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320A - 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320A
KR20130138320A KR1020137028840A KR20137028840A KR20130138320A KR 20130138320 A KR20130138320 A KR 20130138320A KR 1020137028840 A KR1020137028840 A KR 1020137028840A KR 20137028840 A KR20137028840 A KR 20137028840A KR 20130138320 A KR20130138320 A KR 20130138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cal path
path length
changing
length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589B1 (ko
Inventor
모토야 타가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의료 시스템은,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사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생성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피검사물의 합초위치를 변경하는 합초위치 변경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 길이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 및 상기 광로 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하고 나서,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 시스템{MEICAL SYSTEM}
본 발명은, 안과진료 등에 사용된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과장치 중에서, 주요 장치는, 광간섭 단층계(OCT)를 사용해서 피검안의 안저의 단층화상을 고해상도로 취득하는 장치와, 주사형 레이저 검안경(SLO)이 있다.
검자가 모니터 상의 피검안의 전안부의 관찰 화상을 관찰하면서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피검안에 대한 얼라인먼트를 실행하고, 이 얼라인먼트의 완료 후, SLO안저화상을 취득하는 기술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9125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때, 검자가 오토포커스 시작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SLO안저화상에 의거하여 SLO광학계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SLO광학계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 SLO안저화상에 의거하여 OCT광학계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OCT광학계의 오토포커스를 대충 행한다. 그 후, OCT단층화상에 의거하여 참조 미러를 이동해서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OCT광학계의 오토포커스를 정밀하게 행한다.
또한, 검자는 콘트롤 레버를 조작하여, 안저카메라 유닛을 피검자측에 이동시키고, 표시 화면의 화상을 피검안 전안부 화상으로부터 안저관찰 화상으로 바꾸고나서 얼라인먼트 조정하는 기술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1811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바꾼 후에, 검자는 얼라인먼트 광원을 점등해서 피검안에 얼라인먼트 휘점을 투영한다. 얼라인먼트 조정이 완료된 후, 검자는 포커스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나서, 얼라인먼트 상태가 적정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참조 미러를 이동시켜서 취득된 OCT단층화상의 휘도값을 해석하여 OCT단층화상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181172호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조정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9125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18117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1-23134호
이들 기술에서, 안과장치는, 얼라인먼트, 포커스 위치,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조정을 수동으로 행하는지 자동으로 행하는지를, 검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상기 얼라인먼트, 포커스 위치,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는, 이 순서로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안부, 안저, 및 안저의 주목 부위의 각 화상을 사용해서 이들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가장 큰 영역의 조정부터 시작하는 순서로 조정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조정동안, 검자가 상기 얼라인먼트 및/또는 포커스 위치를 수동 조정하면, 적당한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가 무기한으로 정해질 수 없어,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져버린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의료 시스템은,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사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생성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피검사물의 합초위치를 변경하는 합초위치 변경부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 길이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와, 상기 광로 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한 후에,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검자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자동조정이 완료한 후, 포커스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자동조정중에, 검자는 포커스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 시스템의 측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1b는 마우스 휠을 갖는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 시스템(혹은 안과장치)으로, 검자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자동조정(자동변경이라고도 한다.)이 종료하고 나서, 포커스 위치의 수동조정(수동변경이라고도 한다.)을 행할 수 있다.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자동조정중(자동변경중)(즉,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의 제어 중)에, 검자는 포커스 위치의 수동조정(즉, 포커스 위치의 변경 지시)을 행할 수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조정중에 수동조정을 금지한다. 자동조정이 완료하면, 수동조정을 허가(금지를 해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포커스 위치의 변경은 합초위치 변경부라고도 부른다.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변경은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라고도 부른다. 본 발명은, 안과 시스템뿐만 아니라, 인체의 피부등의 피검사물을 관찰하는데 사용된 내시경 등의 의료 시스템(혹은 의료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코히어런스 게이트"란, 측정빔의 광로에 있어서의 참조빔의 광로에 대응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해, 측정빔과 참조빔간의 광로 길이 차이를 변경함에 의해,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는, 참조 미러의 위치를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거나, 피검안에 대하여 장치를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의 예들은, 참조 미러와 상기 장치에 설치한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다른 안과 시스템과 안과장치는, 검자가 자동 모드나 수동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자동모드에서, 얼라인먼트, 포커스 위치,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는, 이 순서로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상기 포커스 위치 대신에, 적어도 측정빔 또는 참조빔 중 어느 한쪽의 편광 또는, 참조빔의 광량이 광 변경부에 의해 조정되어도 된다). 수동 모드에서, 이것들의 조정을 수동으로 행한다. 예를 들면, 측정 화면(1000) 위에 얼라인먼트 모드 선택 버튼(1004)이 설치된다. 검자가 자동 모드("오토")를 선택하는 경우에, 자동조정 완료 후, 자동적으로 수동 모드("메뉴얼")(검자가 지시부에 의한 변경 지시가 가능한 모드)가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검자가 자동으로 대충 조정한 후에 수동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상기 조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안과장치의 측면도인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학 헤드(900)는, 전안부 화상 및 눈의 안저의 2차원 화상 및 단층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측정 광학계다. 스테이지부(950)(이동부라고도 한다.)에 의해, 광학 헤드(900)는, 베이스부(95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스테이지부(950)는, 도 2a에서 X, Y, 및 Z방향으로 모터 등에 의해 이동된다. 베이스부(951)는, 후술하는 분광기를 구비한다.
