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63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637A
KR20130143637A KR1020137023971A KR20137023971A KR20130143637A KR 20130143637 A KR20130143637 A KR 20130143637A KR 1020137023971 A KR1020137023971 A KR 1020137023971A KR 20137023971 A KR20137023971 A KR 20137023971A KR 20130143637 A KR20130143637 A KR 2013014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locking
connector
electric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카즈 나가사카
타쿠미 나카기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단자 수용부에 설치된 랜스(lance)의 단자 금구(金具)에 대한 보지력(保持力)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는, 전선(7)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3)와, 상대방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5)와, 전선 접속부(3)와 전기 접촉부(5)와의 사이에 설치된 통부(筒部)(4)를 구비한 단자 금구(2)와, 상기 단자 금구(2)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61)가 설치된 하우징(6)을 구비하고, 하우징(6)에는, 일단(一端)이 단자 수용부(61)의 내면(內面)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자유단으로 되며 단자 금구(2)의 통부(4)를 향하여 연장된 랜스(65)가 설치되고, 통부(4)에는 개구부(開口部)(4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a)의 전기 접촉부(5)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랜스(65)의 자유단에 계지(係止)하는 계지부(45)가 설치되며, 계지부(45)는, 개구부(4a)의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통부(4)의 내측(內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단자 금구(金具)와 상기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에 의하여 구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동체로서의 자동차에는, 다종다양한 전자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이 전자 기기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 등을 전하기 위하여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이용된다. 와이어 하니스는 복수의 전선과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전선의 단말(端末)에 장착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 7은,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진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단자 금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금구(102)는, 전선(7)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103)와, 상기 전선 접속부(103)에 연결되고, 상대방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105)와, 상기 전기 접촉부(105)에 설치된 계지(係止, 걸어 맞추어 고정되는 것)부(145)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금구(102)는, 그 긴쪽 방향 N을 따라 단자 수용부(161)에 삽입된다. 그리고 단자 금구(102)의 계지부(145)가 단자 수용부(161)의 랜스(lance)(165)에 계지되는 것과 함께, 단자 금구(102)가 단자 수용부(161)에 수용된다. 계지부(145)가 랜스(165)에 계지되면, 전선(7)이 당겨졌을 때에 있어서도, 전선(7)에 접속된 단자 금구(102)는 단자 수용부(16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계지부(145)는, 전기 접촉부(105)로부터 단자 수용부(161)의 랜스(165)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계지부(145)는 전기 접촉부(105)로부터 외측(外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145)는, 전선 접속부(103) 측이 개구(開口)하도록 전기 접촉부(105)를 구성하는 외벽(外壁)(105a)이 전기 접촉부(105)의 외측 방향으로 타출(打出)되는 것으로 형성된 계지 돌출부(146)와, 계지 돌출부(146)의 일부가 전기 접촉부(105)의 내측(內側) 방향으로 타출되는 것으로 형성된 내향(內向) 돌출부(1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계지부(145)는, 전기 접촉부(105)의 외벽(105a)이 외측 방향으로 타출되는 것으로 계지 돌출부(146)가 형성된 후, 계지 돌출부(146)가 내측 방향으로 타출되는 것으로 내향 돌출부(147)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수용부(161)에는, 일단(一端)이 단자 수용부(161)의 내면(內面)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자유단으로 되는 랜스(165)가 설치되어 있다. 랜스(165)는, 단자 수용부(16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랜스(165)의 폭 방향을 따른 치수는, 단자 금구(102)에 설치된 내향 돌출부(147)의 폭 방향을 따른 치수 L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종래의 커넥터(101)에는, 계지부(145)가, 전기 접촉부(105)의 외벽(105a)이 외측 방향으로 타출되는 것으로 형성된 계지 돌출부(146)와, 계지 돌출부(146)가 내측 방향으로 타출되는 것으로 형성된 내향 돌출부(14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계지 돌출부(146)의 외측 방향으로 타출된 치수 T1과, 내향 돌출부(147)의 내측 방향으로 타출된 치수 T2와 합인 치수 T3가 계지부(145)의 랜스(165)에 대한 걸림 부위로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1)는, 계지부(145)의 걸림 부위, 즉 치수 T3를 크게 하는 것으로, 랜스(165)의 단자 금구(102)에 대한 보지력(保持力)을 크게 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47227호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커넥터(101)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커넥터(101)의 단자 금구(102)에 설치된 계지부(145)는, 전기 접촉부(105)의 외벽(105a)이 외측 방향으로 타출되어 계지 돌출부(146)가 형성된 후, 계지 돌출부(146)가 내측 방향으로 타출되어 내향 돌출부(147)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향 돌출부(147)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계지 돌출부(146)의 외표면(外表面)으로부터 오목한 패임(147')이 형성되어 버리게 된다. 