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315A - 안과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315A
KR20130138315A KR1020137028505A KR20137028505A KR20130138315A KR 20130138315 A KR20130138315 A KR 20130138315A KR 1020137028505 A KR1020137028505 A KR 1020137028505A KR 20137028505 A KR20137028505 A KR 20137028505A KR 20130138315 A KR20130138315 A KR 2013013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optical path
path length
length difference
measuremen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238B1 (ko
Inventor
모토야 타가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using coheren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9Low-coherence interferometers
    • G01B9/02091Tomographic interferometers, e.g. based on optical coher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안과장치는,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얻어진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단층화상 취득부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길이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의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에 상기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안과장치{OPHTHALMOLOGIC APPARATUS}
본 발명은, 피검안을 촬상하는 안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과장치로서는, 주로, 광간섭 단층계(OCT)를 사용해서 피검안의 안저의 단층화상을 고해상도로 취득하는 장치와, 주사형 레이저 검안경(SLO)이 현재 이용 가능하다.
검자가 피검안의 전안부를 모니터를 통해 관찰하면서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피검안에 대한 얼라인먼트 조작을 실행하고, 이 얼라인먼트 조작이 완료하면,SOL안저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9125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때, 검자가 오토포커스 시작 스위치를 누를 때, SLO안저화상에 의거하여 SLO광학계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가 이동된다. SLO광학계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 SLO안저화상에 의거하여 OCT광학계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도 이동시켜, OCT광학계의 오토포커스를 대충 행한다. 한층 더, 이 후, OCT단층화상에 의거하여 참조 미러를 이동해서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자동으로 조정함에 따라서, OCT광학계의 오토포커스를 정밀하게 행한다.
또한, 검자는 콘트롤 레버를 조작하여, 안저카메라 유닛을 피검자측에 이동시키고, 표시 화면을 피검안 전안부 화상으로부터 안저관찰 화상으로 바꾸고나서 얼라인먼트 조정하는 것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1811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바꾼 후에, 얼라인먼트 광원을 점등해서 피검안에 얼라인먼트 휘점을 투영하고 있다. 얼라인먼트 조정이 완료된 후, 포커스 조정을 행하고 나서, 얼라인먼트 상태가 적정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참조 미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취득된 OCT단층화상의 휘도값을 해석하여 OCT단층화상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181172호에는, 얼라인먼트 조정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실행되어도 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피검자의 물리적 부담을 생각했을 경우, OCT의 본촬영(main image capturing)이 시작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얼라인먼트를 수동보다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다. 그렇지만, 표시 화상을 전안부 화상으로부터 안저관찰 화상으로 바꾸고나서 얼라인먼트 조정을 행할 경우에는, 전안부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관찰 광원뿐만 아니라 얼라인먼트 광원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장치의 대형화에 연결될뿐만 아니라, 얼라인먼트 광원이 점등하고나서 안정화될 때까지 걸린 시간으로 인한 조정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서, 피검자의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안과장치는,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combine) 얻어진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단층화상취득 수단과,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길이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과, 상기 피검안 전안부의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에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피검안 전안부의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OCT의 본촬영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되어, 피검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각 부가 실행하는 각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2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먼트 수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2b는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먼트 수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2c는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먼트 수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3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먼트 