스테이지부(950)의 제어부의 역할을 하는 퍼스널 컴퓨터(925)는, 단층화상을 구성할 수 있고, 스테이지부(950)를 제어한다. 피검자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의 역할도 하는 하드디스크(926)는, 단층화상을 촬영하는 프로그램등을 기억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표시 제어부는, 취득된 화상 및 기타 화상을 모니터 등의 표시부(928)에 표시시킨다. 입력부(929)는 퍼스널 컴퓨터(925)에 지시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929)는 키보드와 마우스(포인팅 디바이스라고도 부른다)로 구성된다. 턱받침(323)은 피검자의 턱과 이마를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측정 광학계 및 분광기의 구성
이하,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의 측정 광학계 및 분광기의 구성에 대해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광학 헤드(900)의 내부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검안(107)에 대향해서 대물렌즈 135-1이 설치된다. 그 대물렌즈 135-1의 광축상에서, 제1다이클로익 미러132-1 및 제2다이클로익 미러132-2에 의해 OCT광학계의 광로 351, 안저관찰과 고시등용의 광로 352, 및 전안부 관찰용의 광로 353으로 파장대역마다 광이 분기된다. 마찬가지로, 광로(352)는, 제3다이클로익 미러132-3에 의해 안저관찰용의 전하결합소자(CCD)(172) 및 고시등(fixation lamp)(191)에의 광로에 파장대역마다 광이 분기된다. 광학 헤드(900)는, 렌즈(135-3,135-4)를 더 구비한다. 그 렌즈(135-3)는, 고시등 및 안저관찰용의 합초 조정을 위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CCD(17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안저관찰용 조명광의 파장, 구체적으로는 약 780nm의 파장에 대한 감도를 가진다. 고시등(191)은 가시광선을 발생해서 피검안(107)의 고시를 용이하게 한다.
안저관찰용의 광학계는, 주사형 레이저 검안경(SLO)등의 광학계를 구비하여도 된다. 광로(353)에 있어서, 렌즈 135-2와 전안관찰용의 적외선CCD(1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CCD(17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안부 관찰용 조명광의 파장, 구체적으로는 약 970nm의 파장에 대한 감도를 가진다. 또한, 광로(353)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미지 스플릿 프리즘이 배치되고 있어, 피검안(107)에 대한 광학 헤드(900)로부터의 Z방향의 거리를, 전안관찰 화상중의 스플릿 화상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광로(351)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OCT광학계를 이루고, 피검안(107)의 안저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 광로(351)는, 단층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간섭 신호를 얻는데 사용된다. XY스캐너(134)는, 광빔으로 안저를 주사한다. 한 장의 미러로서 도시된 XY스캐너(134)는, XY의 2축방향으로 주사를 행한다. 광학 헤드(900)는, 렌즈 135-5,135-6을 더 구비한다. 상기 렌즈135-5는, 파이버131-2로부터 출사하는 광원(101)으로부터의 광빔을 피검안(107)의 안저 위에 합초 조정을 하기 위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광 커플러(131)에 파이버131-2가 접속되어 있다. 동시에, 이 합초 조정에 의해 피검안(107)의 안저로부터의 광은, 파이버131-2의 선단에 스폿 모양으로 결상되어서 입사된다.
