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974A -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974A
KR20130139974A KR1020137011459A KR20137011459A KR20130139974A KR 20130139974 A KR20130139974 A KR 20130139974A KR 1020137011459 A KR1020137011459 A KR 1020137011459A KR 20137011459 A KR20137011459 A KR 20137011459A KR 20130139974 A KR20130139974 A KR 2013013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peed
determining
vehicl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216B1 (ko
Inventor
피터 왈레백
닐스 에릭슨
앙드레아스 제르함마르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3013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차량(1)의 속도 상태(V)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속도 상태(V)를 미리 정해진 차량 속도(VL, VH)와 비교하는 단계(S32, S52, S37)와,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단계(S36, S40, S34, S38, S53)와, 그리고 상기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stationary) 상태(S)인지 또는 이동(travelling) 상태(D)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PERATING STATES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9 항의 전제부에 따른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motor vehicle), 특히 자동차(car)가 연료 재급유(refuelling)를 필요로 하기 전에 얼마나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는지("DTE(distance to empty)"로 알려져 있음)를 표시하는 것은 현재 일반적인 일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공지하는 것은 원하는 목적지를 향해 실질적으로 0보다 큰 특정 속도로 도로 위에서 이동하는 차량에 대해 훌륭한 방법이다. DTE는, 보다 정적인(stationary) 태스크들(예컨대, 목재 가공(timber dressing) 등의 특정 영역으로 제한된 산업 내에서의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차량들의 경우에는 관련이 없다. 남아있는 차량 이용가능 시간이 더 관련이 있는 것이라면, 운전자는, 예를 들어, 현재의 시프트가 끝나기 전에 차량을 재급유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알게 될 것이다.
미국 특허 US 7,206,720 B2는 "TTE(time to empty)"로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은,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의 운행 시간(running time)에 대해 고려한다.
문제는 특정 차량들은 정지 태스크들 및 실질적으로 0보다 높은 속도에서의 이동을 수반하는 태스크들 둘 모두를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 결정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 결정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기술되는 설명에 의해 제시된 이러한 목적들은,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및 서두에 제시된 종류의 모터 차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목적들은 또한 첨부의 독립 청구항 제1 항 및 제 9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구성들을 제시한다. 본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종속 청구항 제2 내지 8항 및 제10 내지 17항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차량의 속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속도 상태를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속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stationary) 상태인지 또는 이동(travelling)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차량이 동작 상태에 있고 따라서 특정 속도를 초과한 속도에서 이동하고 있거나 또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고 따라서 상기 속도를 초과한 속도에서 이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어,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아있는지 그리고 차량이 동작 상태에서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얼마나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속도 상태의 미리 정해진 정상도(steadines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차량의 의도(intention)가 상기 결정된 동작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지속되지 않을 위험을 방지해주어, 정확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특정 속도 상태가 적어도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인 차량 속도로 식별(distinguish)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정지 상태에서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며, 따라서 상기 차량의 의도가 상기 정지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계속되지 않은 경우에 정지 상태라는 결정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이면 정지 상태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특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서 계속된 경우에만 정지 상태가 결정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특정 속도 상태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이동 상태에서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차량의 의도가 이동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계속되지 않은 경우 이동 상태라는 결정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에 대응하거나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면 이동 상태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특정 시간 동안 이동 상태에서 계속되었을 때에만 이동 상태가 결정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속도 상태가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큰 추가의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된다면 이동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이 특정 속도에 도달하여 그 의도가 이동 상태에 있도록 된 때에 즉시 정지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결정된 정지 상태 동안 필요한 재급유를 위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재급유에 대한 관련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 즉,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그/그녀가, 재급유를 필요로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아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신하여, 연료가 소진될 위험이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차량이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결정된 이동 상태에서 얼마나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재급유에 대한 관련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 즉, 차량이 이동 상태에 있을 때 그/그녀가, 재급유를 필요로하기 전에 차량이 얼마나 더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신하여, 연료가 소진될 위험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속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속도 상태를 미리 정해진 속도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S)인지 또는 이동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차량이 동작 상태에 있고 따라서 특정 