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003A -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 Google Patents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003A
KR20130133003A KR1020137025537A KR20137025537A KR20130133003A KR 20130133003 A KR20130133003 A KR 20130133003A KR 1020137025537 A KR1020137025537 A KR 1020137025537A KR 20137025537 A KR20137025537 A KR 20137025537A KR 20130133003 A KR20130133003 A KR 20130133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bsorbing layer
heat absorbing
lay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988B1 (ko
Inventor
에이이치 카토
치히로 오카야마
세이이치 하야시
오사무 무라기시
유지 카메이
슈이치 미즈마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Abstract

철도 차량(100)은 바닥판(40)과, 바닥판(4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열을 흡수하는 흡열층(60)과, 흡열층(60)을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지지판(20)을 가지고 있고, 지지판(20)은 흡열층(60)에 접촉하는 접촉부(22)와, 접촉부(21)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흡열층(6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하고,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부(22)를 포함하는 내열 바닥(1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RAILWAY CAR COMPRISING HEAT-RESISTANT FLOOR}
본 발명은, 철도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열 바닥(heat-resistant floor)을 구비한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의 바닥에는, 바닥 아래의 화재를 고려하여 소정의 내열성(내화성)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화 규격의 하나로서, 미국의 내화 규격인 ASTM(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E-119가 있다. ASTME-119에서는, 시험체(바닥)에 하면으로부터 소정 시간 열을 계속 가하여 상면에서의 온도 상승이 일정 이하일 것 등 몇 가지의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규격을 고려한 철도 차량의 바닥 구조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닥 구조는, 상층과 중층과 하층으로 구성되며, 하층과 중층 사이에 단열재의 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구조에 따르면, 단열재의 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특허문헌 1의 2페이지 왼쪽 아래 열의 여섯 번째 줄 이후 참조).
일반적으로, 단열층의 두께를 크게 하면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단열층을 너무 두껍게 하면 바닥 아래의 공간이 좁아져 바닥 아래의 케이블이나 기기 등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space)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서는, 바닥 아래에 배치하는 기기 등의 배치 스페이스를 압박하지 않고 종래와 같은 내화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차량의 바닥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바닥 구조는, 판 모양의 팽창형 단열재가 바닥판의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측량(側梁), 횡량(橫梁) 및 중량(中梁)의 각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4 참조). 상기 팽창형 단열재는, 화염의 열로 인하여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바닥판의 상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 할 수 있고, 또 종래의 판 모양의 단열재에 비하여 판 두께가 얇기 때문에 케이블 등의 배치 스페이스를 압박하지도 않는다고 설명되어 있다(특허문헌 2의 단락 [0016] 참조).
일본 특개소 62-189251호 공보 일본 특개 2009-19653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바닥 구조는, 바닥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해당 바닥 구조를 채용한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당 바닥 구조를 채용하면 바닥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닥 아래에서의 케이블 등의 배치 스페이스가 압박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바닥 구조는, 케이블 등의 배치 스페이스가 압박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지만, 충분한 내열 성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특허문헌 2에서 사용되고 있는 팽창형 단열재는,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흡열량이 상대적으로 작은데다가, 비교적 낮은 온도인 100 ~ 150℃에서 팽창하기 시작하여 빨리 팽창을 끝낸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2의 바닥 구조에서는, 점차 온도가 상승해가는 과정에서 충분히 열을 흡수할 수 없어 충분한 내열 성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내열성이 높은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철도 차량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열을 흡수하는 흡열층과, 상기 흡열층을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흡열층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열층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하며,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열 바닥의 하면에서 열이 가해졌을 경우, 흡열층 중 지지판에 접촉하는 부분은 비교적 이른 단계에서 열을 흡수하기 시작하고, 지지판에서 이격한 부분은 비교적 늦은 단계에서 열을 흡수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흡열층의 부분마다 흡열의 시작 시간을 차이 나게 함으로써 흡열층 전체적으로 장시간 열을 계속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내열성이 높은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열층의 팽창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내열 바닥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100)이 구비한 내열 바닥(10)의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의 지면 앞(단면이 드러나 있는 측)에서 안쪽을 항하는 방향이 철도 차량(100)의 길이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철도 차량(100)의 길이 방향을 단순히 「길이 방향」이라고 칭하고, 또 철도 차량(100)의 폭 방향을 단순히 「폭 방향」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100)은 내열 바닥(10)을 구비하고 있다.
