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306A -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306A
KR20130138306A KR1020137027066A KR20137027066A KR20130138306A KR 20130138306 A KR20130138306 A KR 20130138306A KR 1020137027066 A KR1020137027066 A KR 1020137027066A KR 20137027066 A KR20137027066 A KR 20137027066A KR 20130138306 A KR20130138306 A KR 2013013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ameter
definition data
parameter sett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도보리
다다타카 아사카와
고이치 후루사와
다츠야 마부치
나오키 고이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71Portable, detachable programm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가능한 한 적은 기억 용량으로 가능한 한 많은 기종 및 버전의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하여,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제1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규정하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와, 제2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로부터의 차분으로 규정하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와,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선택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 및 상기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함께 선택하는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 및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와,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포맷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하는 파라미터 변환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PARAMETER-SETTING DEVICE AND PARAMETER-SETTING SYSTEM}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의 통괄적인 제어를 실시하는 CPU 유닛은, 사용자 측으로부터의 요망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차례차례로 고기능의 기종이 개발되어 시장에 투입되어 간다. 또한, 기종의 추가뿐만 아니라, 각 기종의 버전업도 빈번히 행해진다.
CPU 유닛은 예를 들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실행 주기, 디바이스 메모리의 백업 타이밍, 디바이스 메모리의 사용 범위 등, PLC의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CPU 유닛에 파라미터 설정 장치를 접속하여 CPU 유닛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CPU 유닛은 기종의 추가나 기종의 버전업에 의하여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이나 설정 가능한 범위가 변경되거나 한다. 따라서, 파라미터의 추가/변경에 맞추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를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버전업 할 필요가 있으나, 실제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를 항상 최신 상태로 해두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정의(定義) 정보를 CPU 유닛의 모델 번호, 버전마다 구비해두고, 사용자는 설정하고자 하는 유닛의 모델 번호와 버전을 지정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정의 정보를 취득하여 설정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7-9510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과 같이 모든 CPU 유닛의 정의 정보를 파라미터 설정 장치에 유지하는 것은 메모리 사용량의 관점에서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 CPU 유닛에 정의 정보를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CPU 유닛의 메모리를 압박하여 제품으로서 치명적인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능한 한 적은 기억 용량으로 가능한 한 많은 기종 및 버전의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유닛에 대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로서, 소정의 기종 및 버전의 제1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규정하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1 유닛과는 기종 또는 버전이 상이한 제2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규정하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와,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지 상기 제2 유닛인지를 판정하여,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하는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와,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여, 상기 받아들인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를 상기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포맷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상기 해석한 파라미터를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에 대하여 설정하는 파라미터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은, 유닛마다의 포맷 정의 데이터를 기준이 되는 포맷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서 가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적은 기억 용량으로 가능한 한 많은 기종 및 버전의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설정 화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에 의하여 정의되는 구조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파라미터의 설정 화면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파라미터 설정값이 CPU 유닛에 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펌웨어의 버전업 시의 펌웨어 버전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은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와 PLC(200)가 통신선으로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PLC(200)는 CPU 유닛(210)과,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보조 유닛(260)이 버스(270)에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보조 유닛(260)은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는 유닛으로서, 어떠한 보조 유닛(260)을 이용할지는 PLC(200)의 용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보조 유닛(260)에는 예를 들면, 온도 조절 유닛이나, 위치 결정 유닛이나, 아날로그 입력 유닛 등이 있다. CPU 유닛(210)은 버스(270)를 통하여 보조 유닛(26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보조 유닛(260)을 제어한다.
CPU 유닛(210)은 연산 장치(220), 기억 장치(230), 외부 통신부(240), 및 버스 통신부(250)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 장치(220), 기억 장치(230), 외부 통신부(240), 및 버스 통신부(250)는 내부 버스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230)는 ROM(Read Only Memory)나 RAM(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된다. 기억 장치(230)는 CPU 유닛(210)의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의 펌웨어(231), 보조 유닛(260)의 제어를 소망하는 바와 같이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되는 사용자 프로그램(232), 및 파라미터 설정값(234)이 격납된다. 또, 기억 장치(230)는 보조 유닛(260)과의 사이의 입출력 데이터(디바이스)가 격납되는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33)이 확보되어 있다.
