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885A - 팬츠형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885A
KR20130132885A KR1020137016801A KR20137016801A KR20130132885A KR 20130132885 A KR20130132885 A KR 20130132885A KR 1020137016801 A KR1020137016801 A KR 1020137016801A KR 20137016801 A KR20137016801 A KR 20137016801A KR 20130132885 A KR20130132885 A KR 2013013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heet member
extension
region
back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798B1 (ko
Inventor
아이코 온다
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91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900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8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different tensile st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3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transvers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배측 시트부재(2A), 등측 시트부재(2B) 및 그들에 걸쳐서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있으며,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는 각각 기저귀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본체부(20a, 20b)와 연장부(21a, 21b)를 가지고 있고, 등측 시트부재(2B)의 연장부(21b)를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로 구분했을 때,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은,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동 수축 응력보다 크다.

Description

팬츠형 흡수성 물품{UNDERWEAR-TYP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등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 착용자의 고간(股間;groin)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 및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부에 걸치는 모래시계형상의 외포재와, 상기 외포재의 내면측에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배측부에서의 외포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에서의 외포재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연속 생산할 때에는 외포재의 띠형상 원단에 다리 개구부 형성용 관통 구멍이나 컷아웃을 형성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트림으로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외포재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시트부재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가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배측 시트부재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 시트부재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그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앞 벨트 부분 및 뒤 벨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상 탄성 벨트와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뒤 벨트 부분(등측 시트부재)의 세로방향 길이를, 앞 벨트 부분(배측 시트부재)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길게 한 풀 온(pull-on) 의류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배측 외장 시트와 등측 외장 시트로 형성된 통형상의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등측 외장 시트가 등측 본체부와 그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등측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등측 연장부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부분의 양측으로 연장된 둔부 커버부에 마련된 제2 탄성 신축부재의 신장률을, 등측 본체부의 중간부 및 하단부에 마련된 제1 탄성 신축부재의 신장률보다 높게 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도 배측 외장 시트와 등측 외장 시트로 형성된 통형상의 몸통둘레부와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등측 외장 시트가 등측 본체부와 그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등측 연장부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에는 배측 외장 시트도 배측 본체부와 배측 연장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2008-50808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7868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212249호
외포재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시트부재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예를 들면 배측 시트부재의 띠형상 원단과 등측 시트부재의 띠형상 원단을 이간시켜서 반송하면서, 흡수성 본체를 양자 사이에 걸치도록 간헐적으로 고정하고, 이어서 배측 시트부재의 띠형상 원단과 등측 시트부재의 띠형상 원단이 겹치도록 반으로 접은 후 사이드 실부 형성용 접합을 실시하고, 그 접합과 동시 또는 그 후에 절단하여 낱개의 일회용 기저귀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배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등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연속하는 폭이 넓은 외포재에 다리 개구부 형성용 관통 구멍이나 컷아웃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외포재의 원단으로부터 트림을 제거할 필요가 없게 하거나 제거해야 할 트림의 소형화 등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풀 온 의류는 뒤 벨트 부분(등측 시트부재)가 앞 벨트 부분(배측 시트부재)보다 긴 것에 의해 둔부의 피복성이 뛰어나지만, 둔부를 피복하는 연장 부분(등측 연장부)의 피부에 대한 피트성이 떨어져 그 부분에 젖혀짐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또한 앞쪽의 연장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시에 의복으로서 보았을 때에 완전히 피부를 덮을 수 없어 외관적인 문제가 생긴다.
특허문헌 2, 3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등측 시트부재의 하단이 곡선형상으로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시에 트림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또한 둔부의 피복성도 떨어진다.
또한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와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된 종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중에 흘러내림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에 대하여 어떠한 시사도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와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되어 효율적으로 제조 가능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둔부의 피복성이 뛰어나고, 착용중에 흘러내림이나 외관 악화가 생기기 어려운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대로,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와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된 종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착용중에 흘러내림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앞쪽의 연장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시에 의복으로서 보았을 때 완전히 피부를 덮을 수 없어 외관적인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등측 시트부재 및 배측 시트부재 각각의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사이드 실부의 하단부(가랑이부측의 단부) 부근의 영역에서 특히 높이면,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 영역에만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강한 수축 응력을 부여했을 경우에는 그 영역이 피부에 강하게 닿아 고무 자국이 나거나 피부에 부담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와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흘러내림 방지성이 뛰어나고,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 피부에 나기 어려워 피부에 대한 부담이 적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배측 시트부재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등측 시트부재와,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배측 시트부재 및 상기 등측 시트부재는 각각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본체부(배측 본체부, 등측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갖지 않는 연장부(배측 연장부, 등측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이하, 이 구성을 기본 구성이라고도 함).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기본 구성에 더하여 하기 구성(A) 및/또는 (B)를 구비한다.
