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429A -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429A
KR20130141429A KR1020137002083A KR20137002083A KR20130141429A KR 20130141429 A KR20130141429 A KR 20130141429A KR 1020137002083 A KR1020137002083 A KR 1020137002083A KR 20137002083 A KR20137002083 A KR 20137002083A KR 20130141429 A KR20130141429 A KR 2013014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ulcanizing
composition
sulfur
elastomer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213B1 (ko
Inventor
성 퐁 첸
웨이 청 웡
치 이 로우
Original Assignee
얼리젼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얼리젼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얼리젼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4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10Surgica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20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2Direct processing of dispersions, e.g. latex, to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8Thiocarb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xanthates ; i.e. compounds containing -X-C(=X)- groups, X being oxygen or sulfur, at least one X be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08L1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09D11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2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2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halogen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1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instruments, e.g.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40Drape material, e.g. laminate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11/00Use of rubber derived from chloroprene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1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08J231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86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rubber-like compound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9Next to natural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26Of natural rubber
    • Y10T428/3183Next to second layer of natural rub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Glo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데 사용되는 가황 조성물로 비소실성 촉진제를 갖는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 항원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VULCANIZATION COMPOSITION HAVING REDUCED ALLERGENIC POTENTIAL}
관련 출원의 상호 참증
본 출원은 2010년 6월 25일 출원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촉진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목으로 하는 동시 계류중인 미국 가 출원 번호 제 61/358,721호 (상기 출원의 전문이 본원의 참조문헌으로 인용됨)에 대해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데 사용되는 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통상적인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폴리클로로프렌-기재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가황 조성물은 황, 촉진제 조성물 및 활성화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촉진제 조성물은 소멸성 가황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고 활성화제 조성물은 산화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제품은 장갑, 손가락 골무, 카테터 및 콘돔을 포함할 수 있다.
2. 관련 분야
의학 분야에서 엘라스토머 제품의 사용과 연관된 알레르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유형이 있다: (a) 유형 I은 즉각적인 과민반응을 보이는 IgE-매개 알레르기반응이고, (b) 유형 IV는 지연된 과민성을 보이는 세포-매개 알레르기반응이다.
유형 I 과민 반응은 IgE 면역 글로불린에 의해 매개되며, 그 효과는 즉각적이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알레르겐에 노출되고 수분 내에 명확해지며, 국소적인 두드러기, 안면 팽창, 눈물어림, 비염, 천식, 매우 드문 경우 과민증 쇼크 등을 포함한다. 유형 I 알레르기는 천연 고무 라텍스 제품에 존재하는 잔류성 추출가능 단백질과 연관이 있다.
수침출, 염소처리 및 저-단백질 또는 단백질 제거 라텍스를 사용하는 등의 라텍스 장갑 내 추출가능 단백질을 줄이려는 다양한 기술이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건강에 관심이 있는 개인이나 천연 고무 라텍스 단백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은 합성 장갑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물질은 폴리이소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니트릴),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천연 고무 단백질과의 접촉에 반응하는 유형 I 반응이 광범위하게 퍼짐에 따라, 특히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의학 기구를 제조할 때 사용하기 위해, 천연 고무 라텍스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은 합성 라텍스를 사용하는 쪽으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 비용과 수행성을 고려할 때, 장갑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합성 라텍스는 검사용 장갑의 경우 니트릴 라텍스 및 폴리우레탄 라텍스, 수술용 장갑의 경우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및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를 포함한다. 수술용 장갑의 경우, 폴리이소프렌 라텍스가 보다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폴리클로로프렌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천연 고무의 것들을 모방한 특성, 특히 인장강도, 최대 신장율, 유연성 및 편안한 느낌을 갖는 장갑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은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 제품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합성 라텍스는 배합된 라텍스에서 발견될 수 있는 특정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전히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유형 IV의 지연된 과민반응은 특정 화학약품에 대한 세포-매개 알레르기 반응이다. 증상은 접촉 후 48 내지 96 시간이 되어서야 분명해진다.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약품으로는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사용되는, 티우람, 메르캅토벤조티아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페닐구아니딘 및 티오우레아와 같은 가황 촉진제이 있다. 미국 식약청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은 고무 제품 내의 티아졸, 티우람 및 카바메이트가 인간에게서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Guidance for Industry and FDA Reviewers/Staff: Premarket Notification [510(k)] Submissions for Testing for Skin Sensitization to Chemicals in Natural Rubber Product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9). 따라서, 사용되는 촉진제 수준을 최소화하여 완성된 엘라스토머 제품 내 잔류하는 촉진제를 매우 낮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엘라스토머 제품은 일반적으로 주형 또는 성형틀을 응고 용액 (통상적으로 질산칼슘 수용액)에 침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라텍스 침지 가공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응고제가 코팅된 주형/성형틀을 배합된 라텍스에 침지하여 응고한 고무 입자로 이루어진 막이 그 위에 부착되도록 한다. 열을 이용하여 라텍스 막을 겔화한 후, 축축한 겔화된 라텍스 막을 물에 담구고, 건조시키고, 고온 공기 오븐에서 가황한다. 가황 중에 고무 분자가 화학적으로 가교결합하게 된다.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교결합제는 황이다. 그러나, 황 단독으로는 가교결합을 형성하는데 부족하다. 전통적으로, 황은 언제나 가황 촉진제 및 활성화제와 혼합하여 사용되어 왔다.
가황 촉진제는 통상적으로 황 가교결합의 속도 및 효율을 증가시키는 유기 화합물이며, 활성화제는 촉진제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화합물이다. 라텍스 배합에 사용되는 촉진제의 예로는 티우람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메르캅토벤즈티아졸, 디페닐구아니딘 및 티오우레아를 포함한다. 가황 후, 사용된 촉진제의 양에 따라, 촉진제 일부 또는 대부분이 고무 매트릭스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만, 일부는 반응하지 않고 완성된 엘라스토머 제품 내에 잔여물로 잔류할 수 있다.
라텍스 배합에 사용된 가황 활성화제는 통상적으로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납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다.
가황 촉진제에 의해 초래되는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교결합을 수행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시도된 방법들은 (a)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가교결합, (b)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한 가교결합, (c) 산화아연만을 사용하고, 카르복실-아연 이온결합을 이용한 가교결합, 및 (d) 제품이 완성된 후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중합체 골격에 도입시키는 것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볼 때, 이들 모든 방법들은 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방법 (a) 및 (b)는 황으로 가황된 제품에 비해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고 노화 내성이 불충분한 제품을 초래한다.