연산 장치(22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된다. 연산 장치(220)는 펌웨어(231) 상에서 사용자 프로그램(232)을 주기적으로 실행하고, 1 주기 실행할 때마다 실행 결과를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33) 내의 디바이스값에 반영시킨다. 파라미터 설정값(234)은 펌웨어(231)에 관한 동작을 규정하는 구체적인 수치로서, 1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하여 설정된다.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 프로그램(232)의 실행 주기,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33)의 사용 영역,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33)의 백업 타이밍 등이 있다.
외부 통신부(240)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버스 통신부(250)는 버스(270)를 통하여 보조 유닛(260)과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는 연산 장치(10), 기억 장치(20), 외부 통신부(30), 입력부(40), 및 표시부(50)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상의 컴퓨터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산 장치(10), 기억 장치(20), 외부 통신부(30), 입력부(40), 및 표시부(50)는 서로 내부 버스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20)는 ROM이나 RAM 등으로 구성되고, CPU 유닛(210)에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21)이 격납되어 있다. 연산 장치(10)는 CPU 등으로 구성되고, 기억 장치(20)에 격납되어 있는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21)을 실행한다. 또한,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21)은 DISK 등의 기록 매체나 외부 기억 장치에 격납되고, 연산 장치(10)가 이러한 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21)을 기억 장치(20)에 로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외부 통신부(30)는 CPU 유닛(210)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입력부(40)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연산 장치(10)로 전송된다. 표시부(50)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로서, 연산 장치(10)가 생성한 표시 출력용 데이터가 표시된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11),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 파라미터 변환부(14),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 구성 요소는 연산 장치(10)가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21)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11),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 및 파라미터 변환부(14)는 연산 장치(10) 내에 생성되고,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는 기억 장치(20) 내에 생성된다.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는 파라미터의 입력 폼(form)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정의 정보이다. 입력 폼이란, 사용자에 대하여 입력을 촉구하기 위하여 표시부(50)에 표시되는 부품으로서, 미리 입력 폼에 연관시켜 둔 정보와 당해 입력 폼을 통하여 입력된 내용을 대응지어서 내부에 로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는 개개의 입력 폼에 각각 연관되어 있는 정보로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특정하는 설정 항목마다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르면,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CPU 유닛의 모델 번호 및 버전마다 구비하도록 하면, 필요로 하는 기억 장치(20)의 용량이 방대한 것이 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모델 번호와 버전을 결정하고, 당해 기준의 모델 번호 및 버전에 관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구비하여, 다른 모델 번호나 버전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로부터의 차분(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으로서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 따르면,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는 XML 로 기술되어 있으며,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의 설정 항목의 명칭 이외에, 설정 항목마다 데이터의 포맷, 파라미터의 설정 범위, 초기값, 단위가 각각 기술되는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가 대상으로 하는 기종, 버전과 상이한 기종, 버전에 있어서, 예를 들면 파라미터 B의 설정 범위만이 상이한 경우, 파라미터 B의 설정 범위만이 기술된 XML 파일이 당해 상이한 기종, 버전에 대응하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로서 유지된다.
도 4는 도 3의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로부터 작성되는 설정 화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설정 화면예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낸 XML 기술에 기초하여 각 표시 필드가 작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설정값’의 필드를 편집함으로써 파라미터를 설정 항목마다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맷 정의 데이터는, 입력부(40)로부터 파라미터 설정값으로서 입력된 데이터의 나열로부터 설정 항목마다의 파라미터 설정값을 특정하기 위한 정의 정보이다. 바꾸어 말하면, 포맷 정의 데이터는 CPU 유닛(210)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규정하는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포맷 정의 데이터는 파라미터 설정값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데이터의 구조체의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포맷 정의 데이터에 관하여도,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는 기준이 되는 모델 번호 및 버전에 관한 포맷 정의 데이터(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구비하고, 다른 모델 번호, 버전에 관한 포맷 정의 데이터를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에 대한 차분(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으로서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에 의하여 정의되는 구조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에 따르면, 최초의 1바이트에서 사용자 프로그램(232)의 실행 주기가 기술되고, 다음의 1바이트에서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33)의 범위의 최소값이 기술되며, 그 다음의 1바이트에서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33)의 범위의 최대값이 기술되어 있다. 당해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가 대상으로 하는 기종, 버전과 상이한 기종, 버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주기의 기술에 2바이트의 사이즈를 필요로 하는 경우, 주기의 기술 부분이 2바이트의 영역이 준비된 정의 정보가, 당해 상이한 기종, 버전에 대응하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로서 유지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포맷 정의 데이터는 구조체의 정의 이외에, 파라미터 설정값의 소수점의 위치의 정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설정값의 기억 용량을 극력 작게 하기 위하여, 실수가 아닌 정수로 설정된다. 