속도를 초과한 속도에서 이동중인지, 또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고 따라서 상기 속도를 초과한 속도에서 이동하고 있지 않은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며, 이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아있는지 그리고 차량이 이동 상태에서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얼마나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특정 속도 상태에 대한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상기 결정된 동작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계속되지 않을 위험을 방지해주어, 정확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특정 속도 상태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인 차량 속도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정지 상태에서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며, 따라서 상기 차량의 의도가 상기 정지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계속되지 않은 경우, 정지 상태라는 결정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이면 정지 상태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특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서 계속되었던 경우에 정지 상태만이 결정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특정 속도 상태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의도가 이동 상태에서 계속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차량의 의도가 이동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계속되지 않은 경우에 이동 상태라는 결정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거나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에 대응하면 이동 상태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차량의 의도가 특정 시간 동안 이동 상태에서 계속된 경우에만 이동 상태가 결정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속도 상태가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큰 추가의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되면 이동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이 그 의도가 이동 상태에 있도록 특정 속도에 도달할 때 정지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즉시 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결정된 정지 상태 동안 필요한 재급유를 위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재급유에 대한 관련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 즉,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그/그녀가, 재급유를 필요로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아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신하여, 연료가 소진될 위험이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차량이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결정된 이동 상태에서 얼마나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재급유에 대한 관련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 즉, 차량이 이동 상태에 있을 때 그/그녀가, 재급유를 필요로하기 전에 차량이 얼마나 더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신하여, 연료가 소진될 위험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다수의 도면들에 전체에 걸쳐 유사한 아이템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모터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는 시간에 따른 차량의 속도 변동(variation)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b는 도 3a에서의 속도 변동이 있는 상태에서 도 2의 시스템 및 도 3의 방법에 따라 차량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동작 상태"는 차량이 운행(running)되고 있는 상태, 즉, 이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이 활성화/스위치온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이동 상태(travelling state)"는 차량이 이동하고 있거나, 또는 차량이 특정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임계 값에 대응하는 속도 또는 미리 정해진 임계 값을 초과하는 속도에서 이동하려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정지 상태(staionary state)"는 차량이 정지되어 있거나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 값 미만의 특정 속도에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차량(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차량(1)은 트럭(예컨대, 상용 차량) 형태의 무거운 차량이다. 차량은 대안적으로 버스 또는 승용차일 수 있다. 상기 차량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2)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시스템(2)은 차량의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100)을 포함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링크(111)를 통해, 차량을 비-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하도록 활성화(즉, 차량의 엔진이 기동되거나 적어도 점화장치가 스위치 온됨)시키기 위한 차량 활성화 수단(110)에 신호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링크를 통해 상기 차량 활성화 수단(110)으로부터 차량 활성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장치(100)는 상기 차량 활성화 데이터를, 차량이 활성화되어 있음(즉, 엔진이 스위치 오프에서 운행(running)으로 변함)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차량 활성화 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활성화 값이 충족될 때(즉, 차량의 엔진이 스위치 오프에서 운행으로 변하는 경우), 전자 제어 유닛(100)은, 차량의 시작 시간에 시스템(2)이 상기 이동 상태(D)에 진입하도록 이동 상태(D)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즉, 시스템(2)은, 차량이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낮은 임계 값(VL)에 대응하는 속도 또는 상기 낮은 임계 값(VL)보다 높은 특정 속도에서 운행될 것으로 여겨진다(즉,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S)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음)고 추정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활성화 값이 충족될 때(즉, 차량의 엔진이 스위치 오프에서 운행으로 변하는 경우), 전자 제어 유닛(100)은, 차량의 시작 시간에 시스템(2)이 상기 정지 상태(S)에 진입하도록 정지 상태(S)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즉, 시스템은 차량이 정지 상태(S)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따라서 상기 낮은 임계 값(VL) 미만의 속도에서 이동하고 있다고 추정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차량 속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된 속도 검출 수단(120)에 링크(121)를 통해 신호-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링크를 통해 속도 검출 수단(120)으로부터 차량 속도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를 통해, 증분(increment) 또는 감분(decrement)하도록 되어 있는 타이머 유닛(130)에 신호-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유닛(130)을 증분 또는 감분시키도록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링크(131)를 통해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2 링크(132)를 통해 타이머 유닛(13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머 