다른 방법들은 안전한 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보다 낮은 촉진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은 고분자량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아연 디벤질 디티오카르바메이트 (ZBEC), 및 아연 디이소노닐 디티오카르바메이트 (ZDNC)를 포함한다. 큰 분자량 덕분에 이러한 유형의 촉진제들은 천연 고무 및 합성 폴리이소프렌 고무와 보다 잘 조화되며 따라서, 고무 매트릭스 내에서 보다 높은 용해도를 보인다. 그 결과, 매우 적은 양의 고분자량 촉진제만이 고무 표면에 남아 사용자와 접촉했을 때 잠재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같은 이유로, 매우 적은 양의 고분자량 촉진제는 고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ZBEC 보다 ZDNC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천연 고무 내에서 보다 높은 용해도를 보이기 때문이며 (약 3% 중량/중량), ZBEC의 용해도는 약 0.5% 중량/중량 밖에 되지 않는다.
시도된 또 다른 방법은 소멸성인 촉진제의 배합물, 즉 가황 공정 중에 완전히 소비되어 제품 내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 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멸성 촉진제의 예로는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DIXP) 또는 디부틸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DBXD)와 같은 크산테이트를 포함한다. DIXP 만을 고온으로 가열하면 가스상 생성물로 완전히 휘발하거나 분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엔을 함유한 중합체 또는 고무를 가교결합시키기 위해 DIXP를 황 및 산화아연과 함께 사용했을 경우에는, 완전히 소비되어 주요 반응 생성물로서 황 가교결합, 이소프로판올 및 이황화탄소를 형성하고 중합체 또는 고무 상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잔류물로 남기지 않는데, 이는 이소프로판올 및 이황화탄소가 가교결합/가황 온도에서 휘발하기 때문이다. DIXP는 그의 화학적 구조에 질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티우람 및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촉진제와 관련된 N-니트로스아민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불가능하다. 그 밖에도, 특정 니트로스아민은 발암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형성은 피해야만 한다. 그러나, DIXP는 단독으로는 황가교결합을 충분히 촉진할 수 없기 때문에 충분한 황 가교결합을 생성하지 못해 유용한 생성물을 제공하지 못한다. 생성된 제품의 인장강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DIXP는 언제나 다른 촉진제와의 배합물로 사용되어 왔다.
다양한 종류의 촉진제 조성물이 선행 기술에 공개되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이후에 논의될 것이다. 미국 공개 출원 제 2003/0161975호는 황 및 DIXP를 테트라벤질 티우람 디설파이드 또는 ZBEC와 함께 사용하여 결함이 없는 폴리이소프렌 콘돔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이 라텍스 화합물은 아연 디에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와 같은 통상적인 촉진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라텍스에 비해 용해도가 개선되었다.
DIXP와 ZDNC의 상호상승적인 배합은 천연 고무 라텍스 및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보다 안전한 촉진제로서 추천된 바 있다 (Chakraborty et al., "Novel Sustainable accelerators for latex Applications - Update," International latex Conference (2005).
폴리클로로프렌을 가황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화 펙키지는 황, 비소멸성 촉진제 및 산화아연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비소멸성 촉진제로는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ZDBC); 테트라에틸티우람 디설파이드 및 나트륨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의 혼합물; 및 디페닐 티오우레아 (티오카르바닐라이드) 및 디페닐 구아니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Carl, Neoprene latex, chapter 3, published by E.I., du Pont de Nemours &Co. (1962) 참조). 그러나, 이들 비소멸성 촉진제의 생성물 내 잔류물은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Chakraborty 일동은 황, 2종의 촉진제 (ZDNC 및 DIXP 또는 ZDEC 및 MBT)의 2종의 배합물, 산화아연 및 2종의 항산화제 (A02246 및 MMBI)를 사용하는 배합물을 개시하였다 (2nd International Rubber Glove Conference 2004, Kuala Lumpur, Malaysia).
Jole Van은 또한 황 촉진제 (DIXP 및 다양한 쇄 길이를 갖는 알킬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예를 들면, ZDNC 및 DPG), 산화아연 및 항산화제 (Aquanox L)을 사용하는 배합물을 개시하였다 (WO 2007/017368) .
Lucas는 황, 촉진제 (DIXP, DIX, XS, TETD, TBeTD 및 ZDBeC를 포함하는 다양한 배합물), 산화아연 및 항산화제 (Wingstay L)를 사용하는 배합물을 개시하였다 (WO 2003/072340).
Sparks 일동은 황 및 디알킬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존재 하에 중합시켜 황-변형 폴리클로로프렌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U.S. Patent No. 3,378,538).
Collette 일동은 수성 유탁액 내에서 클로로프렌 및 황을 중합시켜 라텍스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U.S. Patent No. 3,397,173). 중합 반응은 황, 디알킬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항산화제의 존재 하에 수행하였다.
Takeshita는 황 원소, 및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또는 디부틸 크산토겐 디설파이드와 같은 디알킬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동량을 사용하여 형성된 2-클로로-1,3-부타디엔 및 2,3-디클로로-1,3-부타디엔의 내열성 황-변형 폴리클로로프렌 공중합체를 개시하였다 (U.S. Patent No. 4,605,705).