따라서,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되는 값은 정수로서 연산 장치(10)로 전송된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성능 향상에 의하여 사용자 프로그램(232)의 실행 주기를 한 자리수 작게 할 수 있게 된 경우, 지금까지 설정의 단위폭(increment)이 ‘1’인 것을 ‘0.1’로 수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여기서, 설정의 단위폭을 소망하는 바와 같이 변경할 수 있도록,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에 소수점의 위치의 정의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즉, 포맷 정의 데이터 상에서 소수점의 위치를 정의함으로써, 연산 장치(10)는 전송되어 온 정수로서의 파라미터 설정값에 대하여 소수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값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르면, 특정의 기종의 특정의 버전에 대하여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 및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가 유지되고, 그 외의 기종, 버전에 대하여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가 유지된다. 또한,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 및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유지하는 특정의 기종 및 버전은 복수 존재하여도 무방하나, 이후,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기준이 되는 특정의 기종 및 버전은 1개인 것으로 한다.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 및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협동하여, CPU 유닛(210)에 대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포맷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 및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선택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는 모델 번호 및 버전을 검색키로 하여, 대응하는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 및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판독한다.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모델 번호 및 버전을 검색키로 하여, 대응하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판독한다. 또,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대응하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또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찾을 수 없었던 경우, 외부 통신부(30)를 통하여 CPU 유닛(210)으로부터 해당하는 데이터(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 또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판독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11)는 판독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로부터 표시부(50)에 표시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생성한다.
파라미터 변환부(14)는 판독된 포맷 정의 데이터(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에 기초하여, 입력된 파라미터 설정값의 데이터 구조 및 소수점의 위치를 해석하고, 해석한 파라미터 설정값을 외부 통신부(30)를 통하여 CPU 유닛(210)으로 전송한다. CPU 유닛(210)에 전송되어 온 파라미터 설정값은 기억 장치(230)에 격납된다.
CPU 유닛(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자(自) CPU 유닛(210)에 대응하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또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가 없었을 경우에도,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가 CPU 유닛(210)에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구비하고 있다.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는 기억 장치(230) 내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파라미터의 설정 화면이 표시부(50)에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는 접속되어 있는 CPU 유닛(210)에 액세스하고, 당해 CPU 유닛(210)의 모델 번호 및 버전을 취득한다(스텝 S1). CPU 유닛(210)의 모델 번호 및 버전은 예를 들면, 기억 장치(230)에 미리 기록되고,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는 기억 장치(230)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번호 및 버전을 판독함으로써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는 취득한 모델 번호 및 버전의 CPU 유닛(210)에 대한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취득한 모델 번호 및 버전의 CPU 유닛(210)에 대한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스텝 S2, Yes), 화면 데이터 생성부(11)는 당해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이용하여 설정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 S3), 표시부(50)에 상기 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표시시키고(스텝 S4), 동작을 종료한다.
취득한 모델 번호 및 버전의 CPU 유닛(210)에 대한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 No),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당해 취득한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를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 취득한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스텝 S5, Yes), 화면 데이터 생성부(11)는 당해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 및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이용하여 설정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6). 스텝 S6 이후, 스텝 S4의 처리로 이행한다.
취득한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4)를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5, No),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CPU 유닛(210)에 액세스하여, CPU 유닛(210)으로부터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를 취득한다(스텝 S7). 그리고,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취득한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가 자(自)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유지하고 있는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가 대응한다는 것은,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로부터의 차분으로서 작성된 것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2개의 데이터가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에 기초가 되는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의 기종 및 버전을 미리 기록해 두어도 좋다. 즉,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에 기록되어 있는 기종 및 버전과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가 대상으로 하는 기종 및 버전을 비교하도록 하여도 좋다.
취득한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가 대응하는 경우(스텝 S8, Yes), 스텝 S6으로 이행하여, 화면 데이터 생성부(11)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 및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를 이용하여 설정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한다. 취득한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스텝 S8, No), 화면 데이터 생성부(11)는 에러인 취지를 표시부(50)에 표시하고(스텝 S9), 동작을 종료한다.
