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590A -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590A
KR20130138590A KR1020120062301A KR20120062301A KR20130138590A KR 20130138590 A KR20130138590 A KR 20130138590A KR 1020120062301 A KR1020120062301 A KR 1020120062301A KR 20120062301 A KR20120062301 A KR 20120062301A KR 20130138590 A KR20130138590 A KR 20130138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
ser
val
ala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인
이왕재
Original Assignee
(주)알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로텍 filed Critical (주)알로텍
Priority to KR102012006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590A/ko
Priority to PCT/KR2012/005530 priority patent/WO2013187552A1/ko
Publication of KR2013013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알로페론이 항바이러스 효과 및 면역조절제의 효과 이외에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외선에의 노출에 의하여 생기는 피부의 염증에 효과적이며, 이에 따라 피부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은 피부의 염증을 방지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lloferon}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알로페론 포함 약학적 조성물 및 자외선에 의해 손상받은 피부를 손상 방지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애벌레를 가진 곤충이 항세균 및/또는 항진균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면역 유발 분자를 생산하여 미생물의 감염을 빠르게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알로페론은 세균에 의해 도전받은 블로우 플라이 Calliphora vicina로 부터 분리되었다. 알로페론 두 타입, 알로페론 1 및 2가 각각 13 및 12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S. Chernysh, S.I. Kim, G. Bekker, V.A. Pleskach, N.A. Filatova, V.B. Anilin, V.G. Platonom, P. Bulet, Proc. Natl. Acad. Sci. USA 99 (2002) 12628~12632.) 알로페론 1은 HGVSGHGQHGVHG의 서열(서열번호 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알로페론 2는 GVSGHGQHGVHG(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 Chernysh, S.I. Kim, G. Bekker, V.A. Pleskach, N.A. Filatova, V.B. Anilin, V.G. Platonom, P. Bulet, Proc. Natl. Acad. Sci. USA 99 (2002) 12628~12632.). 알로페론은 쥐 및 인간의 임프구를 생체내 실험에서 자극하였고, 생체내 쥐의 실험에서 인터페론(interferon; IFN) 합성을 유도하였다. 알로페론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 인터페론의 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S.I. Chernysh, S.I. Kim, G.P. Bekker, N.B. Makhaldiani, G. Hoffmann, F. Buhle, Patent No 2172322, Byull. Izobret. 23 (2001) no 23. ; S.I. Kim, S.I. Chernysh, G.P. Bekker, N. Makhaldiani, J. Hoffman, P. Bulet, 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US 2002-0151679A1, Oct.17,2002. S.I. Kim, S.I. Chernysh, G.P. Bekker, N. Makhaldiani, J. Hoffman, P. Bulet, United States Patent, US 6, 692, 747B2, Feb 17, 2004.) 최근에는 알로페론의 인간의 감마헤르페스 바이러스인 카포시의 종양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N. Lee, S. Bae, H. Kim, J.M. Kong, H.R. Kim, B.J. Cho, S.J. Kim, S.H. Seok, Y.I. Hwang, S. Kim, J.S. Kang, W.J. Lee, Antivir. Ther. 16 (2011) 17.26.). 특허출원 10-2000-0082812호에서는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면역 조절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비록 알로페론의 항바이러스 및 면역조절 효과가 보고되었지만 알로페론의 항염증효과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최근 Kuczer 등은 알로페론 1의 H1K 포인트 돌연변이를 이용하여 구리와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물의 수용성을 높이는 보고가 있었다(Kuczer, M. et al, Copper(II) complex formation processes of alloferon I with point mutation H1K; combined spectroscopic and potentiometric studies, Journal of Inorganic Biochemistry, 111 (2012) 40-49).