이 패임(147')이 형성되어 버리는 것으로 계지부(145)의 랜스(165)에 대한 접촉 면적이 작아져 버리고, 그 때문에, 랜스(165)의 단자 금구(102)에 대한 보지력이 작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계지부(145)는, 전기 접촉부(105)의 외벽(105a)이 외측 방향으로 타출되어 계지 돌출부(146)가 형성된 후, 계지 돌출부(146)가 내측 방향으로 타출되어 내향 돌출부(147)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단자 금구(102)를 형성하는 수고가 들고, 그 때문에 커넥터(101)를 제조할 때에 걸리는 소요 시간이 장시간화하여, 커넥터(101)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관련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자 수용부에 설치된 랜스의 단자 금구에 대한 보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전선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와, 상대방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전기 접촉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통부(筒部)를 구비한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단자 수용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단자 금구의 상기 통부를 향하여 연장된 랜스가 설치되고, 상기 통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전기 접촉부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랜스의 상기 자유단에 계지하는 계지부가 설치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통부를 구성하는 외벽의 일부가, 상기 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와, 상대방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전기 접촉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통부를 구비한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단자 수용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단자 금구의 상기 통부를 향하여 연장된 랜스가 설치되고, 상기 통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전기 접촉부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랜스의 상기 자유단에 계지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계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계지부의 랜스에 대한 접촉 면적이 커지며, 단자 수용부에 설치된 랜스의 단자 금구에 대한 보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계지부는, 상기 통부를 구성하는 외벽의 일부가, 상기 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금구를 형성하기 위한 수고가 저감되게 되고, 그 때문에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걸리는 소요 시간이 단시간화하여,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계지부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의 표면의 마찰 저항이 커지고, 계지부가 랜스의 자유단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며, 더한층, 단자 수용부에 설치된 랜스의 단자 금구에 대한 보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단자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자 금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자 금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단자 금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는, 자동차 등에 배색(配索)되는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하는 것이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7)의 단말에 장착되는 단자 금구(2)와, 상기 단자 금구(2)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61)가 설치된 하우징(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 금구(2)는, 도전성(導電性)의 판금(板金)이 꺾어 구부러지는 것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단자 금구(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7)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3)와, 상기 전선 접속부(3)에 연결되고, 단자 수용부(61)에 설치된 후술하는 랜스(65)에 계지하는 하우징 장착부(4)와, 상기 하우징 장착부(4)에 연결되고, 상대방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 금구(2)는, 전선 접속부(3)가 전선(7)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기 접촉부(5) 측으로부터 하우징(6)의 단자 수용부(61)에 삽입된다. 단자 금구(2)는, 그 긴쪽 방향 N을 따라 단자 수용부(61)에 삽입된다.
상기 전선 접속부(3)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7)을 표면 상(上)에 위치 부여하는 기벽(基壁)(31)과, 상기 기벽(31)의 폭 방향의 양 단부(端部)로부터 입설(立設, 선 상태로 설치하는 것)하고 전선(7)의 심선(芯線)(71)을 압착(壓着)하는 한 쌍의 심선 압착편(32)과, 기벽(31)의 폭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입설하고 전선(7)의 절연 피복을 압착하는 한 쌍의 절연 피복 압착편(33)을 구비하고 있다.