도 7은 파라미터 설정값이 CPU 유닛(210)에 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파라미터 변환부(14)는 표시부(50)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 화면을 통하여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11). 그러면,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12)는,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CPU 유닛(210)의 모델 번호 및 버전의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당해 모델 번호 및 버전의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스텝 S12, Yes), 파라미터 변환부(14)는 당해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해석하고, 당해 입력된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설정 항목마다 특정함과 아울러, 설정 항목마다의 파라미터 설정값의 소수점 위치를 변환한다(스텝 S13). 그리고, 파라미터 변환부(14)는 변환 후의 파라미터 설정값을 CPU 유닛(210)에 기입하고(스텝 S14), 동작을 종료한다.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CPU 유닛(210)의 모델 번호 및 버전의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2, No),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당해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 당해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스텝 S15, Yes), 파라미터 변환부(14)는 당해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 및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이용하여 입력된 파라미터 설정값을 설정 항목마다 특정함과 아울러, 설정 항목마다의 파라미터 설정값의 소수점 위치를 변환한다(스텝 S16). 그리고, 스텝 S14로 이행한다.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CPU 유닛(210)의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5)를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 No),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CPU 유닛(210)에 액세스하여 CPU 유닛(210)으로부터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취득한다(스텝 S17). 그리고,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13)는, 취득한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가 자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 내에 유지하고 있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8).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와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가 대응한다는 것은,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가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로부터의 차분으로서 작성된 것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2개의 데이터가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에 기초가 되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의 기종 및 버전을 미리 기록해 두어도 좋다.
취득한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와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가 대응하는 경우(스텝 S18, Yes), 스텝 S16으로 이행하고, 파라미터 변환부(14)는 당해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 및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를 이용하여, 입력된 파라미터 설정값을 설정 항목마다 특정함과 아울러, 설정 항목마다의 파라미터 설정값의 소수점 위치를 변환한다. 취득한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와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스텝 S18, No), 화면 데이터 생성부(11)는 에러인 취지를 표시부(50)에 표시하고(스텝 S19),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르면,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는 유닛마다의 포맷 정의 데이터를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로부터의 차분으로서 가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적은 기억 장치(20)의 기억 용량으로 가능한 한 많은 기종 및 버전의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 입력 폼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에 관하여도, 유닛마다의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로부터의 차분으로서 가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적은 기억 장치(20)의 기억 용량으로 가능한 한 많은 기종 및 버전의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CPU 유닛(210)은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23)로부터의 차분인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구비하고,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는 CPU 유닛(210)이 구비하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가 CPU 유닛(210)을 위한 포맷 정의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CPU 유닛(210)은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2)로부터의 차분인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를 구비하고,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는 CPU 유닛(210)이 구비하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가 CPU 유닛(210)을 위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
CPU 유닛은 펌웨어가 버전업되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2에 따르면, 펌웨어의 버전업이 이루어질 때, CPU 유닛의 내부에 유지되는 차분 데이터도 동시에 갱신되도록 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2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은 실시형태 1에 펌웨어 버전업 장치(300)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펌웨어 버전업 장치(300)는 연산 장치, 기억 장치 및 외부 통신부(외부 통신부(310))를 구비한 서버 타입의 컴퓨터에 의하여 실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펌웨어 버전업 장치(300)는 외부 통신부(310), 데이터 검색부(311), 펌웨어 버전업용 데이터(312),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313),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314)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통신부(310)는 CPU 유닛(210)과의 사이에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CPU 유닛(210)의 외부 통신부(240)에 접속된다.
펌웨어 버전업용 데이터(312)는 예를 들면 펌웨어(231)의 버전간 차분 파일이다.
데이터 검색부(311)는 펌웨어 버전업용 데이터(312)를 이용하여 버전업 대상인 CPU 유닛(210)의 펌웨어(231)의 버전업을 실시함과 아울러,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313),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314)를 판독하고, 판독해낸 각 데이터를 이용하여 CPU 유닛(210) 내의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각각 덮어쓴다.