본 발명자들은 알로페론이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또다른 목적은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는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알로페론은 하기 일반구조식(1)을 가지며,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 잔기 30개까지로 구성된 펩티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salt) 혹은 에테르(ether)이다: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X 2 는 펩티드결합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X 3 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X 1 은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Val-Ser-Gly-, Gly-Val-Ser-Gly-, Val-Ser-Gly-, Ser-Gly-, Pro-Ser-Leu-Thr-Gly-, Phe-Ile-Val-Ser-Ala-, Thr-, Leu-Ala-Ser-Leu-, Cys-Val-Val-Thr-Gly-, Ile-Ser-Gly-, Cys-Gly-, Ile-Val-Ala-Arg-Ile-, Phe-Gly-, His-Gly-Asp-Ser-Gly-, Ser-Gly- 및 Tyr-Ala-Met-Ser-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고;
X 2 는 펩티드 결합이거나, -Gln-, -Phe-, -Asp-, -Ser-, -Asn-, -Ala-,-Gln-Asn-, -Ala-Val- 및 -Ser-Asp-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며; 및,
X 3 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 -His, -Tyr-Asp, -Phe-Val,-Pro, -Gln-His-Gly, -Leu-Ala, -Asp, -Pro-Leu, -Met 및 -Phe-Ile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학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알로페론 포함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물론 특정 화합물, 투여 방법, 치료할 대상, 및 치료할 질환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0.001 mg/Kg 내지 400 mg/Kg 정도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투여방법은 알약, 캡슐, 가루형태, 용액 및 항문투여가 가능한 좌약 형태로서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복강내, 국소 또는 시각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나 국소투여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유효량으로 생체이용성이 있는 임의의 형태 또는 방식, 즉, 비경구경로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치료하려는 질병 상태의 특성, 질병의 단계, 및 그 밖의 관련 사정에 따라 적합한 투여 형태 또는 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정제인 경우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형제의 비율 및 성질은 선택된 정제의 용해도 및 화학적 특성, 선택된 투여경로 및 표준 약제 실무에 의해 결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기술된 활성성분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필수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 물질은 활성성분의 비히클 또는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고형 또는 반고형 물질일 수 있으며, 적합한 부형제는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형태는 상기 알로페론 화합물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장품 기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알로페론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범위는 상기 알로페론 화합물의 항염증 효과 달성을 고려하고,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염증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과,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로페론 포함 화장품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피부 화장품 배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알로페론 포함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수(스킨), 유액, 크림, 팩, 미용액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추가로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선택하여 적정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의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도 1은 HaCaT에서 자외선 B(Ultra Violet B; UBV)의 조사 및/또는 알로페론의 처리후에 세포의 생존성 및 세포 증식의 변화를 보인다. HaCaT 세포는 UVB 100 J/m2에 노출되고 알로페론을 2 및 4 mg/ml 나중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두었다. 자외선 조사 및 또는 알로페론 처리에 의한 세포의 생존력(a) 및 세포증식(b)에 대한 효과는 Trypan blue 염색 익스클루젼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 수치는 HaCaT 대조구 세포 수가 100% 일때 각각의 그룹에서 살아있는 세포의 퍼센티지를 나타낸다. 결과는 3번 독립적인 실험의 결과이다. 데이타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2는 HaCaT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RNA 발현 및 염증 발생 사이토카인을 보인다. HaCaT 세포는 UVB (100 J/m2) 및 4 ㎍/ml의 알로페론을 12시간 (a) 및 24시간 (b~e) 처리되었다. (a) RNA를 추출하였고, RNase 보호 분석(RNase Protection Assay; RPA)를 hCK-2b 멀티프로브 템플레이트 세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RNA 및 32P-라벨된 혼합물이 5% 아클릴아미트/8M 우리아 겔에서 분리되었고, X-레이 필름에 노출하였다(b~e). 배양액의 상층액을 모아 ELISA를 이용하여 IL-1α, IL-1β, IL-6 및 IL-18의 생산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3번 독립적인 실험의 결과이다. 데이타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3은 알로페론의 처리에 의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사이토카인 생산에서 p38 MAPK의 역할을 보인다.
