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279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279A
KR20130133279A KR1020137026229A KR20137026229A KR20130133279A KR 20130133279 A KR20130133279 A KR 20130133279A KR 1020137026229 A KR1020137026229 A KR 1020137026229A KR 20137026229 A KR20137026229 A KR 20137026229A KR 20130133279 A KR20130133279 A KR 2013013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module
vehicl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코 기노시타
나오토 도도로키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1Resistive hea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7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배터리에 있어서는, 3변을 갖는 직육면체의 배터리 쉘(12)을 복수 적층한 배터리 모듈(13)에 대하여, 배터리 쉘(12)의 적층 방향을 따른 변을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도록 박형 히터 모듈(21, 22, 23)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쉘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박형 히터 모듈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로는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박형 히터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해서 구성한 배터리 팩의 케이스 외측면에 히터 본체를 밀접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히터 본체와, 상기 히터 본체에 대향하는 히터 유닛 케이스의 사이에 단열 시트체를 개재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8662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박형 히터 모듈은, 배터리 팩의 케이스를 히터 본체로 가온하고, 상기 배터리 팩의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모듈로의 열전도에 의해 배터리 모듈을 간접적으로 가온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배터리 모듈의 가온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가온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배터리 쉘을 복수 적층한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쉘의 적층 방향을 따른 변을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터리 모듈을 가온하는 히터 모듈을 설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배터리 팩을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차량의 측면도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플로어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배터리 팩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배터리 팩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배터리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배터리 팩을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차체, 참조 부호 2는 차실, 참조 부호 3은 주행용 전동 모터가 탑재된 모터 룸, 참조 부호 4는 좌우 전륜, 참조 부호 5는 좌우 후륜, 참조 부호 6은 앞좌석 시트, 참조 부호 7은 뒷좌석 시트, 참조 부호 11은 배터리 팩이다.
배터리 팩(11)은,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측에 배치한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과, 차량 전후 방향의 중앙측에 배치한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과,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배치한 제3 배터리 모듈(13R)로 1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배터리 모듈(13FL, 13FR, 13CL, 13CR, 13R)은 도 3에 도시하는 배터리 팩 케이스(14) 내에 수납된 상태로, 플로어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터리 팩(11)은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앞좌석 시트(6)의 하방에 배치된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과, 좌우 뒷좌석(7)의 하방에 배치된 제3 배터리 모듈(13R)과, 좌우 앞좌석 시트(6) 및 좌우 뒷좌석(7) 사이의 플로어 패널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로 이루어진다.
전방 좌측의 제1 배터리 모듈(13FL)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쉘(12)을 가로 배치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4개 적층한 배터리 모듈을 전후로 2개 병렬시킨 것이다. 전방 우측의 제1 배터리 모듈(13FR)도 마찬가지로, 배터리 쉘(12)을 가로 배치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4개 적층한 배터리 모듈을 전후로 2개 병렬시킨 것이다.
후방의 제3 배터리 모듈(13R)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 쉘(12)을 세로 배치 상태로 차폭 방향을 따라, 뒷좌석 시트(7)의 전체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적층한 것이다.
중앙 좌측의 제2 배터리 모듈(13CL)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쉘(12)을 가로 배치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2개 적층한 배터리 모듈을 전후로 2개 병렬시킨 것이다. 중앙 우측의 제2 배터리 모듈(13CR)도 마찬가지로, 배터리 쉘(12)을 가로 배치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2개 적층한 배터리 모듈을 전후로 2개 병렬시킨 것이다.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은 각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 배터리 모듈(13FL)을 구성하는 배터리 쉘(12)의 전극 단자(12a)와, 우측의 제1 배터리 모듈(13FR)을 구성하는 배터리 쉘(12)의 전극 단자(12a)가 서로 마주 보게 되는 방향(즉, 양쪽 모두 차폭 방향 중앙측을 향해서)으로 배치한다.
