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259B1 -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259B1
KR100855259B1 KR1020027014956A KR20027014956A KR100855259B1 KR 100855259 B1 KR100855259 B1 KR 100855259B1 KR 1020027014956 A KR1020027014956 A KR 1020027014956A KR 20027014956 A KR20027014956 A KR 20027014956A KR 100855259 B1 KR100855259 B1 KR 10085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soprene
article
guanidine
dithiocarbamate
p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404A (ko
Inventor
웡샤이핑
예연-시웅토니
웨니그란돌
웨이청웡
Original Assignee
엘레지언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레지언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엘레지언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1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2Direct processing of dispersions, e.g. latex, to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10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89/005Cas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86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rubber-like compound 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의 개선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인장 강도 특성이 천연 고무 라텍스를 사용하는 용매계 방법의 경우와 유사한 합성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제조하는 시스템이다. 본 방법은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예비 경화 단계의 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촉진제 조성물은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C), 아연 2-머캅토벤조티아졸(ZMBT) 및 디페닐 구아니딘(DPG)과 안정화제 예컨데, 카세인산나트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제품 예컨데, 수술용 장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POLYISOPRENE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관련 출원의 데이터
본 출원은 2001년 3월 12일자 출원된 미국 가명세서 특허 출원 제60/275,087호를 기초로한 것이다.
발명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 사용되는 탄성중합체 물품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료용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의 개선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고무 라텍스 또는 합성 고무 라텍스로 탄성중합체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황 기를 통해 가교 결합 또는 가황화가 중합체 단위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천연 라텍스 또는 합성 라텍스로부터 탄성중합체 물품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은 라텍스 분산액 또는 유액을 제조하는 단계, 라텍스로 제조될 물품 형태의 성형기를 액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형기에서 라텍스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탄성중합체 물품의 바람직한 특성 예컨데, 인장 강도는 실질적으로 제조 방법의 가교 단계 및 경화 단계에 영향을 받는다.
고무 물품의 제조시 가황화 또는 황 가교 촉진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가황화 촉진제들은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구아니딘, 티오우레아, 아민, 이황화물, 티오람, 크산토겐산염 및 설펜아미드를 포함한다. 폴리이소프렌 고무의 제조시 가황화 촉진제의 사용 방법은 D'Sidocky 등의 미국 특허 제5,744,552호 및 Rauchfuss 등의 미국 특허 제6,114,469호에 개시되어 있다. 탄성중합체 물품을 필요로 하는 특정 분야 예컨데, 의료 분야에서는 제조된 특정 물품의 특정 성능 및 조절 조건에 부합하는 특정 유형의 장치 및 가공 기법을 이용한다.
특정 물품 예컨데, 의료용 장갑의 제조에 있어서 천연 고무 라텍스의 사용은 불리한 특성들 예컨데, 천연 고무 라텍스 및 최종 제품에 존재하는 알레르기 항원 또는 천연 단백질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의료 분야, 구체적으로 장갑 제조 분야에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것은, 사용자 또는 착용자의 잠재적인 불리한 반응의 발생 가능성을 함께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를 없앤 합성 탄성중합체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 예컨데, 장갑은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천연 라텍스 사용의 대안으로서 당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판중인 합성 장갑은 폴리클로로프렌(네오프렌), 카복실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니트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이소프렌은 천연 고무와 이의 화학적 유사성 및 물리적 특성 예컨데, 촉감, 연질감, 모듈러스, 연신 강도 및 인장 강도로 인하여 가장 바람직한 중합체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폴리이소프렌 장갑의 일례로서는 맥심 메디칼(미국 플로리다주 클리어워터 소재)에서 시판되고 있다.
주요한 장갑 제조 방법은 수계 액침 시스템이다. 용매계 시스템은 폴리이소프렌에는 적용 가능하지만, 이 시스템은 의료용 탄성중합체 물품의 제조 및 성형에는 별로 적합하지 못하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장갑 제조 분야에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예를 들어, 고인장 강도와 같은 바람직한 특성들을 보유하는 얇은 탄성중합체 물품을 제조할 방법 및 재료를 디자인하는 것에 있다. 용매계 시스템의 다른 불리한 점은 용매의 독성이다. 그러므로, 의료용으로서 바람직한 특성을 보유하는 제품을 얻음과 동시에 독성의 용매를 사용할 필요성을 없애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재료가 여전히 연구중에 있다.