<내열 바닥의 구성>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열 바닥(10)은, 철도 차량(1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횡량(70)에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측량(8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열 바닥(10)은, 지지판(20)과, 표면 시트(30)와, 바닥판(40)과, 열분산층(50)과, 흡열층(60)을 가지고 있다. 이하, 이러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지지판(20)은 흡열층(60)을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판(20)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0)에는, 흡열층(60)에 접촉하는 접촉부(21)와, 흡열층(6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하는 이격부(22)가 포함된다. 접촉부(21)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접촉부(21)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격부(22)는 단면이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21)와 이격부(22)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지지판(20)은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판(20)은, 이른바 코러게이트 구조(corrugated 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더 엄밀하게는, 지지판(20)은, 예를 들면 단면시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감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판(20)은, 이른바 키스톤 구조(keystone 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지지판(20)이 이와 같은 키스톤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격부(22)가 보(보강 부재)의 역할을 하여 지지판(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내열 바닥(1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시트(30)는, 내열 바닥(10)에 적층된 각 부재 중 가장 상면 측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표면 시트(30)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시트로서, 승객이 걷는 것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내열 바닥(1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 표면 시트(30)는, 바닥 아래에 배치된 기기에서 나오는 소음이 객실 측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40)에는 나사(41)가 설치되어 있지만, 나사(41)로 인하여 바닥판(40) 상에 생기는 요철을 내열 바닥(10)의 표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30)는, 고무제의 시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대신에 염화 비닐 수지제의 시트, 올레핀계 수지제 시트, 카펫 등 철도 차량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바닥판(40)은 내열 바닥(1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로서, 이른바 기재(基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40)은, 합성수지의 발포재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40)은, 표면 시트(3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열 바닥(10)에 적층된 각 부재 중 가장 큰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바닥판(40)을 형성하는 재료는, 합성수지의 발포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대신에 목재나, 경합금제 허니컴(honeycomb)재 등 바닥판에 사용되고 있는 잘 알려진 재료를 적용하여도 좋다.
열분산층(50)은 면 방향으로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층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분산층(50)은 바닥판(40)과 흡열층(6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열분산층(50)은 단열재로 형성되어 있다. 열분산층(50)을 형성하는 단열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글라스 울(glass wool) 또는 세라믹 울(ceramic wo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분산층(50)은, 단열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을 분산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단열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흡열층(60)에 포함되는 「흡열재」와 열분산층(50)을 형성하는「단열재」의 차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흡열재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을 하는 재료인 반면에, 단열재는 열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열을 전달하기 어려운 재료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다르다.
흡열층(60)은 열을 흡수하기 위한 층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열층(60)은, 지지판(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흡열층(60)은, 세라믹 울의 내부에 흡열재를 산재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열재로서 열팽창재인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열층(60)은, 흡열재(버미큘라이트)가 열팽창함에 따라 전체도 팽창한다. 또, 흡열층(60)에 사용하는 흡열재는, 버미큘라이트 이외의 부재이어도 좋지만, 흡열의 시작 온도가 350 ~ 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 흡열하기 시작하면 흡열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흡열층(60)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미토모 스리엠 주식회사의 내열·단열 재료인 M20A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흡열층(60) 중 지지판(20)에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은, 흡열층(60)의 전체 면적의 적어도 20% 정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흡열층(60)을 구성하는 흡열재의 특성 등에 따라 전체 중 지지판(20)에 접촉하는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비율을 50% 정도로 하여도 좋고, 열이 전달되는 것이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을 같은 비율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흡열층(60)과 지지판(20)의 이격부(22) 사이에는 폐공간이 형성되어 공동(空洞)이 되어 있다. 즉, 그들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내열 바닥의 고정 구조>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의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의 단부에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열 바닥(10)은, 횡량(70)에 지지되어 있고, 측량(8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횡량(70)과 측량(80)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횡량(7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철도 차량(100)의 구체(차체의 강도를 담당하는 부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횡량(70)은 내열 바닥(10)에 접하는 수평한 판 모양의 상면부(71)와, 상면부(71)에 연결되며 수직한 판 모양의 측면부(72)와, 측면부(72)에 연결되며 상면부(71)에 대향하는 수평한 판 모양의 하면부(7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측량(8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철도 차량(100)의 구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측량(80)은, 위쪽에 위치하는 수평한 판 모양의 상면부(81)와, 상면부(81)에 연결되며 수직한 판 모양의 측면부(82)와, 측면부(82)에 연결되며 상면부(81)에 대향하는 수평한 판 모양의 하면부(8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측량(80)은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측량(80)의 내측에 횡량(70)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측량(80)의 상면부는 하면부(83)에 비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측량(80)과 횡량(70)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측량(80)의 측면부(82)의 외측에는, 철도 차량(100)의 측구체(90)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내열 바닥(10)을 형성하고, 그 후에 내열 바닥(10) 전체를 일괄하여 측량(80)에 고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내열 바닥(10)의 각 구성 요소를 지지판(20)에서부터 차례로 횡량(70) 및 측량(80) 상에 적층하여 고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내열 바닥(10) 전체를 측량(80)에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지지판(20)에 관해서는, 그 단부(도 2에서는, 지면 좌단측) 부근이 측량(80)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20)의 단부 부근은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격부(22)의 바닥면 부분(23)보다 측량(80)의 두께만큼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판(20)의 단부 부근이, 용접 등에 의해 측량(80)에 고정되어 있다.