또한, 후방의 제3 배터리 모듈(13R)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쉘(12)의 전극 단자(12a)가 모두 차량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중앙 좌우의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은 각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제2 배터리 모듈(13CL)을 구성하는 배터리 쉘(12)의 전극 단자(12a)와, 우측의 제2 배터리 모듈(13CR)을 구성하는 배터리 쉘(12)의 전극 단자(12a)가 서로 마주 보게 되는 방향(즉, 양쪽 모두 차폭 방향 중앙측을 향해서)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각 배터리 모듈(13FL, 13FR, 13CL, 13CR, 13R)을 구성하는 배터리 쉘(12)의 전극 단자(12a)는 각각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을 통해서 모터 룸(3) 내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인버터)로부터의 모터 급전선(15)에 접속한다. 상기 전원 케이블은 전방 좌우의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 사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 스페이스 및 중앙 좌우의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 사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 스페이스에 배선되어 있다.
도 4는 배터리 쉘의 개략 사시도이다.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이하, 제1 배터리 모듈(13F)이라고도 기재함]의 차량 탑재 시에 있어서의 높이를 h1,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이하, 제2 배터리 모듈(13C)이라도 기재함]의 차량 탑재 시에 있어서의 높이를 h2, 제3 배터리 모듈(13R)의 차량 탑재 시에 있어서의 높이를 h3라고 하면, h3>h1>h2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3F)은 좌우 앞좌석 시트(6)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3 배터리 모듈(13R)은 좌우 뒷좌석(7)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높이 h1, h3를 높이 h2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차실(2) 내의 시트 하방의 스페이스를 배터리 쉘(12)의 탑재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차실(2)의 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많은 배터리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높이 h3가 높이 h1보다도 높은 점에서, 차실(2) 내에서 뒷좌석(32R)의 시트면이 앞좌석(32F)의 시트면보다 높아진다. 이 설정에 의해 좌우 뒷좌석(7)의 승객의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배터리 모듈(13F)과 제2 배터리 모듈(13C)의 배터리 쉘(12)의 합계수와, 제3 배터리 모듈(13R)의 배터리 쉘(12)의 합계수는 동일하다. 한편, 차량의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터리 모듈(13F)과 제2 배터리 모듈(13C)이 점유하는 면적보다도 제3 배터리 모듈(13R)이 점유하는 면적 쪽이 작다.
이것으로부터, 배터리 팩(11)의 무게 중심 위치는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비교적 차량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차량의 전방에는 주행용 전동 모터 등이 배치 되는 점에서, 배터리 팩(11)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비교적 차량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차량 전체적인 중량 배분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거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쉘(1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2 배터리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도다. 배터리 쉘(12)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긴 변 p1, 짧은 변 p2, 높이 변 p3를 갖고, 각각의 길이는 p1>p2>p3의 대소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쉘(12)은 긴 변 p1과 짧은 변 p2로 둘러싸인 평면(121)과, 긴 변 p1과 높이 변 p3로 둘러싸인 장측면(122)과, 짧은 변 p2와 높이 변 p3로 둘러싸인 단측면(123)을 갖는다. 그리고, 전극 단자(12a)는 단측면(123)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3F)과 제2 배터리 모듈(13C)은, 배터리 쉘(12)의 짧은 변 p2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제1 배터리 모듈(13F)과 제2 배터리 모듈(13C)은 비교적 높이 방향의 제한이 폭 방향의 제한보다도 큰 영역에 배치되는 모듈이다. 따라서, 긴 변 p1을 차폭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했다고 하더라도, 좌우의 배터리 모듈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배선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변 p2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쉘(12)의 집적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장 짧은 길이인 높이 변 p3를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차량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한은 여러 가지 있지만, 배터리 쉘(12) 자체의 구성은 공통일 경우, 이들 배터리 쉘(12)의 적층 상태에 따라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단위를 미세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터리 쉘(12)을 탑재할 수 있다.
제3 배터리 모듈(13R)은 배터리 쉘(12)의 높이 변 p3가 차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쉘(12)의 적층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좌우 뒷좌석 시트(7)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수많은 배터리 쉘(12)을 배치할 수 있다.