전선 접속부(3)는, 단부가 피복이 벗겨져 심선(71)이 노출한 상태의 단면 환형(丸形)의 전선(7)이 기벽(31) 상(上)에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것을 올리는 것)된 후, 이 전선(7)의 심선(71) 부분을 기벽(31)을 향하여 꽉 누르는 방향으로 심선 압착편(32)이 구부러져, 즉 심선 압착편(32)으로 전선(7)의 심선(71) 부분을 코킹(caulking)하여 전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이 전선(7)의 피복 부분을 기벽(31)을 향하여 꽉 누르는 방향으로 절연 피복 압착편(33)이 구부러져, 즉 절연 피복 압착편(33)으로 전선(7)의 절연 피복 부분을 코킹하여 전선(7)과 고정된다. 또한, 도 2, 도 3은, 심선 압착편(32) 및 절연 피복 압착편(33)이 전선을 코킹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장착부(4)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벽(31)에 연결되는 기벽(42)과, 상기 기벽(4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대향 벽(43)과, 기벽(42) 및 제1 대향 벽(43)의 폭 방향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44a, 44b)에 의하여 중공(中空) 각주상(角柱狀)으로 형성된 제1 통부(41)와, 단자 수용부(61)에 설치된 랜스(65)에 계지하는 계지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대향 벽(43)은 하우징 장착부(4)를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 장착부(4)는, 상기 전선 접속부(3)와 전기 접촉부(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장착부(4)는,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나타내진 「통부」에 상당한다. 또한, 제1 대향 벽(43)은,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나타내진 「외벽」에 상당한다.
상기 제1 통부(41)에는, 제1 대향 벽(43)으로부터 한 쌍의 측벽(44a, 44b) 중 일방(一方)의 측벽(44a)에 걸쳐 설치되고, 이들 제1 대향 벽(43) 및 일방의 측벽(44a)을 관통한 개구부(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계지부(4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대향 벽(43)의 일부가 제1 통부(41)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계지부(45)는, 개구부(4a)의 전기 접촉부(5) 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1 통부(4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부(45)의 전선 접속부(3) 측의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계지부(45)의 전선 접속부(3) 측의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부(45a)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계지부(45)의 표면은 요철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5a)는 반구상(半球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접촉부(5)는, 기벽(42)에 연결되는 기벽(52)과, 하우징 장착부(4)의 제1 대향 벽(43)에 연결되는 제2 대향 벽(53)과, 하우징 장착부(4)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44a, 44b)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54)에 의하여 중공 각주상으로 형성된 제2 통부(51)와, 용수철편(5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통부(51)는, 하우징 장착부(4)로부터 떨어진 단부, 즉 단자 금구(2)의 일단부(2a)(도 3에 도시함)에 삽입구가 설치되고, 당해 삽입구로부터 상대방의 단자 금구의 삽입자가 삽입된다. 제2 통부(51)의 제2 대향 벽(53)의 내면에는, 당해 제2 대향 벽의 내면으로부터 기벽(52)을 향하여 돌출한 돌출부(5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53a)는 긴쪽 방향 N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용수철편(55)은, 제2 통부(51)를 형성하는 기벽(52)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용수철편(55)은, 제2 통부(51)의 내측에 삽입된 삽입자를 제2 대향 벽(53)을 향하여 압박한다.
또한, 상대방의 단자 금구의 삽입자는 전기 접촉부(5)에 삽입되면, 돌출부(53a)와 용수철편(55)에 탄성적(彈性的)으로 접촉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대방의 단자 금구와 단자 금구(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하우징(6)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6)은, 내측에 상기 단자 금구(2)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부(61)와, 랜스(6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단자 수용부(61) 중 하나만을 도시하고, 다른 단자 수용부(61)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단자 수용부(61)는, 저벽(底壁)(62)과, 상기 저벽(6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천장 벽(63)과, 저벽(62)과 천장 벽(63)과의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64)에 의하여, 긴쪽 방향 N을 따라 연장된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단자 수용부(61)의 긴쪽 방향 N을 따른 양 단부(6a, 6b)는, 하우징(6)의 외부와 연통(連通, 통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자 수용부(61)에는, 긴쪽 방향 N을 따른 일단부(6a)로부터 타단부(6b)를 향하여 상술한 단자 금구(2)가 삽입된다.