따라서, 의료 장치 분야에 있어서 합성 탄성중합체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폴리이소프렌 물품 예컨데, 수술용 장갑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물품은 천연 고무 대체물에서 발견되는 바람직한 특성을 보유하며, 동시에 저렴하고 효율적인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발명의 개요
본 출원인들은 천연 고무의 특성과 유사한 바람직한 특성(예, 인장 강도)을 보유하되 천연 고무 라텍스 단백질 및 알레르기 항원이 존재하지는 않는 탄성중합체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텍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황 가교성 폴리 이소프렌 라텍스용의 3원성 촉진제 조성물(three-part accelerator composition)을 발견하였다. 다른 이점은 이 촉진제 시스템이 얇은 성형 탄성중합체 물품 예컨데, 장갑을 필요로 하는 의료 분야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촉진제 조성물 및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용매계 가공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무용매의, 수계 가공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물품은 용매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보유한다. 따라서, 용매의 사용은 감소되거나 또는 피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용매의 독성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제조 장치 및 가장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재료가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신규한 또는 고비용의 부가 재료 또는 장치를 사용할 필요 없이 합성 폴리이소프렌 장갑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여 신규의 복잡한 공정 단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현존하는 장갑 제조 방법 및 시스템을 용이하게 혼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배합(또는 즉시 사용가능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이 연장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compounded polyisoprene latex composition)의 예비 경화 저장 안정성(즉, 액침 및 경화 단계에서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사용하기 이전의 기간)은 최대 약 8일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종래의 것이 3 ∼ 5일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상기 라텍스의 저장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실되는 라텍스의 양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계획하는데 있어서의 융통성도 더욱 넓힐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방법은 예비 경화 공정 변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종래에 사용된 경우보다 더욱 낮은 온도 및 더욱 짧은 기간), 제조 공정중 액침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종래의 제조 방법의 수행시 비용 및 공급원에 있어서 상당한 이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a)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진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 b) 상기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성형기를 액침시키는 단계 ; 및 c) 상기 배합 폴리이소프렌 조성물을 상기 성형기상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초기의 예비 경화 과정(즉, 저장 및 물품 제조 이전 과정)은 35℃ 미만의 온도에서 약 90분(1시간 30분) ∼ 약 150분(2시간 30분), 바람직하게는 약 120분(2 시간)의 범위의 기간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은 상온(약 15 ∼ 약 20℃)에서 최대 약 8일의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라텍스 액침 단계에서 더욱 낮은 온도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구아니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 b) 상기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예비 경화시키는 단계 ; c) 성형기를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액침시키는 단계 ; 및 d) 상기 성형기상에 배합 폴리이소프렌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합성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탄성중합체 물품은 이 물품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 이전에 라텍스 저장 7일 경과후에 까지도 인장 강도가 3000 psi(ASTM D412에 따라서 측정) 이상일 수 있으며, 배합라텍스 조성물은 추가로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
티아졸 화합물 ; 및
구아니딘 화합물
을 포함하는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필수적으로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
티아졸 화합물 ;
구아니딘 화합물
로 이루어진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되는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각각의 디티오카바메이트 ; 티아졸 ; 및 구아니딘의 건조 중량비인 phr(100분의 1부)는 100.0부의 폴리이소프렌당 약 0.50 ∼ 약 1.00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촉진제 조성물은 아연 디에틸티오카바메이트(ZDEC), 아연 2-머캅토벤조티아졸(ZMBT) 및 디페닐 구아니딘(DPG)을 포함하며 안정화제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안정화제는 알칼리토금속 카세인염 예컨데, 소듐 카세인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촉진제 조성물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탄성중합체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된 종래의 장치 및 재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방법은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로 시작된다.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는 촉진제 조성물, 안정화제 및 부가 성분과 함께 사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한다. 촉진제의 기능은 폴리이소프렌의 가황화 또는 가교 속도를 증가시켜 본 방법의 경화 단계 동안 라텍스의 경화 특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액침 및 경화 단계 이전에, 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합 라텍스는 즉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액침 공정에 사용하기 이전의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될 수도 있다.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이 즉시 사용가능하거나 또는 저장 후 사용되는 경우, 제조될 물품의 전체 형태를 띠고 있는 성형기는 먼저 응고 조성물에 액침되어 상기 성형기상에 직접적으로 응고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응고제-피복된 성형기는 건조 후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로 액침된다.
이 후 라텍스로 덮인 조성물에 대하여 경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라텍스는 승온에서 성형기상으로 직접 경화되어 상기 성형기의 형태를 갖는 물품을 제조한다. 물을 사용한 침출, 커프의 비드 형성(beading) 등과 같은 추가의 단계 또한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기법들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것이다. 윤활, 피복, 할로겐화(예, 염소화) 및 살균과 같은, 부가의 후처리 방법 및 기법 단계들도 종종 수행된다.
다양한 탄성중합체 물품들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중합체 물품들로서는 의료용 장갑, 콘돔, 프로브 커버(예, 초음파 프로브 또는 변환기 프로브), 치과용 댐, 손가락 골무, 카테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다수의 이점 및 유익함을 제공하며,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중합체 물품의 어떠한 형태도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는 예비 경화 라텍스 조성물의 주성분이다.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는 용이하게 입수가능하며 이는 다수의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공급처의 예로서는 텍사스주 휴스톤에 소재하는 크라톤(상호명) 코포레이숀 ; 텍사스주 휴스톤에 소재하는 셸 인터내쇼날 코포레이숀 ;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 소재하는 아펙스 메디컬 테크놀로지스, 인크. ; 및 팬실배니아 에리에 소재하는 로드 코포레이숀에서 시판중인 아쿠아라스트(상표명) E0501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소프렌 외에 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프렌 블랜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는 이소프렌 단량체 단위를 지니고 폴리이소프렌의 화학 구조와 특성이 충분히 유사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촉진제 조성물과 배합되어 제조시 폴리이소프렌 생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임의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당한 폴리이소프렌 블랜드로서는 천연 고무 라텍스, 폴리디엔 및 이의 공중합체 예컨데, 폴리부타디엔; 치환된 폴리디엔 예컨데, 폴리클로로프렌; 열가소성 물질 예컨데,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촉진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디티오카바메이트, 1종 이상의 티아졸 및 1종 이상의 구아니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은 ZDEC 또는 ZDC로도 알려져 있는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ZDEC로서는 보스텍스(상표명) 561(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에서 시판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티아졸 화합물로서는 아연 디머캅토벤조티아졸 또는 ZMBT로도 알려져 있는, 아연 2-머캅토벤조티아졸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ZMBT로서는 보스텍스(상표명) 482A(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에서 시판됨)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촉진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구아니딘 화합물로서는, DPG로도 알려져있는 디페닐 구아니딘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DPG로서는 보스텍스(상표명) 417(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에서 시판됨)을 포함한다.
단, 각각이 화학적으로 혼화가능한 경우 즉, 사용된 2개의 잔류 촉진제 화합물의 작용성이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기타의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 유도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디티오카바메이트 유도체들로서는 아연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ZMD), 나트륨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SMD), 비스무트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BMD), 칼슘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CAMD), 구리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CMD), 납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LMD), 셀레늄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SEMD), 나트륨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SDC), 암모늄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ADC), 구리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 트(CDC), 납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LCD), 셀레늄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SEDC), 텔루륨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TEDC),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BUD), 나트륨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SBUD), 디부틸 암모늄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DBUD), 아연 디벤질디티오카바메이트(ZBD), 아연 메틸페닐 디티오카바메이트(ZMPD), 아연 에틸페닐 디티오카바메이트(ZEPD), 아연 펜타메틸렌 디티오카바메이트(ZPD), 칼슘 펜타메틸렌 디티오카바메이트(CDPD), 납 펜타메틸렌 디티오카바메이트(LPD), 나트륨 펜타메틸렌 디티오카바메이트(SPD), 피페리딘펜타메틸렌 디티오카바메이트(PPD) 및 아연 로페티덴 디티오카바메이트(ZLD)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기타의 티아졸 유도체들로서는 2-머캅토벤조티아졸(MBT), 구리 디머캅토벤조티아졸(CMBT), 벤즈티아질 디설파이드(MBTS) 및 2-(2',4'-디니트로페닐티오)벤즈티아졸(DMBT)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기타의 구아니딘 유도체들로서는 디페닐 구아니딘 아세테이트(DPGA), 디페닐 구아니딘 옥살레이트(DPGO), 디페닐 구아니딘 프탈레이트(DPGP), 디-o-톨릴 구아니딘(DOTG), 페닐-o-톨릴 구아니딘(POTG) 및 트리페닐 구아니딘(TPG)을 포함한다.
