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615A -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615A
KR20130139615A KR1020120063224A KR20120063224A KR20130139615A KR 20130139615 A KR20130139615 A KR 20130139615A KR 1020120063224 A KR1020120063224 A KR 1020120063224A KR 20120063224 A KR20120063224 A KR 20120063224A KR 20130139615 A KR20130139615 A KR 2013013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angle
light emitting
substrate
organic light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029B1 (ko
Inventor
이정민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029B1/ko
Priority to US13/899,531 priority patent/US9172064B2/en
Priority to TW102120005A priority patent/TWI602288B/zh
Priority to CN201310226217.XA priority patent/CN103484817B/zh
Publication of KR2013013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용 마스크로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에 대향하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지며,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부가 제1 면과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개구부에는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이 형성되고, 개구부의 각 측벽은 베이스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경사면의 경사각이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때, 제1 측벽의 경사각과, 제2 측벽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 물질의 증착 마진을 줄여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개구율을 높이고,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착용 마스크와 기판 사이에 유기 물질이 침투하는 쉐도우를 줄일 수 있어 균일한 유기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MASK FOR DE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해상도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박막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애노드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캐소드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자발광형 표시장치이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넓은 시야 각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형성된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및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애노드와 캐소드로부터 각각 주입된 정공 및 전자가 여기자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에서 유기물이나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 등은 박막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분위기에서 해당 물질을 증착하여 평판 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다. 진공 증착법은 박막 증착 장치의 진공챔버 내부에 유기 박막을 성막시킬 기판을 위치시키고, 증착소스 유닛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증발 또는 승화시켜 기판에 증착시키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기판상에 원하는 형태의 유기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증착용 마스크가 사용된다. 일정 크기 이상의 대형 기판에 유기물을 증착하는 경우, 마스크는 원하는 패턴의 안정적인 유기물 증착을 위하여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메탈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는 대형 기판에 고정세 패턴의 유기물을 증착하기 위한 마스크이다. 고정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면, 기판의 정해진 위치에 다수개의 원하는 고정세 패턴의 유기물을 한 번에 형성할 수 있다. 원하는 패턴의 유기물 증착을 위해 고정세 메탈 마스크는 유기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직방형 슬롯들을 구비하거나 스트라이프 형태의 슬릿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직방형 슬롯들이나 스트라이프 형태의 슬릿들은 단위 마스킹부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단위 마스킹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세 메탈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기술은 대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의 제조를 위한 유기물 증착과 캐소드 전극 형성 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높이려면 R(적색), G(녹색), B(청색) 부화소가 존재하는 피치(pitch)의 크기를 줄여야 하는데, 피치의 크기가 줄이기 위해서는 증착용 마스크에 형성되는 슬롯 사이의 간격이 좁아야 한다. 그런데 마스크 패턴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 슬롯 사이를 지지하는 마스크의 브리지 부분이 약해져 파손되기 쉽다. 이 때문에 300 ppi(pixels per inch) 이상의 고해상도를 갖게 하는 증착용 마스크를 제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기 물질의 증착 마진을 줄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증착용 마스크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증착용 마스크와 기판 사이에 유기 물질이 침투하는 쉐도우를 줄일 수 있는 증착용 마스크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용 마스크로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에 대향하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지며,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부가 제1 면과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개구부에는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이 형성되고, 개구부의 각 측벽은 베이스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경사면의 경사각이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때, 제1 측벽의 경사각과, 제2 측벽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에 있어서, 제1 측벽의 경사각은 제2 측벽의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에 있어서, 제1 측벽의 경사각은 45 내지 60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제2 측벽의 경사각은 25 내지 34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는 제1 측벽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개구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브리지부;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개구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브리지부;를 구비하며, 제1 브리지부의 높이와 제2 브리지부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에 있어서, 제1 브리지부의 높이는 베이스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고, 제2 브리지부의 높이는 베이스 부재의 두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에 있어서, 개구부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각각 행과 열로 