이하, 광원(101)으로부터의 광로, 참조 광학계, 및 분광기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광원(101), 미러(132-4), 분산 보상용 유리(115), 전술한 광 커플러(131), 광 커플러(131)에 접속되어서 일체화하고 있는 단일 모드의 광 파이버 131-1∼131-4, 렌즈 135-7, 및 분광기(180)는, 마이켈슨 간섭계를 구성한다. 광원(101)으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광 파이버 131-1을 통과하고, 광 커플러(131)를 통해 광 파이버 131-2의 측정빔과 광 파이버 131-3의 참조빔으로 분할된다.
측정빔은 전술의 OCT광학계 광로를 통해, 관찰 대상인 피검안(107)의 안저에 조사된다. 그 측정빔은, 망막에 의해 반사 및 산란되어서, 같은 광로를 통해서 광 커플러(131)에 진행한다. 참조빔은 광 파이버 131-3, 렌즈 135-7, 및 분산 보상 유리(115)를 통과해서, 미러132-4에 도달해 반사된다. 분산 보상 유리(115)는, 측정빔과 참조빔의 분산을 보상하기 위해서 삽입된다. 그 참조빔은, 같은 광로를 통해 광 커플러(131)에 귀환한다. 광 커플러(131)는, 측정빔과 참조빔을 간섭 광(합파광이라고도 부른다.)으로 합파한다. 상기 측정빔의 광로 길이와 참조빔의 광로 길이가 거의 동일할 때, 간섭이 일어난다. 미러 132-4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모터 및 구동기구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피검안(107)에 따라 변하는 측정빔의 광로 길이와 참조빔의 광로 길이를 같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간섭 광은 광 파이버 131-4를 거쳐 분광기(180)에 인도된다.
측정빔측의 편광조정부 139-1은, 광 파이버 131-2에 설치된다. 참조빔측의 편광조정부 139-2는 광 파이버 131-3에 설치된다. 상기 편광조정부 139-1 및 139-2는 광 파이버를 루프형으로 각각 라우팅된 부분을 일부 구비한다. 이들의 루프형의 부분을 각 파이버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킴으로써, 광 파이버 131-2, 131-3을 비틀어서, 상기 측정빔과 참조빔의 편광상태를 서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에서는, 미리 측정빔과 참조빔의 편광상태가 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분광기(180)는, 렌즈135-8, 135-9, 회절격자(181), 및 라인 센서(182)로 구성된다. 광 파이버 131-4로부터 출사된 간섭 광은, 렌즈135-8에 의해 대략 평행광으로 시준된다. 그 후, 그 평행 광은, 회절격자(181)로 분산되어, 렌즈135-3에 의해 라인 센서(182)에 결상된다.
이하, 광원(101) 및 그 주변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광원(101)은 대표적인 저 코히어런스 광원인 초발광성 다이오드(SLD)다. 광원(101)의 중심파장은 855nm, 파장 대역폭은 약 100nm이다. 취득된 단층화상의 광축방향의 분해능에 영향을 주는 대역폭은, 중요한 파라미터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용된 광원의 종류는 SLD다. 그렇지만, 저 코히어런스 광이 출사할 수 있으면, 증폭된 자발적 방출(ASE) 디바이스 등의 어떠한 다른 종류의 광원도 사용되어도 된다. 사람의 눈이 피측정대상이므로, 근적외광이 그 중심파장으로서 적절하다. 취득된 단층화상의 가로방향의 분해능에 영향을 주는 중심파장은, 단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 가지 이유로, 중심파장을 855nm로 설정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마이켈슨 간섭계를 사용한다. 그렇지만,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를 사용해도 된다. 측정빔과 참조빔간의 광량차이가 비교적 작을 경우에, 분할부와 합성부가 설치되는 마이켈슨 간섭계는, 분할부와 합성부가 따로따로 설치되는 마하젠더 간섭계보다 좋다.