촉진제 조성물의 성분비 및 성분 비율은 3가지 성분들 모두 즉,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 약간씩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촉진제 성분들의 관점에서, 각각의 촉진제 화합물인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C), 아연 2-머캅토벤조티아졸(ZBMT) 및 디페닐 구아니딘(DPG)은 각각 폴리이소프렌 100부당 약 0.50 phr(고무 100 중량부당 중량부) ∼ 약 1.00 phr 건조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촉진제 조성물은 ZDEC:ZMBT:DPG 각각의 phr 건조 중량 비율을 약 0.50:0.50:0.50 phr ∼ 약 1.00:1.00:1.00 phr의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안정화제는 촉진제 조성물과 함께 사용된다. 다른 성분들과 화학적으로 혼화가능한 경우 경화성 라텍스 시스템에 유용한 당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안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기능 즉, 예비 경화된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의 안정화도를 연장시킨다.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안정화제로서는 우유 단백질 염, 음이온 계면활성제 예컨데,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제로서 사용하기에는 우유 단백질 염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칼리토금속 카세인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토금속 카세인 염으로서는 카세인산나트륨, 칼륨 카세인염, 망간 카세인염 및 아연 카세인염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제로서 사용하기에는 카세인산나트륨(로드 아일랜드 피스데일 소재 테크니컬 인더스트리스에서 시판중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로도펙스(등록상표명) ES(미국 뉴저지 크랜베리 소재, 로디아에서 시판중인 나트륨 라우릴(3) 설페이트 활성을 보유하는 조성물) 및 로다칼(등록상표명) DS-10(미국 뉴저지 크랜베리 소재, 로디아에서 시판중인 분지형 나트륨 도데실벤젠 활성을 보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 테르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트윈(등록상표명) 80(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 ICI 아메리카 인코포레이숀에서 시판중인 폴리소르베이트)과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예비 경화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안정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0.50 ∼ 약 1.00 phr 건조 중량(폴리이소프렌 건조 중량 100부당)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의 양은 약 0.75 phr 건조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프렌, 촉진제 조성물 및 안정화제 외에 제조 공정을 강화 또는 촉진시키는 부가 성분 또한 배합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배합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은 또한 촉매(또는 촉진 개시제) 예컨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및 산화메틸을 포함할 수 있고, 산화아연(ZnO)(미국 오하이오주 이튼 소재, 맥심 메디칼에서 시판중임) ; 경화제(또는 가교제) 예컨데, 황 원소(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에서 시판중인 보스텍스(상표명) 378), 유기 황화물 또는 기타 황 공여 화합물 ; 및 항산화제 예컨데, 윙스테이(상표명) L[예를 들어, 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에서 시판중인 보스텍스(상표명) 24와 같은 p-크레졸 및 디시클로펜타디엔(DCPD)의 부틸화 반응 생성물]과 같은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은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통상 고형물 농도 60%) 및 안정화제(예, 카세인산나트륨)를 상온(약 20 ∼ 약 25℃)에서 혼합한다. 이를 일정 기간 동안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수중에 고형물 농도 40%로 희석시킨다. 이 후 윙스테이 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약 15분 동안 교반한다. 이 시점에서, pH를 약 8.5 ∼ 9.0의 범위로 맞출 수 있다. 산화 아연을 첨가한 후, 황 및 촉진제 화합물을 첨가한다. 바람직한 촉진제 화합물로서는 ZDEC, ZMBT 및 DPG가 있으며, 이들은 폴리이소프렌 100부당 0.50:0.50:0.50 ∼ 1.00:1.00:1.00 phr 건조 중량의 범위로 첨가한다. 이 후 상기 혼합물을 약 20 ∼ 약 4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25℃ ∼ 약 30℃의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며, 이때 자석 교반기 및 가열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약 1시간 30분 ∼ 약 2시간 30분, 바람직하게는 약 2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교반한다.
이 후 상기 혼합물을 약 25℃ 미만의 범위, 통상적으로 약 15 ∼ 약 20℃의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배합 라텍스는 약 15 ∼ 약 20℃의 범위의 상온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에서,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은 이의 액침 및 경화 공정 수행 이전에 최대 약 8일의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폴리이소프렌 장갑의 제조
우선,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의 pH를 pH 약 10으로 맞출 수 있다. 장갑 성형기를 약 70℃의 온도로 오븐에서 예열시킨 후, 온도 약 55℃에서 일정 기간 동안 미리 제조한 응집제 조성물에 상기 성형기를 액침시킨 후, 이로부터 꺼낸다. 그 다음, 응집제 피복 성형기를 상기 응집제가 건조되기에 충분한 시간, 통상적으로 약 5분 동안 70℃의 건조용 오븐에 넣는다.
응집제 피복된 성형기를 상기 오븐에서 꺼내어 이를 상온, 또는 약 20 ∼ 약 25℃의 온도 범위의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에 액침시킨다. 피복된 성형기를 꺼내고 이를 약 70℃의 오븐에 1 분 동안 넣어둔다. 장갑 및 성형기를 오븐에서 꺼낸 후 이를 온도 약 65℃의 수 침출 탱크에 약 5분간 넣어둔다. 장갑 및 성형기를 침출 탱크에서 꺼내고 이를 약 70℃에서 상기 장갑을 건조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통상적으로 약 5분 동안 방치하여 건조시킨다. 이것이 제1 경화 단계의 마지막 단계이다.