(A)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등측 연장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등측 연장부 상부 및 등측 연장부 하부로 구분했을 때,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배측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배측 연장부), 그리고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등측 본체부),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가 모두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각각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의 동(同) 수축 응력보다 크다.
(B)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등측 연장부)는 물품 길이방향의 길이가,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배측 연장부)와 같거나 그보다 길고,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배측 본체부) 및 배측 연장부 그리고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등측 본체부) 및 등측 연장부의 배측 연장부에 대응하는 등측 대응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배측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3영역(A3')으로 하고, 배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제1~제3영역(A1'~A3') 및 배측 연장부(21a(A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A1'~PA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A1'~QA4'로 하는 동시에, 등측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제3영역(B3')으로 하고, 등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제1~제3영역(B1'~B3') 및 등측 대응부(B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B1'~PB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B1'~QB4'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11)~(14)를 만족한다.
비(PA3'/PA1')>비(QA3'/QA1'), 비(PA3'/PA1')>1 (11)
비(PB3'/PB1')>비(QB3'/QB1'), 비(PB3'/PB1')>1 (12)
비(PA4'/PA1')>비(QA4'/QA1'), 비(PA4'/PA1')>1 (13)
비(PB4'/PB1')>비(QB4'/QB1'), 비(PB4'/PB1')>1 (14)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전개 신장 상태란, 기저귀의 양 측부에 존재하는 접합부(사이드 실부)를 떼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설계 치수(탄성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형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같음)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등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각 신축부의 기저귀 폭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주름을 없앤 상태, (b)는 탄성부재가 수축되어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등측부측을 기저귀 외면측에서 본 신장 상태의 일부 파단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간단히 기저귀(1)라고도 함)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배측 시트부재(2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등측 시트부재(2B)와,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배측 시트부재(2A)의 양측 가장자리부(2a, 2a)와 등측 시트부재(2B)의 양측 가장자리부(2b, 2b)가 접합되어 한 쌍의 사이드 실부(4, 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1)(이하, 간단히 기저귀(101)라고도 함)도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배측 시트부재(2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등측 시트부재(2B)와,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3)를 구비하고, 배측 시트부재(2A)의 양측 가장자리부(2a, 2a)와 등측 시트부재(2B)의 양측 가장자리부(2b, 2b)가 접합되어 한 쌍의 사이드 실부(4, 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에서 공통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는 도 1 및 도 2, 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A)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부(B)와, 배측부(A)와 등측부(B) 사이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고간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C)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 길이방향(물품 길이방향)은 배측부(A)에서 가랑이부(C)를 거쳐 등측부(B)에 걸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도 2 및 도 7의 X방향)이고, 기저귀 폭방향(물품 폭방향)은 착용자의 몸통둘레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물품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2 및 도 7의 Y방향)이다. 이하, 기저귀 길이방향(물품 길이방향)을 간단히 X방향, 기저귀 폭방향(물품 폭방향)을 간단히 Y방향이라고도 한다.