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증착원에 대향하도록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에 대향하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지며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부가 제1 면과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개구부에는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과 상기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이 형성되고, 개구부의 각 측벽은 베이스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경사면의 경사각이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때 제1 측벽의 경사각과, 제2 측벽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증착용 마스크를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증착원으로부터 유기 물질을 분사하여 기판 상에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증착용 마스크는 제1 측벽의 경사각은 제2 측벽의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증착원은 복수개의 분사 노즐이 나란히 배열되는 선형 증착원으로 구비되어 제2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 측벽의 경사각은 복수개의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방향과 기판이 이루는 각도 중 최소 각도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증착용 마스크는 제1 측벽의 경사각은 45 내지 60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제2 측벽의 경사각은 25 내지 34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 물질의 증착 마진을 줄여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개구율을 높이고,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착용 마스크와 기판 사이에 유기 물질이 침투하는 쉐도우를 줄일 수 있어 균일한 유기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위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박막 증착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증착용 마스크와 증착원과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을 따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를 따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위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위 화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부화소가 구비된다. 이 때, 부화소 주변 영역은 유기 발광층을 이루는 유기 물질이 증착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증착이 되더라도 발광이 되지 않는 영역이며, 유기 발광층이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야 발광한다. 이를 감안하여, 증착용 마스크의 개구부는 실제로 발광 영역보다 크게 형성된다. 실제 발광영역의 크기와 증착용 마스크 개구부의 크기 차이를 증착 마진(margin)이라고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박막 증착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증착용 마스크(10)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박막, 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을 증착하는 박막 증착 장치는 진공 챔버(미도시) 내에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증착원(20)이 설치되며, 증착원(20)과 대향하도록 유기막이 형성될 기판(S)이 배치된다. 그리고 증착원(20)과 대향하는 기판(S) 사이에는 증착용 마스크(10)가 밀착하여 배치된다. 자력을 인가하는 마그넷 유닛(미도시)을 통해 증착용 마스크(10)를 끌어 당겨 유기막 등이 형성될 기판(S)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증착원은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22)이 소정 방향(y 방향)으로 선형으로 배열되는 선형 증착원(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선형 증착원(20)은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판(S) 위로 유기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선형 증착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한쌍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유기 물질의 방출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형 증착원(20)의 폭 방향의 분사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재(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증착용 마스크와 증착원과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10)는 유기층 패턴(P)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부(110)가 관통 형성된 베이스 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1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자력을 인가하는 마그넷 유닛을 통해 증착용 마스크(10)를 끌어 당겨 기판(S)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주로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기판(S)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원장 마스크로 구성되거나, 일정 방향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립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장 마스크 형태로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트립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S)에 대향하는 면을 제1 면(102), 그 반대쪽 면을 제2 면(104)이라고 하면(도 5 참조), 베이스 부재(100)에는 유기 발광층의 패턴(P)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부재(100)에 두께방향(z축 방향)으로 제1 면(102) 및 제2 면(10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개구부(110)가 구비된다. 증착원(20)으로부터 분사되는 유기 물질은 개구부(110)를 통해 기판(S) 위에 증착되어 유기층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단위 화소의 부화소인 R, G, B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의 발광층, 예를 들면 R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물질이 개구부(110)를 통하여 기판(S) 위에 증착됨에 따라 R 발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개구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행과 열을 갖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각 단위 화소마다 포함된 R 발광층에 유기 물질 패턴(P)을 증착시킬 수 있다.
개구부(110)는 증착하고자 하는 패턴(P)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개구부(110)는 모서리부가 소정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이 선형 증착원(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하며, 선형 증착원(20)은 단변과 평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기 물질을 분사한다.
선형 증착원(20)과 개구부(110)가 이와 같이 배치되면, 선형 증착원(20)의 이동방향(x축 방향)으로는 각도 제한부재(3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방향으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제한부재(30)를 제어함으로써 각 분사 노즐(22)마다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물질의 입사방향과 기판이 이루는 각도(θ3)를 일정하게 유지할 있다.