제2 경화 단계에서, 장갑 및 성형기를 약 120℃의 온도로 가열된 오븐에서 약 20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장갑 및 성형기를 꺼내고 이를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갑을 성형기로부터 벗겨낸다.
상기 장갑을 각각의 필요에 따라서 예컨데, 모두가 통상적인 기법인 윤활, 피복, 할로겐화 및 살균 기법에 따라서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기타의 통상적인 단계들도 일반적인 공정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경우, 탄성중합체 물품 예컨데, 장갑은 다음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 인장 강도 = 약 3000 psi 이상, 신장율 = 파열시 약 750% 이상, 인장 모듈러스 = 300% 신장률에서 약 300 psi 미만 (ASTM D412에 따라서 측정).
기타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은, 당 업계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종래의 장치 및 기법을 이용하여 본원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돔형 탄성중합체 물품은 콘돔 성형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점을 기술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술된 구체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폴리이소프렌 장갑의 제조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미국 텍사스주 휴스톤에 소재하는 쉘 인터내쇼날 코포레이숀에서 입수, 크레이톤(상표명) IR PR401, 품목 번호 제 000313호, TSC 64.40%]를 물로 희석하였다. 이 후 카세인산나트륨(로드아일랜드 피스데일 소재, 테크니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숀에서 입수)을 혼합물에 첨가한 후 이를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를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산화아연 및 황 분산액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촉진제 화합물 ZDEC(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 ZMBT 및 DPG(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아크론 디스퍼젼)를 분산액으로 제형화한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윙스테이(상표명) 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조성물의 고형물 농도가 약 37.0%로 될 때까지 물로 상기 조성물을 희석하였다.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여 pH를 pH 10.7로 맞추었다. 상기 조성물을 온도 약 25℃로 유지시키고 이를 계속 교반하면서 24 시간 동안 25℃ 미만의 온도에 저장하였다.
따라서, 다음에 제형 성분 및 이들의 각각의 양을 요약하였다. 특별한 언급 이 없는한, 모든 퍼센트는 중량%를 나타내는 것이다.
라텍스 제형
성분 건조 중량부(phr)
폴리이소프렌 100.00
ZDEC 0.50
ZMBT 0.50
DPG 1.00
카세인산나트륨 0.75
ZnO 0.50
1.25
윙스테이(상표명) L 2.00

장갑 성형기를 오븐에서 100℃로 예열시킨 후, 이를 꺼내어 연수 80.65%, 칼슘 니트레이트 13.65%, 탄산칼슘 5.46%, 습윤제[설포닐(상표명) TG 0.2%], 셀룰로즈[셀로사이즈(상표명) QP 52000 0.04%]로 구성된 응집제에 56℃에서 30초 동안 액침시킨 후 이를 꺼내었다. 응집제 피복된 성형기를 약 58℃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를 응집제가 건조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온도 100℃의 건조 오븐에 넣었다.
응집제 피복된 성형기를 상기 오븐에서 꺼내고 이를 25℃에서 0.8분 동안 화학식 Ⅰ의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로 액침시켰다. 피복된 성형기를 꺼낸 후 이를 0.8분 동안 온도 130℃로 예열된 오븐에 넣었다.
이 후 피복된 성형기를 상기 오븐에서 꺼낸 후 이를 온도 50℃의 수 침출 탱크에 5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성형기를 상기 침출 탱크로부터 꺼내어 이를 30초 동안 온도 70℃의 오븐에 방치하였다.
상기 성형기를 오븐에서 꺼낸 후 30초 동안 40℃의 온도의 실리콘 탱크에 액침시켰다. 상기 성형기를 실리콘 탱크에서 꺼내었는데, 이때 상기 성형기상의 장갑은 비더 롤러(beader roller)를 사용하여 커프에서 비드를 형성시켰다.
이 후 상기 성형기를 제2 단계의 경화 오븐에 넣었으며 총 9분 30초 동안 110 ∼ 135℃ 범위의 온도 영역에서 상기 성형기를 이동시켰다. 이 후 이를 상기 경화 오븐에서 꺼낸 후, 이 장갑을 후경화 침출시켰다. 이 단계에서, 상기 성형기상의 장갑을 약 1 분 동안 70℃의 물로 헹구었다.
상기 장갑을 55℃의 슬러리 탱크에 30초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물 85.2%, 녹말 14.33%, 셀룰로즈 0.4%[셀로사이즈(상표명) QP 52000], 나트륨 차아염소산염 0.4%, 계면활성제[다반(상표명)] 0.01% 및 카사스탭(상표명) T 0.02%를 함유하였다. 이 후 상기 성형기를 후슬러리 오븐에 넣어 상기 장갑을 건조시킨 결과 최종 장갑을 제조하였다. 장갑으로 덮인 성형기를 냉각시킨 후 상기 장갑을 이로부터 떼어내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갑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장갑으로부터 얻은 시료들은 ASTM D142에 따라서 측정한 결과 평균 인장 강도 값이 3810 psi, 300% 신장율에서의 인장 모듈러스 값이 171 psi이며, 파열시의 신장율이 1125%였다.
실시예 2
상이한 촉진제 제형 및 방법의 조건을 사용한 비교 데이터
상이한 배합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 및 다양한 방법 변수를 사용하여 샘플을 제조한 후,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 및 평가하였다. 다양한 촉진제 화합물을 함유하며 phr(100당 1부) 비가 다양한, 배합 라텍스를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중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으며, 이하의 표 1에 기술 또는 나열된 해당 온도 및 조건에서 이를 예비 경화시켜 저장하였다.
총 8일에 걸친 라텍스 저장 기간 동안 다양한 간격으로 배합 라텍스 제형으로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약 5분 동안 약 70℃의 온도로 플레이트를 가열하여 샘플 1 및 3 ∼ 16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플레이트를 약 55℃의 온도에서 약 10초 동안 응고제(칼슘 니트레이트 35%, 탄산칼슘 7% 및 설포닐(상표명) TG 0.03%)중에 액침시켰다. 이 후 응집제 피복된 플레이트를 70℃에서 약 5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 후 피복된 플레이트를 배합 폴리이소프렌 조성물에 침지시켰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를 표 1에 나타낸 해당 온도에서 저장 및 액침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약 65℃에서 약 3분 동안 물로 침출시키고, 이 후 약 5분 동안 약 7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이 후 상기 플레이트를 온도 120℃에서 약 20분 동안 경화시켰다. 이 후 상기 샘플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벗겨냈다.