<박형 히터 모듈에 대해서>
이어서, 미사용중인 동결 방지용 등을 위해 각 배터리 모듈을 가온하는 박형 히터 모듈(히터 모듈)을, 도 2, 도 3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 2, 도 3에서는 명료하게 하기 위해 편의상, 박형 히터 모듈에 사선을 그어 도시하였다. 이 박형 히터 모듈은 소위 PTC 히터이고, 통전에 의해 소정 온도까지 상승한 후, 그 온도를 유지하도록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이다. 이 PTC 히터와 열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균열판과의 조합에 의해 설정한 면적의 범위에 대하여 균등하게 가온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히터 자체는, 예를 들어 니크롬 선을 사행시켜 배치하는 방법이나, 뜨거운 물을 소정 유로를 따라 순환시키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은 도 5의 사선 영역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쉘(12)의 장측면(122)에 근접해서 설치된다. 즉, 배터리 모듈 전체를 효율적으로 가온하기 위해서는 적층된 배터리 쉘(12)에 대하여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가령 박형 히터 모듈을 평면(121)에 설치한 경우, 박형 히터 모듈과 근접하는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적층된 배터리 쉘(12)만이 가온되어버려,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적층되어 있는 배터리 쉘(12)의 가온이 불충분해져서 성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박형 히터 모듈을 단측면(123)에 설치한 경우, 모든 배터리 쉘(12)을 가온할 수는 있지만, 박형 히터 모듈에 면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가온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측면(122)에 대향시켜서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을 설치함으로써, 모든 배터리 쉘(12)을 균일하게 가온하면서, 또한 가온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전방 좌우의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쉘(12)을 4단 중첩한 대열용량의 것이다. 이에 반해, 중앙 좌우의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쉘(12)을 2단 중첩한 것으로서, 열용량이 작고, 온도가 저하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좌우의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에 대해서는 전방에만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중앙 좌우의 제2 배터리 모듈(13CL, 13CR)에 대해서는, 전방에 박형 히터 모듈(22L, 22R)을 설치하면서, 또한 후방에도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을 설치한다. 또한, 제1 배터리 모듈(13)의 전방에만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을 배치한 것은, 전방은 주행풍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 비교적 냉각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박형 히터 모듈의 설치 영역을 좁게 함으로써,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터리 모듈(13C)을 가온하는 박형 히터 모듈(22)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따뜻한 공기에 의해 제1 배터리 모듈(13F)도 가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배터리 모듈(13C)을 가온하는 박형 히터 모듈(23)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따뜻한 공기에 의해 제3 배터리 모듈(13R)도 가온할 수 있다. 즉, 제2 배터리 모듈(13C)은 다른 배터리 모듈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위치 관계를 이용해서 다른 배터리 모듈도 가온하는 것이다.
후방의 제3 배터리 모듈(13R)은 제1 배터리 모듈(13F) 및 제2 배터리 모듈(13C)과는 적층 방향이 상이하다. 여기서, 장측면(122)은 차량 상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박형 배터리 히터(24)도 차량에 있어서의 상면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3 배터리 모듈(13R)은 전방 좌우의 제1 배터리 모듈(13FL, 13FR)보다도 더욱 배터리 쉘(12)의 적층수가 많고, 열용량이 가장 큰 점에서, 더욱 온도가 저하하기 어렵다. 단, 차폭 방향의 측면측은 비교적 주행풍 등의 영향을 받기 쉽고, 제3 배터리 모듈(13R)의 차폭 방향 중앙 부근이 가장 냉각되기 어렵다. 이 점에서 후방의 제3 배터리 모듈(13R)에 대해서는 배터리 쉘(12)의 적층 방향의 양단부 영역이며, 상방에만 박형 히터 모듈(24L, 24R)을 설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층 방향으로 3 분할한 영역을 설정했을 때, 양단부의 영역에 박형 히터 모듈(24L, 24R)을 설치하고, 중앙의 영역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박형 히터 모듈의 설치 영역이 좁아졌다고 하더라도, 제3 배터리 모듈(13R)을 전체적으로 효율적으로 가온할 수 있다. 또한, 박형 히터 모듈의 설치 영역을 좁게 함으로써,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은 각각 전방 좌측 배터리 모듈(13FL) 및 전방 우측 배터리 모듈(13FR)의 전방측에 세워서 근접 배치하고, 배터리 팩 케이스(14)의 배터리 모듈 적재면(14a)에 설치한다.
박형 히터 모듈(22L, 22R)은 각각 중앙 좌측 배터리 모듈(13CL) 및 중앙 우측 배터리 모듈(13CR)의 전방측에 근접 배치하고, 배터리 팩 케이스(14)의 배터리 모듈 적재면(14a)에 설치한다.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은 각각 중앙 좌측 배터리 모듈(13CL) 및 중앙 우측 배터리 모듈(13CR)의 후방측에 근접 배치하고, 배터리 팩 케이스(14)의 배터리 모듈 적재면(14a)에 설치한다.