그런데 선형 증착원(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는 각도 제한부재와 같은 장치가 설치되지 않으며, 길이 방향(y축 방향)이 폭 방향(x축 방향)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선형 증착원(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각 분사 노즐(22)마다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각도를 폭 방향(x축 방향)처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y축 방향 좌측 끝단에 배치된 분사 노즐(22a)에서 분사된 유기 물질이 우측 끝단의 기판(S) 부분에 도달할 때의 입사 방향과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θ1이지만, 도면상 y축 방향 우측 끝단에 배치된 분사 노즐(22b)에서 분사된 유기 물질이 우측 끝단의 기판(S) 부분에 도달할 때의 입사 방향과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θ2를 갖는다. 즉, 분사 노즐(22)과 기판(S)의 위치 관계에 따라 유기 물질의 입사 방향과 기판이 이루는 각도가 달라진다. 한편, 분사 노즐(22)에서 분사된 유기물질의 입사 방향과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22a)과 유기 물질이 도달하는 기판 부분이 가장 멀리 떨어진 경우에 가장 작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을 따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를 따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개구부(110)에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122)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132)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개구부(110)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장변에 제1 측벽(122)이, 단변에 제2 측벽(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122) 및 제2 측벽(132)은 베이스 부재(100)의 두께 방향(z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경사면들의 경사각이 베이스 부재(100)의 제1 면(102)을 기준으로 측정될 때, 제1 측벽(122)의 경사각(θx)과, 제2 측벽(132)의 경사각(θy)이 서로 상이하다. 이 때, 장변 방향인 제1 측벽(122)의 경사각(θx)은 제2 측벽(132)의 경사각(θy)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구부(110)의 장변이 선형 증착원(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는 각 분사 노즐(22)마다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각도가 소정 각도로 일정한 반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이러한 입사 각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제1 방향의 입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이다(도 2a 및 도 2b 참조).
특히 제2 측벽(132)의 경사각(θy)은 복수개의 분사 노즐(22)에서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방향과 기판(S)과 이루는 각도 중 최소 각도 θ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벽(132) 방향의 경사각(θy)이 최소 각도 θ1보다 작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입사각도 θ1로 입사되더라도 유기 물질이 제2 측벽(132)의 높이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기판(S) 위로 증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기 물질의 증착 마진을 감소시키고, 쉐도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구부(11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줄여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기판(S)과 증착원(20)과의 거리, 유기 물질의 입사 각도 등을 고려하면,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θx)은 45 내지 60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θy)은 25 내지 34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베이스 부재(10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개구부(110)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한 개구부(110) 사이를 구분하는 제1 브리지부(120)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개구부(110)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한 개구부(110)와의 사이를 구분하는 제2 브리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리지부(120)는 제1 측벽(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브리지부(130)는 제2 측벽(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브리지부(120)의 단면은 경사진 제1 측벽(122)을 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제2 브리지의 단면은 제2 측벽(132)를 빗변으로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브리지부(120) 높이는 베이스 부재(100)의 두께(t1)와 동일하고, 제2 브리지부(130) 높이는 베이스 부재(100)의 두께(t2)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t1 > t2).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구부(110)의 장변이 선형 증착원(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는 각 분사 노즐(22)마다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각도가 소정 각도로 일정한 반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이러한 입사 각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제1 방향(x축 방향)의 입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이다(도 2a 및 도 2b 참조).
제2 브리지부(130) 높이가 베이스 부재(100)의 두께(t2)보다 낮게 형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물질이 최소 입사각도 θ1로 입사되더라도 유기 물질이 제2 브리지부(13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기판(S) 위로 증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기 물질의 증착 마진을 감소시키고, 쉐도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구부(11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줄여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개구부(110)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각각 행과 열로 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 각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브리지부(120) 및 제2 브리지부(130) 역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1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증착용 마스크(10)를 유기 물질을 증착하고자 하는 기판(10) 상에 배치한다. 증착용 마스크(10)는 유기 발광층 패턴(P), 즉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위 화소의 부화소인 R, G, B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의 발광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마스크로서, 해당 부화소의 형상은 개구부(110)에 대응한다. 단위 화소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 부화소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이 선형 증착원(20)의 길이 방향(제2 방향 또는 y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한다. 이 때, 개구부(110)이 넓은 쪽이 기판을 향하도록 배치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와 같이 기판(S), 증착용 마스크(10) 및 선형 증착원(20)을 배치하고 나면, 선형 증착원(20)이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사 노즐(22)을 통해 증착시키고자 하는 유기 물질을 분사하여 기판(S) 상에 R, G, B 부화소 중 하나인 유기 발광층 패턴(P)을 형성시킨다.
