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132A -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132A
KR20130140132A KR1020137019887A KR20137019887A KR20130140132A KR 20130140132 A KR20130140132 A KR 20130140132A KR 1020137019887 A KR1020137019887 A KR 1020137019887A KR 20137019887 A KR20137019887 A KR 20137019887A KR 20130140132 A KR20130140132 A KR 2013014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ethylene oxide
ethylene
stripper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884B1 (ko
Inventor
얀 반 오흐트로프
아브라함 아드리안 스마르디예끄
헨드리끄 스티췌르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3014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0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 C07D301/2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saturated compounds with air or molecula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 C07C29/1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 C07C29/10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of cyclic ethers
    • C07C29/10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of cyclic ethers of oxi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 C07C29/1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sters of mineral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0Di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0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 C07D301/03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 C07D301/04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with air or molecula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32Separation; Pur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Epox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에틸렌 및 산소 및 유기 염화물 조절제를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및 산소를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에틸렌 옥시드를 생성함으로써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i)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흡수기 구역에서 수중 흡수에 의해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회수하여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 공급하고, 여기서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증기 스트리핑하여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및 희박 흡수제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v) 희박 흡수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재순환하는 단계; (v) 임의로는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및 (vi)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1종 이상의 염기성 알칼리금속 염으로부터 선택된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 물과 반응시켜 에틸렌 글리콜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vii)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부터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을 제거하는 추가의 단계; 및 (viii)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의 pH가 9.5 이상 내지 12.0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에 염기를 첨가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에틸렌 글리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ETHYLENE GLYCOL}
본 발명은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노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플라스틱 및 수지의 제조에서 원료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는 자동차 부동액에 혼입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노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되는 에틸렌 옥시드로부터 제조된다. 에틸렌 및 산소는 일반적으로 유기 염화물 조절제의 존재 하에 산화은 촉매 상으로 통과하여 에틸렌 옥시드, 이산화탄소, 에틸렌, 산소 및 물을 포함하는 생성물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어서, 유기 염화물과 같은 부산물을 또한 함유할 수 있는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로부터의 생성물 스트림은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는 US 4822926 A 및 US 5336791 A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초기 켄칭 구역을 갖는다.
켄칭 구역 이후, 생성물 스트림은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의 주요 부분으로 보내지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가 일반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희박 흡수제 스트림과 접촉하고 그에 흡수된다. 생성된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은 '지방 흡수제'라 지칭되며,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 공급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는 농축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으로서 제거된다.
모노에틸렌 글리콜 및 또한 고급 글리콜,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을 제공하기 위해,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부터 얻은 에틸렌 옥시드를 물로 가수분해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틸렌 글리콜의 선택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 가수분해가 실행된다. 대안으로, 에틸렌 옥시드를 카르복실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서 물과 반응시켜 에틸렌 글리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US 6080897 A 및 US 6187972 B1에 기재되어 있으며, 모노에틸렌 글리콜에 높은 선택성을 제공한다.