따라서,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을 함유한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가황 조성물이 업계 내에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폴리클로로프렌-기재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데 사용되는 촉진제 조성물을 갖는 가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황 조성물은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을 갖는 가황 조성물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되었으며,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을 갖는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엘라스토머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은 티아졸, 티우람, 카르바메이트, 구아니딘 및 티오우레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폴리클로로프렌-기재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 가황 조성물,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되었거나 제거된 가황 조성물,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당업계 및 기타 다른 업계에서 계속되었던 요구를 실현시켰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며, 유형 I 및 유형 IV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되었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황 조성물, 라텍스 분산액, 엘라스토머 제품, 및 방법은 엘라스토머 제품, 특히 건강 관리 제공자 및 환자 모두 이러한 알레르겐 공급원에 빈번히 및/또는 장기간 노출되는 의학 분야에서 엘라스토머 제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된 문제를 피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황,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추가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황,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비소멸성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가황 조성물은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가황 조성물에 비해 감소된 알레르기 항원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가황 조성물은 황,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추가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가황 조성물은 황,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비소멸성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가황 조성물은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가황 조성물에 비해 감소된 알레르기 항원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가황 조성물은 황,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를 포함하는 촉진제 조성물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활성화제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촉진제 조성물은 비소멸성 촉진제에 비해 감소된 알레르기 항원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는 엘라스토머 및 황,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추가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을 포함하는 라텍스 분산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엘라스토머 및 황,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비소멸성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을 포함하는 라텍스 분산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제품은 비소멸성 촉진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감소된 알레르기 항원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엘라스토머는 폴리클로로프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라텍스 제제를 사용하여 장갑 (구체적으로, 의학용 장갑 및 보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및 수술용 장갑), 콘돔, 탐침 커버, 치과용 댐, 손가락 골무 및 카테터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추가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비소멸성 촉진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가황 조성물을 포함하는 라텍스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라텍스 분산액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엘라스토머 제품은 응고제 침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추가 촉진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가황 조성물을 포함하는 라텍스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라텍스 분산액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비소멸성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새로운 특성 및 장점은 이후의 설명을 검토하거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본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기 위해 사용되는 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촉진제 조성물은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을 갖는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가황 조성물은 황, 산화아연 및 소멸성 가황 촉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소멸성 가황 촉진제는 크산테이트를 포함한다.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DIXP) 및 디알킬 크산토겐 디설파이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기 바람직한 소멸성 크산테이트이며 이후 개발될 수 있는 추가적인 소멸성 크산테이트가 본 발명의 촉진제 조성물,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멸성 크산테이트는 본 발명의 가황 조성물 중의 촉진제 조성물에 유용한데 이는 가황 중에 고무 매트릭스에 결합되어 소비되고 부산물로 기체 및/또는 휘발성 액체를 형성하여 증발되기 때문에 엘라스토머 제품 내에 어떠한 잔류물도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DIXP)의 경우, 이소프로필 알콜 및 이황화탄소 기체가 부산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클로로프렌 고무로부터 제조되고 황, 산화아연 및 DIXP를 사용하여 가황된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제품은 장갑 (구체적으로, 의학용 장갑 및 보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및 수술용 장갑), 콘돔, 탐침 커버, 치과용 댐, 손가락 골무 및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촉진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클로로프렌 수술용 및 실험용 장갑이 제공된다.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엘라스토머 제품은 잔류 촉진제를 함유하는데 이는 사람에게서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천연 고무를 사용하여 제조한 엘라스토머 제품은 사람에게서 유형 I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있는 추출가능한 라텍스 단백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제품, 촉진제 조성물, 라텍스 조성물, 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엘라스토머 제품을 가황하는 방법은 천연 고무를 사용하지 않고 잔류성 촉진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유형 I 알레르기 반응 및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의 가능성이 감소되었거나 배제되었다. 비소멸성 촉진제 조성물은 티아졸, 티우람, 카르바메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사람에게서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아니딘 및 티오우레아와 같은 다른 비소멸성 촉진제들 또한 고무 장갑에 사용되어왔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황 조성물
본 발명의 가황 조성물은 황 공급원, 촉진제 조성물 및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진제 조성물은 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라 알레르기 항원성이 최소화되었거나 제거된 가황 조성물에서는 황 원소 및 단일 크산테이트 소멸성 촉진제가 사용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황 원소 및 1종 이상의 크산테이트 소멸성 촉진제가 사용되며 비소멸성 촉진제는 포함되지 않는다. 촉진제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0.5 내지 약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1 내지 약 4 중량부의 범위 내이다. 가황 조성물은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들을 가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엘라스토머가 폴리클로로프렌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라 알레르기 항원성이 최소화되었거나 제거된 가황 조성물에서는 사용된 황 공급원이 황 원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원소가 단독으로 사용된다.
가황 활성화제는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는, 산화아연을 가황 활성화제로 사용한다. 활성화제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0.1 내지 약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6 내지 약 1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5 내지 약 13 중량부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라 알레르기 항원성이 최소화되었거나 제거된 가황 조성물에서는 가황 촉진제로 소멸성 크산테이트가 사용된다.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소멸성 크산테이트는 2개 이상의 설파이드 기, 즉, 3개 이상의 설파이드기 (트리설파이드), 4개 이상의 설파이드 기 (테트라설파이드), 5개 이상의 설파이드 기 (펜타설파이드) 등을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소멸성 크산테이트는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DIXP) 또는 디부틸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같은 디알킬 크산토겐 디설파이드이다. 이들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는 또한 황 공여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공여제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다. 황 원소 또는 황 공여제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고무 건조 중량에 대해 약 0.5 내지 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1.5 중량부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서는, 오직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가황 촉진제를 촉진제 조성물에 사용하며, 임의의 추가 가황 촉진제를 촉진제 조성물로부터 배제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소멸성 촉진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DIXP를 유일한 가황 촉진제로 사용하며, 촉진제 조성물 내 포함된 가황 촉진제로서 작용하는 유일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되었거나 제거된 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소멸성 촉진제로서 오직 DIXP만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가황 촉진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은 촉진제 조성물로부터 배제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추가 소멸성 촉진제를 촉진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는 있지만 추가 비소멸성 촉진제는 배제한다. 임의의 추가 가황 촉진제가 존재하거나 또는 비소멸성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가황 조성물로 제조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의해 사용자에게서 일어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 특히 유형 IV 알레르기 반응의 가능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두 실시 양태는 모두 장점을 갖고 있다.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
본 발명의 가황 조성물은 라텍스 분산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라텍스 분산액은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프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라텍스 분산액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엘라스토머는 폴리클로로프렌이다. 이들 라텍스 분산액은 엘라스토머 및 가황 조성물 이외에, 1종 이상의 다른 비경화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화성 성분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소제, 항-오존화제, 안료 및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제1 엘라스토머 층 (기본 장갑)을 제조할 경우, 라텍스 분산액의 총 고체 함유량은 약 20% 내지 약 45%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라 제 2, 제 3, 제 4 등의 엘라스토머 층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U.S. Published Appl. No. 2008/0190322 A1 참조, 상기 문헌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문헌으로 인용됨), 라텍스 분산액의 총 고체 함유량은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5% 범위 내이도록 조정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라텍스 분산액의 총 고체 함유량은 약 5%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라 단일 층의 장갑 또는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장갑의 제 1 엘라스토머 층을 제조할 경우, 라텍스 분산액 내 총 고체 함유량은 약 20% 내지 약 45%,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0% 범위 내인 것이 일반적이다.
엘라스토머 및 가황 조성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라텍스 분산액은 장갑, 구체적으로 의학용 장갑, 보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및 수술용 장갑과 같은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원에 제공된 지침에 따라 장갑 이외에 콘돔, 탐침 커버, 치과용 댐, 손가락 골무, 카테터 등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앞서 기재한 가황 조성물 및/또는 라텍스 분산액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제품은 임의의 통상적인 제조 방법, 예를 들면 응고제 침지법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애노드 응고제 침지 방법에서는, 응고제가 코팅된 성형틀을 분산액 중에 침지한 후 경화시켜 최종 제품을 형성한다. 티그 (Teague) 응고제 침지 방법에서는 성형틀을 분산액 중에 침지한 후, 응고제에 침지하고 경화시켜 최종 제품을 형성한다. 이들 방법들은 최종 제품을 형성하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엘라스토머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특히 바람직한 엘라스토머는 폴리클로로프렌이다.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황, 산화아연 및 DIXP를 사용하여 가황시킨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제품이 제공된다.
