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888A -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888A
KR20130136888A KR1020120060648A KR20120060648A KR20130136888A KR 20130136888 A KR20130136888 A KR 20130136888A KR 1020120060648 A KR1020120060648 A KR 1020120060648A KR 20120060648 A KR20120060648 A KR 20120060648A KR 20130136888 A KR20130136888 A KR 2013013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rain
source
contact ho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972B1 (ko
Inventor
최희동
서성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9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위에서 서로 대향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덮는 중간 절연막;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의 각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 콘택홀 및 드레인 콘택홀; 상기 소스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스 전극과 접촉하는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요소와 접촉하는 드레인 영역,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반도체 채널 층; 상기 반도체 채널 층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부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 표면을 덮는 산화 알루미늄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Hav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탑 게이트 구조로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이 자기 정렬되고, 반도체 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피가 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얇고 가벼우며 대면적이 가능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 급속히 발전해 왔다.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그리고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D)와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DP)은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 내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구동시키는 전계의 방향에 따라 수직 전계형과 수평 전계형으로 구분한다.
수직 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상 하부 기판에 대향하게 배치된 화소 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전계에 의해 TN(Twistred Nematic) 모드의 액정을 구동한다. 이러한 수직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개구율이 큰 장점을 가지는 반면, 시야각이 90도 정도로 좁은 단점이 있다.
수평 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된 화소 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수평 전계를 형성하여 인 플레인 스위치(In Plane Switching: IPS) 모드의 액정을 구동한다.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이 160도 정도로 넓은 장점이 있으나, 개구율 및 투과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는 인 플레인 필드(In Plane Field)를 형성하기 위해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간의 간격을 상 하부 기판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하고, 적정한 세기의 전계를 얻기 위해서 공통전극과 화소 전극을 일정한 너비를 갖는 띠 형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IPS 모드의 화소 전극 및 공통전극 사이에는 기판과 거의 평행한 전계가 형성되지만, 너비를 갖는 화소 전극 및 공통전극들 상부의 액정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화소 전극 및 공통전극 상부에 놓인 액정분자들은 구동되지 않고 초기 배열 상태를 유지한다. 초기상태를 유지하는 액정은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여 개구율 및 투과율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프린지 필드(Fringe Field)에 의해 동작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Fringe Field Switching: FFS) 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각 화소 영역에 절연막을 사이에 둔 공통전극과 화소 전극을 구비하고, 그 공통전극과 화소 전극의 간격을 상 하부 기판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여 공통전극과 화소 전극 상부에 포물선 형태의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도록 만든다. 프린지 필드에 의해 상 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 분자들은 모두 동작함으로써 개구율 및 투과율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지 필드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평판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절취선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하부 기판(SUB) 위에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를 구비한다. 그리고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L)의 교차 구조에 의해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 이 화소 영역에는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도록 보호막(PAS)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화소 전극(PXL)과 공통전극(COM)을 구비한다. 화소 전극(PXL)은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대략 장방형의 모양을 갖고, 공통전극(COM)은 평행한 다수 개의 띠 모양으로 형성한다.
공통전극(COM)은 게이트 배선과 나란하게 배열된 공통 배선(CL)과 접속된다. 공통전극(COM)은 공통 배선(CL)을 통해 액정 구동을 위한 기준 전압(혹은 공통 전압)을 공급받는다.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배선(GL)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배선(DL)의 화소 신호가 화소 전극(PXL)에 충전되어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배선(GL)에서 분기한 게이트 전극(G), 데이터 배선(DL)에서 분기 된 소스 전극(S), 소스 전극(S)과 대향하며 화소 전극(PXL)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D),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GI) 위에서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며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반도체 층(A)을 포함한다. 반도체 층(A)과 소스 전극(S) 사이에 그리고 반도체 층(A)과 드레인 전극(D) 사이에는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반도체 층(A)을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높은 전하 이동도 특성에 의해 충전 용량이 큰 대면적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유리하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소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 표면에 식각액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에치 스토퍼(ES)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사이를 식각공정으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이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식각액으로부터 반도체 층(A)을 보호하도록 에치 스토퍼(ES)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배선(GL)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게이트 패드(GP)를 포함한다. 게이트 패드(GP)는 게이트 절연막(GI)과 보호막(PAS)을 관통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H)을 통해 게이트 패드 단자(GPT)와 접촉한다. 한편, 데이터 배선(DL)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화소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데이터 패드(DP)를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DP)는 보호막(PAS)을 관통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DPH)을 통해 데이터 패드 단자(DPT)와 접촉한다.