에틸렌 옥시드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의 에틸렌 글리콜로의 가수분해를 촉진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균질 촉매에는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및 중탄산칼륨과 같은 염기성 알칼리금속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하는 공정의 작업 동안에, 상기 가수분해 촉매가 작업 동안 불활성화될 수 있으며, EO 반응기에 존재하는 염화물과 에틸렌 옥시드의 반응으로 형성된 염화에탄올이 가수분해 촉매와 반응하여 가수분해 촉매로서 불활성인 무기 염화물 (예컨대 KCl), 및 에틸렌 글리콜을 형성할 때 적어도 일부의 불활성화가 실행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불활성화는 작업 동안 추가로 새로운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불활성화된 촉매뿐만 아니라 공정으로부터의 기타 분해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 촉매 블리드 스트림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공정에서 존재하는 클로로에탄올의 양을 줄이고 또한 가수분해 촉매의 분해를 줄이거나 피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i) 에틸렌 및 산소 및 유기 염화물 조절제를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및 산소를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에틸렌 옥시드를 생성함으로써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i)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흡수기 구역에서 수중 흡수에 의해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회수하여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 공급하고, 여기서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증기 스트리핑하여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및 희박 흡수제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v) 희박 흡수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재순환하는 단계;
(v) 임의로는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및
(vi)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1 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1종 이상의 염기성 알칼리금속 염으로부터 선택된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 물과 반응시켜 에틸렌 글리콜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vii)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부터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을 제거하는 추가의 단계; 및
(viii)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의 pH가 9.5 이상 내지 12.0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에 염기를 첨가하는 추가의 단계
를 포함하는,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촉매적 가수분해 단계를 포함하는 에텔렌으로부터 에틸렌 옥시드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수성 흡수제로부터 에틸렌 옥시드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의 pH가 9.5 내지 12.0의 범위로 유지되는 경우, 공정에서의 클로로에탄올의 존재 및 가수분해 촉매의 분해 및 불활성화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스트리퍼에 염기를 첨가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에서 에틸렌 및 산소를 반응시켜 에틸렌 옥시드를 제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산소는 산소 또는 공기로서 공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산소로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밸러스트 기체, 예를 들면 메탄을 공급하여 높은 산소 수준에서 가연성 혼합물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작동시킬 수 있다.
촉매 성능 제어를 위해 유기 염화물 조절제를 공급한다. 바람직한 유기 염화물 조절제는 염화탄화수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염화물 조절제는 염화 메틸, 염화 에틸, 이염화 에틸렌, 염화 비닐 및 그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유기 염화물 조절제는 염화 에틸 및 이염화 에틸렌이다.
에틸렌, 산소, 밸러스트 기체 및 유기 염화물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부터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로 공급되는 순환 기체에 공급된다.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는 적합하게는 다관식 고정 층 반응기이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미세하게 분산된 은이며, 임의로는 지지체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나상의 금속 촉진체이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10 bar 초과 및 30 bar 미만의 압력 및 200℃ 초과 및 300℃ 미만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대부분의 에틸렌이 반응하여 에틸렌 옥시드를 형성하지만, 에틸렌의 일부는 완전히 산화되어 이산화탄소 및 물을 제공할 것이다.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은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의 켄칭 구역에 공급된다. 켄칭 구역 이후, 생성물 스트림은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의 주요 구역으로 보내지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는 일반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희박 흡수제 스트림과 접촉하고 그에 흡수된다. 생성된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은 '지방 흡수제'라 지칭되며, 에칠렌 옥시드 스트리퍼로 공급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농축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으로서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부터의 오버헤드(overhead) 증기는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로 순환된다. 이 순환 기체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해 흡수기를 통해 전환된 다음, 순환 스트림으로 복귀된다. 일반적으로 순환 기체로부터 통기 스트림을 취하여 에탄, 아르곤 및 질소와 같은 비활성물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에서 나오는 수성 스트림인 지방 흡수제 스트림은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에 공급된다. 전형적인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에서,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은 스트리퍼의 상부를 떠나고, 희박 흡수제 스트림은 스트리퍼의 바닥을 떠난다. 희박 흡수제 스트림은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재순환되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에 공급되기 전에 냉각된다.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을 스트리퍼로부터 제거한다. 이러한 스트림은 물과 에틸렌 옥시드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글리콜을 포함하며, 본 공정 단계에서 글리콜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제거된다. MEG는 이러한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전체 공정에서 생성된 나머지 MEG를 사용하여 정제될 수 있다.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은 또한 중(heavy) 글리콜 및 염을 함유할 수 있다.
이어서, 농축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에서 에틸렌 글리콜 공정 구역으로 공급하며, 이는 촉매적 가수분해 단계를 포함한다.
에틸렌 옥시드가 가수분해 단계 이전에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로 변환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은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에 제공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및 촉매 스트림도 공급된다.