선행 기술의 조성물에서는 항상 DIXP를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추가 촉진제와 배합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는 유용한 엘라스토머 제품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수의 황 가교결합을 형성할 만큼 활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황, DIXP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가황 조성물과 함께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를 가황할 경우 합성 라텍스 수술용 장갑에 대한 ASTM D3577-01 조건에 부합하는 인장강도 (최소 17 MPa) 뿐만 아니라 폴리클로로프렌 실험용 장갑에 대한 ASTM D6977-04 조건에 부합하는 인장강도 (최소 14 MPa) 를 갖는 엘라스토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DIXP가 소멸성 크산테이트이고, 가황 공정 후 DIXP 잔류물이 장갑에 전혀 남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산된 장갑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다.
폴리클로로프렌 고무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폴리이소프렌 고무와 달리,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또는 산화납과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체 사슬 간에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이론에 구애됨 없이, 이러한 가교결합은 화학적 구조로 인해 폴리클로로프렌에 특이적인 비스-알킬화 메카니즘의 결과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합체 사슬 간의 가교결합은 중합체 사슬 상에서 클로로프렌 모노머의 1,2-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반응성의 3차 알릴 염소 원자가 존재하는 부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불안정한 염소의 양은 폴리클로로프렌 중합체 내 총 염소 양의 약 1.5% 이하이다. 이러한 유형의 가교결합 이외에도, 중합체 사슬 상의 다른 부위에서 황 가교결합이 발생할 수 있다. Carl, Neoprene Latex, chapter 3 참조.
본 발명의 엘라스토머 제품은 엘라스토머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첨가제 성분들을 함유한 라텍스 분산액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경화성 성분, 비경화성 성분 및 이후 기재할 추가 중합체 (엘라스토머와 같거나, 유사하거나 다른 화학적 구조를 가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되는 첨가제(들)의 총량은 분산액 상의 고체 총 중량에 대해 약 0.5 내지 49 중량%이다.
황을 사용하여 경화시킬 경우, 주요 경화제는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거나 전혀 없는 황 원소 및/또는 황 공여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오직 황 원소만을 사용한다.
활성화제는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황 활성화제로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산화아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촉진제는 소멸성 크산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소멸성 크산테이트는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DIXP) 또는 디부틸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와 같은 디알킬 크산토겐 디설파이드이다.
엘라스토머 분산액 배합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비경화성 성분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경화성 성분으로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소제, 항-오존화제, 안료 및 충전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엘라스토머 분산액에 첨가될 수 있는 적합한 항산화제로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및 티오디에틸렌 비스-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입체 장애 페놀, p-크레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의 부틸화 반응 생성물과 같은 입체 장애 폴리페놀, 트리메틸-트리스(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또는 옥타데실 디-t-부틸-4-히드록시 페닐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입체 장애 페놀/입체 장에 폴리페놀, 6PPD와 메틸 스티렌 및 비스-알파-디메틸벤질 디페닐 아민의 블렌드와 같은 아민, 아연 메르캅토툴룸이미다졸/페놀과 같은 혼합물, 트리아지논-페놀 혼합물과 같은 트리아지논 유도체, 폴리(m-아니시딘)과 같은 다환 방향족 아민, 무수 공중합체를 갖는 페놀과 같은 페놀성 항산화제 히드라지드,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과 같은 페놀, 2,4-디메틸-6-(1-메틸시클로헥실)-p-크레솔과 같은 크레솔 및 스티렌화 페놀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항산화제는 p-크레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의 부틸화 반응 생성물이다 (예, Wingstay L).
pH 조정을 위해 알칼리를 포함한 콜로이드상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및 카제인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성 카제인염이 또한 수성 상에 첨가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분산액에 첨가될 수 있는 적합한 가소제는 지방산염, 미네랄 오일 및 에스테르 가소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엘라스토머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분산액에 항-오존화제를 첨가한다. 오존은 폴리이소프렌과 같이 고도로 불포화된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과 같은 특정 제품들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엘라스토머 분산액에 포함될 경우, 왁스, EPDM 및 수소화 폴리디엔과 같은 특정 고분자량 중합체는 오존 내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왁스는 고무의 표면에 물리적 방어벽을 형성하여 오존의 공격을 방어한다. 두 가지 유형의 왁스가 있다: 직쇄형 파라핀 왁스 및 분지쇄형 미세결정성 왁스. 광범위한 노출 온도 범위에서 최대한의 방어능력을 고려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오존화제는 파라핀과 미세결정성 왁스의 블렌드이다. 파라핀 왁스는 약 20 내지 5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탄화수소 분자이다. 적합한 파라핀 왁스는 약 50 내지 75C, 바람직하게는 52 내지 68C의 융점을 갖는다. 미세결정성 왁스는 또한 무정형 왁스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라핀 왁스와 유사한 탄화수소이지만 탄소 사슬이 분지되어 있고 사슬 당 약 40 내지 70개의 탄소 원자의 고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항-오존화제의 다른 예로는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6PPD와 같은 알킬/아릴 p-페닐렌디아민, 스멕타이트-함유 점토와 알킬-아릴-p-페닐렌디아민과 같은 유기 점토-항오존화제의 착물, N,N-이치환 파라-페닐렌디아민과 같은 관능성 벤조트리아졸, 트리스(N-1,4,-디메틸페닐-p-페닐렌디아미노 1,3,5-트리아진 및 트리스 (N-알킬-p-페닐렌디아미노 1,3,5-트리아진과 같은 트리아진, 및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IPPD)와 같은 p-페닐렌디아민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밖에도, 파라핀 왁스 (MW = 300 - 500), 미세결정성 왁스 (MW = 600 - 700, (파라핀 왁스와 함께) 및 저분자량 PE 왁스 (MW = 100 - 1100)과 같은 왁스를 포함하는 중합체, 디페닐디아민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 항오존화제 및 EPDM 및 브롬화 이소부틸렌/파라-메틸스티렌 공중합체 (BIMSM)와 같은 오존 불활성 중합체를 항-오존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왁스로는 Michem Lube 180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왁스로는 Antilux 600이 있다.