화소 전극(PXL)은 게이트 절연막(GI) 위에서 드레인 전극(D)과 접속한다. 한편, 공통전극(COM)은 화소 전극(PXL)을 덮는 보호막(PAS)을 사이에 두고 화소전극(PXL)과 중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화소 전극(PXL)과 공통전극(COM) 사이에서 전계가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분자들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액정 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 투과율이 달라져 계조를 구현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소스 전극(S)과 게이트 전극(G) 그리고 드레인 전극(D)과 게이트 전극(G)이 각각 일정 부분씩 중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소스-드레인 전극(S-D)과 게이트 전극(G)이 중첩되면 그 사이에 기생 용량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채널 층(A)의 표면 위에 에치 스토퍼(ES)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에치 스토퍼(ES)를 패턴하는 식각 용액에 의해 반도체 채널 층(A)의 상부 표면 일부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이 손상되는 부위는 소스-드레인 전극(S-D)이 각각 접촉하여 전자가 이동하는 계면이다. 이 계면이 손상되면, 소자의 신뢰성 및 기본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채널 층으로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는 소스-드레인 전극(S-D)과 게이트 전극(G) 사이의 중첩 영역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반도체 채널 층(A) 위에 적층되는 다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채널 층(A)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구조 및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 사이의 중첩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 탑 게이트 구조를 갖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채널 층 위에 배치되는 다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식각액에 의해 반도체 채널 층이 손상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위에서 서로 대향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덮는 중간 절연막;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의 각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 콘택홀 및 드레인 콘택홀; 상기 소스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스 전극과 접촉하는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요소와 접촉하는 드레인 영역,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반도체 채널 층; 상기 반도체 채널 층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부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 표면을 덮는 산화 알루미늄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 막 위에 형성된 제1 보호막; 상기 제1 보호막과 상기 산화 알루미늄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화소 콘택홀; 상기 화소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을 덮는 제2 보호막; 그리고 상기 제2 보호막 위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다수 개의 선분들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어느 것과도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채널 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상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반도체 채널 층과 동일한 층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덮는 중간 절연막을 도포하고, 상기 소스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 콘택홀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스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층 위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공간 내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 형상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도체화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으로,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에 가려진 부분을 반도체 채널 층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상기 반도체 채널 층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알루미늄 막을 증착하여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도전성을 강화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막을 산화하여 산화 알루미늄으로 전환시켜 무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막 위에 제1 보호막을 도포하고,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무기막을 패턴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화소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5 마스크 단계; 상기 제1 보호막 위에서 상기 화소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2 보호막을 도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보호막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다수 개의 선분들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루미늄 막은 산화 공정에서 상기 알루미늄 막 모두가 산화 알루미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 주변으로 노출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층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 게이트 구조로써, 금속 산화물 반도체 층 위에 게이트 전극을 패턴한 후에 게이트 전극의 형상대로 반도체 채널 층이 정의되며, 반도체 채널 층을 제외한 부분은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이 자기 정렬됨으로써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소스-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기생 용량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특성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반도체 채널 층은 그 위에 적층된 게이트 전극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에 채널 층의 표면이 식각액 