제2 측벽의 경사각(θy)은 복수개의 분사 노즐(22)에서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방향과 기판(S)이 이루는 각도 중 최소 각도(θ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벽의 경사각(θy)이 최소 각도(θ1)보다 작으면, 유기 물질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각도(θ1)로 입사되더라도 제2 브리지부(11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기판(S) 위로 증착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R 발광층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용 마스크를 사용하여 R 발광층을 형성하였다면, 이 마스크와는 별도의 증착용 마스크를 사용하여, G 발광층을 형성하고, 또다른 증착용 마스크를 사용하여 B 발광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단위 화소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 증착용 마스크
100 : 베이스 부재
110 : 개구부
120 : 제1 브리지부
130 : 제2 브리지부

Claims (11)

  1.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용 마스크로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에 대향하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부가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각 측벽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때,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과,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증착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은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보다 큰 증착용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은 45 내지 60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은 25 내지 34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증착용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개구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브리지부; 및
    상기 제2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개구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브리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브리지부의 높이와 상기 제2 브리지부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증착용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지부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제2 브리지부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보다 낮은 증착용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각각 행과 열로 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증착용 마스크.
  7. 유기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증착원에 대향하도록 상기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에 대향하는 제1 면과 그 반대쪽에 제2 면을 가지며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부가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과 상기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각 측벽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때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과,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증착용 마스크를 상기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증착원으로부터 상기 유기 물질을 분사하여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유기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용 마스크는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은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원은 복수개의 분사 노즐이 나란히 배열되는 선형 증착원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기 물질을 분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은 상기 복수개의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유기 물질의 입사 방향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 중 최소 각도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용 마스크는 상기 제1 측벽의 경사각은 45 내지 60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경사각은 25 내지 34 도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063224A 2012-06-13 2012-06-13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5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24A KR101951029B1 (ko) 2012-06-13 2012-06-13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13/899,531 US9172064B2 (en) 2012-06-13 2013-05-21 Mask for de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TW102120005A TWI602288B (zh) 2012-06-13 2013-06-05 沉積遮罩及使用其製造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之方法
CN201310226217.XA CN103484817B (zh) 2012-06-13 2013-06-07 用于沉积的掩模和用其制造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24A KR101951029B1 (ko) 2012-06-13 2012-06-13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15A true KR20130139615A (ko) 2013-12-23
KR101951029B1 KR101951029B1 (ko) 2019-04-26

Family

ID=4975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224A KR101951029B1 (ko) 2012-06-13 2012-06-13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72064B2 (ko)
KR (1) KR101951029B1 (ko)
CN (1) CN103484817B (ko)
TW (1) TWI60228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80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코닉에스티 스퍼터링용 마스크
WO2018052197A1 (ko) * 2016-09-13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증착 마스크용 금속판, 증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4808A (ko) * 2018-03-02 2019-09-11 한국알박(주) 스퍼터링 장치용 플라텐 및 플로팅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0017B2 (en) * 2013-01-18 2017-03-0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US10580832B2 (en) 2013-01-18 2020-03-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US10243023B2 (en) 2013-01-18 2019-03-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Top emission AMOLED displays using two emissive layers
US10229956B2 (en) 2013-01-18 2019-03-1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US10304906B2 (en) 2013-01-18 2019-05-2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KR20150031819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3981485B (zh) * 2014-05-09 2016-07-06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掩膜板及其制造方法
US10700134B2 (en) 2014-05-27 2020-06-3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CN104659071B (zh) * 2015-03-16 2017-10-3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am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制作装置
CN110760793A (zh) * 2015-04-24 2020-02-07 Lg伊诺特有限公司 沉积掩膜
CN105097887B (zh) * 2015-09-28 2018-03-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6521182B2 (ja) * 2016-10-06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2330373B1 (ko) 2017-03-14 2021-1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금속판, 증착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01939B (zh) * 2017-11-17 2021-1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0797112B2 (en) 2018-07-25 2020-10-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OLED TV
KR20220007800A (ko) * 2020-07-10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 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627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층 형성용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878A (ja) * 2000-09-28 2002-06-21 Sanyo Electric Co Ltd 層の形成方法及びカラー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6884093B2 (en) * 2000-10-03 2005-04-2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triodes with novel grid structures and method of production