(a) HaCaT 세포를 UVB (100 J/m2)에 노출하였고 4 ㎍/ml의 알로페론 및 5μM SB203580을 24시간 처리하였다. 배양액 상층액을 수거하여 IL-6의 생산변화를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 HaCaT 세포를 UVB (100 J/m2)에 노출하였고 4 ㎍/ml의 알로페론을 지시된 실험 시간(30분, 60분 및 120분)에 처리하였다. 세포를 Triton X-100 분해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분해하였다. p-p38MAPK 발현의 변화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 밴드의 밀도를 덴시토미트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p38 MAPK의 것과 비교하였다. 값은 p-p38 MAPK를 p38 MAPK에 대한 비율로 표현하였다.
도 4는 알로페론의 국부적인 처리가 HR-1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매개된 피부 과형성(epidermal hyperplasia)에 대한 효과를 보인다. 마우스 그룹은 노출되지 않거나(대조구)(a), UVB (100 J/m2)에 노출되거나(b), UVB (100 J/m2)에 노출된 후 알로페론(1000 ng/l ml PBS/마우스)로 즉시 처리되거나(c), 알로페론(1000 ng/l ml PBS/마우스)로 등쪽 피부에 국부적으로 처리되었다(d). UVB (100 J/m2)의 노출(주당 5번) 13주후에 동물을 사멸시키고 피부 샘플을 헤마토실린 및 에오신 (100x)으로 염색하였다.
도 5는 HR-1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UVB-유도 IL-6 생산에 대한 알로페론의 국부적 처리 효과를 보인다. 마우스 그룹은 노출되지 않거나(대조구)(a), UVB (100 J/m2)에 노출되거나(b), UVB (100 J/m2)에 노출된 후 알로페론(1000 ng/l ml PBS/마우스)로 즉시 처리되거나(c), 알로페론(1000 ng/l ml PBS/마우스)로 등쪽 피부에 국부적으로 처리되었다(d). UVB (100 J/m2)의 노출(주당 5번) 13주후에 동물을 사멸시키고 염색을 위해서 피부 생검을 수행하였다. 형광 현미경 이미지 (100X)의 IL-6 염색된 쥐의 상피 세포가 붉은색안에 있다. 4'6-디아미디노-2-페닐인돌(DAPI) 염색된 모든 핵이 파란색이다(100X).
<실시예 1> 알로페론에 의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감소된 인간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주 HaCaT의 증식 증가
자외선 조사의 여러 조사량으로 인간의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주의 세포 생존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아넥신-V/7ADD 염색을 사용한 플로우사이토미터리를 수행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Kang JS et al., 2007) 세포 손상을 유도하지 않는 최적의 자외선 농도는 100J/m2이었다. 100 J/m2 자외선 처리후 24시간째에서의 세포 생존력 및 인간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 증식에 대한 알로페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트립판 블루 염색 익스쿨루션(Trypan blue dye exclusion) 분석을 하였다. 자외선 조사후 9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였고, 알로페론 1(서열번호 1) 단독 처리된 세포 및 자외선 조사후 알로페론의 처리후 세포 또한 생존하였다(도 1a). 그러나 자외선의 처리는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켰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의 증식의 억제 조절은 알로페론의 처리 후에 의미있는 정도로 감소하였다. 4㎍/ml의 알로페론의 처리 후에는 2㎍/ml의 알로페론 처리보다 세포 증식이 더욱 의미 있게 회복되었다(도 1b). 투여량에 대한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4ug/ml의 알로페론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양으로 선정하였다. 인간의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주에서 자외선 조사후의 알로페론의 처리는 세포 증식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2> 알로페론에 의한 HaCaT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염증유발성 사이토카인 mRNA 및 단백질 생산 억제
Schwarz T 및 Luger TA는 자외선에의 노출이 표피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들 사이토카인의 분비는 지역적인 면역 및 염증반응을 일으킨다고 보고하였다(1989). 본 연구에서 RNase 보호 분석(RNase Protection Assay; RPA)를 여러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mRNA 전사체의 발현에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IL-1α, IL-1β, IL-6 및 IL-18과 같은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흥미롭게도 이들 증가된 mRNA의 발현은 알로페론 1의 전처리에의해서 상당히 감소하였다(도 2a). RPA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알로페론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서 반응시킨후에 ELISA로 자외선 조사사된 HaCat 세포에서 IL-1α, IL-1β, IL-6 및 IL-18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자외선 처리된 케라티노사이트에서 IL-1α, IL-1β, IL-6 및 IL-18의 생산은 증가되었고, 이점은 이전에 공표된 데이타와 일치한다(Schwarz T 및 Luger TA, 1989). 흥미롭게도 자외선 노출후에 알로페론으로 세포를 처리하였을 때 알로페론 1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IL-1α, IL-1β, IL-6 및 IL-18의 사이토카인 생산을 의미있는 수준으로 감소시켰다(도 2b 내지 2e).