박형 히터 모듈(24L, 24R)은 각각 후방 배터리 모듈(13R)의 배터리 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상측에 근접 위치하고, 배터리 팩 케이스(14)의 배터리 모듈 적재면(14a)에 설치한다.
그런데, 배터리 전원 케이블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좌우의 배터리 모듈(13FL, 13FR) 사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 스페이스 및 중앙 좌우의 배터리 모듈(13CL, 13CR) 사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 스페이스에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박형 히터 모듈(21L, 21R, 22L, 22R, 23L, 23R, 24L, 24R)의 전극 단자는 각각 전방 좌우의 배터리 모듈(13FL, 13FR) 사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 스페이스 및 중앙 좌우의 배터리 모듈(13CL, 13CR) 사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 스페이스에 가까운 측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로 인해, 전방 좌측 배터리 모듈(13FL) 및 전방 우측 배터리 모듈(13FR)의 전방측에 세워서 근접 배치되는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의 전극 단자는 각각 이들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의 서로 가까운 단부에 배치한다. 또한, 중앙 좌측 배터리 모듈(13CL) 및 중앙 우측 배터리 모듈(13CR)의 후방측에 세워서 근접 배치하는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의 전극 단자도 각각 이들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의 서로 가까운 단부에 배치한다.
따라서, 박형 히터 모듈(21L, 21R) 및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은 각각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의 전극 단자를 상기와 같이 배치할 수 있는 것은, 전방 좌측 배터리 모듈(13FL) 및 전방 우측 배터리 모듈(13FR)의 전방에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이 존재하지 않아서, 박형 히터 모듈(21L, 21R)의 서로 가까운 단부 주변에 전극 단자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의 전극 단자를 상기와 같이 배치할 수 있는 것은 중앙 좌측 배터리 모듈(13CL) 및 중앙 우측 배터리 모듈(13CR)의 후방에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이 존재하지 않아서, 박형 히터 모듈(23L, 23R)의 서로 가까운 단부 주변에 전극 단자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3변을 갖는 직육면체의 배터리 쉘(12)을 복수 적층한 배터리 모듈(13)과, 배터리 모듈(13)의 적층 방향을 따른 변을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배터리 모듈(13)을 가온하는 박형 히터 모듈(21, 22, 23, 24)을 구비하였다.
즉, 적층 방향을 따른 변을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도록 박형 히터 모듈(21, 22, 23, 24)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든 배터리 쉘(12)을 균일하게 가온하면서, 또한 배터리 팩 케이스(14)의 내부에서 가온하기 때문에 가온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배터리 쉘(12)은 긴 변 p1과, 짧은 변 p2와, 이들 양변보다 짧은 높이 변 p3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적층 방향은 높이 변 p3를 따른 방향이며, 박형 히터 모듈(21, 22, 23, 24)은 긴 변 p1을 포함하는 측면인 장측면(122)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가장 짧은 높이 변 p3를 따른 방향으로 배터리 쉘(12)을 적층함으로써 배터리 모듈(13)의 높이 변 p3를 따른 방향의 길이 조정을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장측면(122)과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모든 배터리 쉘(12)을 균일하게 가온하면서, 또한 가온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3) 배터리 모듈(13)은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방이며, 차량 전방으로부터 차례대로 앞좌석 하방에 위치하고 제1 높이 h1을 갖는 제1 배터리 모듈(13F)과,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의 뒷좌석 발밑 플로어 패널 하방에 위치하여 제2 높이 h2를 갖는 제2 배터리 모듈(13C)과, 뒷좌석 하방에 위치하여 제3 높이 h3를 갖는 제3 배터리 모듈(13R)을 갖고, 제2 높이 h2는 제1 및 제3 높이 h1, h3보다도 낮다.
이에 의해, 차실(2) 내의 시트 하방의 스페이스를 배터리 쉘(12)의 탑재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차실(2)의 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수많은 배터리를 탑재할 수 있다.