단층화상의 취득 방법
다음에, 단층화상의 취득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부는, XY스캐너(134)를 제어함으로써 피검안(107)의 안저의 소망 부위의 단층화상을 취득한다. 우선, X방향으로 측정빔(105)의 스캔을 행하고, 안저에 있어서의 X방향의 촬상 범위에서 소정수의 촬상선의 정보를 라인 센서(182)로 촬상한다. X방향으로 어떤 위치에서 취득된 라인 센서(182)상의 휘도분포를 급속 푸리에 변환(FFT) 한다. FFT로부터 생기는 선형 휘도분포를, 모니터(928)에 표시하기 위해 농도 정보 혹은 컬러 정보로 변환한다. 이 농도 혹은 컬러 정보를 A스캔 화상이라고 부른다. 복수의 A스캔 화상을 늘어놓은 2차원의 화상을 B스캔 화상이라고 부른다. 1개의 B스캔 화상을 구축하기 위한 복수의 A스캔 화상을 촬상한 후, Y방향의 스캔 위치를 이동시키고, 다시 X방향으로 스캔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B스캔 화상을 얻는다. 검자는, 모니터(928)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B스캔 화상 혹은 그 복수의 B스캔 화상으로부터 구축한 3차원 단층화상을 보는 것에 의해, 피검안(107)을 진단할 수 있다.
측정 화면
표시 화면에 표시된 측정 화면(1000)에 대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안관찰 화면(1101)은, 전안관찰용 CCD(171)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한다. 안저 2차원 화상 표시 화면(1201)은, 안저관찰용 CCD(172)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한다. 전안부의 스플릿 화상(1102)은, 전안관찰계에 설치된 이미지 스플릿 프리즘에 의해 얻어진다. 그 스플릿 화상(1102)은, 얼라인먼트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이미지 스플릿 프리즘을 안저카메라에 적용한 것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1-231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안저 2차원 화상 표시 화면(1201)은, 안저화상에 대한 단층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범위(1202)를 포함한다. 그 단층화상은, 단층화상 표시 화면(1301)에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에 근거하는 표시 위치에 표시된다.
피검안의 좌우 눈을 바꾸기 위해 버튼(1001)이 사용된다. 검자가 L버튼과 R버튼 중 어느 한쪽을 누르면, 상기 눌린 버튼에 해당한 좌안 또는 우안의 위치에 광학 헤드(900)가 이동된다. 검자가 마우스를 탁상등에서 이동시켰을 경우, 이에 대응하게 커서(100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에 있어서, 위치 검출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은)에 의한 커서(1002)의 위치에 따라 얼라인먼트 등을 변경하여도 된다. 위치 검출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는, 표시 화면상의 커서(1002)의 화소위치로부터, 커서(1002)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표시 화면 위에는 소정의 범위를 정의한다. 상기 소정의 범위의 화소내에 커서(1002)가 있는 경우에, 검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대해 정해진 각각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검자는, 마우스의 휠을 회전시켜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마우스(930)의 상부에 마우스 휠(9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마우스 휠(931)을 회전시킴으로써, 검자는, 커서(1002)가 위치하고 있는 표시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조정의 지시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서(1002)가 전안부 화상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검자는, 얼라인먼트를 조정할 수 있다. 커서(1002)가 안저화상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검자는 안저의 포커스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커서(1002)가 단층화상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검자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검자는, 측정 화면(1000)의 얼라인먼트의 모드 선택 버튼(1004)의 "메뉴얼"을 선택하였다. 또한, 검자는, 마우스(930)의 드래그 등의 조작에 의해, 얼라인먼트 조정 등의 조정의 지시를 행할 수도 있다. 얼라인먼트 조정 등의 조정이 종료한 후에, 검자가 촬상 버튼(1003)을 눌러 원하는 촬상이 행해진다.
각각의 화상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더는, 조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슬라이더(1103)는, 피검안(107)에 대한 광학 헤드(900)의 Z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슬라이더(1203)는, 포커스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슬라이더(1302)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포커스 위치를 조정할 때, 안저에 대한 합초 조정을 행하기 위해서, 렌즈135-3 및 135-5를 도 2b에 나타낸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를 조정할 때, 단층화상이 단층화상 표시 화면(1301)의 원하는 위치에서 관찰되기 위해서, 미러132-4를 도 2b에 나타낸 화살표가 가리킨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의 슬라이더(1103, 1203, 1302)도, 각각의 화상 위에 커서(1002)를 위치시킬 때, 검자에 의해 마우스 휠(931)의 조작과 연동해서 움직인다.
오토 촬영
이하, 검자가 측정 화면(1000)의 얼라인먼트의 모드 선택 버튼(1004)으로 "오토"를 선택했을 경우에 행해진 처리에 대해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1에서는, 촬영처리를 시작한다. 다음에, 단계2에서는, 얼라인먼트 처리(피검안과 장치간의 얼라인먼트)를 시작한다.