등과 같이 공격성이 강한 물질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반도체 채널 층이 오염 및 손상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신뢰성 및 기본 특성이 우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의 형상대로 금속 산화물 반도체 층을 금속화하여 형성된 소스-드레인 전극 위에 알루미늄 층을 증착하여 소스-드레인 전극의 도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알루미늄 층을 산화하여, 소스-드레인 전극 이외의 영역은 무기막화 시킴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지 필드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평판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절취선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 내지 4i는 도 3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절취선 II-II'을 따라 자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3 및 도 4a 내지 4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i는 도 3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절취선 II-II'을 따라 자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i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하부 기판(SUB) 위에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DL) 및 게이트 배선(GL)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를 구비한다. 그리고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의 교차 구조에 의해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 이 화소 영역에는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도록 제2 보호막(PA2)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화소 전극(PXL)과 공통전극(COM)을 구비한다. 화소 전극(PXL)은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대략 장방형의 모양을 갖고, 공통전극(COM)은 평행한 다수 개의 띠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공통전극(COM)은 게이트 배선과 나란하게 배열된 공통 배선(CL)과 접속된다. 공통전극(COM)은 공통 배선(CL)을 통해 액정 구동을 위한 기준 전압(혹은 공통 전압)을 공급받는다.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배선(GL)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배선(DL)의 화소 신호가 화소 전극(PXL)에 충전되어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T)는 데이터 배선(DL)에서 분기된 소스 전극(S), 소스 전극(S)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사이의 공간에서 중간 절연막(IN)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반도체 채널 층(A), 반도체 채널 층(A) 위에서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G)은 게이트 배선(GL)에 연결된다.
특히, 반도체 채널 층(A)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형성하는 데, 게이트 전극(G)과 동일한 모양으로 중첩하는 산화물 반도체 물질이 반도체 채널 층(A)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산화물 반도체 물질 중 반도체 채널 층(A)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플라즈마 처리로 도체화되어 소스 콘택홀(SH)과 드레인 콘택홀(DH)을 통해 각각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과 접촉된다. 즉,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소스 전극(S)과 접촉하는 소스 영역(SA),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는 드레인 영역(DA), 그리고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 사이에서 게이트 전극(G)과 완전히 중첩하는 반도체 채널 층(A)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채널 층(A)이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적층하는 게이트 전극(G)의 형상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반도체 채널 층(A)의 양 측부 즉, 게이트 전극(G)의 형상 양 옆으로 돌출된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은 각각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에 접촉되지만,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지는 않는다. 한편,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각각은 게이트 전극(G)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소스 전극(S)과 게이트 전극(G) 그리고 드레인 전극(D)과 게이트 전극(G)이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스-드레인 전극(S-D)과 게이트 전극(G) 사이에 기생 용량이 형성되지 않아, 고품질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 게이트 구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완성된 후에, 알루미늄 층을 증착하고, 산화시켜 산화 알루미늄(AlxOy)을 포함하는 부도체 물질인 무기막(AO)을 형성한다. 무기막(AO)은 박막 트랜지스터(T)를 보호하는 보호막으로서도 우수한 기능을 갖는다.
게이트 배선(GL)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게이트 패드(GP)를 포함한다. 게이트 패드(GP)는 제2 보호막(PA2), 제1 보호막(PA1) 및 무기막(AO)을 관통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H)을 통해 게이트 패드 단자(GPT)와 접촉한다. 한편, 데이터 배선(DL)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화소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데이터 패드(DP)를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DP)는 제2 보호막(PA2), 제1 보호막(PA1), 무기막(AO) 및 중간 절연막(IL)을 관통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DPH)을 통해 데이터 패드 단자(DPT)와 접촉한다.
화소 전극(PXL)은 제1 보호막(PA1) 위에서 화소 콘택홀(PH)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접속한다. 한편, 공통전극(COM)은 화소 전극(PXL)을 덮는 제2 보호막(PA2)을 사이에 두고 화소 전극(PXL)과 중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화소전극(PXL)과 공통전극(COM) 사이에서 전계가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분자들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액정 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 투과율이 달라져 계조를 구현한다.