(4) 박형 히터 모듈(21)은 제1 배터리 모듈(13F)의 차량 전후 방향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차량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배터리 모듈(13F)은 주행풍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 냉각되기 쉽다. 이와 같이, 냉각되기 쉬운 개소에만 설치함으로써, 가온 성능을 확보하면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 모듈(13F)은 제2 배터리 모듈(13C)에 비하여 용적이 큰 점에서 열용량도 크다. 따라서, 차량 후방측에 대해서는 비교적 냉각되기 어렵기 때문에, 차량 전방에만 박형 히터 모듈(21)을 설치해도 충분한 가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 모듈(13F)은 앞좌석의 하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높이 방향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배터리 쉘(12)을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적층하고, 장측면(122)을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터리 쉘(12)을 배치할 수 있다.
(5) 박형 히터 모듈(22, 23)은 제2 배터리 모듈(13C)의 차량 전후 방향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다.
즉, 제2 배터리 모듈(13C)은 배터리 팩(11)의 중앙 부분에 있지만, 다른 배터리 모듈에 비하여 용적이 작기 때문에 열용량도 작아, 냉각되기 쉽다. 따라서,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 및 후방의 양쪽에 박형 히터 모듈(21)을 배치함으로써, 가온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터리 모듈(13F)은 앞좌석과 뒷좌석의 사이에 배치된 뒷좌석 발밑의 플로어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높이 방향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배터리 쉘(12)을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적층하고, 장측면(122)을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터리 쉘(12)을 배치할 수 있다.
(6) 박형 히터 모듈(24)은 제3 배터리 모듈(13R)의 차량 상하 방향의 상방에 배치된다.
즉, 제3 배터리 모듈(13C)은 뒷좌석 하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이 방향의 제한이 완만하다. 따라서, 배터리 쉘(12)을 차폭 방향으로 적층하고, 그 상방에 박형 히터 모듈(24)을 설치함으로써, 차폭 방향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배터리 쉘(12)을 배치할 수 있다.
(7) 박형 히터 모듈(24)은 제3 배터리 모듈(13R)의 차폭 방향의 양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즉, 제3 배터리 모듈(13C)은 제2 배터리 모듈(13C)에 비하여 용적이 크기 때문에 열용량도 크다. 특히, 차폭 방향 중앙에 대해서는 외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냉각되기 어렵다. 따라서, 박형 히터 모듈(24)을 차폭 방향의 양단부 영역에 설치하고, 다시 말해 차폭 방향 중앙 영역에는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비용을 삭감하면서 충분한 가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054086호(출원일: 2011년 3월 11일)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의하면, 모든 배터리 쉘을 균일하게 가온하면서, 또한 배터리 쉘을 직접 가온하기 때문에 가온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 차체
2: 차실
3: 모터 룸
4: 좌우 전륜
5: 좌우 후륜
6: 앞좌석 시트
7: 뒷좌석 시트
11: 배터리 팩
12: 배터리 쉘
12a: 전극 단자
13FL: 전방 좌측 배터리 모듈(배터리 모듈)
13FR: 전방 우측 배터리 모듈(배터리 모듈)
13CL: 중앙 좌측 배터리 모듈(배터리 모듈)
13CR: 중앙 우측 배터리 모듈(배터리 모듈)
13R: 후방 배터리 모듈(배터리 모듈)
14: 배터리 팩 케이스
14a: 배터리 모듈 적재면
15: 모터 급전선
21L, 22R, 22L, 22R, 23L, 23R: 박형 히터 모듈(히터 모듈)

Claims (7)

  1. 직육면체의 배터리 쉘을 복수 적층한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적층 방향을 따른 변을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을 가온하는 히터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쉘은 긴 변과, 짧은 변과, 이들 양변보다 짧은 높이 변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적층 방향은 상기 높이 변을 따른 방향이며,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긴 변을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차량의 플로어 패널의 하방이며, 차량 전방으로부터 차례대로 앞좌석 하방에 위치하여 제1 높이를 갖는 제1 배터리 모듈과,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의 뒷좌석 발밑 플로어 패널 하방에 위치하여 제2 높이를 갖는 제2 배터리 모듈과, 뒷좌석 하방에 위치하여 제3 높이를 갖는 제3 배터리 모듈을 갖고,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3 높이 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차량 전후 방향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제3 배터리 모듈의 차량 상하 방향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제3 배터리 모듈의 차폭 방향의 양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37026229A 2011-03-11 2012-02-29 배터리 팩 KR20130133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4086A JP2012190691A (ja) 2011-03-11 2011-03-11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JP-P-2011-054086 2011-03-11
PCT/JP2012/055124 WO2012124481A1 (ja) 2011-03-11 2012-02-29 バッテリ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279A true KR20130133279A (ko) 2013-12-06

Family