단계3에서는, 얼라인먼트가 적당한 경우, 검자는 얼라인먼트 처리를 완료하고 나서(단계3에서 YES), 단계4 혹은 단계5의 처리로 진행된다. 얼라인먼트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단계3에서 NO), 그 얼라인먼트가 적당할 때까지 계속하여 얼라인먼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완료하지 않고 얼라인먼트 처리를 계속 행하여도 되며, 얼라인먼트가 적당할 때 단계4 혹은 단계5의 처리로 진행되어도 된다.
단계4에서는, SLO와 OCT에서 포커스 조정을 행한다. 단계5에서는, 측정빔과 참조빔 중 어느 한쪽의 편광을 조정한다. 또한, 단계5에서는, 참조빔의 광량을 조정한다. 흐름도에서는 단계4와 단계5 중 어느 한쪽을 행하였지만, 단계4와 단계5 양쪽을 행해도 된다.
단계6에서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를 조정한다. 단계7에서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조정이 완료하면(단계7에서 YES), 단계8의 처리로 진행된다. 반면에 조정이 완료되지 않으면(단계7에서 NO),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얼라인먼트 처리를 계속해서 행한다.
단계8에서는, 단층화상의 촬영을 시작한다. 단계9에서는, 그 촬영을 종료한다.
자동조정으로부터 촬영까지의 기간동안에, 수동조정을 금지한다. 예를 들면, 검자는,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의 자동조정동안(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의 제어 기간동안)에 포커스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없다(즉, 포커스 위치의 변경 지시를 행할 수 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프리뷰에 의한 조정까지의 상기 처리를 자동으로 행하고 나서, 촬영은 수동으로 행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7에서 조정이 완료한 후, 검자가 촬상 버튼(1003)을 눌러 원하는 촬상을 행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 자동조정이 종료한 후, 수동조정 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자동조정중의 수동조정의 금지가 해제된다(즉, 수동조정이 허가된다). 또한, 촬영중에 얼라인먼트 처리를 계속해서 행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촬영중에 피검안의 고시미동 등이 생겨도, 장치와 피검안과의 위치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1년 3월 31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1-079363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2)

  1.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사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생성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피검사물의 합초위치를 변경하는 합초위치 변경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 길이들의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 및
    상기 광로 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하고,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가 제어된 후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의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층화상이 소정의 표시 위치에 표시될 경우에, 상기 광로 길이들의 차이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의료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의 제어 기간동안에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 의료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이 종료하면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 의한 수동변경을 허가하는, 의료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동안에는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의 수동변경을 금지하는, 의료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빔의 광량과, 상기 참조빔과 상기 측정빔 중 적어도 한쪽의 편광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는 광 변경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동안에는 상기 광 변경부에 의한 수동변경을 금지하는, 의료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이 종료하면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을 행하는, 의료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변경 모드 또는 수동변경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에 의해 자동변경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자동변경 모드가 종료하면 상기 수동변경 모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의료 시스템.
  9.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사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생성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참조빔의 광량과, 상기 참조빔과 상기 측정빔 중 적어도 한쪽의 편광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는 광 변경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 길이들의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 및
    상기 광로 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한 후에, 상기 광 변경부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의료 시스템.
  10.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사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생성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참조빔의 광량과, 상기 참조빔과 상기 측정빔 중 적어도 한쪽의 편광 중,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는 광 변경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 길이들의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 및
    상기 광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이 종료하면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에 의한 자동변경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의료 시스템.