수성 엘라스토머 분산액에 첨가할 수 있는 적합한 안료는 이산화티탄 및 산화철과 같은 광범위한 천연 안료 및 합성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엘라스토머 분산액에 첨가할 수 있는 적합한 충전제로는 점토, 탄산칼슘, 탈크 및 실리카와 같은 무기 충전제, 및 가교결합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곱게 분해된 우레탄 수지 입자 및 폴리에틸렌 미세구와 같은 유기 충전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 중합체가 본 발명의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에 배합될 수 있다. 이는 라텍스 분산액 및 엘라스토머 제품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거나 유익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기능/특성으로는 개선된 축축하고/젖었을 때의 착용성, 개선된 방수성, 개선된 미생물 내성, 개선된 분해 내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추가 중합체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프렌으로부터 선택한다. 존재할 경우, 추가 중합체는 주요 중합체의 약 5% 내지 약 20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100%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중합체를 함유하는 라텍스 분산액의 일 예로는 2.5% 폴리클로로프렌, 2.5% 합성 폴리이소프렌 및 95% 물을 포함한다 (즉, 추가 중합체인 폴리이소프렌이 주요 중합체인 폴리클로로프렌 양의 100%의 양으로 제공되었다). 추가 중합체를 함유한 라텍스 분산액의 또 다른 예로 2.5% 폴리클로로프렌, 2.5% 니트릴 및 95% 물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양태에 따르면, 다수의 엘라스토머 층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제품이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엘라스토머 층은 같거나 다른 조성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클로로프렌과 배합된 합성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코팅이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제품에 도포되어 제품의 축축하거나/젖었을 때의 착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폴리클로로프렌과 배합된 니트릴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이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제품에 도포되어 제품의 축축하거나/ 젖었을 때의 착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제품을 분말 또는 전분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분말 및 전분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용성 개선제이지만, 이들이 또한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및 전분이 도포되지 않은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양태는 5 mg 미만의 분말 또는 전분, 바람직하게는 3 mg 미만의 분말 또는 전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g 미만의 분말 또는 전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mg 미만의 분말 또는 전분이 사용되어, 실질적으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및 전분이 도포되지 않은 엘라스토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제품은 앞서 기재한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들과 다른 실시 양태들을 이후 기제된 무제한 실시예에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시판중인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폴리클로로프렌 장갑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폴리크로로프렌 수술용 장갑 (Duraprene SMT, Cardinal Health 제조)을 황,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장갑의 비노후 및 노후 특성을 표 1에 도시하였다.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Duraprene SMT 장갑의 물리적 특성
특성 비노후 노후
인장강도 MPa 19.6 19.1
인장 응력 @ 500% MPa 1.86 -
최대 신장율 % 1003 888
실시예 2 - 분말 함유 장갑의 제조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를 경화제로 산화아연 만을 포함한 제제 A (비교용 제제) 또는 경화제로 황, 산화아연 및 DIXP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B를 포함하는 제제를 사용하여 배합하였다. 완전한 배합 조성을 표 2에 기재하였다.
배합 제제
성분 건조 고무 중량에 대한 중량부 (phr) 제제 A 건조 고무 중량에 대한 중량부 (phr) 제제 B
네오프렌 750 라텍스 100.00 100.00
Darvan SMO 용액 4.50 4.50
Darvan WAQ 용액 1.50 1.50
Uniflo 26 용액 0.50 0.50
산화아연 분산액 12.00 12.00
황분산액 0.00 1.50
Robac AS 100 (DIXP) 0.00 2.00
Wingstay L 0.75 0.75
Michemlube 180 1.00 1.00
Rodo # 0 0.028 0.028
Triton X-100 0.013 0.013
이산화티탄 분산액 0.200 0.200
안료 0.080 0.080
표준 응고제 침지 방법을 사용하여 장갑을 형성하였으며,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가황하였다. 장갑의 특성을 표 3에 기재하였다.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의 물리적 특성
성분 제제 A 제제 B
인장강도 MPa 12.00 23.00
인장 응력 @ 300% MPa 0.88 1.47
인장 응력 @ 500% MPa 1.08 2.55
최대 신장율 % 1160 904
산화아연만으로 경화시킨 장갑은 실험용 또는 수술용 장갑에 대한 ASTM 조건을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12 MPa의 인장강도를 보였다. 그러나, 황, 산화아연 DIXP의 배합물로 경화시킨 본 발명의 장갑은 합성 라텍스로 제조한 폴리클로로프렌 실험용 장갑 및 수술용 장갑에 대한 ASTM 조건을 초과하는 23 MPa의 인장강도를 보였다.
실시예 3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장갑의 제조
표준 응고제 침지 방법을 사용하고 제제 B의 배합 라텍스 또는 제제 C의 배합 라텍스를 사용하여 기본 장갑층을 형성하여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을 제조하였다. 라텍스 배합을 표 4에 기재하였다.
배합 제제
성분 건조 고무 중량에 대한 중량부 (phr) 제제 B 건조 고무 중량에 대한 중량부 (phr) 제제 C
네오프렌 750 라텍스 100.00 100.00
Darvan SMO 용액 4.50 4.50
Darvan WAQ 용액 1.50 1.50
Uniflo 26 용액 0.50 0.50
산화아연 분산액 12.00 6.00
황분산액 1.50 1.20
Robac AS 100 (DIXP) 2.00 3.00
Wingstay L 0.75 0.75
Michemlube 180 1.00 1.00
Rodo # 0 0.028 0.028
Triton X-100 0.013 0.013
이산화티탄 분산액 0.200 0.200
안료 0.080 0.080
축축한 기본 장갑층을 갖는 성형틀를 물에 담구고, 부분적으로 건조시킨 후 배합된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및 니트릴 라텍스에 침지하여 기본 장갑 층 상에 라텍스 블렌드의 얇은 코팅을 형성하였다. 고무 라텍스 블렌드는 약 2.5%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및 2.5% 니트릴 라텍스 및 약 95% 물을 포함하였다. 제제 B 및 C를 니트릴 라텍스와 배합된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블렌드를 위한 배합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제제 B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를 기본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을 침지하는데 사용했으며, 총 고체 함유량이 5%인 코팅 조성물은 2.5% 제제 B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및 2.5% 미정제 니트릴 라텍스의 블렌드를 함유하였다. 유사하게, 제제 C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를 기재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을 침지하는데 사용했으며, 총 고체 함유량이 5%인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면, 2.5% 제제 C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및 2.5% 미정제 니트릴 라텍스의 블렌드를 함유하였다. 일반적으로 코팅 조성물은 기본 장갑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배합 조성을 사용한 미정제 니트릴 라텍스 및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기본 장갑과 코팅 층의 배합 조성이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본 장갑을 제조하는데는 제제 C를 사용하고 기본 장갑을 코팅할 미정제 니트릴 라텍스와는 제제 B를 블렌드할 수 있다.