수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3b는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먼트 수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3c는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먼트 수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각 부가 실행하는 단계들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OCT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는, 피검안 전안부의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OCT의 본촬영이 시작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 단축되어, 피검자의 부담도 경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코히어런스 게이트란, 측정빔의 광로에 있어서의 참조빔의 광로에 대응한 위치를 말한다. 이 때문에,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해, 측정빔과 참조빔과의 광로길이 차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로서는, 참조 미러의 위치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이나, 피검안에 대하여 장치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이 생각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참조 미러나 상기 장치에 설치된 이동 스테이지가 실제로 사용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각 부에 대해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OCT계측계에 의한 OCT단층화상의 취득에 관하여 설명한다. 광간섭 단층계(OCT)용의 광원(201)으로부터 발생된 빔(저코히어런스 빔)은, 파이버 202를 통과하고, 파이버 208에 인도되는 측정빔과, 파이버 204에 인도되는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으로 분할된다. 파이버(208)의 끝으로부터 출사한 측정빔은, OCT유닛(111)의 외측에 설치된 렌즈(112)에 의해 시준되어, OCT용의 XY스캐너(113, 114)(OCT용의 주사부의 일례)를 지나고, 미러(115)에서 반사되고, 빔 스플리터(119)에서 반사되고, 접안 렌즈(107)를 통해 피검안(108)에 투영된다. 한편, 파이버(204)의 끝으로부터 출사한 참조빔은, 렌즈(205)에 의해 시준되어, 분산 보상 유리(206)를 지나고,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참조 미러(207)에 투영된다. 그 분산 보상 유리(206)는, 피검안(108)에 함유된 물 등의 성분으로 인해 측정빔에 생기는 분산을, 참조빔으로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피검안에서 분산 및 반사한 빔)과 참조 미러(207)에서 반사한 참조빔이, 커플러(203)에 의해 합파빔(간섭빔이라고도 부른다)으로 합파되고 나서, 파이버(209)에 인도된다. 파이버(209)의 끝으로부터 출사한 합파빔은 렌즈 210에 의해 시준되어, 회절격자(211)(파장마다 빔을 분할하는 분광부의 일례다)에 의해 분할되어, 렌즈 212를 통해 라인 센서(213)(OCT용의 촬상부의 일례다)에 투영된다. 그 후, 라인 센서(213)로부터의 출력을 푸리에(Fourier)변환함에 의해, OCT단층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시스템은, 스펙트럼 영역(SD)-OCT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스웨프트 소스(swept-source)(SS)-OCT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시스템이 빔의 분할과 합파를 공통부(커플러203)로 이루어진 미켈슨(Michelson) 간섭계이지만, 그 시스템은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로 구성되어도 된다.
다음에, 안저관찰계에 의한 SLO안저화상의 취득에 관하여 설명한다. 광원(101)으로부터 출사된 빔은, 렌즈(102), 빔 스플리터(103), SLO용의 XY스캐너(104, 105)(SLO용의 주사부의 일례다)를 지나고, 빔 스플리터 106에서 반사하고, 빔 스플리터 119에서 반사하고 나서, 접안 렌즈(107)를 거쳐 피검안(108)에 투영된다. 피검안(108)으로부터의 귀환빔은, 빔 스플리터(103)에서 반사하고 나서, 렌즈(109)를 거쳐 점 센서(SLO용의 촬상부의 일례다)에 투영된다. 상기 점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SLO안저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피검안의 안저를 주사하지 않고, 적외광등을 피검안에 투영한 후의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귀환빔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2차원의 안저화상을 취득해도 된다.
전안 관찰계에 의한 전안부 화상의 취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안부용 광원으로부터의 빔을 피검안(108) 전안부에 조사한다. 상기 전안부로부터의 귀환빔은, 후술하는 이미지 스플릿 프리즘(116)을 지나고 나서, 렌즈(117)를 통해 전하결합소자(CCD) 카메라(118)(전안부용의 촬상부의 일례다)에 투영된다. 이 때문에, CCD카메라(118)의 출력에 의해 전안부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각 부가 실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 도 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11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부가, 프리뷰를 시작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리뷰란, OCT의 본촬영을 행하기 전에, 상기 장치와 피검안의 위치 정렬(얼라인먼트)용 전안부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조정용의 OCT단층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단층화상 취득부는,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한 참조빔을 합파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OCT단층화상을 취득한다.
단계S12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부가,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를 시작한다.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는, 상기 장치(피검안에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대 위치의 변경으로서, 상기 장치나 피검안의 턱받침대(jaw mounting base)를 이동하는 구성이 생각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장치나 턱받침대에 설치한 이동 스테이지가 현재 이용 가능하다.