촉매 스트림은 카르복실화 및 임의로는 가수분해를 촉진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촉매 스트림은 카르복실화 및 가수분해를 촉진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오직 1종의 촉매가 존재한다면, 촉매는 카르복실화 및 가수분해를 촉진해야 한다. 2종 이상의 촉매가 존재한다면, 각각의 촉매는 카르복실화 또는 가수분해를 촉진할 수 있거나 또는 두 반응 모두를 촉진할 수 있다 (단, 적어도 1종의 촉매가 카르복실화를 촉진하고 적어도 1종의 촉매가 가수분해를 촉진하는 것을 전제로 함).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화 및 임의로는 가수분해 촉매를 촉진하는 1종 이상의 촉매는 균질하다. 카르복실화를 촉진한다고 공지된 균질 촉매에는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 예컨대 요오드화칼륨 및 브로민화칼륨, 및 할로겐화 유기 포스포늄 또는 암모늄 염, 예컨대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트리페닐메틸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트리페닐-프로필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트리페닐벤질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트리부틸메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가 포함된다. 가수분해를 촉진한다고 공지된 균질 촉매에는 염기성 알칼리금속 염, 예컨대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및 중탄산칼륨, 또는 알칼리금속의 금속염, 예컨대 몰리브덴산칼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균질 촉매 시스템에는 요오드화칼륨과 탄산칼륨의 조합물, 및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와 탄산칼륨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대안으로, 불균질 촉매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 시스템은 적합하게는 이온 교환 수지와 같은 고체 지지체상에 고정화된 할로겐화물,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과 같은 이온을 포함할 것이다.
이산화탄소 존재 하에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카르복실화하여 해당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제조하는 것은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에서 실행된다. 1개 초과의 반응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직렬로 배열된다.
카르복실화 반응기는 적합하게는 0.8 내지 3.0MPa 범위의 압력 및 50 내지 180℃ 범위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2-상 유동 반응기이다.
카르복실화 반응기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액체 순환이 제공될 것이며, 여기서 액체가 반응기로부터 제거된 다음 반응기의 바닥으로 순환된다. 순환 스트림은 카르복실화 반응기에 개선된 온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 단계 (vi)은 스트리퍼로부터의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로 공급하며, 여기서 존재하는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촉매 존재 하에 물과 반응시켜 수성 에틸렌 글리콜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가수분해 촉매 스트림을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로 공급한다. 이러한 스트림은 수성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먼저 단계 (v)의 임의의 카르복실화 반응을 거치지 않고 가수분해 반응기에 공급하는 경우 필요할 수 있다. 대안으로, 카르복실화 반응기로 공급된 촉매 스트림이 가수분해를 충분한 정도로 촉진하는 촉매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임의의 이유로,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에 공급된 스트림에 가수분해 촉매가 충분하게 존재하지 않으면, 가수분해 촉매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수분해 촉매는 적합하게는 균질하다. 가수분해를 촉진한다고 공지된 균질 촉매에는 염기성 알칼리금속 염, 예컨대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및 중탄산칼륨, 또는 알칼리금속의 금속염, 예컨대 몰리브덴산칼륨이 포함된다. 본 방법에서, 가수분해를 촉진한다고 공지된 바람직한 균질 촉매에는 염기성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및 중탄산칼륨이 포함된다.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는 임의의 적합한 반응기 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 반응기는 배플형(baffled) 반응기이다. 1개 초과의 가수분해 반응기가 존재하는 경우, 가수분해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 중 적어도 1개는 배플형 반응기이며, 여기서 배플형 반응기는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구획을 가지며, 구획은 내부 배플에 의해 형성되며 내부 배플은 반응기를 통하여 반응 유체에 파형(sinuous) 경로를 제공한다.
임의로는, 증기는 배플형 반응기 내로 주입된다.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이다.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의 압력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3MPa이다.
그런 다음, 물을 제거하고 목적하는 MEG를 제조하기 위해,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로부터 방출되는 에틸렌 글리콜 생성물 스트림을 탈수소화 및 정제 구역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단계 (vii)에서 첨가되는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수용액,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이다. 알칼리 수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이다.