약간 상이한 공정 변수를 적용하여 샘플 2a 및 2b를 제조하고, 공장 규모의 변수들과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으로부터 이들을 얻었다. 샘플 2a 및 2b 각각에 있어서, 주형(장갑 성형기)을 약 55℃로 가열한 후 약 55℃의 응집제(상기와 동일한 응집제)중에 액침시켰다. 이 후 약 3분 동안 온도 약 70℃의 오븐에서 응집제로 덮여진 주형을 건조시켰다. 건조된 응집제 피복 주형을 상기 오븐에서 꺼내어 이를 약 12초의 체류 시간 동안 배합 라텍스 조성물중에 액침시키고, 약 6초 동안 미침수 상태로 분리한후, 8초 동안 추가로 재액침시켰다. 라텍스 피복된 주형을 약 50℃의 온도에서 약 5분 동안 침출시킨 후, 약 15분 동안 약 135℃의 온도에서 경화시켰다.
다음의 표 1은 공정 변수 및 제조된 배합 라텍스 제형을 요약한 것이다.
촉진제 및 안정화제 제형 및 제조 조건
샘플 번호 촉진제 조성물 (ZDEC/ZMBT/DPG Pbr 비율) 안정화제 (유형/phr) 저장/액침
샘플 1 1.0/1.0/0.5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2a 0.50/1.0/1.0 Na 카세인염/0.75 20 ∼ 25℃/상온
샘플 2b 0.50/0.50/1.0 Na 카세인염/0.75 20 ∼ 25℃/상온
샘플 3 1.0/1.0/0.50 Na 카세인염/0.75 16 ∼ 18℃/상온
샘플 4* 1.9/0/0.5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5 0/2.1/0.5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6 1.0/1.0/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7 1.9/0/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8 1.0/0.50/0.25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9 1.0/1.0/0.50 DS10/0.75 상온/상온
샘플 10 1.0/1.0/0.50 ES/0.3 상온/상온
샘플 11 1.0/1.0/0.50 트윈(등록상표명) 80/0.75 상온/상온
샘플 12** 1.0/1.0/0.5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13*** 1.0/1.0/0.5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14**** 1.0/1.0/0.50 Na 카세인염/0.75 상온/상온
샘플 15 1.0/1.0/0.50 Na 카세인염/0.75 16 ∼ 18℃/상온
샘플 16 1.0/1.0/0.50 Na 카세인염/0.75 16 ∼ 18℃/상온
* : 샘플 4 배합 라텍스는 약 4%의 응고율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제형으로부터 상당량의 고형물이 침전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 : 샘플 12에 대한 예비 경화 온도는 상온(20℃)이었음.
*** : 샘플 13에 대한 예비 경화 시간은 약 2시간 30분(150분)이었음.
**** : 샘플 14에 대한 예비 경화 시간은 약 1 시간(60분)이었음.
DS10은 미국 뉴저지 데이톤 소재, 론-폴렌 인코포레이숀에서 시판중인 나트륨 도데실벤젠(분지형)을 포함하는 로다칼(등록상표명) DS-10을 의미한다. ES는 미 국 뉴저지 데이톤 소재, 론-폴렌 인코포레이숀에서 시판중인 나트륨 라우릴(3)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로다펙스 ES를 의미하는 것이다. 트윈(등록상표명) 80은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 ICI 아메리카 인코포레이숀에서 시판되는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염을 포함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한, "상온"이란 약 20℃로 측정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샘플 1 ∼ 11의 각각의 예비 경화 온도 및 시간은 30℃ 및 약 2 시간(120분)이었다.
이 후 인스트론(등록상표명)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ASTM D412-98a "Standard Test Methods for Vulcanized Rubber and Thermoplastic Elastomers - Tension"(1998)에 따라서 각각의 샘플의 인장 강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한 평균 인장 강도 값을 1일 저장 수치당 5개의 별도의 샘플의 인장 강도를 평균내어 측정하였다. 시험된 샘플들 각각에 대한 평균 인장 강도 값을 다음의 표2에 요약하였다.
상이한 라텍스 저장 기간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
샘플번호 배합 라텍스 저장 시간에서의 인장 강도(psi)
0 일 1 일 2 일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1 2698 3648 3398 3080 - 2651 2548 - 2410
2a - 3768 3640 3839 - - 3441 3541 -
2b - 3498 3782 3882 - - 3939 3043 -
3 2201 2413 3192 3158 3288 3154 3008 3000 2909
4 3242 3609 - 3515 3244 3096 2498 - 2464
5 1483 1733 - 2149 1590 1534 1478 - 1358
6 인장도는 측정되지 않음/샘플은 파열되지 않음
7 인장도는 측정되지 않음/샘플은 파열되지 않음
8 1018 1063 3051 - 2177 - - 1802 -
9 - 2566 914 2843 - - - - -
10 - 1278 2520 839 - - - - -
11 - 2407 2901 3042 2834 - - - -
12 - 2450 - - - 2374 - 2212 -
13 2544 3213 3181 2974 2770 - 2393 - -
14 1595 2221 2383 - 2383 - - 1805 -
15 2084 2974 2452 3497 3312 3075 3056 2979 2968
16 2194 2904 3064 3110 3170 3002 2885 2902 2746
상기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합성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샘플은 5일 이상의 기간 동안 저장하고 이를 계속해서 약 7일까지 지속한 배합 라텍스를 사용한 이후에도 인장 강도는 약 3000 psi로 상당한 증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3개의 바람직한 촉진제 화합물(ZDEC/ZMBT/DPG)의 바람직한 phr 비율(0.50 ∼ 1.00/0.50 ∼1.00/0.50 ∼ 1.00 phr)과 바람직한 안정화제, 카세인산나트륨 또한 병용하면 매 라텍스 저장일당 최상의 인장 강도를 얻었다. 샘플 4, 5, 6 및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바람직한 촉진제 화합물중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샘플들은 인장 강도가 상당히 저하되었다. 샘플 6 및 7의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이들 샘플에 대한 인장 강도 값(약 2479 psi로 설정)은 수술용 장갑에 사용되는 탄성중합체 재료에 요구되는 최소 FDA 규제 기준에 부합되지 못하였다.