이하, 도 4a 내지 4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투명 기판(SUB) 위에 버퍼 층(BUF)을 도포한다. 버퍼 층(BUF)은 그 위에 형성되는 금속 박막 등의 접착력 및 계면 특성을 우수하게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버퍼 층(BUF) 위에 소스-드레인 금속 물질을 증착하고 제1 마스크 공정으로 패턴하여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한다. 소스-드레인 요소에는 기판(SUB)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데이터 배선(DL), 데이터 배선(DL)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DP), 데이터 배선(DL)에서 화소 영역으로 분기하는 소스 전극(S), 그리고 소스 전극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도 4a)
소스-드레인 전극(S, D)이 형성된 기판(SUB) 위에 산화 실리콘(SiOx) 혹은 질화 실리콘(SiNx)을 포함하는 중간 절연층(IL)을 전면 도포한다. 제2 마스크 공정으로 중간 절연층(IL)을 패턴하여 소스 전극(S)을 노출하는 소스 콘택홀(SH), 그리고 드레인 전극(D)의 일부를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DH)을 형성한다. (도 4b)
소스 콘택홀(SH)과 드레인 콘택홀(DH)이 형성된 중간 절연층(IL) 전체 표면에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Indium-Galium-Zinc Oxide)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물질을 전면 도포한다. 제3 마스크 공정으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물질을 패턴하여 반도체 층(SE)을 형성한다. 반도체 층(SE)은 소스 콘택홀(SH)을 통해 소스 전극(S)과 접촉하고, 드레인 콘택홀(DH)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는 장방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c)
반도체 층(SE)이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에 산화 실리콘(SiOx) 혹은 질화 실리콘(SiNx)을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막(GI)을 도포한다.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GI) 상부 표면 전체에 게이트 금속 물질을 도포한다. 제4 마스크 공정으로 게이트 금속 물질과 게이트 절연막(GI)을 동시에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를 형성한다. 게이트 요소는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G), 게이트 전극을 연결하며 기판(SUB)의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게이트 배선(G), 그리고 게이트 배선(GL)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GP)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공통 배선(CL)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G)을 형성한 후에, 게이트 전극(G)의 양 옆으로 노출된 반도체 층(SE)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그 내부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하여 도체화 시킨다. 그 결과, 반도체 층(SE)에서 게이트 전극(G)의 형상대로 중첩하는 영역은 반도체 채널 층(A)으로, 그리고 반도체 채널 층(A)을 기준으로 양분되는 영역들은 각각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으로 정의된다.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은 내부의 산소가 제거되어 도체화되는 반면, 반도체 채널 층(A)은 반도체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로써, 게이트 전극(G), 반도체 채널 층(A), 소스 전극(S), 그리고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완성된다. (도 4d)
박막 트랜지스터(T)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에 알루미늄을 약 1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한다. 알루미늄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에서 산소가 제거된 공극을 알루미늄이 주입되어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의 도체성이 더욱 강화된다. 그러나 알루미늄이 증착됨으로써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이 전기적으로 직접 도통하는 상태가 된다.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 사이가 직접 도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산화하여 산화 알루미늄(AlxOy)을 포함하는 부도체 무기막(AO)으로 전환시킨다. 알루미늄을 100Å 정도로 얇게 증착하였기 때문에, 모든 알루미늄이 산화되어 산화 알루미늄으로 바뀐다. 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무기막(AO)은 박막 트랜지스터(T)를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도 4e)
무기막(AO)이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에 산화 실리콘(SiOx) 혹은 질화 실리콘(SiNx)을 포함하는 제1 보호막(PA1)을 도포한다. 제5 마스크 공정으로 제1 보호막(PA1) 및 무기막(AO)을 패턴하여, 드레인 전극(D)을 노출하는 화소 콘택홀(PH)을 형성한다. (도 4f)
화소 콘택홀(PH)이 형성된 제1 보호막(PA1) 위에 ITO(Indium Tin Oxide) 혹은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을 도포한다. 제6 마스크 공정으로 투명 도전물질을 패턴하여 화소 전극(PXL)을 형성한다. (도 4g)
화소 전극(PXL)이 형성된 기판(SUB) 상부 표면 전체에 산화 실리콘(SiOx) 혹은 질화 실리콘(SiNx)을 포함하는 제2 보호막(PA2)을 도포한다. 제7 마스크 공정으로 제2 보호막(PA2), 제1 보호막(PA1) 및 무기막(AO)을 패턴하여, 게이트 패드(GP)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H)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보호막(PA2), 제1 보호막(PA1), 무기막(AO) 및 중간 절연막(IL)을 패턴하여, 데이터 패드(GP)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DPH)을 형성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통 배선(CL)을 게이트 배선(GL)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한 경우라면, 공통 배선(CL)의 일부를 노출하는 공통 배선 콘택홀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h)
게이트 패드 콘택홀(GPH) 및 데이터 패드 콘택홀(DPH)들이 형성된 제2 보호막(PA2) 상부 표면 전체에 ITO(Indium Tin Oxide) 혹은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을 도포한다. 제8 마스크 공정으로 투명 도전물질을 패턴하여 공통전극(COM)을 형성한다. 공통 전극(COM)은 화소 전극(PXL)과 중첩하며, 다수 개의 선분이 평행하게 배열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통전극(COM)을 연결하며 게이트 배선(GL)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공통 배선(CL)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통 배선(CL)을 게이트 배선(GL)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한 경우라면, 공통 전극(COM)은 공통 배선 콘택홀을 통해 공통 배선(CL)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i)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화소 전극(PXL)이, 박막 트랜지스터(T)를 덮는 제1 보호막(PA1)에 형성된 화소 콘택홀(PH)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화소 콘택홀(PH)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공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마스크 공정을 줄일 필요가 있다면,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한 후, 투명 도전 물질로 드레인 전극(D)에 직접 접촉하는 화소 전극(PXL)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평면도 구조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소스-드레인 전극(S, D)을 형성한 후에 투명 도전 물질을 도포하고 패턴하여 드레인 전극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는 화소 전극(PXL)을 형성한다. 