단계S13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판단부가,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술한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한 경우에는, 단계S15의 처리로 진행되고,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S14의 처리로 진행되고, 적정해질 때까지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를 계속한다.
상기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란, 예를 들면, 이미지 스플릿 프리즘(116)에 의해 스플릿 해서 얻어진 전안부 화상간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이내에 있는 경우다. 도 2a, 2b, 2c는, 스플릿 해서 얻어진 전안부 화상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a와 같이, 스플릿 해서 얻어진 전안부 화상간의 상기 거리가 소정의 거리L보다 긴 길이L1이면, 얼라인먼트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도 2b와 같이, 스플릿 해서 얻어진 전안부 화상간의 상기 거리가 소정의 거리L보다 짧은 길이L2이면, 얼라인먼트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도 2c와 같이, 스플릿 해서 얻어진 전안부 화상간의 상기 거리가 대략 제로이면, 얼라인먼트가 가장 좋은 것을 의미한다. 이미지 스플릿 프리즘(116)을 안저카메라에 적용하는 것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1-231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란, 예를 들면, 전안부의 각막 휘점이 소정의 범위에 있을 경우다. 도 3a, 3b, 3c는, 전안부 화상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a와 같이, 광학 헤드의 측정빔 광학계의 광축에 일치하고 있는 화상중심과 전안부 화상과의 사이에 XY방향으로 위치 편향이 있다(얼라인먼트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부가, 도 3b와 같이 동공(2203e)의 중심이 화상 중심과 일치하도록 광학 헤드를 이동시킨다. 그렇지만, 그들이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도 3c와 같이, 동공(2203e)이 화상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떨어진 위치 2203f에 위치된 경우에도, 얼라인먼트가 적정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전안부 화상은, CCD카메라(118)등으로 구성된 전안부 화상취득부에 의해 취득된다. Z방향의 위치 편향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안부용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빔에 근거하는 전안부의 휘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전안부의 화상상에 있어서의 휘점의 크기에 의거하여 광학 헤드를 이동해서 조정할 수 있고, 휘점의 크기가 최소로 되도록 Z방향으로 광학 헤드를 조정할 수 있다.
단계S16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부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을 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표시 제어부가, OCT단층화상을 표시부(예를 들면,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이 경우, 광로길이 차이(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에 의거하여 OCT단층화상의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란, 예를 들면, 상기 광로길이 차이에 대응한 표시 위치가 소정의 표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나, OCT단층화상의 소정의 층(예를 들면, 강도가 큰 층)이 소정의 표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를 말한다.
단계S17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판단부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은 적정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이 적정한 경우에는, 단계S19의 처리로 진행되고,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을 종료한다. 한층 더, 단계S20의 처리로 진행되고, 프리뷰를 종료한다. 상기 자동조정이 적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8의 처리로 진행되고, 적정해질 때까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을 계속한다.