알칼리 수용액은 액체이며 액체에 첨가된다 (즉, 기상의 반응물 또는 생성물에 첨가되지 않음).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의 pH가 9.5 이상 내지 12.0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에 염기를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의 pH를 9.5 초과로 유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pH는 10.5 이하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이란 스트리퍼의 하류 부분을 지칭한다.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 내의 pH의 측정을 위한 적합한 위치에는 스트리퍼 그 자체 내, 스트리퍼의 바닥으로부터 제거되는 희박 흡수제 스트림 내 또는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 내가 포함된다.
pH는 일정한 간격의 샘플링에 의해 또는 연속 온라인 모니터링에 의해 모니터링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에틸렌 및 산소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공급물 (1)을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 (2)로 공급한다. 그런 다음,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 (2)로부터의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 (3)을 흡수기 (4)로 공급하고, 여기서 희박 흡수제 (7)과 접촉시킨다. 지방 흡수제 스트림 (5)를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 (6)에 제공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분리하고 희박 흡수제 (7)을 흡수기 (4)로 순환시킨다. 스트리퍼는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 (9)를 함유하며,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 (9)의 pH를 9.5 이상 내지 12.0 이하의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 스트리퍼 (6)에 염기 (8)을 첨가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스트리퍼 (6)로부터의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10)은 각각 액체 순환 (12)를 갖는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 (11)에 공급된다.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 (11)에서 생성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13)을 포함하는 스트림은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 (14)에 공급하고, 여기서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 가수분해가 실행된다. 이어서, 생성된 에틸렌 글리콜 스트림을 탈수소화 및 정제 공정 구역 (16)에서 탈수소화 및 정제하여 정제된 에틸렌 글리콜 (17)을 제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스트리퍼 (6)로부터의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10)을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 (14)에 공급하고, 여기서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 가수분해가 실행된다.
개략도로서 이러한 도면이, 공정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필요한 투입물 및 순환 스트림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i) 에틸렌 및 산소 및 유기 염화물 조절제를 에틸렌 옥시드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및 산소를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에틸렌 옥시드를 생성함으로써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i)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흡수기 구역에서 수중 흡수에 의해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으로부터 회수하여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 공급하고, 여기서 지방 흡수제 스트림을 증기 스트리핑하여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및 희박 흡수제 스트림을 제조하는 단계;
    (iv) 희박 흡수제 스트림을 에틸렌 옥시드 흡수기로 재순환하는 단계;
    (v) 임의로는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및
    (vi)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1개 이상의 가수분해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1종 이상의 염기성 알칼리금속 염으로부터 선택된 가수분해 촉매의 존재 하에 물과 반응시켜 에틸렌 글리콜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vii)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로부터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을 제거하는 추가의 단계; 및 (viii) 스트리퍼의 바닥 부분의 pH가 9.5 이상 내지 12.0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에틸렌 옥시드 스트리퍼에 염기를 첨가하는 추가의 단계
    를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농축 에틸렌 옥시드 스트림을 1개 이상의 카르복실화 반응기에 공급하고, 여기서 에틸렌 옥시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단계 (v)의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스트림을 형성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촉매가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및 중탄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pH가 글리콜 블리드 스트림 중에서 측정된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9.5 초과로 유지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10.5 이하인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염화물 조절제가 염화탄화수소인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염화물 조절제가 염화 메틸, 염화 에틸, 이염화 에틸렌, 염화 비닐 및 그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137019887A 2011-01-31 2012-01-30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KR101861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2780 2011-01-31
EP11152780.0 2011-01-31
PCT/EP2012/051450 WO2012104252A1 (en) 2011-01-31 2012-01-30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ethylene gly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132A true KR20130140132A (ko) 2013-12-23