도 9는 펌웨어(231)의 버전업 시의 펌웨어 버전업 장치(3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이 개시되면, 데이터 검색부(311)는 펌웨어 버전업용 데이터(312)를 이용하여, 펌웨어 버전업 대상인 CPU 유닛(210)의 펌웨어(231)의 버전업을 실시한다(스텝 S21). 그리고, 데이터 검색부(311)는 업데이트 후의 펌웨어(231)의 버전의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313)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314)를 판독하고, 판독해낸 각 데이터를 이용하여 CPU 유닛(210) 내의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 및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각각 덮어쓰고(스텝 S22),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르면, 펌웨어 버전업 장치(300)는 CPU 유닛(210)의 펌웨어를 버전업한 때, 당해 CPU 유닛(210)의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를 갱신하도록 하였으므로, CPU 유닛(210)의 펌웨어가 버전업되었을 때에, 당해 펌웨어의 버전과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236)의 버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웨어 버전업 장치(300)는 펌웨어의 버전업 시에,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도 갱신하도록 하였으므로, 당해 펌웨어의 버전과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235)의 버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의 설명에 있어서는, CPU 유닛(210)에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보조 유닛(260)이 설정해야 할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CPU 유닛(210)의 설명을 그대로 보조 유닛(260)으로 치환하는 것으로써 보조 유닛(260)에 대한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100)로부터 보조 유닛(260)에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할 때에는, 파라미터 설정값의 전송이나 보조 유닛(260)의 모델 번호 및 버전의 전송은 CPU 유닛(210)이 구비하는 외부 통신부(20) 및 버스(270)를 통하여 실시되도록 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은,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유닛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적합하다.
10 연산 장치 11 화면 데이터 생성부
12 기준 데이터 액세스부 13 차분 데이터 액세스부
14 파라미터 변환부 20 기억 장치
21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 22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23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24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25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 30 외부 통신부
40 입력부 50 표시부
100 파라미터 설정 장치 200 PLC
210 CPU 유닛 220 연산 장치
230 기억 장치 231 펌웨어
232 사용자 프로그램 233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
234 파라미터 설정값 235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236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 240 외부 통신부
250 버스 통신부 260 보조 유닛
270 버스 300 펌웨어 버전업 장치
310 외부 통신부 311 데이터 검색부
312 펌웨어 버전업용 데이터 313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314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

Claims (8)

  1.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유닛에 대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로서,
    소정의 기종 및 버전의 제1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규정하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1 유닛과는 기종 또는 버전이 상이한 제2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규정하는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와,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지 상기 제2 유닛인지를 판정하여,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하는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와,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여, 상기 받아들인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를 상기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포맷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상기 해석한 파라미터를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에 대하여 설정하는 파라미터 변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입력 폼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2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입력 폼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기술되는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와,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지 상기 제2 유닛인지를 판정하여,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하는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의 설정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는, 설정 항목마다 파라미터의 소수점 위치를 나타내는 소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 변환부는, 상기 소수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의 소수점의 위치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
  4.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유닛에 대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장치와, 상기 파라미터 설정 장치에 의한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을 구비하는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소정의 기종 및 버전의 제1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규정하는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1 유닛과는 기종 또는 버전이 상이한 제2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규정하는 제1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와,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지, 상기 제2 유닛인지, 상기 제1 유닛도 상기 제2 유닛도 아닌지를 판정하여,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하는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와,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여, 상기 받아들인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를 상기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포맷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상기 해석한 파라미터를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에 대하여 설정하는 파라미터 변환부
    를 구비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은
    자(自) 유닛이 구비하는 파라미터의 설정 항목을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규정하는 제2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
    를 구비하고,
    상기 포맷 정의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도 상기 제2 유닛도 아닌 경우,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구비하는 제2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상기 제1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입력 폼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2 유닛에 관한 파라미터의 입력 폼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기술되는 제1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와,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지, 상기 제2 유닛인지, 상기 제1 유닛도 상기 제2 유닛도 아닌지를 판정하여,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인 경우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하는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의 설정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은