샘플 3, 15 및 16을 안정화제로서 카세인산나트륨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촉진제 조성물 ZDEC/ZMBT/DPG(phr 비율 = 1.0/1.0/0.50)을 포함하는 배합 라텍스로 제조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약 16 ∼ 약 18℃의 온도 범위에 저장하였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샘플은 인장 강도가 높으면서 저장 수명도 가장 길었다.
티아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촉진제 조성물로 제조된 샘플 4는 인장 강도 값이 높았다. 그러나, 상기 배합 라텍스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양의 고체 물질의 침전을 나타내었다.
샘플 9, 10 및 11에 따른 상기 인장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배합 라텍스중 바람직한 안정화제인 카세인산나트륨 이외의 안정화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샘플 1 ∼ 3, 15 및 16과 비교하였을때 소정의 저장 기간당 인장 강도가 상당히 감소된 샘플을 얻었다.
예비 경화 시간 및 온도 변수를 변화시키면서, 라텍스 조성물로 샘플 12, 13 및 14를 제조하였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비 경화 온도 및 시간 조건들은 또한 얻어진 물질의 물리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탄성중합체 물품의 제조 방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천연 고무 라텍스로 제조된 탄성중합체 물품의 물리적 특성과 매우 유사한 합성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은 수술용 장 갑, 콘돔, 프로브 커버, 치과용 댐, 손가락 골무, 카테터 등의 제조시에 혼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체예 및 기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하에 제시된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유지하면서,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a) 폴리이소프렌;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진제 조성물; 및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배합 라텍스 조성물(compounded latex composition)을 제조하는 단계 ;
    b) 성형기를 상기 배합 라텍스 조성물에 액침시키는 단계 ; 및
    c) 상기 성형기상에서 상기 배합 라텍스 조성물을 경화시켜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이 장갑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이 콘돔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이 프로브(probe) 커버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이 카테터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촉진제 조성물이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2-머 캅토벤조티아졸 및 디페닐 구아니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우유 단백질 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카세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촉진제 조성물이 디티오카바메이트 : 티아졸 : 구아니딘을 배합 라텍스 조성물의 폴리이소프렌 100.0 phr당 phr 비율로 약 0.50 ∼ 약 1.00 phr 디티오카바메이트 : 약 0.50 ∼ 약 1.00 phr 티아졸 : 약 0.50 ∼ 약 1.00 phr 구아니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ASTM D412에 따라서 측정된 인장도가 약 3000 psi 이상이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합성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
    a) 폴리이소프렌;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진제 조성물; 및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배합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
    b) 성형기를 상기 배합 라텍스 조성물에 액침시키는 단계 ; 및
    c) 상기 성형기상에서 상기 배합 라텍스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11. 제10항에 있어서, 물품이 장갑인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물품이 콘돔인 물품.
  13. 제10항에 있어서, 물품이 프로브 커버인 물품.
  14. 제10항에 있어서, 물품이 카테터인 물품.
  15. 제10항에 있어서, 촉진제 조성물이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2-머캅토벤조티아졸 및 디페닐 구아니딘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16. 제10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우유 단백질 염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카세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18. 제10항에 있어서, 촉진제 조성물이 디티오카바메이트 : 티아졸 : 구아니딘을 배합 라텍스 조성물의 폴리이소프렌 100.0 phr당 phr 비율로 약 0.50 ∼ 약 1.00 phr 디티오카바메이트 : 약 0.50 ∼ 약 1.00 phr 티아졸 : 약 0.50 ∼ 약 1.00 phr 구아니딘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19. 폴리이소프렌,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티아졸 화합물, 구아니딘 화합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라텍스 조성물이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2-머캅토벤조티아졸, 디페닐 구아니딘 및 카세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라텍스 조성물.
  21. 탄성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촉진제 조성물로서, 상기 촉진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티아졸 화합물 및 구아니딘 화합물로 구성되고, 이 때, 각각의 디티오카바메이트, 티아졸 및 구아니딘의 phr 건조 중량비가 폴리이소프렌 100.0부당 약 0.50 ∼ 약 1.00인 촉진제 조성물.
  22. ASTM D412에 따라서 측정된 인장 강도가 3000 psi 이상이고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장갑으로서, 상기 장갑은 폴리이소프렌,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티아졸 화합물 및 구아니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인 장갑.
  23. 제22항에 있어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이 카세인산나트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갑.
  24. 제22항에 있어서, 라텍스 조성물이 최대 약 7일의 동안 저장되는 것인 장갑.