< 실시예 3> 알로페론은 p38 MAPK 활성화에 의해서 IL -6의 생산 조절
Arianna L Kim 등은(2005)은 자외선 조사전에 p38 억제제의 투여는 p38 MAPK 캐스케이드의 활성화를 막고 이들 억제제가 염증유발 사이토카인 IL-6, KC(쥐의 IL-8)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알로페론 1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IL-6의 생산을 억제 조절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 p38 MAPK 특이적 억제제인 SB203580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상기 결과와 유사하게 SB203580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IL-6의 생산을 억제하였고, 알로페론 1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유도된 IL-6의 생산을 억제하였다(도 3a). 도 3a의 결과를 기초로 알로페론 1의 전처리 및/또는 자외선 조사후의 HaCaT에서 p38 MAPK의 인산화 수준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p38 MAPK(p-p38 MAPK)의 인산화의 증가는 알로페론의 전처리후 120분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는 알로페론 1이 p-p38 MAPK를 통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IL-6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인다.
< 실시예 4> 알로페론 처리에 의한 상피 두께의 증가 억제 및 만성 자외선 조사된 HR -1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IL -6의 감소
시험관에서 얻어진 결과가 실제 생체내 상황에서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알아보기 하여 만성의 자외선 조사된 HR-1 무모(hairless) 마우스 피부에 알로페론 1을 국부적으로 처리한 효과를 보았다. 인간 피부가 자외선 조사에 노출되면 상피의 과형성(epidermal hyperplasia), 홍반(erythema), 혈관의 과투과성(vascular hyperpermeability) 및 부종(edema)형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Kajiya K 및 Detma M, 2006). 더욱이 Delongchamps NB 등은 만성의 염증이 양성의 전립선 과형성와 관련되어있다고 보고하였다. 때문에 자외선 조사에 의해 매개된 상피 과형성(epidermal hyperplasia)에 대한 알로페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만성 염증 모델에서 HR-1 무모 마우스 상피에서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4에서 보여지듯이 HR-1 무모 쥐의 피부에로의 자외선 조사(100 mJ/cm2)는 대조 그룹(도 4a)와 비교하였을 때 상피의 두께를 증가시켰다(도 4b). 그러나 알로페론을 국부적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HR-1 무모 쥐에서 상피의 두께 증가가 없었다(도 4d). 더욱이, 상피 두게의 감소와 일관되게 알로페론의 처리후에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IL-6의 생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도 5c). 자외선 조사는 대조 그룹(도 5a)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IL-6 부분의 의미있는 증가를 가져왔다(도 5b). 그러나 자외선 조사후에 알로페론 1의 처리는 IL-6 발현을 엄격하게 억제하였다(도 5c). 이들 데이타는 알로페론의 국부적(topical) 처리가 HR-1 무모 쥐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만성 염증에 의해 생긴 IL-6 및 상피 과형성 을 상당히 억제한다는 것을 보인다.