또, 열분산층(50) 및 흡열층(60)에 관해서는, 지지판(20)과 바닥판(40)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열분산층(50) 및 흡열층(60)의 가장자리는, 받침 부재(91) 또는 라이너(liner)(92)까지 연장하여 멈추고 있다. 이 받침 부재(91)는, 단면 L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측량(80)의 상면부(81)와 칸막이 부재(93)를 중개하도록 하여 이것들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또한, 라이너(9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받침 부재(91)에 놓여 있다. 또한, 이 라이너(92)는, 그 상면과 열분산층(50)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또, 바닥판(40)에 관해서는, 그 단부가 라이어(92)에 놓여 있다. 이 바닥판(40)의 단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40)의 관통 구멍에 대응하여 라이너(92)에도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받침 부재(91)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41)가, 바닥판(40) 및 라이너(92)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받침 부재(91)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닥판(40)은 받침 부재(91)(측량(80))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표면 시트(30)에 관해서는, 바닥판(40)의 상면에 나사(41)를 덮도록 하여 넓게 깔린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내열 바닥(10)의 폭 방향 외측에 칸막이 부재(93)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93)는, 수직적인 판 모양의 부재이며, 측량(80)의 상면부(81)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칸막이 부재(93)와 바닥판(40)의 사이, 그리고 칸막이 부재(93)와 표면 시트(30)의 사이에 씰(seal) 부재(94)가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닥판(40) 및 표면 시트(30)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이 내열 바닥(10)의 고정 구조의 설명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바닥판(40)과 지지판(20)을 나사(41)로 고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층을 접착에 의해 부착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내열 바닥(10)을 고정하여도 좋다.
<변형예>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내열 바닥(10)을 고정하였지만, 이 대신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내열 바닥(10)을 고정하여도 좋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는, 도 2의 경우에 비하여 횡량(70)의 수직 방향의 치수(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측량(80)의 상면부(81)에는, 횡량(70)의 상면부(71)와 접하도록, 다른 부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차부(8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81) 중 단차부(84) 이외의 부분은 도 2의 받침 부재(91)의 역할을 하고 있고, 그 때문에 변형예에서는 받침 부재(9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도 3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도 2의 경우에 비하여 받침 부재(91)의 높이 방향의 치수만큼 내열 바닥(10)의 설치 위치가 내려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변형예에 의하면, 내열 바닥(10)의 설치 위치가 낮아지는 만큼 철도 차량(100)의 거주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내열 바닥의 작용>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의 하면에 열을 가했을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흡열층(60)의 팽창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내열 바닥(10)의 하면에서 서서히 열을 가하여 가면, 지지판(20)은 전체적으로 거의 일률적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간다. 그 후에, 지지판(20)으로부터 열이 전해져서 흡열층(60)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흡열층(60) 중 지지판(20)에 접하는 접촉부(21)가, 이격부(22)보다 빨리 온도가 상승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여 지지판(20) 중 이격부(22)는 접촉부(21)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흡열층(60) 중 지지판(20)에 접하는 부분이 먼저 흡열하여 팽창하고, 지지판(20)에 접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늦게 흡열하여 팽창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에 따르면, 흡열층(60)은 전체가 동시에 흡열하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마다 흡열의 시작에 시간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열을 흡수하는 시간이 길어서 온도 상승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흡열층(60) 중 팽창한 부분은, 도 4의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당초의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의 공간으로 서서히 확산되고, 그 후에 단열층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흡열층(60)은 흡열이 끝난 후에도 열이 상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계속 내열 바닥(10)의 상면 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시에 있어서 이격부(22)의 폭이 아래쪽을 향하여 감에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격부(22)의 폭이 아래쪽으로 넓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흡열 후의 팽창한 흡열층(6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또, 지지판(20)은, 바닥 아래에서의 화염에 대하여 방화벽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철도 차량(100)의 구체의 일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화벽으로서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할 필요도 없고, 또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재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내열성과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철도 차량을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열층(60)이 팽창하여 단열층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지지판(20)의 접촉부(21)에 대응하는 부분과, 이격부(2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두께가 크게 다르게 된다. 