제1 실시 예에서는, 화소 전극(PXL)이 제1 보호막(PA1) 위에서 화소 콘택홀(PH)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화소 전극(PXL)이 드레인 전극(D)과 직접 접촉하므로, 화소 콘택홀(PH)을 형성하는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7개의 마스크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반도체 채널 층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반도체 채널 층이 공격성이 강한 식각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도체 채널 층은 외부의 빛에 의해서도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폐 금속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에서 반도체 채널 층(A)의 하부에 금속물질로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광 차폐층(SH)을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층을 갖는 평판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평면도 구조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광 차폐층(SH)은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차폐층(SH)은 이후에 형성될 반도체 채널 층(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차폐층(SH)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소스 전극(S) 혹은 드레인 전극(D)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조로서, 게이트 전극(G)과 연결하여 이중 게이트 구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T: 박막 트랜지스터 SUB: 기판
GL: 게이트 배선 CL: 공통 배선
DL: 데이터 배선 PXL: 화소 전극
COM: 공통 전극 GP: 게이트 패드
DP: 데이터 패드 GPT: 게이트 패드 단자
DPT: 데이터 패드 단자 GPH: 게이트 패드 콘택홀
DPH: 데이터 패드 콘택홀 ES: 에치 스토퍼
G: 게이트 전극 S: 소스 전극
D: 드레인 전극 A: 반도체 채널 층
GI: 게이트 절연막 PAS: 보호막
SH: 소스 콘택홀 SA: 소스 영역
DH: 드레인 콘택홀 DA: 드레인 영역
PH: 화소 콘택홀 AO: 무기막
PA1: 제1 보호막 PA2: 제2 보호막
IL: 중간 절연막 SH: 광 차폐층

Claims (8)

  1. 기판 위에서 서로 대향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덮는 중간 절연막;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의 각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 콘택홀 및 드레인 콘택홀;
    상기 소스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스 전극과 접촉하는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요소와 접촉하는 드레인 영역,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반도체 채널 층;
    상기 반도체 채널 층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부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 표면을 덮는 산화 알루미늄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알루미늄 막 위에 형성된 제1 보호막;
    상기 제1 보호막과 상기 산화 알루미늄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화소 콘택홀;
    상기 화소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을 덮는 제2 보호막; 그리고
    상기 제2 보호막 위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다수 개의 선분들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어느 것과도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채널 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상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반도체 채널 층과 동일한 층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5. 기판 위에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덮는 중간 절연막을 도포하고, 상기 소스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 콘택홀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콘택홀을 통해 상기 소스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층 위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공간 내에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 형상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도체화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으로,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에 가려진 부분을 반도체 채널 층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상기 반도체 채널 층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알루미늄 막을 증착하여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도전성을 강화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막을 산화하여 산화 알루미늄으로 전환시켜 무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막 위에 제1 보호막을 도포하고,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무기막을 패턴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화소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5 마스크 단계;
    상기 제1 보호막 위에서 상기 화소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제2 보호막을 도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보호막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다수 개의 선분들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막은 산화 공정에서 상기 알루미늄 막 모두가 산화 알루미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 주변으로 노출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층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KR1020120060648A 2012-06-05 2012-06-05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648A KR101957972B1 (ko) 2012-06-05 2012-06-05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648A KR101957972B1 (ko) 2012-06-05 2012-06-05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88A true KR20130136888A (ko) 2013-12-13
KR101957972B1 KR101957972B1 (ko) 2019-07-04

Family