<110> SNU R&BD Foundation Entopharm Co. Ltd. <120>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lloferon <130> KDJ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3 <212> PRT <213> Calliphora vicina <400> 1 His Gly Val Ser Gly His Gly Gln His Gly Val His Gly 1 5 10 <210> 2 <211> 12 <212> PRT <213> Calliphora vicina <400> 2 Gly Val Ser Gly His Gly Gln His Gly Val His Gly 1 5 10

Claims (12)

  1. 하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X 2 는 펩티드결합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X 3 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2. 하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Val-Ser-Gly-, Gly-Val-Ser-Gly-, Val-Ser-Gly-, Ser-Gly-, Pro-Ser-Leu-Thr-Gly-, Phe-Ile-Val-Ser-Ala-, Thr-, Leu-Ala-Ser-Leu-, Cys-Val-Val-Thr-Gly-, Ile-Ser-Gly-, Cys-Gly-, Ile-Val-Ala-Arg-Ile-, Phe-Gly-, His-Gly-Asp-Ser-Gly-, Ser-Gly- 및 Tyr-Ala-Met-Ser-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고;
    X 2 는 펩티드 결합이거나, -Gln-, -Phe-, -Asp-, -Ser-, -Asn-, -Ala-,-Gln-Asn-, -Ala-Val- 및 -Ser-Asp-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며; 및,
    X 3 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 -His, -Tyr-Asp, -Phe-Val,-Pro, -Gln-His-Gly, -Leu-Ala, -Asp, -Pro-Leu, -Met 및 -Phe-Ile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은 서열번호 1의 알로페론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은 서열번호 2의 알로페론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5. 하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보호 화장료 조성물.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X 2 는 펩티드결합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X 3 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6. 하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보호 화장료 조성물.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Val-Ser-Gly-, Gly-Val-Ser-Gly-, Val-Ser-Gly-, Ser-Gly-, Pro-Ser-Leu-Thr-Gly-, Phe-Ile-Val-Ser-Ala-, Thr-, Leu-Ala-Ser-Leu-, Cys-Val-Val-Thr-Gly-, Ile-Ser-Gly-, Cys-Gly-, Ile-Val-Ala-Arg-Ile-, Phe-Gly-, His-Gly-Asp-Ser-Gly-, Ser-Gly- 및 Tyr-Ala-Met-Ser-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고;
    X 2 는 펩티드 결합이거나, -Gln-, -Phe-, -Asp-, -Ser-, -Asn-, -Ala-,-Gln-Asn-, -Ala-Val- 및 -Ser-Asp-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며; 및,
    X 3 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 -His, -Tyr-Asp, -Phe-Val,-Pro, -Gln-His-Gly, -Leu-Ala, -Asp, -Pro-Leu, -Met 및 -Phe-Ile이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은 서열번호 1의 알로페론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보호 화장료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은 서열번호 2의 알로페론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보호 화장료 조성물.
  9. 하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보호 화장품.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X 2 는 펩티드결합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X 3 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10. 하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보호 화장품.
    X 1 -His-Gly-X 2 -His-Gly-Val-X 3 (1)
    상기 식에서,
    X 1 은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Val-Ser-Gly-, Gly-Val-Ser-Gly-, Val-Ser-Gly-, Ser-Gly-, Pro-Ser-Leu-Thr-Gly-, Phe-Ile-Val-Ser-Ala-, Thr-, Leu-Ala-Ser-Leu-, Cys-Val-Val-Thr-Gly-, Ile-Ser-Gly-, Cys-Gly-, Ile-Val-Ala-Arg-Ile-, Phe-Gly-, His-Gly-Asp-Ser-Gly-, Ser-Gly- 및 Tyr-Ala-Met-Ser-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고;
    X 2 는 펩티드 결합이거나, -Gln-, -Phe-, -Asp-, -Ser-, -Asn-, -Ala-,-Gln-Asn-, -Ala-Val- 및 -Ser-Asp-Gly-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이며; 및,
    X 3 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거나, -His-Gly, -His, -Tyr-Asp, -Phe-Val,-Pro, -Gln-His-Gly, -Leu-Ala, -Asp, -Pro-Leu, -Met 및 -Phe-Ile이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은 서열번호 1의 알로페론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보호 화장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1)의 물질은 서열번호 2의 알로페론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보호 화장품.