KR1020027014956A 2001-03-12 2002-03-12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55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508701P 2001-03-12 2001-03-12
US60/275,087 2001-03-12
PCT/US2002/007304 WO2002090430A1 (en) 2001-03-12 2002-03-12 Polyisoprene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404A KR20030013404A (ko) 2003-02-14
KR100855259B1 true KR100855259B1 (ko) 2008-08-29

Family

ID=2305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956A KR100855259B1 (ko) 2001-03-12 2002-03-12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6828387B2 (ko)
JP (1) JP4116884B2 (ko)
KR (1) KR100855259B1 (ko)
AU (1) AU2002248590B2 (ko)
CA (1) CA2408626C (ko)
DE (3) DE10296456B4 (ko)
ES (1) ES2219191B1 (ko)
GB (1) GB2388372B (ko)
NZ (1) NZ522334A (ko)
WO (1) WO2002090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689A (ko) * 1999-10-14 2002-05-27 토토라노 제이. 빈센트 정렬정보를 캐쉬하는 장치 및 방법
US7726316B1 (en) * 2003-03-21 2010-06-01 The Female Health Company (Uk) Plc Contraceptive sheath with integrated bead construction
US7566502B1 (en) 2003-09-17 2009-07-28 Allegiance Corporation Surface modification of elastomeric articles
US7041746B2 (en) * 2003-09-24 2006-05-09 R.T. Vanderbilt Company, Inc. Accelerator system for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US20050186258A1 (en) * 2004-02-20 2005-08-25 Shiping Wang Antimicrobial medical gloves
US8020106B2 (en) * 2004-03-15 2011-09-13 Yahoo! Inc.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ortals with web content syndication
US7767251B2 (en) * 2005-03-16 2010-08-03 Shiping Wang Repellent elastomeric article
EP1709879A3 (en) * 2005-04-04 2008-06-04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gloves
US8117672B2 (en) 2005-05-13 2012-0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itrile rubber article having natural rubber characteristics
US8250672B2 (en) * 2005-05-13 2012-08-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terior-coated nitrile rubber article having natural rubber characteristics
BRPI0614144A2 (pt) * 2005-08-05 2018-06-26 Kraton Polymers Res Bv composição aceleradora para um latéx de borracha, composição de latéx de borracha sintética aquosa curável, processo para a manufatura baseada em água de artigos elastoméricos sintéticos, e, artigos elastoméricos sintéticos conformados
CN101238172B (zh) * 2005-08-05 2012-01-18 克莱顿聚合物研究有限公司 胶乳促进剂组合物
ZA200808544B (en) * 2006-03-31 2009-08-26 Lrc Products Polyisoprene condoms
US8110266B2 (en) 2007-02-08 2012-02-07 Allegiance Corporation Glove coat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AU2013204280B2 (en) * 2007-02-08 2015-09-03 Allegiance Corporation Glove coat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US20080306200A1 (en) * 2007-06-11 2008-12-11 Seong Fong Chen Antistatic glov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WO2009061311A1 (en) * 2007-11-05 2009-05-14 Stepan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the protein content and odor of latex articles
US20090151838A1 (en) * 2007-12-17 2009-06-18 Erik Paul Sandstrom Tire containing an internal cord reinforced rubber component
KR20110037929A (ko) * 2008-01-04 2011-04-13 씨. 알. 바드, 인크. 합성 폴리이소프렌 폴리 카테터
JP5187501B2 (ja) * 2008-03-03 2013-04-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及び成形体
EP3378895A1 (en) * 2008-03-14 2018-09-26 Allegiance Corporation Water-based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087412B2 (en) 2008-05-01 2012-01-03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Dip-formed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articles with improved intraparticle and interparticle crosslinks
US8052647B2 (en) 2008-05-21 2011-11-08 Medical Components, Inc. Vascular guide wire introducer assembly and valve therefor
US8795573B2 (en) 2008-06-30 2014-08-05 C.R. Bard, Inc. Polyurethane/polyisoprene blend catheter
JP5472286B2 (ja) * 2009-02-28 2014-04-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及びディップ成形体
CA2784043C (en) 2010-01-22 2018-02-13 Seong Fong Chen Methods for packaging and sterilizing elastomeric articles, and packaged elastomeric articles produced thereby
PL2585289T3 (pl) * 2010-06-25 2024-01-29 Allegiance Corporation Kompozycja wulkanizacyjna o obniżonym potencjale alergennym
US20130116717A1 (en) * 2011-04-28 2013-05-09 Stephen J. Balek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WO2014008089A1 (en) * 2012-07-03 2014-01-09 Ansell Limited Textured condom
AU2013332249B2 (en) 2012-10-18 2017-04-13 Lifestyles Healthcare Pte. Ltd. Polymeric articles comprising a deco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5492179B (zh) 2013-07-16 2019-03-08 皮肤防护有限公司 形成弹性体膜的组合物和由所述弹性体膜制成的制品
WO2015046391A1 (ja) 2013-09-30 2015-04-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ディップ成形用組成物およびディップ成形体
NZ719686A (en) 2013-10-29 2020-04-24 Allegiance Corp Hydrophilic/hydrophobic aqueous polymer emulsions and product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N105658710B (zh) 2013-10-29 2019-06-18 阿利吉安斯公司 亲水/疏水含水聚合物乳液和与其相关的产品和方法
US20150272245A1 (en) * 2014-03-25 2015-10-01 Ansell Limited Polymeric glove having varied thickness
US10253170B2 (en) 2014-03-25 2019-04-09 Ansell Limited Polyisoprene/polychloroprene compositions
EP3155019A4 (en) * 2014-06-13 2018-01-24 Ttk Protective Devices Limited A process of manufacturing dipped latex products without using animal derivatives and products thereof
AU2015292239A1 (en) * 2014-07-22 2017-02-09 Ansell Limited Combination glove for detecting breach of hydrophilic fluid
NL2013636B1 (en) * 2014-10-15 2016-10-04 Kraton Polymers Us Llc An accelerator system, a composition comprisng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and the accelerator system, and dipped goods made from the composition.