ID=4683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229A KR20130133279A (ko) 2011-03-11 2012-02-29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344371A1 (ko)
EP (1) EP2685545A4 (ko)
JP (1) JP2012190691A (ko)
KR (1) KR20130133279A (ko)
CN (1) CN103430377A (ko)
CA (1) CA2829867A1 (ko)
RU (1) RU2539351C1 (ko)
WO (1) WO2012124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5694B2 (ja) * 2011-12-09 2015-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車載構造
US20160056418A1 (en) * 2014-08-21 2016-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ion monoblock battery for stop/start applications
US20160093848A1 (en) 2014-09-30 2016-03-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approach for advanced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RU2625461C2 (ru) * 2015-01-27 2017-07-14 Сергей Борисович Орлов Источник тока
WO2018221002A1 (ja) * 2017-05-30 2018-1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搭載用の電池パック
JP7085555B2 (ja) * 2017-08-22 2022-06-16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7339065B2 (ja) * 2019-08-21 2023-09-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
DE102020209492A1 (de) * 2020-07-28 2022-02-0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eheiztes Batteriemodu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372B2 (ja) * 1993-03-26 1998-01-21 日本碍子株式会社 高温二次電池の加熱装置
US6085854A (en) * 1994-12-13 2000-07-11 Nissan Motor Co., Ltd. Battery frame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ar
RU2088001C1 (ru) * 1995-05-15 1997-08-20 Военны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нститут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 внутренним обогревом
JP3733629B2 (ja) * 1995-12-08 2006-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温度制御装置
JP3767004B2 (ja) * 1996-03-11 2006-04-19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二次エア供給装置
US5948298A (en) * 1996-04-26 1999-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attery heating system
JPH11213962A (ja) * 1998-01-30 1999-08-06 Yuasa Corp 蓄電池
DE10260551A1 (de) * 2002-12-21 2004-07-01 Otto Hans Happe Batterie für die Verwendung in Kraftfahrzeugen
US7556885B2 (en) * 2003-11-14 2009-07-07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
JP5354846B2 (ja) * 2006-08-11 2013-11-27 株式会社東芝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充放電方法
US7531270B2 (en) * 2006-10-13 2009-05-12 Enerdel, Inc. Battery pack with integral cooling and bussing devices
JP4948187B2 (ja) 2007-01-26 2012-06-06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積層薄型ヒータ、リード線付き積層薄型ヒータ、ヒータ付き電池構造体、及びヒータユニット
JP5326503B2 (ja) * 2008-11-05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冷却装置
JP5185876B2 (ja) * 2009-03-31 2013-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組電池装置
JP5640382B2 (ja) * 2009-05-26 2014-12-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アセンブリ冷却構造、および、ウォータージャケット付きバッテリアセンブリ
JP2011014436A (ja) * 2009-07-03 2011-01-20 Panasonic Corp バッテリー加熱装置
JP5617200B2 (ja) * 2009-07-17 2014-1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5861484B2 (ja) * 2011-03-11 2016-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44371A1 (en) 2013-12-26
JP2012190691A (ja) 2012-10-04
EP2685545A1 (en) 2014-01-15
CA2829867A1 (en) 2012-09-20
WO2012124481A1 (ja) 2012-09-20
RU2539351C1 (ru) 2015-01-20
CN103430377A (zh) 2013-12-04
EP2685545A4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919B1 (ko) 차량탑재용 배터리
KR20130133279A (ko) 배터리 팩
KR20130116342A (ko) 차량 탑재용 배터리
EP2730484B1 (e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JP5212482B2 (ja) 電源装置の搭載構造
CN104040785B (zh) 电动汽车的蓄电池组温度调节构造
KR101947831B1 (ko)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팩
CN102598396B (zh) 用于电气设备的冷却系统
KR20130088192A (ko) 히터 모듈
JP2011079411A (ja) 車両のバッテリ冷却構造
JP7326376B2 (ja) 車体構造
JP2013126782A (ja)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5790041B2 (ja) 薄型ヒーターモジュール
US11420510B2 (en) Battery mounted vehicle
JP2023042875A (ja) 電池支持構造体
JP2004311142A (ja) バッテリパック搭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