단계S20에서 프리뷰를 종료한 후, 검자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촬영 버튼을 누름으로써, 피검안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0에서 프리뷰를 종료한 후, 자동적으로 피검안을 촬영해도 된다. 얼라인먼트가 적정해진 경우에도, 피검안은 고시미동 등으로 인해 계속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단계S15에서 얼라인먼트를 종료하지 않고, 단계S20의 프리뷰의 종료까지, 얼라인먼트를 계속하여도 된다. 즉, 얼라인먼트를 계속하면서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을 실행해도 되거나, 얼라인먼트를 계속하면서 촬영을 실해도 된다. 얼라인먼트(위치결정)의 조정과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조정을 이 순서로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 모드와, 이것들의 조정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한쪽을 검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자동 조정을 종료한 후, 자동적으로 수동 모드(지시부에 의한 변경 지시가 가능한 모드)가 선택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대강 조정을 실행한 후에 수동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어서, 조정의 효율이 향상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할 경우(상기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 합파빔(혹은 SLO안저화상)의 강도에 의거하여합초위치 변경부의 오토포커스를 행하여 합초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합초위치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하는 것이 유용하다. 즉,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 전에 오토포커스를 행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에 따라, 오토포커스시의 상기 강도가 안정화될 수 있어서, 오토포커스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상기 합초위치가 변경되면,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참조빔의 광량을 변경하는 것이 유용하다. 참조빔의 광량을 변경하는 광량 변경부로서는, 예를 들면, 참조빔의 광로에 설치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중성 농도(ND)필터가 사용된다. 그 ND필터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참조빔의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합파빔의 강도는 참조빔의 광량과 귀환빔의 광량에 의존해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참조빔과 귀환빔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감쇠함으로써, 라인 센서 등의 검출부의 포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가능한 한 피검안으로부터의 정보를 손실하지 않도록, 귀환빔의 강도는 크게 하고 싶다. 참조빔의 광량이 지나치게 크면, 합파빔의 강도가 상기 검출부의 각 화소의 포화 레벨을 초과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측정빔보다도 참조빔을 감쇠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이 상기 단층화상의 화질이 좋은 조건하에서 실행되면, 조정 정밀도가 향상한다. 이 때문에,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자동조정하기 전에 참조빔의 광량을 변경하는 것이 유용하다.
상기 합초위치가 변경된 후,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편향 변경부에 의해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참조빔과 측정빔 중 적어도 한쪽의 편향을 변경할 수 있다.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참조빔과의 편향의 차이가 단층화상의 화질저하가 생기기 때문에, 귀환빔의 편향과 참조빔의 편향을 자동적으로 일치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편향 변경부는, 참조빔이나, 그 참조빔의 광로에 설치된 파이버의 파이버 루프로 구성된다.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이 상기 단층화상의 우수한 품질 조건하에서 실행되는 경우, 조정 정밀도가 향상한다. 이 때문에,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자동조정 하기 전에 상기 편향을 변경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각 부가 실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흐름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전술한 각 단계와 동일한 단계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단계S15에 있어서,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를 종료한 후(상기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을 경우), 단계S21의 처리로 진행되어, 측정빔으로 피검안의 안저를 주사하는 주사부(예를 들면, OCT용의 갈바노미터 미러 또는, SLO용의 폴리곤 미러)가 구동된다. 단계S22에 있어서, 상기 측정빔이 피검안에 투영된다. 측정빔의 피검안에의 투영은, 광원의 점등이나, 광원의 광로나 측정빔의 광로에 대해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차폐부(예를 들면, 셔터)를 상기 광로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 때, 측정빔을 피검안에 투영하는 타이밍은, 주사부가 구동되고 있는 동안에 얼라인먼트가 종료된 기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은, 얼라인먼트중에 불필요한 빔의 피검안에의 투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관점에서 유용하다. 주사부의 구동전에 측정빔을 피검안에 투영하면, 피검안의 한 곳에 그 측정빔이 연속적으로 투영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안전성의 관점에서, 주사부가 구동하고나서 측정빔을 피검안에 투영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구성은, SLO안저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부의 제어는, 합파빔의 강도(OCT단층화상의 강도)에 의거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측정빔을 피검안에 투영했을 경우에 실행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주사부를 구동하여, 측정빔을 피검안에 투영한 상태에서, 얼라인먼트를 시작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얼라인먼트중에 광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OCT의 본촬영이 실행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단계S19에 있어서,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자동조정을 종료한 후(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경우), 단계S23의 처리로 진행되어,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한가 아닌가를 다시 판단한다. 그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하면, 단계S20의 처리로 진행되어 프리뷰를 종료한다. 전안부의 오토 얼라인먼트가 적정하지 않으면(상기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단계S24의 처리로 진행되어, 피검안의 안전성의 관점에서, 피검안에 투영하는 측정빔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광원의 소등이나, 광원의 광로나 측정빔의 광로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차폐부 (예를 들면, 셔터)를 그 광로에 삽입한다(셔터를 닫는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동시에, 광원의 소등과 차폐부의 광로에의 삽입을 행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다. 이 구성은, SLO안저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1년 3월 31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1-079361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15)