유닛(130)은 전자 제어 유닛(100)과 일체로 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차량 속도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차량 속도 임계 값들(VL, VH)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계 값들은 낮은 임계 값(VL)및 상기 낮은 임계 값(VL)보다 높은, 높은 임계 값(VH)이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위한 동작 상태 유닛(140)의 활성화를 위하여 링크(141)를 통해 동작 상태 유닛(140)에 신호-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상태 유닛(140)은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남은 시간(TTE) 또는 재급유를 필요로 하기 전에 차량이 얼마나 더 이동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활성화 값이 충족되고 이동 상태(D)가 활성화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미리 정해진 감분 임계 값(TS)이 충족되기 전에 타이머 유닛(130)이 얼마나 오래 감분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감분 개시 시간(decrement initiation time)(Ti)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분 개시 시간(Ti)으로부터 감분하는 동안,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데이터를 상기 감분 임계 값(TS)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분 임계 값 (TS)이 도달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정지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링크를 통해 동작 상태 유닛(1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그후, 동작 상태 유닛(140)이 이동 상태(D)로부터 정지 상태(S)로 상태를 변경하고 그리고 재급유를 필요로하게 되기 전에 남은 시간(TT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활성화 값이 충족되고 정지 상태(S)가 활성화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미리 정해진 증분 임계 값(TD)이 충족되기 전에 타이머 유닛(130)이 얼마나 오래 증분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개시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분 개시 시간으로부터 증분하는 동안,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데이터를 상기 증분 임계 값(TD)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분 임계 값(TD)이 도달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이동 상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링크를 통해 동작 상태 유닛(14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그후, 동작 상태 유닛(140)은 정지 상태에서 이동 상태(D)로 상태를 변경하고 그리고 재급유를 필요로하게 되기 전에 차량이 얼마나 더 이동할 수 있는지(DT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 속도 데이터가 상기 낮은 임계 값(VL) 미만인 경우의 차량의 동작 상태에서,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유닛(130)이 감분을 시작하도록 감분 동작(decrementing)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들을 상기 제1 링크를 통해 타이머 유닛(13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타이머 유닛(130)이 활성화되어 감분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감분 타이머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링크(131)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미리 정해진 감분 임계 값(TS)과 상기 감분 타이머데이터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분 타이머 데이터가 적어도 상기 감분 임계 값(TS)에 이를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S)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동작 상태 유닛(1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 속도 데이터가 상기 낮은 임계 값(VL)과 동일하거나 상기 낮은 임계 값(VL)을 초과하는 경우의 차량의 동작 상태에서,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을 시작하도록 증분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들을 상기 제1 링크(131)를 통해 타이머 유닛(1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타이머 유닛(130)이 활성화되어 증분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증분 타이머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링크(131)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증분 타이머 데이터를 상기 미리 정해진 증분 임계 값(TD)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분 타이머 데이터가 상기 증분 임계 값(TD)에 이를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동작 상태를 이동 상태(D)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동작 상태 유닛(1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상기 미리 정해진 차량 속도의 높은 임계 값(VH)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 속도 데이터가 상기 높은 임계 값 (VH)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데이터를 고려함이 없이(즉, 타이머 유닛(130)의 증분을 위한 시간을 수용함이 없이), 이동 상태로 즉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링크(141)를 통해 동작 상태 유닛(1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닛(100)은 링크(151)를 통해 주차 브레이크 유닛(150)에 신호-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주차 브레이크 유닛(150)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주차 브레이크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주차 브레이크 유닛(15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주차 브레이크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차 브레이크 활성 값과 비교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주차 브레이크 활성화 값이 충족될 때(즉, 주차 브레이크 유닛(150)이 활성화될 때), 상기 전자 제어 유닛(100)은 타이머 유닛을 감분시키기 위한 시간을 수용함이 없이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동작 상태 유닛(1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닛(100)은 링크(161)를 통해 차량 전송 유닛(160)에 신호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차량 전송 유닛(160)으로부터 상기 전송 유닛(160)이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주차 위치(parking position)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전송 상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상기 전송 상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전송 상태 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송 상태 값이 충족될 때(즉, 차량 전송 유닛(160)이 활성화될 때), 전자 제어 유닛(100)은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동작 상태 유닛(1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동작 상태의 결정은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S)(이 경우 재급유가 필요할 때까지의 시간(TTE)이 결정됨)인지, 또는 이동 상태(D)(이 경우 재급유가 필요할 때까지의 거리(DTE)가 결정됨)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DTE에 대한 정보가 결정되도록 차량을 시동할 때 개시되는 초기 상태(primary state)는 이동 상태(D)인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방법은 도 2에 따라 정지 상태(S)로 스위칭하기 전에 낮은 임계 값(VL)을 패스(pass)하기 위하여 차량에 대한 초기 시간(initial time)을 결정하는 개시 시간(initiation time)(Ti)를 설정하는 단계(S31)를 포함한다.
