제1 부재 볼록부(28)에 끼워맞춤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 홈부(25)의 폭이 제1 부재 볼록부(28)에 의해 좁아져 있기 때문에 손가락 등이 끼일 공간이 없다. 따라서, 제2 결합 부재(30)와 제1 결합 부재(20)를 결합할 때 안전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버클 본체(10)의 본체 결합부(11)는 대략 원반 모양이며, 본체 외주면(15)이 결합구(13)로부터 본체 돌부(16)까지 만곡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20)를 본체 결합부(11)에 결합시킬 때, 제2 부재 홈부(36)의 개방단(38)의 가장자리(제2 부재 내주면(35))가 본체 결합부(11)의 만곡한 본체 외주면(15)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제2 부재 홈부(36)에 본체 결합부(11)의 본체 돌부(16)가 안내되어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버클 본체(10)와 제2 결합 부재(30)의 결합이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버클 본체(10)의 본체 대향면(17)과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대향면(27), 제1 결합 부재(20)의 제1 부재 대향면(27)과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대향 단부면(39), 및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대향면(34)끼리는, 각각 접촉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 부재(20, 30)는, 각각이 인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다점식 버클
2 결합 해제 버튼
3 스프링
10 버클 본체
11 본체 결합부
12 본체 벨트 감아걸기부
13 결합구
14 중실부
15 본체 외주면(본체 주면)
16 본체 돌부
17 본체 대향면
18 끼워맞춤부
20 제1 결합 부재
21 제1 부재 기부
22 제1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
23 제1 부재 결합편
24 제1 부재 내주면
25 제1 부재 홈부
26 위치 결정 홈부
27 제1 부재 대향면
28 제1 부재 볼록부
30 제2 결합 부재
31 제2 부재 기부
32 제2 부재 벨트 감아걸기부
33 제2 부재 다리편
34 제2 부재 대향면
35 제2 부재 내주면(제2 부재 주면)
36 제2 부재 홈부
37 제2 부재 다리편 볼록부
38 개방단
39 제2 부재 대향 단부면
40 제2 부재 다리편 오목부
X 제1 결합 부재가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

Claims (5)

  1. 벨트의 단부가 장착된 복수의 제1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結合口)가 양 옆쪽에 개구됨과 아울러, 벨트의 단부가 장착된 복수의 제2 결합 부재가 인접하여 끼워맞춤 되는 끼워맞춤부(嵌合部)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한쪽에 형성된 버클 본체에,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결합된 다점식 버클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가, 상기 버클 본체의 주면(周面)인 본체 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본체 돌부(突部)와, 상기 본체 주면의 내측에 형성된 중실부(中實部)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이 제2 결합 부재의 주면인 제2 부재 주면의 한쪽에 개구되어 상기 본체 돌부와 끼워맞춤 되는 제2 부재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이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부재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만곡하여 상기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드라진(延出) 제2 부재 다리편(脚片)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1 부재 홈부에 상기 제2 부재 다리편을 끼워맞춤 시켜서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식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 홈부에, 이 제2 부재 홈부의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단(開放端)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 홈부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방단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돌부와 끼워맞춤 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부재 주면의 한쪽이 상기 본체 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식 버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주면이, 상기 결합구로부터 상기 본체 돌부까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만곡하거나, 또는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식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주면이, 상기 결합구로부터 상기 본체 돌부까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버클 본체의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만곡하거나, 또는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식 버클.
KR1020140013542A 2013-02-07 2014-02-06 다점식 버클 KR101758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2278A JP6043197B2 (ja) 2013-02-07 2013-02-07 多点式バックル
JPJP-P-2013-022278 2013-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906A KR20140100906A (ko) 2014-08-18
KR101758426B1 true KR101758426B1 (ko) 2017-07-14

Family

ID=5126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542A KR101758426B1 (ko) 2013-02-07 2014-02-06 다점식 버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3197B2 (ko)
KR (1) KR101758426B1 (ko)
CN (1) CN103976518B (ko)
TW (1) TWI5735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3812B2 (ja) * 2015-02-25 2018-12-05 エドワーズ株式会社 アダプタ及び真空ポンプ
CN107187412A (zh) * 2017-05-05 2017-09-22 华安立高文具制品(深圳)有限公司 婴儿安全带组件及婴儿安全带扣
ES2936795T3 (es) 2019-06-06 2023-03-22 Wonderland Switzerland Ag Conjunto de broche magnétic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3101B2 (en) * 2000-01-27 2003-04-08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Three and five point buckle
US7117568B2 (en) * 2003-12-16 2006-10-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uckle assembly
JP2007037719A (ja) 2005-08-02 2007-02-15 Ykk Corp ベルト係止具
US7669298B2 (en) 2005-12-21 2010-03-02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Buckle assembly
US8256073B2 (en) 2009-03-20 2012-09-04 Bp Children's Products Hk Co., Limited Harness fastener system for child carri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7682B2 (ja) * 1996-05-22 2003-02-17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バックル
US6049954A (en) * 1998-05-19 2000-04-18 The First Years, Inc. Safety buckle
JP4302038B2 (ja) * 2004-10-27 2009-07-22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連結装置
CN102217821B (zh) * 2010-04-19 2013-07-0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适用于婴儿承载装置的安全带扣具
CN103027443B (zh) * 2010-06-01 2015-12-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安全带扣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3101B2 (en) * 2000-01-27 2003-04-08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Three and five point buckle
US7117568B2 (en) * 2003-12-16 2006-10-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uckle assembly
JP2007037719A (ja) 2005-08-02 2007-02-15 Ykk Corp ベルト係止具
US7669298B2 (en) 2005-12-21 2010-03-02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Buckle assembly
US8256073B2 (en) 2009-03-20 2012-09-04 Bp Children's Products Hk Co., Limited Harness fastener system for child carri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76518B (zh) 2018-02-13
KR20140100906A (ko) 2014-08-18
CN103976518A (zh) 2014-08-13
JP2014150941A (ja) 2014-08-25
TW201442658A (zh) 2014-11-16
TWI573537B (zh) 2017-03-11
JP6043197B2 (ja)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019B2 (ja) カムロックバックル
JP6029741B2 (ja) バックル
US9113680B2 (en) Buckle
JP5651282B2 (ja) バックル
US9155362B2 (en) Clip
KR101758426B1 (ko) 다점식 버클
US20150013121A1 (en) Buckle
JP2015079710A (ja) コネクタ
US20090133230A1 (en) Closure for a brassiere
US20150135494A1 (en) Buckle
JP5974091B2 (ja) バックル
JP6212428B2 (ja) 連結具
WO2011155449A1 (ja) バックル
JP2009230993A (ja) ターミナルカバー
US11559113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CN108348049B (zh) 拉链
JP3205037U (ja) バックル
US10292458B2 (en) Buckle
JP2006204638A (ja) バックル
JP5469542B2 (ja) バックル
JP5469541B2 (ja) バックル
KR101242935B1 (ko) 버클
JP3193840U (ja) 平紐連結装置およびネック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