  1.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얻어진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단층화상 취득 수단;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길이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
    상기 피검안 전안부의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에 상기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안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화상을 표시 수단의 상기 광로길이 차이에 대응하는 표시 위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층화상이 소정의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안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 상기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합초위치를 변경하는 합초위치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합초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안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초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빔의 광량을 변경하는 광량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참조빔의 광량이 변경되면,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안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초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빔과 상기 측정빔 중 적어도 한쪽의 편향(polarization)을 변경하는 편향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편향이 변경되면,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안과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피검안에 투영되는 측정빔을 감소하는, 안과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측정빔의 광원을 소등하는, 안과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빔으로 상기 피검안의 안저를 주사하는 주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주사 수단이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측정빔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측정빔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경우에, 상기 광로길이 차이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길이 차이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안과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광로에 대해 삽탈가능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빔을 차폐하는 차폐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주사 수단이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차폐 수단을 상기 광로로부터 떼어 내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폐 수단을 상기 광로에 삽입하는, 안과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안부의 스플릿 화상을 취득하는 전안부 화상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안부의 스플릿 화상간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이내일 경우에,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안과장치.
  11.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취득 수단; 및
    상기 피검안에 상기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피검안에 투영되는 상기 측정빔을 감소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안과장치.
  12.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취득 수단;
    상기 측정빔으로 상기 피검안의 안저를 주사하는 주사 수단; 및
    상기 피검안에 상기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주사 수단이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측정빔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안과장치.
  13.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얻어진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단층화상 취득 수단; 및
    상기 피검안에 상기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빔의 광량을 변경하는 광량변경 수단을 구비한, 안과장치.
  14.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안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얻어진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안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단층화상 취득 수단; 및
    상기 피검안에 상기 측정빔을 조사하는 광학계와 상기 피검안 전안부와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합파빔의 강도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빔과 상기 측정빔 중 적어도 한쪽의 편향을 변경하는 편향 변경 수단을 구비한, 안과장치.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과장치의 각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KR1020137028505A 2011-03-31 2012-03-22 안과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532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9361 2011-03-31
JP2011079361A JP5220155B2 (ja) 2011-03-31 2011-03-31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PCT/JP2012/001969 WO2012132339A2 (en) 2011-03-31 2012-03-22 Ophthalmologic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315A true KR20130138315A (ko) 2013-12-18
KR101532238B1 KR101532238B1 (ko) 2015-07-06

Family

ID=4604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505A KR101532238B1 (ko) 2011-03-31 2012-03-22 안과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5999B2 (ko)