WO2017127861A1 (en) 2016-01-29 2017-08-03 Skinprotect Corporation Sdn Bhd Elastomeric articl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EP3434437B1 (en) 2017-07-25 2021-09-29 Skinprotect Corporation SDN BHD Elastomeric glov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JP7066352B2 (ja) * 2017-08-21 2022-05-13 住友精化株式会社 塗膜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039424A1 (ja) * 2017-08-21 2019-02-28 住友精化株式会社 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並びに該成形体の製造方法
US10662269B2 (en) 2017-08-31 2020-05-26 Lifestyles Healthcare Pte. Ltd. Ziegler-Natta catalyzed polyisoprene articles
US10759913B2 (en) 2017-12-13 2020-09-01 Allegiance Corporation Vulcanization composition for reducing allergenic potential and elastomeric articles formed therewith
JP7414724B2 (ja) 2018-03-10 2024-01-16 アンセル リミテッド 合成ポリイソプレンラテックス製品用組成物
CA3161886A1 (en) * 2019-12-20 2021-06-24 Church & Dwight Co., Inc. 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with
CN111072902B (zh) * 2019-12-30 2020-09-08 眉山尤博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含改性聚氨酯原料的多层避孕套及其制备方法
US20220125999A1 (en) * 2020-10-22 2022-04-28 Thai Nippon Rubber Industry Public Company Limited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condoms with reduced nitrosamine
CN113861528B (zh) * 2021-09-23 2022-11-04 汇鸿(南通)安全用品有限公司 一种防化防切割无内衬手套的制备方法
WO2023195842A1 (en) * 2022-04-04 2023-10-12 Pentavest Holdings Sdn. Bhd. Rubber articles, rubber gloves containing nanoparticles with active substances, and associated methods thereof
CN115260613A (zh) * 2022-08-22 2022-11-01 广东怡欣家居材料集团有限公司 具有良好压缩变形的乳胶海绵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916A (ja) * 1992-03-23 1993-10-12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使用したタイヤ
JP2000109596A (ja) * 1998-10-02 2000-04-18 Yukigaya Kagaku Kogyo Kk 脱蛋白天然ゴムラテックススポン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6187857B1 (en) * 1996-07-23 2001-02-13 Nippon Zeon Co., Ltd. Dipping latex composition and rubber articles made therefrom by dippi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6678A (en) * 1950-05-12 1953-09-09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the vulcanisation of rubber
US3215649A (en) * 1961-07-14 1965-11-02 Shell Oil Co Synthetic latex
NL291136A (ko) 1962-04-04
US3376158A (en) * 1966-03-16 1968-04-02 Du Pont Process for producing microporous polymeric structures by freeze-coagulation of latices
NL6617922A (ko) * 1966-12-20 1968-06-21
FR1562379A (ko) * 1967-04-12 1969-04-04
GB1193723A (en) * 1968-03-15 1970-06-03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odified Synthetic Conjugated Diene Solution Polymers
US3725328A (en) * 1970-10-26 1973-04-03 Scm Corp Latex coating composition having yield values of 95-550 dynes/cm{11 {11 and shear stress of at least 90 dynes/cm{11 {11 at shear rate of about 0.1-0.2/sec.
US3732578A (en) * 1971-03-01 1973-05-15 H Pollack Diagnostic and interfacial pad for use with the socket of a prosthetic device
GB1474618A (en) * 1973-09-05 1977-05-25 Asahi Chemical Ind Concentrated latex of synthetic rubbers and the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SU1060643A1 (ru) * 1982-01-21 1983-12-1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езиновых и латексных изделий Композици на основе изопренового или натурального латекса
DE68912075T2 (de) 1988-10-31 1994-07-07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Estergruppen enthaltende (Meth-)acrylsäureester, ihre (Co-)polymere, den (Co)polymer enthaltende Komposition und die Estergruppe aufweisende (Meth)acrylsäureester enthaltende Komposition.
US5023301A (en) * 1990-03-05 1991-06-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propylene reinforced rubber
TW209231B (ko) * 1990-10-29 1993-07-11 Akzo Nv
US5284157A (en) * 1991-07-26 1994-02-08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Elastomeric film products with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US5357636A (en) 1992-06-30 1994-10-25 Dresdner Jr Karl P Flexible protective medical glove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6204358B1 (en) * 1992-08-05 2001-03-20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deproteinized natural rubber using protease and anionic surfactant
US5869591A (en) * 1994-09-02 1999-02-09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set interpolymers and foams
JP3622799B2 (ja) * 1995-09-05 2005-02-2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組成物
AT408513B (de) * 1996-08-16 2001-12-27 Semperit Ag Holding Tauchartikel aus einem elastomer
US5744552A (en) 1996-09-16 1998-04-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ulfur vulcanizable rubber contining sodium thiosulfate pentahydrate
US6114469A (en) 1998-08-17 2000-09-05 Flexsys America L.P. Rubber compositions containing zinc hexasulfide complexes
GB9822358D0 (en) * 1998-10-13 1998-12-09 Lrc Products Elastomeric gloves
US6329444B1 (en) * 1998-10-14 2001-12-11 Apex Medical Technologies, Inc. Dip-molded medical devices from cis-1,4-polyisoprene
US6347408B1 (en) * 1998-11-05 2002-02-19 Allegiance Corporation Powder-free gloves having a coating containing cross-linked polyurethane and silico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2001261442A1 (en) * 2000-05-19 2001-12-03 Allegiance Corporation Polymer blends and articles produc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916A (ja) * 1992-03-23 1993-10-12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使用したタイヤ
US6187857B1 (en) * 1996-07-23 2001-02-13 Nippon Zeon Co., Ltd. Dipping latex composition and rubber articles made therefrom by dipping
JP2000109596A (ja) * 1998-10-02 2000-04-18 Yukigaya Kagaku Kogyo Kk 脱蛋白天然ゴムラテックススポンジ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8626C (en) 2009-02-17
US20020173563A1 (en) 2002-11-21
GB2388372A (en) 2003-11-12
ES2219191A1 (es) 2004-11-16
DE10297863B3 (de) 2021-08-26
CA2408626A1 (en) 2002-11-14
AU2002248590B2 (en) 2006-06-08
US6828387B2 (en) 2004-12-07
WO2002090430A1 (en) 2002-11-14
DE10296456B4 (de) 2017-03-09
NZ522334A (en) 2004-08-27
GB2388372B (en) 2004-06-16
JP4116884B2 (ja) 2008-07-09
KR20030013404A (ko) 2003-02-14
US20040169317A1 (en) 2004-09-02
DE10297860B3 (de) 2016-11-03
US8273810B2 (en) 2012-09-25
JP2004532752A (ja) 2004-10-28
GB0317582D0 (en) 2003-08-27
ES2219191B1 (es) 2007-05-01
US20110203596A1 (en) 2011-08-25
US20090326102A1 (en) 2009-12-31
DE10296456T5 (de)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259B1 (ko)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5137831B2 (ja) ラテックス促進組成物
US8673172B2 (en) Latex accelerator composition
US6031042A (en) Soft nitrile rubber formulation
JP2017214593A (ja) 減少したアレルゲンのポテンシャルを有する加硫組成物
US20150128329A1 (en)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isoprene
CN112512770B (zh) 用于降低变应原潜力的硫化组合物和由此形成的弹性体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