그 때문에, 흡열층(60)에서의 단열 효과는 부분마다 다르다. 하지만 흡열층(60)의 상면 측에 위치하는 열분산층(50)에서는, 열을 면 방향(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열층(60)에서 전달된 불균일한 열은 면 방향에서 균일화된다. 이와 같은 열분산층(50)에 의한 열의 균일화에 따라 내열 바닥(10)의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200)은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에 단열재(25)가 삽입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100)과 구성이 다르다. 이 점 이외는, 양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25)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세라믹 울 또는 글라스 울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단열재(25)는 쉽게 변형 가능하며 매우 부드러운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열층(60)이 열팽창하여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로 비집고 들어갔을 때에, 단열재(25)가 흡열층(60)의 팽창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은, 상기와 같이 흡열층(60)과 이격부(22) 사이에 단열재(25)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격부(22)에서 흡열층(60)으로 열이 전달되는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판(20)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온도 상승을 더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열 바닥(10)에 비하여 흡열층(60)에서의 열을 흡수하는 시간이 더 길어져 상면에서의 온도 상승 속도를 더 늦출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이격부(22)가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각 이격부(22)가 반구 모양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이상에서는 흡열층(60)이 열팽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흡열재로서 팽창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하거나 흡열재의 양을 줄이거나 하는 등에 의하여 흡열층(60)을 열팽창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은, 해당 내열 바닥의 흡열층이 장시간 열을 계속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유익하다.
10: 내열 바닥
20: 지지판
21: 접촉부
22: 이격부
25: 단열재
50: 열분산층
60: 흡열층
100,200: 철도 차량

Claims (7)

  1.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열을 흡수하는 흡열층과,
    상기 흡열층을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흡열층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열층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하며,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이격부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적으로 설치된 코러게이트(corrugated)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층과 상기 이격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층과 상기 이격부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층은 흡열 시에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흡열층 사이에 설치되어 면 방향으로 열을 분산시키는 열분산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층은 350~550℃에서 흡열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KR1020137025537A 2011-03-23 2011-03-23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KR101600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1707 WO2012127533A1 (ja) 2011-03-23 2011-03-23 耐熱床を備えた鉄道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003A true KR20130133003A (ko) 2013-12-05
KR101600988B1 KR101600988B1 (ko) 2016-03-08

Family

ID=4687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537A KR101600988B1 (ko) 2011-03-23 2011-03-23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3694B2 (ko)
EP (1) EP2689986B1 (ko)
JP (1) JP6027528B2 (ko)
KR (1) KR101600988B1 (ko)
CN (1) CN103562044A (ko)
WO (1) WO2012127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7953B2 (ja) * 2010-11-08 2015-04-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床構造
JP5739829B2 (ja) * 2012-03-28 2015-06-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床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CA2806886C (en) * 2013-02-20 2015-04-2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Heat resistant floor assembly for a rail vehicle
US10029709B2 (en) * 2013-11-12 2018-07-2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Railcar
KR101656039B1 (ko) * 2015-01-29 2016-09-08 주식회사 얼반테이너 내화구조의 바닥 슬라브를 갖는 건축용 컨테이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CN107406085B (zh) * 2015-03-20 2019-04-16 川崎重工业株式会社 铁道车辆