본 방법의 단계(S32)는 차량이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차량이 동작하고 있지 않다면, 본 방법은 리셋된다.
차량이 동작하고 있다면, 방법 단계(S33)는 차량의 속도(V)가 낮은 임계 값 (VL)보다 낮은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타이머 유닛(130)이 감분할 것이다.
방법 단계(S34)는 이후 상기 감분 임계 값(Ts)이 충족되는지 여부(즉, 타이머 유닛(130)의 감분 시간(T)이 상기 감분 임계 값(Ts)과 동일한지 또는 그보다 낮은지)를 조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방법 단계(S35)는 감분 시간(T)을 감분 임계 값 (Ts)으로 설정할 것이고, 이후, 방법 단계(S36)가 동작 상태를 정지 상태(S)로 변경하여 TTE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감분 임계 값(Ts)이 충족되지 않으면,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요구되며, 만약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면, 방법 단계(S33)는,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보다 낮은지 여부를 조사한다.
차량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다면, 방법 단계(S37)은 차량의 속도가 높은 임계 값(VH)보다 높은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타이머 유닛(130)의 증분 시간이 증분 임계 값(TD)으로 설정될 것이고, 이후 정지 상태가 이동 상태(D)로 변경되어 DTE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후 동작 상태는, 상기 증분 상태(T)가 증분 임계 값(TD)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이동 상태(D)로 변경된다. 즉, 차량 속도(V)가 상기 높은 임계 값(VH)을 초과하자마자, 동작 상태가 이동 상태로 설정된다.
차량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과 동일하거나 상기 낮은 임계 값(VL) 보다는 높으나 높은 임계 값(VH)을 초과하지는 않는다면,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할 것이다. 방법 단계(S38)는 이후 상기 증분 임계값(TD)이 충족되는지 여부(즉, 타이머 유닛(130)의 증분 시간(T)이 상기 증분 임계값(TD)과 동일하거나 상기 증분 임계값(TD)보다 낮은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방법 단계(S39)는 증분 시간(T)를 증분 임계 값(TD)으로 설정할 것이고, 이후 방법 단계(S40)가 동작 상태를 이동 상태(D)로 변경하여, DTE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동작 상태가 이동 상태(D)이고 차량 속도(V)가 낮은 임계값(VL)보다 낮아 타이머 유닛(130)이 감분하고, 차량 속도(V)가 이후 증가하여, 타이머 유닛(130)이 감분 임계값(Ts)으로 감분하기 전에 차량 속도(V)가 낮은 임계값(VL)보다 높아지면, 타이머 유닛(130)은 대신 증분하기 시작할 것이고, 그럼으로써 이동 상태(D)를 유지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S)이고 차량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아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하고, 차량 속도(V)가 이후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 임계값(TD)으로 증분하기 전에 낮은 임계값(VL) 미만으로 감소하면, 타이머 유닛(130)은 대신 감분하기 시작할 것이고, 그럼으로써 정지 상태(S)를 유지할 것이다.