성형틀을 라텍스 블렌드로부터 수거하고, 건조시키고, 약 120 내지 약 155의 고온 공기 오븐 내에서 가황하였다. 가황 후, 코팅된 표면이 장갑의 안쪽이 되도록 성형틀로부터 장갑을 벗겨내었다. 이어서, 장갑의 안팎을 뒤집어 코팅된 표면이 바깥쪽이 되게 한 후, 염소처리 공정으로 후가공하였다. 염소처리 공정은 장갑을 물로 예비세척하는 단계, 약 300 ppm 유효 염소를 함유하는 염소 수용액 내에서 염소 처리하는 단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과다한 염소를 중성화하는 단계, 및 물로 추가 세척하는 단계 (이 단계는 여러 번 수행하였다)로 수행하였다. 이어서, 장갑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고, 손으로 다시 뒤집어서 추가 건조시켰다.
축축하거나 젖은 손에 대한 착용성을 좋게 하기 위해, 장갑을 염소 처리하는 단계 후 회전식 세척기로 옮겨 추가 윤활제 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윤활제 처리 공정은 약 1.0% 세틸피리듐 클로라이드, 1.0% 실리콘 유탁액 및 1.5% 알킬 포스페이트의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장갑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갑을 회전식 세척기로부터 회수하고,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고, 손으로 뒤집었다. 이어서, 장갑을 추가 건조시켰다. 처리된 장갑은 마르거나 젖은 손에 쉽게 착용할 수 있었다.
제제 B 및 C로 제조한 코팅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장갑의 특성을 표 5 및 6에 기재하였다.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코팅된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의 물리적 특성; 제제 B
특성 비노후 노후
숙성 = 1일
인장강도 MPa 24.6 27.6
인장 응력 @ 300% MPa 1.47 1.76
인장 응력 @ 500% MPa 2.25 2.84
최대 신장율 % 1002 924
숙성 = 2일
인장강도 MPa 23.8 27.2
인장 응력 @ 300% MPa 1.37 1.76
인장 응력 @ 500% MPa 2.16 2.94
최대 신장율 % 1111 865
숙성 = 3일
인장강도 MPa 22.5 24.5
인장 응력 @ 300% MPa 1.27 1.27
인장 응력 @ 500% MPa 1.96 2.45
최대 신장율 % 1120 884
* 노후 조건은 70에서 7일간 보관하는 것이었다.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코팅된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의 물리적 특성; 제제 C
특성 비노후 노후
숙성 = 2일
인장강도 MPa 17.8 19.2
인장 응력 @ 300% MPa 0.98 1.37
인장 응력 @ 500% MPa 1.37 2.06
최대 신장율 % 1120 924
숙성 = 3일
인장강도 MPa 21.6 21.4
인장 응력 @ 300% MPa 1.28 1.47
인장 응력 @ 500% MPa 1.86 2.84
최대 신장율 % 963 924
* 노후 조건은 70에서 7일간 보관하는 것이었다.
제제 B로 제조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코팅된 장갑은 70에서 7일간 가속으로 노후시키기 전이나 후 모두에서 우수한 쿨리적 특성을 보였다. 1, 3, 또는 5일 동안 숙성한 라텍스로 제조한 제제 B의 노후시키지 않은 장갑은 22 MPa 보다 큰 인장강도 값을 가졌으며, 가속 노후시킨 후에도 인장강도가 모두 24 MPa 보다 컸다. 이러한 결과는 합성 라텍스로부터 제조한 폴리클로로프렌 실험용 장갑 및 수술용 장갑에 대한 ASTM 조건을 초과하는 것이다.
2 또는 3일 동안 숙성한 라텍스로 제조한 제제 C의 노후시키지 않은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장갑은 실시예 1의 시판중인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장갑과 대략 같은 인장강도를 값을 가졌다. 따라서, 표 5 및 6에 기재된 결과는 가황 조성물을 변화시켜 수술용 장갑 및 실험용 장갑에 대한 ASTM 조건에 맞출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4 - 분말 미함유 장갑의 제조
코팅에 사용된 라텍스 블렌드가 약 2.5% 배합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약 2.5%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및 약 95% 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말도포되지 않은 코팅된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장갑의 특성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장갑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5 - 잔류 DIXP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폴리클로로프렌 장갑 및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폴리클로로프렌 장갑을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기재된 제제 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윤활제 처리 공정은 생략). UV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잔류 DIXP에 대해 장갑을 검사하였다. 장갑을 아세토니트릴 및 헥산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의 UV 스펙트럼을 얻었다. 두 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은 분말이 도포된 장갑이나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장갑 모두에서 잔류 DIXP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UV 스펙트럼 검사 방법은 검출 한계가 1 ppm이었다.
상기 설명은 단지 실시예이며 세부 사항에 있어서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내내, 다양한 특허 및 공보가 인용되었다. 이들 특허 및 공보의 개시물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상황을 보다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그 전문이 본 출원에 참고 문헌으로 통합되었다.
본 발명은 본 개시물의 혜택을 입게 되는 관련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형태 및 기능 면에서 상당한 변형, 대체 및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은 상기 제공된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물 및 대응물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3)

  1. 황 공급원,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
  2. 황 원소,
    유일한 소멸성 촉진제로서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
  3. 황 원소,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가황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가황 조성물에 비해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 공급원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은 황 원소 및 황 공여제,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는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디부틸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황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황 조성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황 공급원을 제공하는 단계;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금속 산화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황 공급원, 단일 소멸성 크산테이트 및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
  9. 폴리클로로프렌, 및
    황 원소,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가황 조성물을 포함하며,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라텍스 분산액.
  10.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청구항 9의 라텍스 분산액을 제공하는 단계,
    응고제 침지법에 의해 성형틀을 라텍스 분산액으로 코팅하여 제 1 엘라스토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엘라스토머 층을 건조시키고 가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 1 엘라스토머 층으로 코팅된 성형틀을 제2 라텍스 분산액으로 코팅하여 제 2 엘라스토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은 상기 제 1 엘라스토머 층을 건조시키고 가황하기 전에 적층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이 상기 제 1 엘라스토머 층과 같은 조성물을 갖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은 상기 제 1 엘라스토머 층과 다른 조성물을 갖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은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합성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2 중합체 라텍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라텍스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방법.
  15. 엘라스토머 제품을 위한 코팅 조성물로서,
    청구항 9의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분산액;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합성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2 중합체 라텍스; 및
    물을 포함하며, 총 고체 함유량이 약 3% 내지 약 15% 인 조성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합체 라텍스는 니트릴 및 합성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코팅 조성물.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
  18. 청구항 9의 라텍스 분산액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
  19. 청구항 15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엘라스토머를 가황하기 위한 촉진제로서 기능하는 임의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통상적인 촉진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엘라스토머 제품.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장갑, 탐침 커버, 손가락 골무, 카테터, 치과용 댐 및 콘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엘라스토머 제품.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엘라스토머 제품.