EP (1) EP2691009B1 (ko)
JP (1) JP5220155B2 (ko)
KR (1) KR101532238B1 (ko)
CN (2) CN106073696B (ko)
WO (1) WO20121323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549B2 (ja) * 2012-03-30 2016-10-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撮影装置
JP2014079494A (ja) * 2012-10-18 2014-05-08 Canon Inc 眼科装置および眼科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227337B2 (ja) 2013-01-24 2017-11-08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計測装置
CA2902760A1 (en) * 2013-02-27 2014-09-04 Optovue, Inc. Automatic alignment of an imager
JP6975528B2 (ja) * 2016-01-22 2021-12-0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撮影装置
JP2019058491A (ja) * 2017-09-27 2019-04-1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KR102661654B1 (ko) 2017-11-07 2024-04-29 노탈 비전 엘티디. 망막 이미징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들
CN111542258B (zh) 2017-11-07 2023-10-20 诺达尔视觉有限公司 用于眼科成像设备的对准的方法和系统
WO2019189222A1 (ja) * 2018-03-30 2019-10-03 株式会社ニコン 眼科光学系、眼科用対物レンズ、及び眼科装置
SG11202012210UA (en) 2018-06-08 2021-01-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Upgrading of pyrolysis tar and flash bottoms
US10595722B1 (en) 2018-10-03 2020-03-24 Notal Vision Ltd. Automatic optical path adjustment in home OCT
US10653311B1 (en) 2019-06-12 2020-05-19 Notal Vision Ltd. Home OCT with automatic focus adjustment
CN112842252A (zh) * 2020-12-31 2021-05-28 北京理工大学 空间自定位的眼科光学相干层析成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134A (en) 1987-07-17 1989-01-25 Japan Atomic Energy Res Inst Differential transformer type pressure sensor
US6789900B2 (en) * 1996-11-22 2004-09-14 Jozef F. Van De Velde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optimized for selective retinal microphotocoagulation
JP4533013B2 (ja) 2004-06-14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2006116090A (ja) * 2004-10-21 2006-05-11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US7758189B2 (en) 2006-04-24 2010-07-20 Physical Sciences, Inc. Stabilized retinal imaging with adaptive optics
JP4996917B2 (ja) * 2006-12-26 2012-08-08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及び光画像計測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JP5209377B2 (ja) * 2008-06-02 2013-06-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撮影装置
CA2731226A1 (en) * 2008-07-21 2010-01-28 Optovue, Inc. Extended range imaging
JP5199031B2 (ja) * 2008-11-05 2013-05-1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5355994B2 (ja) 2008-11-05 2013-11-2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5292079B2 (ja) * 2008-12-08 2013-09-1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2010142428A (ja) * 2008-12-18 2010-07-01 Canon Inc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404078B2 (ja) * 2009-02-03 2014-01-29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
JP2010197474A (ja) * 2009-02-23 2010-09-09 Topcon Corp 偏光コントローラ、干渉計及び光画像計測装置
JP5437755B2 (ja) * 2009-04-15 2014-03-1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5491064B2 (ja) * 2009-04-28 2014-05-14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
JP2010259492A (ja) * 2009-04-30 2010-11-18 Topcon Corp 眼底観察装置
JP5551398B2 (ja) 2009-10-05 2014-07-1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US7980696B1 (en) * 2010-01-21 2011-07-19 Nidek Co., Ltd. Ophthalmic photographing apparatus
JP5584345B2 (ja) * 2013-10-28 2014-09-03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及び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1009B1 (en) 2016-10-19
JP5220155B2 (ja) 2013-06-26
US9565999B2 (en) 2017-02-14
CN106073696B (zh) 2020-12-29
CN103458773A (zh) 2013-12-18
WO2012132339A3 (en) 2012-11-29
JP2012213448A (ja) 2012-11-08
US20140016095A1 (en) 2014-01-16
CN103458773B (zh) 2016-06-29
CN106073696A (zh) 2016-11-09
EP2691009A2 (en) 2014-02-05
KR101532238B1 (ko) 2015-07-06
WO2012132339A2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238B1 (ko) 안과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186057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38320A (ko) 의료 시스템
JP6040562B2 (ja) 眼底撮影装置用アタッチメント
JP7302342B2 (ja) 眼底撮影装置
JP7226426B2 (ja) 眼底撮影装置
JP6604020B2 (ja) 眼底撮像装置及び眼底撮像プログラム
JP6421919B2 (ja) 眼科撮影装置
JP7376847B2 (ja) 眼底画像処理装置および眼底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319616B2 (ja) 走査型レーザー検眼鏡
JP2016049368A (ja) 眼科撮影装置
JP2019042249A (ja) Oct装置
JP7056242B2 (ja) 眼底撮影装置
JP7119287B2 (ja) 断層画像撮影装置、および断層画像撮影プログラム
JP7452042B2 (ja) 眼底撮影装置
JP5793156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85043A (ja) 眼底撮影装置
JP7200516B2 (ja) 眼底撮影装置
US20230165462A1 (en) Fundus photographing apparatus
JP7375323B2 (ja) 眼底撮影装置
JP2023081680A (ja) 眼底撮影装置
JP2023083084A (ja) 眼底撮影装置
JP6632285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083318A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JP2023049396A (ja) 眼科撮影装置及び眼科撮影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