    자 유닛의 파라미터의 입력 폼을 설정 항목마다 가지는 설정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으로 기술되는 제2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상기 제1 유닛도 상기 제2 유닛도 아닌 경우, 상기 기준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 및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구비하는 제2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에 접속되고, 당해 유닛의 펌웨어를 버전업하는 펌웨어 버전업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웨어 버전업 장치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의 펌웨어를 버전업하였을 때,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구비하는 상기 제2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에 접속되고, 당해 유닛의 펌웨어를 버전업하는 펌웨어 버전업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웨어 버전업 장치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의 펌웨어를 버전업하였을 때, 상기 파라미터 설정 대상인 유닛이 구비하는 상기 제2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제2 차분 파라미터 정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맷 정의 데이터, 상기 제1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 및 상기 제2 차분 포맷 정의 데이터는 설정 항목마다 파라미터의 소수점 위치를 나타내는 소수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 변환부는, 상기 소수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의 소수점의 위치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KR1020137027066A 2011-05-17 2011-05-17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KR20130138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1343 WO2012157082A1 (ja) 2011-05-17 2011-05-17 パラメータ設定装置およびパラメータ設定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306A true KR20130138306A (ko) 2013-12-18

Family

ID=4649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066A KR20130138306A (ko) 2011-05-17 2011-05-17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25152A1 (ko)
JP (1) JP4948680B1 (ko)
KR (1) KR20130138306A (ko)
CN (1) CN103477291A (ko)
DE (1) DE112011105259T5 (ko)
TW (1) TW201248343A (ko)
WO (1) WO2012157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3063B (zh) 2013-08-20 2018-06-15 Lg电子株式会社 信号处理设备和控制方法
US20180270163A1 (en) * 2014-01-10 2018-09-20 Google Inc. Profile guided load optimization for browsers
JP6496272B2 (ja) * 2016-04-15 2019-04-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パラメータ設定装置、パラメータ設定プログラム及びパラメータ設定方法
WO2018007019A1 (de) * 2016-07-04 2018-01-11 Sew-Eurodrive Gmbh & Co. Kg System von automatisierungskomponen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JP6733820B2 (ja) * 2017-07-11 2020-08-0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計算機更新試験支援装置
JP6954256B2 (ja) * 2018-11-02 2021-10-27 横河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595790B (zh) * 2022-02-23 2023-06-06 潍柴雷沃智慧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农机具管理方法、装置、系统及农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654A (en) * 1990-04-26 1995-12-26 Squibb Data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a file from a difference signature and an original file
JP3827092B2 (ja) * 2003-10-22 2006-09-27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設定方法ならびに設定プログラム
US7272458B2 (en) * 2004-04-13 2007-09-18 Omron Corporation Control system setting device
JP3925557B2 (ja) * 2005-02-28 2007-06-06 オムロン株式会社 パラメータ設定装置
JP4462443B2 (ja) * 2005-02-28 2010-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パラメータ設定装置
JP2010204991A (ja) * 2009-03-04 2010-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監視装置セットアップシステム
CN101840216B (zh) * 2009-03-17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编程控制器的参数设定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5259T5 (de) 2014-02-20
TW201248343A (en) 2012-12-01
CN103477291A (zh) 2013-12-25
JPWO2012157082A1 (ja) 2014-07-31
US20130325152A1 (en) 2013-12-05
WO2012157082A1 (ja) 2012-11-22
JP4948680B1 (ja)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8306A (ko)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파라미터 설정 시스템
CN106598612B (zh) 一种数据库中数据表的操作方法及系统
Chandran et al. TinkerCell: modular CAD tool for synthetic biology
JP2019518275A (ja) 静的および動的要素を有するデータフロー設計
US20030107596A1 (en) Collection adaptive focus GUI
US20060033945A1 (en) Design model for a hardware device-independent method of defining embedded firmware for programmable systems
JP2007122135A (ja) 開発支援装置、開発支援方法、および、開発支援プログラム
CN112947960A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风险模型部署方法及系统
JP200626031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構成管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構成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60203A (ko)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재구성 방법 및 장치
JP5023038B2 (ja) プログラム生成用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生成装置
JP5025562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CN109117431B (zh) 用于将来自源应用的源数据合并至目标应用的目标数据的系统和方法
JP6304433B2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61664B2 (en) Code management system and code management method
JP5833908B2 (ja) 運用手順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作成方法
JP495704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業務アプリケーション導入方法
KR20130060523A (ko)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WO2022254802A1 (ja) 改善システム、改善方法
JP670599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099008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生成装置
CN117453713A (zh) 多类型数据库的sql语句生成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2016162410A (ja) 解析作業支援装置、解析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444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ickham et al. Machine Learn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