ID=4998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648A KR101957972B1 (ko) 2012-06-05 2012-06-05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97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486A (ko) * 2014-11-11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57526A (ko) * 2014-11-13 2016-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 사이의 절연성을 향상한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4619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3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2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6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17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5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80004364A (ko) * 2016-07-01 2018-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90069709A (ko) * 2017-12-12 2019-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18167591A1 (ja) * 2017-03-13 2020-01-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WO2019234547A1 (ja) * 2018-06-08 2021-06-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0816A (ja) * 2006-02-15 2007-08-30 Kochi Prefecture Sangyo Shinko Center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法
JP2009036947A (ja) * 2007-08-01 2009-02-1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装置
KR20110006812A (ko) * 2009-07-15 2011-01-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9885A (ko) * 2010-03-30 2011-10-06 소니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과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0816A (ja) * 2006-02-15 2007-08-30 Kochi Prefecture Sangyo Shinko Center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法
JP2009036947A (ja) * 2007-08-01 2009-02-1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装置
KR20110006812A (ko) * 2009-07-15 2011-01-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9885A (ko) * 2010-03-30 2011-10-06 소니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과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486A (ko) * 2014-11-11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57526A (ko) * 2014-11-13 2016-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 사이의 절연성을 향상한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4619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3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2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6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17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74625A (ko) * 2015-12-22 2017-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80004364A (ko) * 2016-07-01 2018-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WO2018167591A1 (ja) * 2017-03-13 2020-01-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CN110678989A (zh) * 2017-03-13 2020-01-1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装置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US11670705B2 (en) 2017-03-13 2023-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23164563A (ja) * 2017-03-13 2023-11-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CN110678989B (zh) * 2017-03-13 2024-02-1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装置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US11955538B2 (en) 2017-03-13 2024-04-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90069709A (ko) * 2017-12-12 2019-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19234547A1 (ja) * 2018-06-08 2021-06-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11495691B2 (en) 2018-06-08 2022-1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11967649B2 (en) 2018-06-08 2024-04-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972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97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1403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8645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837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3983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3753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10481427B2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1969568B1 (ko)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186784A1 (en) TF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9876039B2 (en) 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115837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9684216B2 (en) Pix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960533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5598A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
KR101988006B1 (ko)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2264B1 (ko) 고 개구율을 갖는 수평 전계 방식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2916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7914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
KR10227123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609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1634A (ko) 어레이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787703B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KR101957976B1 (ko)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102212167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69567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