상기 랜스(65)는 봉상(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랜스(65)는, 단자 수용부(61)의 긴쪽 방향 N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랜스(65)는, 그 긴쪽 방향 N의 일단이 저벽(62)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랜스(65)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저벽(62)으로부터 천장 벽(63)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傾斜)하고 있다. 즉, 랜스(65)의 타단(자유단)은 단자 금구(2)의 하우징 장착부(4)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랜스(65)에는, 그 타단에 설치되고, 단자 금구(2)의 계지부(45)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는 당접부(66)와, 상기 당접부(66)보다도 저벽(62) 측에 설치되고, 당접부(66)보다도 단자 수용부(61)의 일단부(6a)에 돌출한 부리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리부(67)는, 당접부(66)가 계지부(45)에 당접하면 전기 접촉부(5)를 구성하는 제2 대향 벽(53)의 외표면을 따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랜스(65)의 당접부(66)가 단자 금구(2)의 계지부(45)에 당접하는 것을 「단자 금구(2)(계지부(45))가 랜스(65)에 계지한다」라고 표현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커넥터(1)의 조립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선(7)의 단말에 접속된 상태의 단자 금구(2)의 전기 접촉부(5) 측을 단자 수용부(61)에 가까이하여, 단자 금구(2)를 일단부(6a)로부터 단자 수용부(61)에 삽입한다. 전기 접촉부(5)가 랜스(65)와 상대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전기 접촉부(5)가 랜스(65)를 저벽(62)에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꽉 누른다. 이렇게 하여 전기 접촉부(5)는, 랜스(65)를 저벽(62)에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통과한다.
그리고 단자 금구(2)가 단자 수용부(61)에 삽입되고, 전기 접촉부(5)가 단자 수용부(61)의 타단부(6b)에 위치 부여되는, 즉, 단자 금구(2)가 단자 수용부(61)에 수용되면, 탄성 변형하고 있던 랜스(65)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고, 랜스(65)의 당접부(66)가 계지부(45)에 당접한다. 즉, 단자 금구(2)(계지부(45))가 랜스(65)에 계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자 금구(2)가 단자 수용부(6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가 조립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계지부(45)는, 개구부(4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우징 장착부(4)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45)의 랜스(65)에 대한 접촉 면적이 커지고, 랜스(65)의 단자 금구(2)에 대한 보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수용부(61)에 설치된 랜스(65)의 단자 금구(2)에 대한 보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지부(45)는, 하우징 장착부(4)를 구성하는 제1 대향 벽(41)의 일부가, 하우징 장착부(4)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금구(2)를 형성하기 위한 수고가 저감되게 되고, 그 때문에 커넥터(1)를 제조할 때에 걸리는 소요 시간이 단시간화하여,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계지부(45)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45)의 표면의 마찰 저항이 커지고, 계지부(45)가 랜스(65)의 자유단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며, 더한층, 단자 수용부(61)에 설치된 랜스(65)의 단자 금구(2)에 대한 보지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45)는 전선 접속부(3) 측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45a)가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45a)는 평면으로부터 보는 모습이 원형상(圓形狀)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45')는 전선 접속부(3) 측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45a')가 방체상(方體狀)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계지부(45')는 전선 접속부(3)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면, 볼록부(45a')는 평면으로부터 보는 모습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계지부(45), 계지부(45')의 전선 접속부(3) 측의 표면에는 볼록부(45a), 볼록부(45a')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볼록부(45a), 볼록부(45a')는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접촉부(5)는 제2 통부(51)와 용수철편(55)을 구비하고, 중공 각주상으로 형성된 자형(雌型)의 단자 금구(2)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촉부(5')는 웅형(雄型)의 단자 금구(2')에 설치된 삽입자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커넥터
2, 2': 단자 금구
3: 전선 접속부
4: 하우징 장착부
5, 5': 전기 접촉부
6: 하우징
7: 전선
43: 제1 대향 벽(외벽)
45: 계지부
61: 단자 수용부
65: 랜스

Claims (3)

  1. 전선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와, 상대방의 단자 금구(金具)에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전기 접촉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통부(筒部)를 구비한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一端)이 상기 단자 수용부의 내면(內面)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이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단자 금구의 상기 통부를 향하여 연장된 랜스(lance)가 설치되고,
    상기 통부에는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전기 접촉부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랜스의 상기 자유단에 계지(係止)하는 계지부가 설치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통부의 내측(內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통부를 구성하는 외벽(外壁)의 일부가, 상기 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23971A 2011-03-08 2012-03-05 커넥터 KR20130143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0089A JP2012186115A (ja) 2011-03-08 2011-03-08 コネクタ