KR101861884B1 KR101861884B1 (ko) 2018-05-28

Family

ID=4392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887A KR101861884B1 (ko) 2011-01-31 2012-01-30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96564B2 (ko)
EP (1) EP2670725B1 (ko)
KR (1) KR101861884B1 (ko)
CN (1) CN103339092B (ko)
BR (1) BR112013017429B1 (ko)
RU (1) RU2599828C2 (ko)
TW (1) TWI520934B (ko)
WO (1) WO20121042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556A (ko) * 2017-05-19 2020-01-28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에서의 열 통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8171A1 (en) 2017-05-25 2018-11-29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Oxidizing liquid media for chemical transformations
US10738020B2 (en) 2017-11-22 2020-08-11 Joseph D. Duff Recovery of ethylene oxide from sterilization process
EP3713905B1 (en) * 2017-11-23 2023-06-0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ethylene oxide and ethylene glycol
KR20200096920A (ko) * 2017-12-08 2020-08-14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알킬 요오다이드 가드층 시스템을 사용하여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
CN111406049B (zh) 2017-12-08 2023-10-03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用于制备碳酸亚乙酯和乙二醇的方法
CN112441883A (zh) * 2020-11-30 2021-03-05 南京延长反应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气相催化水合法制备乙二醇的强化反应系统及方法
CN112441878A (zh) * 2020-11-30 2021-03-05 南京延长反应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气相催化水合法制备乙二醇的智能反应系统及方法
CN112409129A (zh) * 2020-12-03 2021-02-26 南京延长反应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气相催化水合法制备乙二醇的反应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1727A1 (de) 1980-01-18 1981-07-23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m monoethylenglykol
US4508927A (en) * 1983-08-02 1985-04-02 The Halcon Sd Group, Inc. Preparation of glycols from ethylene oxide
US4822926A (en) 1988-02-29 1989-04-18 Shell Oil Company Ethylene oxide/glycols recovery process
US5336791A (en) 1990-06-19 1994-08-0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duction of ethylene oxide
RU2135488C1 (ru) * 1998-01-05 1999-08-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ижнекамскнефтехим"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оксида этилена
US6080897A (en) 1998-03-19 2000-06-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monoethylene glycol
SG77264A1 (en) 1998-08-10 2000-12-19 Mitsubishi Chem Corp Process for producing an alkylene glycol
CN1069605C (zh) 1998-08-20 2001-08-15 南亚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从乙二醇制程水中去除甲酸、乙酸的方法和装置
JP3921843B2 (ja) * 1998-10-27 2007-05-30 三菱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グリコールの製造方法
JP3659038B2 (ja) 1998-12-22 2005-06-15 三菱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グリコールの製造方法
US6437199B1 (en) 1999-07-14 2002-08-20 Nippon Shokubai Co.,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high-purity monoethylene glycol
US8049044B2 (en) * 2002-12-23 2011-11-01 Shell Oil Company Remediation process and apparatus
CN1285554C (zh) 2004-07-12 2006-11-2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亚烷基二元醇的方法
US8693525B2 (en) * 2006-07-1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transmit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R064958A1 (es) * 2007-01-22 2009-05-06 Shell Int Research Procesos para la produccion de oxido de etileno y glicol de etilen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556A (ko) * 2017-05-19 2020-01-28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에서의 열 통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9092B (zh) 2015-10-14
EP2670725B1 (en) 2015-01-21
EP2670725A1 (en) 2013-12-11
RU2599828C2 (ru) 2016-10-20
BR112013017429A2 (pt) 2016-09-27
RU2013140451A (ru) 2015-03-10
TWI520934B (zh) 2016-02-11
CN103339092A (zh) 2013-10-02
TW201235340A (en) 2012-09-01
US9096564B2 (en) 2015-08-04
BR112013017429B1 (pt) 2019-02-12
KR101861884B1 (ko) 2018-05-28
US20120197048A1 (en) 2012-08-02
WO2012104252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884B1 (ko) 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KR101564118B1 (ko) 알킬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EP220776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glycol
US11389776B2 (en) Guard bed system and process
TWI534128B (zh) 用於製備乙二醇之方法
EP2630109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
EP2334623B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onoethylene glycol
TW202021937A (zh) 用於製備乙二醇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