  23. 황 공급원,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되,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
  24. 황 원소,
    소멸성 촉진제로서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되,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황 조성물.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통상적인 가황 조성물에 비해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26.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황 조성물.
  27.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황 공급원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은 황 원소 및 황 공여제,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황 조성물.
  28. 청구항 23에 있어서, 소멸성 크산테이트 촉진제가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디부틸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황 조성물.
  29. 청구항 23 또는 24의 가황 조성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황 공급원을 제공하는 단계;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금속 산화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황 공급원, 1종 이상의 소멸성 크산테이트 및 금속 산화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황 조성물이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30. 폴리클로로프렌, 및
    황 원소, 디이소프로필 크산토겐 폴리설파이드,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가황 조성물을 포함하며,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는 포함하지 않는 라텍스 분산액.
  31.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폴리클로로프렌 엘라스토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청구항 30의 라텍스 분산액을 제공하는 단계,
    응고제 침지법에 의해 성형틀을 라텍스 분산액으로 코팅하여 제1 엘라스토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엘라스토머 층을 건조시키고 가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제 1 엘라스토머 층으로 코팅된 성형틀을 제 2 라텍스 분산액으로 코팅하여 제2 엘라스토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은 상기 제 1 엘라스토머 층을 건조시키고 가황하기 전에 적층되는 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은 상기 제 1 엘라스토머 층과 같은 조성물을 갖는 방법.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라스토머 층은 상기 제 1 엘라스토머 층과 다른 조성물을 갖는 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라스토머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합성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2 중합체 라텍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라텍스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방법.
  36. 엘라스토머 제품을 위한 코팅 조성물로서,
    청구항 30의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분산액;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 합성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2 중합체 라텍스; 및
    물을 포함하며, 총 고체 함유량이 약 3% 내지 약 15% 인 코팅 조성물.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합체 라텍스는 니트릴 및 합성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코팅 조성물.
  38.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의 가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
  39. 청구항 30의 라텍스 분산액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
  40. 청구항 36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임의의 비소멸성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제품.
  41. 청구항 38에 있어서, 통상적인 촉진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엘라스토머 제품에 비해 알레르기 항원성이 감소된 엘라스토머 제품.
  42. 청구항 38에 있어서, 장갑, 탐침 커버, 손가락 골무, 카테터, 치과용 댐 및 콘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엘라스토머 제품.
  43. 청구항 38에 있어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엘라스토머 제품.
KR1020137002083A 2010-06-25 2011-06-27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KR101715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872110P 2010-06-25 2010-06-25
US61/358,721 2010-06-25
PCT/US2011/042028 WO2011163662A1 (en) 2010-06-25 2011-06-27 Vulcanization composition having reduced allergenic potent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429A true KR20130141429A (ko) 2013-12-26
KR101715213B1 KR101715213B1 (ko) 2017-03-10

Family

ID=4537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083A KR101715213B1 (ko) 2010-06-25 2011-06-27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8980391B2 (ko)
EP (2) EP4233771A3 (ko)
JP (3) JP5792295B2 (ko)
KR (1) KR101715213B1 (ko)
CN (3) CN107043474B (ko)
AU (1) AU2011270682B2 (ko)
CA (1) CA2802956C (ko)
ES (1) ES2947559T3 (ko)
MY (1) MY181643A (ko)
PL (1) PL2585289T3 (ko)
WO (1) WO20111636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423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3662A1 (en) 2010-06-25 2011-12-29 Allegiance Corporation Vulcanization composition having reduced allergenic potential
NL2007262C2 (en) * 2011-08-12 2013-02-13 Kraton Polymers Us Llc A process for preparing articles from a latex comprising water and a styrenic block copolymer and such a latex.
MY170049A (en) 2012-09-12 2019-06-28 Sekhar Res Innovations Sdn Bhd A method for producing devulcanized rubber and an apparatus therefor
EP2954004B1 (en) * 2013-02-11 2018-06-20 Henkel AG & Co. KGaA Liquid rubber damping composition
US10538642B2 (en) * 2013-03-22 2020-0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ubber-based elasto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produced therewith
TW201514234A (zh) 2013-07-16 2015-04-16 Skinprotect Corp Sdn Bhd 彈性體薄膜形成組成物及製自彈性體薄膜之物件(三)
US20150128329A1 (en) * 2013-11-14 2015-05-14 Ansell Limited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isoprene
US10253170B2 (en) * 2014-03-25 2019-04-09 Ansell Limited Polyisoprene/polychloroprene compositions
DE102014114274A1 (de) * 2014-10-01 2016-04-07 Rehau Ag + Co. Verwendung von Partikel, die vernetztes Polymethylmethacrylat enthalten
DE102015103659A1 (de) * 2015-03-12 2016-09-15 Alpma Alpenland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Kartonverpackung von einem verpackten Lebensmittelprodukt
AU2016248518B2 (en) * 2015-04-16 2018-08-30 Resona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rubber and use thereof
CA3236599A1 (en) 2015-10-18 2017-04-27 Allegiance Corporation Water-based hydrogel blend coating and method of application to elastomeric articles
CN108059746A (zh) * 2016-11-08 2018-05-22 北京瑞京乳胶制品有限公司 氯丁医用手套及其制作方法
MY193512A (en) 2017-02-22 2022-10-17 Zeon Corp Latex composition
US11376786B2 (en) 2017-04-21 2022-07-05 Carb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EP3674359A4 (en) 2017-08-25 2021-06-02 Zeon Corporation LATEX COMPOSITION
WO2019058807A1 (ja) * 2017-09-22 2019-03-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ラテックス組成物の製造方法