  11. 청구항 1에 따른 의료 시스템의 기능들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측정빔을 조사한 피검사물로부터의 귀환빔과, 상기 측정빔에 대응하는 참조빔을 합파하여 생성된 합파빔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피검사물의 합초위치를 변경하는 합초위치 변경부;
    상기 측정빔과 상기 참조빔과의 광로 길이들의 차이를 변경하는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 및
    상기 광로 길이 차이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광로 길이 차이 변경부를 제어한 후, 상기 합초위치 변경부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137028840A 2011-03-31 2012-03-19 의료 시스템 KR101482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9363 2011-03-31
JP2011079363A JP5220156B2 (ja) 2011-03-31 2011-03-31 医療装置および医療システム
PCT/JP2012/001881 WO2012132301A1 (en) 2011-03-31 2012-03-19 Medic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320A true KR20130138320A (ko) 2013-12-18
KR101482589B1 KR101482589B1 (ko) 2015-01-14

Family

ID=4608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8840A KR101482589B1 (ko) 2011-03-31 2012-03-19 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6679B2 (ko)
EP (1) EP2691010B1 (ko)
JP (1) JP5220156B2 (ko)
KR (1) KR101482589B1 (ko)
CN (1) CN103458774B (ko)
WO (1) WO2012132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1878B2 (ja) * 2011-03-31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4201304A1 (en) * 2012-10-24 2023-06-28 Nidek Co., Ltd. Ophthalmic analysis apparatus
JP6101475B2 (ja) * 2012-12-06 2017-03-2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観察装置
JP6300443B2 (ja) * 2013-01-31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184113B2 (ja) * 2013-01-31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4382554A (zh) * 2014-11-07 2015-03-04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可注视的激光扫描检眼镜
JP6490501B2 (ja) * 2015-06-09 2019-03-27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検査システム
EP3305175A3 (en) 2016-10-05 2018-07-25 Canon Kabushiki Kaisha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method
JP6908390B2 (ja) * 2017-02-17 2021-07-2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TWI682150B (zh) 2018-12-27 2020-01-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自動校準光干涉裝置及光干涉裝置自動校準方法
CN110742575B (zh) * 2019-10-29 2022-04-15 中国计量大学 一种便携式眼科oct医疗诊断的多功能vr眼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3134A (en) 1987-07-17 1989-01-25 Japan Atomic Energy Res Inst Differential transformer type pressure sensor
US7758189B2 (en) * 2006-04-24 2010-07-20 Physical Sciences, Inc. Stabilized retinal imaging with adaptive optics
JP5448353B2 (ja) * 2007-05-02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干渉断層計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光干渉断層装置
ES2665748T3 (es) 2008-04-23 2018-04-27 Bioptigen, Inc. Sistemas de generación de imágenes por tomografía de coherencia óptica (OCT) para uso en aplicaciones oftálmicas pediátricas y métodos y productos de programas informáticos relacionados
JP5306041B2 (ja) * 2008-05-08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方法
EP2130486B1 (en) 2008-06-02 2016-03-23 Nidek Co., Ltd. Ophthalmic Photographing Apparatus
JP5209377B2 (ja) * 2008-06-02 2013-06-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撮影装置
JP5199031B2 (ja) * 2008-11-05 2013-05-1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5355994B2 (ja) * 2008-11-05 2013-11-2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5339934B2 (ja) 2009-01-22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光断層撮像方法
JP5404078B2 (ja) * 2009-02-03 2014-01-29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
JP2010197474A (ja) * 2009-02-23 2010-09-09 Topcon Corp 偏光コントローラ、干渉計及び光画像計測装置
JP5437755B2 (ja) * 2009-04-15 2014-03-1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5491064B2 (ja) * 2009-04-28 2014-05-14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
JP2010259492A (ja) * 2009-04-30 2010-11-18 Topcon Corp 眼底観察装置
JP2011079363A (ja) 2009-10-05 2011-04-21 Toyota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3075035A (ja) * 2011-09-30 2013-04-25 Canon Inc 光断層像撮像方法、光断層像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2301A4 (en) 2012-11-22
JP2012213449A (ja) 2012-11-08
WO2012132301A1 (en) 2012-10-04
JP5220156B2 (ja) 2013-06-26
EP2691010A1 (en) 2014-02-05
EP2691010B1 (en) 2016-05-18
US9326679B2 (en) 2016-05-03
KR101482589B1 (ko) 2015-01-14
CN103458774B (zh) 2016-03-30
US20140028975A1 (en) 2014-01-30
CN103458774A (zh)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589B1 (ko) 의료 시스템
US8931903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method
JP5210442B1 (ja)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960904B2 (en) Optical tomograph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06492B2 (ja)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326674B2 (en) Optical tom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48767B2 (en) Ophthalmological apparatus
US2012025318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ophthalmic apparatus, and ophthalmic system
US9314156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phthalmologic apparatus
US9538913B2 (en) Ophthalmic system
JP6188338B2 (ja)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6123480A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JP6141037B2 (ja)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308723B2 (ja) 制御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35716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23722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装置の制御方法
JP6701250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123481A (ja) 眼科装置、眼科システム、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JP5766225B2 (ja) 光断層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9115762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