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384A -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384A
KR20130134384A KR1020120057846A KR20120057846A KR20130134384A KR 20130134384 A KR20130134384 A KR 20130134384A KR 1020120057846 A KR1020120057846 A KR 1020120057846A KR 20120057846 A KR20120057846 A KR 20120057846A KR 20130134384 A KR20130134384 A KR 2013013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roller
conveying
elevating
roll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437B1 (ko
Inventor
박영국
임갑수
정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4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2Rear end control; Front e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이 복수 개의 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에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승강부와, 작업 대상물이 이송롤러를 통과하는지 감지하여 위치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와,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승강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MOVING APPARATUS FOR ROLLING MI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대상물이 이송 중에 이송롤러와 작업 대상물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인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공정이 진행되는 슬래브는 이송롤러에 의해 가열로 또는 다음의 압연기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33155호(1997년 7월 22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후강판 압연재의 두께 및 폭 조정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이 이송 중에 이송롤러와 작업 대상물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이 복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에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승강부; 작업 대상물이 상기 이송롤러를 통과하는지 감지하여 위치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승강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에 설치되는 승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싱부는 복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이송롤러의 전방 측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작업 대상물이 제1이송롤러를 통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작업 대상물이 상기 제1이송롤러를 통과하였으면 제1승강롤러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단계; (c) 작업 대상물이 상승되면 작업 대상물이 제2이송롤러를 통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작업 대상물이 상기 제2이송롤러를 통과하였으면 상기 제1승강롤러의 하강을 시작하고, 제2승강롤러의 상승을 시작하여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이송롤러를 통과하면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상승시켜 다음의 이송롤러와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송 중에 작업 대상물과 이송롤러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에 의한 생산성 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승강부의 상승작동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승강부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승강부의 하강작동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승강부의 상승작동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승강부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승강부의 하강작동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는, 작업 대상물(100)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0)와, 이송롤러(10)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100)이 복수 개의 이송롤러(10) 사이를 통과할 때에 작업 대상물(100)을 상승시키는 승강부(30)와, 작업 대상물(100)이 이송롤러(10)를 통과하는지 감지하여 위치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50)와, 센싱부(5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승강부(30)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압연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작업 대상물(100)이 복수 개의 이송롤러(10)를 따라 가열로 또는 다음의 압연기로 이동되면서 다수 차례의 압연작업이 반복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압연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0)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롤러(36a, 36b)가 승강되면서 작업 대상물(100)을 상승시키므로 작업 대상물(100)의 단부가 이송롤러(1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승강부(30)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0)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32a, 32b)와, 승강실린더(32a, 32b)로부터 출몰되는 로드(34a, 34b)에 설치되는 승강롤러(36a, 36b)를 포함한다.
제어부(7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승강실린더(32a, 32b)로부터 로드(34a, 34b)가 돌출되면 승강롤러(36a, 36b)가 상승되면서 작업 대상물(100)을 상승시키게 된다.
승강롤러(36a, 36b)에 의해 작업 대상물(100)이 상승되면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가 이송롤러(1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센싱부(50)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0)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52, 54)를 포함하므로 위치감지센서(52, 54)에서 작업 대상물(100)의 단부를 감지하면, 제어부(7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70)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승강롤러(36a, 36b)가 상승하게 된다.
위치감지센서(52, 54)는 이송롤러(10)의 전방 측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가 이송롤러(10)의 전방 측 단부를 통과하면 위치감지센서(52, 54)가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를 감지하게 된다.
작업 대상물(100)이 제1이송롤러(12)를 지나 제1이송롤러(12)의 전방 측 단부를 통과하면 제1위치감지센서(52)에서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70)에서 작업 대상물(100)의 통과를 판단하여 작동신호를 제1승강실린더(32a)에 송신하게 된다.
제1승강실린더(32a)로부터 제1로드(34a)가 돌출되면 제1승강롤러(36a)가 상승되면서 제1이송롤러(12)와 제2이송롤러(14)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여도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와 제2이송롤러(14)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16은 이송롤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16)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제어방법은, 작업 대상물(100)이 제1이송롤러(12)를 통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0)와, 작업 대상물(100)이 제1이송롤러(12)를 통과하였으면 제1승강롤러(36a)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물(100)을 상승시키는 단계(S20)와, 작업 대상물(100)이 상승되면 작업 대상물(100)이 제2이송롤러(14)를 통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30)와, 작업 대상물(100)이 제2이송롤러(14)를 통과하였으면 제2승강롤러(36b)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물(100)을 상승시키고, 제1승강롤러(36a)를 하강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100)이 이송롤러(10)에 의해 이동될 때에 제1이송롤러(12)를 통과하면 제1위치감지센서(52)에 의해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가 감지되어 감지신호가 제어부(70)에 송신된다.
제어부(70)에서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제1승강실린더(32a)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면 제1승강실린더(32a)로부터 제1로드(34a) 및 제1승강롤러(36a)가 돌출되어 제1이송롤러(12)와 제2이송롤러(14) 사이를 지나는 작업 대상물(100)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는 제2이송롤러(14)와 충돌되지 않고, 제2이송롤러(14)의 상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 대상물(100)이 제2이송롤러(14)를 통과하는 동안 제2승강롤러(36b)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작업 대상물(100)이 제2이송롤러(14)를 통과하면, 제2위치감지센서(54)에서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를 감지하게 된다.
제2위치감지센서(54)에서 감지신호가 제어부(70)에 송신되면 제어부(70)에서 작업 대상물(100)이 제2이송롤러(14)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승강실린더(32a) 및 제2승강실린더(32b)에 작동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70)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제1로드(34a)는 제1승강실린더(32a) 내부로 삽입되고, 제2로드(34b)는 제2승강실린더(32b)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제1승강롤러(36a)의 하강이 시작되고, 제2승강롤러(36b)의 상승이 시작되고, 작업 대상물(100)이 제2승강롤러(36b)에 대향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2승강롤러(36b)에 의해 작업 대상물(100)의 단부가 상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제2이송롤러(14)의 다음에 위치되는 이송롤러(10)와 작업 대상물(100)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은 이송롤러(10)의 개수만큼 연속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 대상물(100)이 다수 개의 이송롤러(10)를 통과하는 동안 작업 대상물(100)의 전방 측 단부가 이송롤러(1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100)의 단부가 이송롤러(10)를 통과하면 작업 대상물(100)의 단부를 상승시키므로 다음의 이송롤러(10)와 작업 대상물(100)의 단부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 중에 작업 대상물(100)과 이송롤러(10)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작동에 의한 생산성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작업 대상물(100)이 이송 중에 이송롤러(10)와 작업 대상물(100)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이송롤러 12 : 제1이송롤러
14 : 제2이송롤러 16 : 스탠드
30 : 승강부 32a : 제1승강실린더
32b : 제2승강실린더 34a : 제1로드
34b : 제2로드 36a : 제1승강롤러
36b : 제2승강롤러 50 : 센싱부
52 : 제1위치감지센서 54 : 제2위치감지센서
70 : 제어부 100 : 작업 대상물