정지 상태(S) 및 이동 상태(D) 둘 모두에서 동작하는 차량의 경우, 운전자는, 스스로 어떠한 동작도 취할 필요 없이, 재급유에 대한 정확한 정보(즉, 주어진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것이다. 운전자는 정지 상태(S)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TTE에 대해, 그리고 이동 상태(D)(차량이 상기 낮은 임계 값(VL)을 초과하는 속도에서 이동하는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DTE에 대해 공지받을 것이다.
정지 상태(S)와 이동 상태(D) 사이의 스위칭은 또한 차량 속도(V) 뿐만아니라 차량 속도의 정상도(steadiness)(즉,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 또는 감분하는 동안의 시간인 특정 시간 동안, 차량 속도가 낮은 임계 값(VL) 초과 또는 미만에 있음)에도 근거한다. 이는 예를 들어, 적색 교통 신호에서 동작 상태가 이동 상태(D)에서 정지 상태(S)로 시프트할 때, 정지 상태(S)와 이동 상태(D) 사이의 불필요한 스위치에 의해 운전자가 불필요하게 방해받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정지 태스크들을 갖는 차량들은 또한 정지 상태(S)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시간 동안 중간의-높은(medium-high) 속도에서 이동할 것이다.
차량은 또한 그의 속도(V)가 상기 높은 임계 값(VH)을 초과하자마자 이동 상태(D)를 가정할 것이고, 따라서 이동 상태(D)에 있을 의도가 명백한 시간들에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S)에 계속 있지 않게 된다.
차량이 아이들링(idling) 중이라 하더라도, 이동 상태(D)가 초기에 원하는 시간 길이 동안 유지되도록 별개의 개시 시간(Ti)이 조정될 수 있다.
도 4a는 시간에 따른 차량의 속도 변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b는 도 4a의 속도 변화를 갖는 도 2의 시스템에 따라 차량의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차량은 약 16분의 시점에 동작 상태가 이동 상태(D)로 설정될 때(즉, 차량이 시작됨) 동작 상태로 진입한다. 차량의 속도는 이후, 약 21 분까지 0이고, 0으로 떨어지기 전 22 분에 거의 20 km/h로 증가하고, 거의 20 km/h로 다시 상승하고 이후 다시 떨어져 약 24 분에 낮은 임계 값(VL)을 초과하게 되고 그후 낮은 임계 값(VL) 미만이 되고, 그리고 낮은 임계 값(VL)을 다시 초과하여 상승하고 그리고 0으로 하강하기 전에 약 0으로 낮아지고, 이후, 약 27분에서부터, 낮은 임계 값(VL)을 초과하고 그리고 약 28분에 높은 임계 값(VH)를 초과한다.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시 시간(Ti)이 5분으로 설정된다. 즉, 타이머 유닛(130)은, 이동 상태(D)로부터 정지 상태(S)로 동작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기 전에, 총 5분 동안 감분하여야 하며, 이 5분은 증분 시간과 감분 시간의 총합이다. 도 4a 및 4b에 따른 경우에,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타이머 유닛(130)은 0의 감분 임계 값(Ts)으로 감분하고(5분이 소요됨), 상기 5분은 차량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 미만인 동안의 시간이다. 약 24분에, 처음으로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에 대응하거나 이를 초과할 때, 타이머 유닛(130)은 증분을 시작할 것이다. 속도(V)가 낮은 임계 값(VL) 미만일 때, 타이머 유닛(130)은 감분으로 되돌아가고, 그리고 낮은 임계 값(VL)이 초과될 때, 타이머 유닛(130)은 다시 증분할 것이다. 속도(V)가 상기 낮은 임계 값(VL) 초과 및 미만으로 변하는 동안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 및 감분한다. 약 28분에 속도(V)가 50km/h로 설정된 높은 임계 값(VH)을 초과할 때, 타이머 유닛(130)이 증분 임계 값(TD)으로 증분됨이 없이,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S)로부터 이동 상태(D)로 시프트한다.