KR1020120062301A 2012-06-11 2012-06-11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8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01A KR20130138590A (ko) 2012-06-11 2012-06-11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PCT/KR2012/005530 WO2013187552A1 (ko) 2012-06-11 2012-07-12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01A KR20130138590A (ko) 2012-06-11 2012-06-11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90A true KR20130138590A (ko) 2013-12-19

Family

ID=4975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301A KR20130138590A (ko) 2012-06-11 2012-06-11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38590A (ko)
WO (1) WO201318755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845A1 (ko)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에이티파머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폐섬유증 치료용 조성물
KR102253715B1 (ko) * 2020-12-07 2021-05-27 유광진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장기 안정성을 가지는 알로페론 복합체
KR102253714B1 (ko) * 2020-12-07 2021-05-27 유광진 알로페론 판토텐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23229443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진큐어 신규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72322C1 (ru) * 1999-12-27 2001-08-20 Энтофарм Ко., Лтд. Аллофероны-иммуномодулирующие пептиды
RU2267496C2 (ru) * 2004-01-15 2006-01-10 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Черныш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ые и антивирусные пептиды
RU2338553C2 (ru) * 2006-07-13 2008-1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лофарм, ООО "Аллофарм" Средство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ирус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101260894B1 (ko) * 2009-03-24 2013-05-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히스티딘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사체 및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암제로서의 이의 용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845A1 (ko)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에이티파머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폐섬유증 치료용 조성물
KR102253715B1 (ko) * 2020-12-07 2021-05-27 유광진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장기 안정성을 가지는 알로페론 복합체
KR102253714B1 (ko) * 2020-12-07 2021-05-27 유광진 알로페론 판토텐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22124776A1 (ko) * 2020-12-07 2022-06-16 유광진 알로페론 판토텐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22124777A1 (ko) * 2020-12-07 2022-06-16 유광진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장기 안정성을 가지는 알로페론 복합체
WO2023229443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진큐어 신규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7552A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3870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old man&#39;s beard (usnea barbata) and st.john&#39;s wort (hypericum perforatum) and their use
Han et al. The effect of linarin on lps-lnduced cytokine production and nitric oxide inhibition in murine macrophages cell line RAW264. 7
KR101719274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주름 개선 및 미백활성을 갖는 불멸화 세포주 및 이의 용도
KR20130138590A (ko) 알로페론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US20060153794A1 (en) Hair tonics and method of screening the same
KR20160127137A (ko) 갈산 및 갈산 유도체의 미용학적 및 약제학적 용도
KR101740357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주름 개선 및 미백활성을 갖는 불멸화 세포주 및 이의 용도
US11213472B2 (en) VEGFC production promoter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2023033000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ilybum Marianum Extract As A Senotherapeutic Agent
KR102404883B1 (ko) 벤즈브로마론을 포함하는 켈로이드 또는 비대흉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3529202A (ja) ペンタ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アレルギー性疾患又はかゆみ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組成物
ES2941463T3 (es)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la dermatitis atópica
KR102199536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TWI684456B (zh) 製備具有治療皮膚疾病功效之杭菊萃取物的方法、具有治療皮膚疾病功效的杭菊萃取物以及含此萃取物之醫藥組成物
KR101794935B1 (ko) 4&#39;-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47810A1 (ja) 免疫関連細胞の一次繊毛の抑制剤およびその利用
KR102642293B1 (ko) 거문도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868060B2 (ja) 皮膚疾患の治療効果を有するキク抽出物の作製方法、皮膚疾患の治療効果を有するキク抽出物、およびその抽出物を含む医薬組成物
JP2018058806A (ja) DAMPs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剤
KR102496013B1 (ko) 아랄로시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6932B1 (ko) 세드롤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28557B1 (ko) 세드롤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amayanti et al. The Role of Healing Effect of Lip Balm Application Cinnamomum burmannii on lip wound based on Immunohistochemical Interleukin 6 (IL-6) Levels
WO2020085633A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