US10759913B2 (en) * 2017-12-13 2020-09-01 Allegiance Corporation Vulcanization composition for reducing allergenic potential and elastomeric articles formed therewith
EP3845265A4 (en) * 2018-08-29 2022-05-18 Zeon Corporation MEDICAL BALLOON PRODUCTION METHOD
WO2020054248A1 (ja) * 2018-09-14 2020-03-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キサントゲン化合物分散体、共役ジエン系重合体ラテックス組成物、および膜成形体
EP3858911A4 (en) 2018-09-26 2022-05-18 Showa Denko K.K. CHLOROPRENE CO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ES2926815T3 (es) * 2018-11-08 2022-10-28 Denka Company Ltd Composición de copolímero de cloropreno/nitrilo insaturado y objeto moldeado vulcanizado
BR112021008365A2 (pt) 2018-12-17 2021-08-03 Cariflex Pte. Ltd. películas laminadas e métodos de fabricação e uso das mesmas
EP3910019B1 (en) * 2019-01-10 2024-03-27 Resonac Corporation Isoprene-based polymer latex composition
EP4108708A4 (en) * 2020-02-20 2024-03-06 Zeon Corp METHOD FOR PRODUCING A LATEX COMPOSITION
EP4112685A4 (en) * 2020-02-26 2024-03-13 Zeon Corp LATEX COMPOSITION
CN115605523A (zh) * 2020-03-26 2023-01-13 电化株式会社(Jp) 浸渍成型体
JP2023527888A (ja) * 2020-06-02 2023-06-30 アランセオ・ドイチュランド・ゲーエムベーハー ニトロソアミンフリーの硫黄変性ポリクロロプレン加硫物を形成するための加硫性組成物
WO2021251941A1 (en) 2020-06-08 2021-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determining residual carbamate compounds on an elastomeric article
US20230295385A1 (en) * 2020-07-29 2023-09-21 Zeon Corporation Film molded body
CN114316360A (zh) * 2022-01-07 2022-04-12 东莞市远鑫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促进剂
US20240026131A1 (en) * 2022-07-20 2024-01-25 Karex Holdings Sdn. Bhd. Nitrile rubber condoms and methods of making th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60B1 (ko) * 1984-10-25 1989-09-19 로빈슨 브라더스 리미티드 고무 경화처리제 조성물과 가황고무의 제조방법
KR20100014945A (ko) * 2007-02-08 2010-02-11 얼리젼스 코포레이션 장갑 코팅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173A (en) 1964-03-10 1968-08-13 Du Pont Stable chloroprene-sulfur copolymer
NL130581C (ko) 1964-10-24
US4605705A (en) 1984-09-10 1986-08-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resistant sulfur-modified polychloroprene copolymers
DE3540143A1 (de) * 1985-11-13 1987-05-14 Bayer Ag Elastomere masse aus polychloropren-sol und polychloropren-gel und ihre herstellung
DE69030694T2 (de) * 1989-08-18 1997-09-11 Robinson Bros Ltd Gummiprodukte und Vulkanisationssysteme
GB9002995D0 (en) * 1990-02-09 1990-04-04 Rackham Anthony 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ootwear
RU2022979C1 (ru) * 1990-08-16 1994-11-15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Алтай"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леночных покрытий
JPH0648066A (ja) * 1992-07-29 1994-02-22 Suzuki Ratetsukusu:Kk ゴム指サック又はゴム手袋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4191307B2 (ja) * 1999-03-12 2008-12-03 雪ヶ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ゴムスポンジ
JP5009457B2 (ja) * 2000-05-11 2012-08-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0855259B1 (ko) * 2001-03-12 2008-08-29 엘레지언스 코포레이션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4308653B2 (ja) * 2001-09-13 2009-08-05 アンセル・ヘルスケア・プロダクツ・エルエルシー 手袋のマイクロカプセルコーティング
US20030161975A1 (en) 2002-02-27 2003-08-28 Lucas David M. Polyisoprene condom
GB2415699A (en) * 2002-03-18 2006-01-04 Bespak Plc Seal material for a dispensing apparatus
US7374711B2 (en) * 2002-10-10 2008-05-20 Apex Medical Technologies, Inc. Accelerator-free thin-walled rubber vulcanizates from latex
KR100696287B1 (ko) 2004-01-28 2007-03-1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웨이퍼의 보호방법
MY147739A (en) * 2005-07-20 2013-01-15 Diptech Pte Ltd Elastomeric films and gloves
RU2397184C2 (ru) 2005-08-05 2010-08-20 Кратон Полимерз Рисёч Б.В. Композиция ускорителя для каучука
JP2007169253A (ja) * 2005-12-20 2007-07-05 Kawaguchi Kagaku Kogyo Kk 新規チウラム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ム用加硫促進剤
WO2008113702A1 (en) * 2007-03-21 2008-09-25 Basf Se Processing stabilizers for rubber compounding
US8087412B2 (en) * 2008-05-01 2012-01-03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Dip-formed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articles with improved intraparticle and interparticle crosslinks
JP2010133068A (ja) * 2008-12-08 2010-06-17 Showa Glove Kk 耐薬品性手袋
CN101649099B (zh) * 2009-09-17 2012-01-18 上海众力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持久耐高温的丙烯酸酯橡胶组合物
WO2011163662A1 (en) 2010-06-25 2011-12-29 Allegiance Corporation Vulcanization composition having reduced allergenic potent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60B1 (ko) * 1984-10-25 1989-09-19 로빈슨 브라더스 리미티드 고무 경화처리제 조성물과 가황고무의 제조방법
KR20100014945A (ko) * 2007-02-08 2010-02-11 얼리젼스 코포레이션 장갑 코팅 및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423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28664A (zh) 2017-08-11
US20120021155A1 (en) 2012-01-26
EP2585289A1 (en) 2013-05-01
US20150210880A1 (en) 2015-07-30
AU2011270682B2 (en) 2015-10-08
US20170145185A1 (en) 2017-05-25
CN107043474B (zh) 2019-06-25
WO2011163662A1 (en) 2011-12-29
CN103025514A (zh) 2013-04-03
CN107043474A (zh) 2017-08-15
CA2802956C (en) 2018-07-10
MY181643A (en) 2020-12-30
EP4233771A3 (en) 2023-09-27
KR101715213B1 (ko) 2017-03-10
EP2585289B1 (en) 2023-06-07
US9260623B2 (en) 2016-02-16
US9550906B2 (en) 2017-01-24
EP4233771A2 (en) 2023-08-30
JP6195875B2 (ja) 2017-09-13
AU2011270682A1 (en) 2013-01-31
CA2802956A1 (en) 2011-12-29
US20160137868A1 (en) 2016-05-19
CN107028664B (zh) 2019-11-26
JP5792295B2 (ja) 2015-10-07
PL2585289T3 (pl) 2024-01-29
EP2585289C0 (en) 2023-06-07
US8980391B2 (en) 2015-03-17
JP2013534555A (ja) 2013-09-05
EP2585289A4 (en) 2015-05-06
JP2017214593A (ja) 2017-12-07
JP2016000821A (ja) 2016-01-07
US10125239B2 (en) 2018-11-13
ES2947559T3 (es) 2023-08-11
CN103025514B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239B2 (en) Vulcanization composition having reduced allergenic potential, and elastomeric articles formed therewith
US11780972B2 (en) Vulcanization composition for reducing allergenic potential and elastomeric articles formed therewith
AU2015268707B2 (en) Vulcanization composition having reduced allergenic potent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