JP4092914B2 (ja) * 2001-01-26 2008-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スク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JP4046269B2 (ja) * 2001-05-24 2008-02-13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有機el素子用蒸着マスクと有機el素子用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US20040123804A1 (en) * 2002-09-20 2004-07-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abrication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JP3915734B2 (ja) * 2003-05-12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蒸着マス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DE10328140B4 (de) * 2003-06-20 2006-12-07 Schott Ag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0993826B1 (ko) * 2003-11-19 201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179742A (ja) * 2003-12-19 2005-07-07 Seiko Epson Corp マスク、マスク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6027830A1 (ja) * 2004-09-08 2006-03-16 Toray Industries, Inc. 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3374B2 (ja) * 2005-01-05 2009-11-25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冷却機能を具備したチャックプレート組立体
JP4609759B2 (ja) * 2005-03-24 2011-01-12 三井造船株式会社 成膜装置
KR20070039204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20070042641A (ko)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마스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7808177B2 (en) * 2006-01-16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5064810B2 (ja) * 2006-01-27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
JP4768584B2 (ja) * 2006-11-16 2011-09-07 財団法人山形県産業技術振興機構 蒸発源およびこれを用いた真空蒸着装置
US8367152B2 (en) * 2007-04-27 2013-0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JP5081516B2 (ja) * 2007-07-12 2012-1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蒸着方法および蒸着装置
JP5262226B2 (ja) * 2007-08-24 2013-08-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およ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KR100959110B1 (ko) 2008-02-21 2010-05-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증착용 마스크 패턴
KR101724075B1 (ko) * 2008-04-18 2017-04-06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불규칙한 표면의 웨지 임프린트 패터닝
JP2010159454A (ja) * 2009-01-08 2010-07-22 Ulvac Japan Ltd 成膜装置、成膜方法
TWI472639B (zh) * 2009-05-22 2015-02-11 Samsung Display Co Ltd 薄膜沉積設備
US9174250B2 (en) * 2009-06-09 2015-11-03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rganic deposition materials
KR101117720B1 (ko) * 2009-06-25 2012-03-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US9093648B2 (en) * 2009-07-02 2015-07-28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1073544B1 (ko) 2009-08-21 2011-10-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US8876975B2 (en) * 2009-10-19 2014-11-0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KR101084184B1 (ko) * 2010-01-11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KR101232181B1 (ko) 2010-02-03 2013-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어셈블리
KR101174879B1 (ko) * 2010-03-09 201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730498B1 (ko) * 2010-10-22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2124512A1 (ja) * 2011-03-11 2012-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蒸着装置、蒸着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
US8659816B2 (en) * 2011-04-25 2014-02-2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chanical lay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31770B1 (ko) * 2011-11-30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627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층 형성용 마스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80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코닉에스티 스퍼터링용 마스크
WO2018052197A1 (ko) * 2016-09-13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증착 마스크용 금속판, 증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27409B2 (en) 2016-09-13 2020-07-28 Lg Innotek Co., Ltd. Metal plate for deposition mask, and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335854B2 (en) 2016-09-13 2022-05-17 Lg Innotek Co., Ltd. Metal plate for deposition mask, and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732364B2 (en) 2016-09-13 2023-08-22 Lg Innotek Co., Ltd. Metal plate for deposition mask, and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795549B2 (en) 2016-09-13 2023-10-24 Lg Innotek Co., Ltd. Metal plate for deposition mask, and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104808A (ko) * 2018-03-02 2019-09-11 한국알박(주) 스퍼터링 장치용 플라텐 및 플로팅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84817B (zh) 2018-10-12
CN103484817A (zh) 2014-01-01
US9172064B2 (en) 2015-10-27
US20130337588A1 (en) 2013-12-19
KR101951029B1 (ko) 2019-04-26
TW201405798A (zh) 2014-02-01
TWI602288B (zh)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029B1 (ko)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46440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909152B2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KR1008393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진공 증착 장치
KR101193186B1 (ko)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3506B1 (ko)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6171075A1 (ja) 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
KR102046441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074792B1 (ko) 박막 증착 장치
KR101942471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00003243A (ko)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70873A (ko) 단위 마스크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9493872B2 (en)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1906358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926975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102042527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39684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40019579A (ko) 증착 장치
WO2017069066A1 (ja) スキャン蒸着用金属マスク、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959110B1 (ko) 증착용 마스크 패턴
KR20130113303A (ko) 진공 증착 장치 및 그 증착원
US20180309091A1 (en) Restriction unit, vapor deposition device, production method for vapor deposition film, production method for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O2017006810A1 (ja) 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
US20160072065A1 (en)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positing thin-film of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deposition apparatus
KR20120013643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증착용 증착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