Claims (5)

  1.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이 복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에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승강부;
    작업 대상물이 상기 이송롤러를 통과하는지 감지하여 위치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승강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에 설치되는 승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이송롤러의 전방 측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이송장치.
  5. (a) 작업 대상물이 제1이송롤러를 통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작업 대상물이 상기 제1이송롤러를 통과하였으면 제1승강롤러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단계;
    (c) 작업 대상물이 상승되면 작업 대상물이 제2이송롤러를 통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작업 대상물이 상기 제2이송롤러를 통과하였으면 상기 제1승강롤러의 하강을 시작하고, 제2승강롤러의 상승을 시작하여 작업 대상물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이송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57846A 2012-05-31 2012-05-31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46A KR101424437B1 (ko) 2012-05-31 2012-05-31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46A KR101424437B1 (ko) 2012-05-31 2012-05-31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84A true KR20130134384A (ko) 2013-12-10
KR101424437B1 KR101424437B1 (ko) 2014-07-31

Family

ID=4998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46A KR101424437B1 (ko) 2012-05-31 2012-05-31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4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05B1 (ko) * 2014-04-03 2014-12-31 (주)삼익테크 센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인 반송차
KR2019005153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 소재 장입장치
CN112742866A (zh) * 2020-12-29 2021-05-04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2#剪防堆钢装置及其运行工艺
KR20220004268A (ko) *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909B1 (ko) * 2015-03-26 2017-05-16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의 북아웃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5194B1 (ko) * 2017-11-17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4653B2 (ja) * 2007-04-06 2012-07-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方法及び圧延設備
KR101024750B1 (ko) * 2008-07-25 2011-03-24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 아웃 롤러테이블의 리프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93775B1 (ko) * 2010-04-29 2012-10-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회전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추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05B1 (ko) * 2014-04-03 2014-12-31 (주)삼익테크 센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인 반송차
KR2019005153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 소재 장입장치
KR20220004268A (ko) *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12742866A (zh) * 2020-12-29 2021-05-04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2#剪防堆钢装置及其运行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437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411877B1 (ko) 압연기용 균열 감지장치
KR101443089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34005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20130046573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6228B1 (ko) 후판의 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7066B1 (ko) 가열로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77579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9878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435046B1 (ko) 압연 소재의 압연 방법
KR20130046572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57468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033B1 (ko) 소재온도조절장치
KR20170021504A (ko) 피드롤러유닛
KR20160121708A (ko) 후판 제조용 압연 장치
KR20140030471A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7267B1 (ko) 압연기용 정지장치
KR101193845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6164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424444B1 (ko)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