JPJP-P-2011-050089 2011-03-08
PCT/JP2012/055509 WO2012121186A1 (ja) 2011-03-08 2012-03-05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37A true KR20130143637A (ko) 2013-12-31

Family

ID=4679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971A KR20130143637A (ko) 2011-03-08 2012-03-05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37704A1 (ko)
JP (1) JP2012186115A (ko)
KR (1) KR20130143637A (ko)
CN (1) CN103460512A (ko)
DE (1) DE112012001119T5 (ko)
WO (1) WO2012121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1612B2 (ja) * 2012-09-21 2017-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2708B2 (ja) * 2014-05-15 2018-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7259444B2 (ja) * 2019-03-20 2023-04-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656Y2 (ko) * 1985-03-18 1990-12-27
JPH0310486U (ko) * 1989-06-16 1991-01-31
JPH0310485U (ko) * 1989-06-16 1991-01-31
JP2581487Y2 (ja) * 1993-09-16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9213398A (ja) * 1995-11-28 1997-08-15 Yazaki Corp コネクタハウジング構造
JP2000348806A (ja) * 1999-06-07 2000-12-1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1217013A (ja) * 2000-02-02 2001-08-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4047227A (ja) 2002-07-10 2004-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500254B2 (ja) * 2005-12-26 2010-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
US7252564B1 (en) * 2006-01-27 2007-08-07 Delphi Technologies, Inc. Fema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rimping portions of double thickness
US7976353B2 (en) * 2006-09-29 2011-07-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wo-piece electrical terminal
JP5059481B2 (ja) * 2007-05-08 2012-10-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US7530859B2 (en) * 2007-05-08 2009-05-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DE102007040937B3 (de) * 2007-08-30 2009-01-15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EP2151892B1 (en) * 2008-08-07 2017-05-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terminal fitting and connecting method therefor
JP5472679B2 (ja) * 2009-04-07 2014-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33822B2 (ja) * 2009-04-24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20110014825A1 (en) * 2009-07-16 2011-01-2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terminal connection with galvanic sacrificial metal
JP2012199190A (ja) * 2011-03-23 2012-10-18 Yazaki Corp コネクタ
JP5700811B2 (ja) * 2011-03-30 2015-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92500B2 (ja) * 2011-03-30 2017-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99029B2 (ja) * 2011-04-28 2015-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86115A (ja) 2012-09-27
WO2012121186A1 (ja) 2012-09-13
DE112012001119T5 (de) 2013-12-24
US20130337704A1 (en) 2013-12-19
CN103460512A (zh)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202B2 (ja) コネクタ
US9496108B2 (en) Electronic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and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electronic component
JP7118675B2 (ja) コンタクトキャリア、電気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既製のケーブルを作製する方法
KR20090099535A (ko)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
JP2010027336A (ja) 雌型端子金具
JP2010049896A (ja) コネクタ
JP2012227090A (ja) 端子金具
KR20130143637A (ko) 커넥터
KR20150126378A (ko) 연결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
WO2020121926A1 (ja) ハーネス部品
JP2010040366A (ja) コネクタ
US7874858B2 (en) Connector
JP6141104B2 (ja) 一次ロックランスを備えたコネクタ構成部分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該方法により製造可能なコネクタ構成部分
JP4597750B2 (ja) 雌型の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4885704B2 (ja) ハーネス接続体
JP5191347B2 (ja) コネクタ
JP7139929B2 (ja) ハーネス部品
WO2020121925A1 (ja) ハーネス部品
JP2015156387A (ja) コネクタ
JP4878577B2 (ja) コネクタ
KR200466960Y1 (ko) 커넥터
JP2016152214A (ja) 基板直差し電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直差しコネクタ
JP4885705B2 (ja) ハーネス接続体
KR100922154B1 (ko) 커넥터
JP202105185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