여기서 개시 시간(Ti)가 5분으로 설정되며, 상기 5분은 이 예에서 증분 임계 값(TD)에 대응한다. 대안적인 변형예에 따르면, 개시 시간(Ti)이 증분 임계 값(TD)와 다를 수 있다. 개시 시간은 감분 임계 값(Ts)과 같거나 감분 임계 값(Ts)보다 큰 범위 내에 있고 증분 임계 값(TD)보다 작거나 증분 임계 값(TD)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차량의 속도 상태를 결정하는 제1 단계(S5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속도 상태를 미리 정해진 속도와 비교하는 제2 단계(S5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3 단계(S5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또는 이동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4 단계(S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위의 기술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모두 포괄하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변형예들로 제한하려 의도된 것이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적인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기술되었으며, 그럼으로써 당업자로 하여금 의도된 사용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수정예들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7)

  1. 모터 차량(1)의 속도 상태(V)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속도 상태(V)를 미리 정해진(predetermined) 차량 속도(VL, VH)와 비교하는 단계(S32, S52, S37)와;
    -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단계(S36, S40, S34, S38, S53)와; 그리고
    - 상기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stationary) 상태(S)인지 또는 이동(travelling) 상태(D)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특정 속도 상태의 미리 정해진 정상도(steadiness)를 결정하는 단계(S34, S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속도 상태(V)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Ts)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 미만인 차량 속도로 식별(distinguish)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도(Ts)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 미만이면 정지 상태(S)임을 결정하는 단계(S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속도 상태(V)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TD)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도(TD)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에 대응하거나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를 초과하면 이동 상태(D)임을 결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상태(V)가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보다 큰 추가의 미리 정해진 속도(VH)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된다면 이동 상태임을 결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결정된 정지 상태(S)에 관련된 필요한 재급유까지의 시간(TTE)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결정된 이동 상태(D)에 관련된 필요한 재급유까지의 거리(DT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는 방법.
  9. 차량의 속도 상태(V)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속도 상태(V)를 미리 정해진 속도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100)과;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동작 상태(D, S)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 130)과, 그리고
    결정된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S)인지 또는 이동 상태(D)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 130)은 특정 속도 상태(D, S)의 미리 정해진 정상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속도 상태(V)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TS)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 미만인 차량 속도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TS)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 미만이면 정지 상태(S)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속도 상태(V)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TS)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가 적어도 미리 정해진 정상도(TD)를 갖는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를 초과하거나 이에 대응하면 이동 상태(D)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 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4. 제9 내지 13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상태(V)가 상기 미리 정해진 속도(VL)보다 큰 추가의 미리 정해진 속도(VH)를 초과하는 차량 속도로 식별되면 이동 상태(D)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5. 제9 내지 14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정상 상태(S)에 관한 필요한 재급유까지의 시간(TTE)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 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6. 제9 내지 15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이동 상태(D)에 관한 필요한 재급유까지의 거리(DTE)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100, 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차량(1)의 동작 상태(D,S)를 결정하는 시스템.