ITUB20152549A1 (it) 2015-07-28 2017-01-28 Hitachi Rail Italy S P A Struttura pavimento provvista di un sistema di protezione al fuoco per veicoli su rotaia
CN110539804A (zh) * 2019-10-12 2019-12-06 常州长青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铁路客车模块化地板
CA3112745A1 (en) * 2020-03-31 2021-09-30 National Steel Car Limited Railroad freight car structure
CN113492886A (zh) * 2021-07-16 2021-10-12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地板装置及轨道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359U (ja) * 1983-02-23 1984-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の床構造
JPS62189251A (ja) 1986-02-13 1987-08-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床構造
JPH0754431A (ja) * 1993-08-19 1995-02-28 Abc Trading Co Ltd キーストン構造の軽量床
JP2000052982A (ja) * 1998-08-10 2000-02-22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耐熱床構造
JP2002173995A (ja) * 2000-12-05 2002-06-21 Sekisui Chem Co Ltd 耐火性防音床
JP2009196531A (ja) 2008-02-22 2009-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ニアモータ車両の床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5848A1 (de) * 1984-04-27 1985-10-31 Jenbacher Werke AG, Jenbach, Tirol Schienenfahrzeug
JPS60186273U (ja) * 1984-05-23 1985-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の床構造
JPS61147666U (ko) * 1985-03-07 1986-09-11
ES2076308T3 (es) * 1989-04-14 1995-11-01 Hitachi Ltd Carroceria de ferrocarril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H0490454U (ko) * 1990-12-19 1992-08-06
CA2202115C (en) * 1996-04-16 2005-07-12 Fred M. Basile Railway freight car metal floor
JPH1150565A (ja) * 1997-08-04 1999-02-23 Sekisui Chem Co Ltd 耐火性建造物構成パネル
JP2000129819A (ja) * 1998-10-28 2000-05-09 Sanko Metal Ind Co Ltd 耐火外囲体
US6178895B1 (en) * 1999-04-19 2001-01-30 Gunderson, Inc. Flat-surfaced floor structure for boxcars
JP2001241134A (ja) * 2000-02-24 2001-09-04 Sekisui Chem Co Ltd 耐火床
JP3563045B2 (ja) * 2000-09-11 2004-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
CA2420300C (en) * 2002-03-01 2006-11-14 Bombardier Transportation (Technology) Germany Gmbh Undercar assembly for a railcar
JP2006131113A (ja) * 2004-11-05 2006-05-25 Tokyu Car Corp 鉄道車両用床構造
AT503255A3 (de) 2006-03-06 2010-05-15 Siemens Ag Oesterreich Schienenfahrzeug mit einem untergestel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359U (ja) * 1983-02-23 1984-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の床構造
JPS62189251A (ja) 1986-02-13 1987-08-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床構造
JPH0754431A (ja) * 1993-08-19 1995-02-28 Abc Trading Co Ltd キーストン構造の軽量床
JP2000052982A (ja) * 1998-08-10 2000-02-22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耐熱床構造
JP2002173995A (ja) * 2000-12-05 2002-06-21 Sekisui Chem Co Ltd 耐火性防音床
JP2009196531A (ja) 2008-02-22 2009-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ニアモータ車両の床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9986A1 (en) 2014-01-29
JP6027528B2 (ja) 2016-11-16
US20140083321A1 (en) 2014-03-27
EP2689986A4 (en) 2015-01-28
EP2689986B1 (en) 2018-12-26
CN103562044A (zh) 2014-02-05
KR101600988B1 (ko) 2016-03-08
JPWO2012127533A1 (ja) 2014-07-24
US9233694B2 (en) 2016-01-12
WO2012127533A1 (ja)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003A (ko) 내열 바닥을 구비한 철도 차량
JP5739829B2 (ja) 鉄道車両の床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RU2567929C2 (ru) Покро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зданий с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м элементом
JP6106282B2 (ja) 鉄道車両
JP6409137B2 (ja) 床材
JP6082436B2 (ja) 耐熱床を備えた鉄道車両
TWI520865B (zh) Railway vehicles
JP2015048690A (ja) 防水シート固定構造
CN205417628U (zh) 车厢地板
CN111619599A (zh) 轨道车辆驾驶室地板隔音方法及地板结构及其安装方法
CN203427903U (zh) 一种客车泡沫铝地板
CN113492886A (zh) 一种地板装置及轨道车辆
JP5227644B2 (ja) 床材用支持脚
CN211918659U (zh) 一种车辆地板安装结构
KR100930574B1 (ko) 소음저감용 완충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형
TWI785950B (zh) 軌條式車輛及軌條式車輛之製造方法
KR100556153B1 (ko) 특장용 샌드위치 판넬
CN219411344U (zh) 一种防火岩棉夹芯板
JP2001221451A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0309B1 (ko) 구조물 설치용 앵커장치
KR101430164B1 (ko) 차음 구조체
KR101424055B1 (ko) 철도차량용 흡음방진재
CN108099813A (zh) 汽车整车的保温降噪结构
CN203269275U (zh) 一种电梯轿架结构
JP2018039339A (ja) 車両用成形天井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