  17. 제1 내지 16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
KR1020137011459A 2010-10-07 2011-10-04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18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51052-7 2010-10-07
SE1051052A SE535210C2 (sv) 2010-10-07 2010-10-07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fastställa drifttillstånd hos ett motorfordon
PCT/SE2011/051187 WO2012047166A1 (en) 2010-10-07 2011-10-04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perating states of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974A true KR20130139974A (ko) 2013-12-23
KR101918216B1 KR101918216B1 (ko) 2018-11-13

Family

ID=4592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459A KR101918216B1 (ko) 2010-10-07 2011-10-04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625057B1 (ko)
JP (1) JP5690408B2 (ko)
KR (1) KR101918216B1 (ko)
CN (1) CN103153679A (ko)
BR (1) BR112013005395B1 (ko)
RU (1) RU2536756C1 (ko)
SE (1) SE535210C2 (ko)
WO (1) WO2012047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5210C2 (sv) * 2010-10-07 2012-05-22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fastställa drifttillstånd hos ett motorfordon
KR101406504B1 (ko) * 2013-05-15 2014-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수부족 진단방법 및 시스템
DE102017216022A1 (de) * 2017-09-12 2019-03-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deaktivierten Betriebszustandes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886Y2 (ja) * 1991-10-28 1997-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タコグラフ
JP3533685B2 (ja) * 1993-10-04 200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車両用画像データ演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297034A (ja) * 1996-05-07 1997-11-18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667726B1 (en) * 1999-01-19 2003-12-23 C.R.F. Societa Consortile Per Azioni Vehicle display device
JP3747015B2 (ja) * 2002-07-11 2006-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費計
CN2566228Y (zh) * 2002-08-21 2003-08-13 邯郸市科昊电器有限公司 机动车行驶状态监测记录系统
JP4841425B2 (ja) * 2003-06-06 2011-12-21 ボルボ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運転者の行動解釈に基づいて自動車のサブ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機構
CN1267297C (zh) * 2003-08-15 2006-08-02 南京金陵紫光系统工程有限公司 汽车组合仪表步进电机控制器及其控制方式
DE10346511B4 (de) * 2003-10-02 2008-01-31 Daimler Ag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Sichtverhältnisse in einem Kraftfahrzeug
WO2006080225A1 (ja) * 2005-01-31 2006-08-03 Hitachi Metals, Ltd. 落下検知方法および落下検知装置
US7206720B2 (en) * 2005-02-24 2007-04-17 Lapant Todd Computer-controlled auxiliary fuel tank system with multi-function monitoring system and user calibration capabilities
JP2007094703A (ja) * 2005-09-28 2007-04-12 Toyota Motor Corp 車両情報提供システム
JP4752661B2 (ja) * 2006-08-01 2011-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送信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4958543B2 (ja) * 2006-12-28 2012-06-20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機械の表示装置
SE535210C2 (sv) * 2010-10-07 2012-05-22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fastställa drifttillstånd hos ett motorford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5006A (ja) 2013-12-19
BR112013005395B1 (pt) 2021-02-23
SE1051052A1 (sv) 2012-04-08
RU2536756C1 (ru) 2014-12-27
CN103153679A (zh) 2013-06-12
EP2625057A1 (en) 2013-08-14
SE535210C2 (sv) 2012-05-22
KR101918216B1 (ko) 2018-11-13
JP5690408B2 (ja) 2015-03-25
EP2625057B1 (en) 2016-05-04
RU2013120522A (ru) 2014-11-20
BR112013005395A2 (pt) 2016-06-07
EP2625057A4 (en) 2014-05-07
WO2012047166A1 (en)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0279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CN102365195A (zh) 车辆行驶控制装置
JP4295850B2 (ja) 車間距離に基づく車速制御方法
KR101693943B1 (ko)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JP2015504018A (ja) 走行距離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190992A1 (en) Method for the control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7005904B2 (ja) 走行制御装置、車両および走行制御方法
JP4908715B2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KR20130139974A (ko) 모터 차량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01770B1 (ko) 차량의 자동 정차 방법 및 정차 장치
JP6965524B2 (ja) 走行制御装置、車両および走行制御方法
CN110015299B (zh) 用于运行机动车的驱动系的方法
KR20140105863A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1609124B (zh) 车辆档位自动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01596890A (zh) 一种汽车倒车防撞自动刹车控制系统
KR20010022822A (ko) 차량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246023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及び走行制御方法
KR20120039705A (ko) 적응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관련 제어 시스템
CN104118433A (zh) 用于机动车的速度调节系统
US200700344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unintended acceleration of a vehicle
US20010039232A1 (en) Motor vehicle having a transmission controlled by an electronic transmission unit
KR20230169251A (ko) 적응형 순항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자동차를 자동으로 시동하기 위한 자동차의 설정 가속도의 결정 및 출력
CN114590237A (zh) 车辆控制装置
CN110341698B (zh) 一种汽车控制方法及汽车
CN110446643B (zh) 行驶控制装置、车辆及行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