기저귀(1, 101)의 사이드 실부(4)는 도 2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의 길이가 배측 시트부재(2A)의 길이(L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길이(Lb)의 어느 것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4, 4)를 가지는 본체부(20a, 20b)와, 본체부(20a, 20b)에서 가랑이부(C)측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4, 4)를 갖지 않는 연장부(21a, 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배측 시트부재(2A)의 본체부(20a) 및 연장부(21a)를 배측 본체부(20a) 및 배측 연장부(21a)라고도 하고, 등측 시트부재(2B)의 본체부(20b) 및 연장부(21b)를 등측 본체부(20b) 및 등측 연장부(21b)라고도 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저귀(1, 101)의 흡수성 본체(3)는 도 2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31), 액 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32), 및 양 시트(31, 32) 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 보유성의 흡수체(33)를 가지고 있으며, X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33)는 펄프 섬유 등의 섬유 집합체(부직포여도 됨)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 또는 이것에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보유시켜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를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흡수체(33)도 X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33)는 길이방향 양측에 흡수성 코어의 형성 재료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형성 재료의 평량이 다른 부분보다 적은 저강성부(33d)를 가지고 있다. 흡수체(33)가 저강성부(33d)에서 굴곡하기 쉬움으로 인해, 기저귀 착용시에 흡수체(33) 또는 흡수성 본체(3)의 양 측부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일어서기 쉽게 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는 액 저항성 내지 발수성이면서 통기성인 소재로 구성된 측방 커프스(34, 3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측방 커프스(34)의 자유단 근방에는 측방 커프스 탄성부재(35)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기저귀(1, 101) 착용중에는 측방 커프스 탄성부재(35)가 수축함으로써 측방 커프스(34)가 기립하여, 흡수성 본체(3)로부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액이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표면 시트(31), 이면 시트(32), 및 흡수체(33)의 흡수성 코어나 코어 랩 시트로서는 각각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3)의 외측에는 이면 시트(32)에 포개어 부직포나 필름 등의 외장 시트를 배치할 수도 있다.
기저귀(1, 101)에서 배측 시트부재(2A)는 기저귀(1, 101)의 전개 신장 상태(도 2 및 도 7 참조)에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기저귀 길이방향(X방향)을 따르는 좌우 한 쌍의 측가장자리부(2a, 2a)와, 기저귀 폭방향(Y방향)을 따르는 상하 한 쌍의 끝가장자리부(2c, 2d)(상측 끝가장자리부(2c), 하측 끝가장자리부(2d))를 가지고 있다. 등측 시트부재(2B)도 마찬가지로 기저귀(1)의 전개 신장 상태(도 2 및 도 7 참조)에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X방향을 따르는 좌우 한 쌍의 측가장자리부(2b, 2b)와, 기저귀 폭방향(Y방향)을 따르는 상하 한 쌍의 끝가장자리부(2c, 2d)(상측 끝가장자리부(2c), 하측 끝가장자리부(2d))를 가지고 있다. 배측 시트부재(2A)와 등측 시트부재(2B)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길이방향(X방향)의 길이가 기저귀 폭방향(Y방향)에 있어서 균일하다.
그리고 배측 시트부재(2A)의 측가장자리부(2a)(상세하게는 그 일부인 접합부(2a'))와, 등측 시트부재(2B)의 측가장자리부(2b)(상세하게는 그 일부인 접합부(2b'))가 접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기저귀(1, 101)에 전술한 한 쌍의 사이드 실부(4, 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히트 실, 고주파 실, 초음파 실,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이 이용된다. 또한 이 접합에 의해, 사이드 실부(4, 4)와 함께 허리 개구부(5)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6, 6)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 101)에서 흡수성 본체(3)는 길이방향의 일단측(배측 시트부재(2A)와 겹쳐 있는 부분)이 배측 시트부재(2A)의 Y방향 중앙영역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측(등측 시트부재(2B)와 겹쳐 있는 부분)이 등측 시트부재(2B)의 Y방향 중앙영역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1, 101)에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는 모두 도 3 및 도 4, 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외층 시트(22)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시트(23)와, 양 시트(22, 23)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실형상 탄성부재(24)를 구비하고 있고, 배측 본체부(20a) 및 등측 본체부(20b)에 각각 허리 신축부(G1) 및 몸통둘레 신축부(G2)가 형성되고, 배측 연장부(21a) 및 등측 연장부(21b)에 연장부 신축부(G3)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 101)에서 허리 신축부(G1)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 101)의 길이방향(X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3) 길이방향의 단부(3a, 3b)보다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다. 몸통둘레 신축부(G2)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 허리 신축부(G1)와 배측 연장부(21a) 또는 등측 연장부(21b)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 신축부(G3)는 배측 연장부(21a) 또는 등측 연장부(21b)에 형성되어 있다.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 신축부(G3)는 각각 기저귀(1)의 폭방향(Y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성 본체(3)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기저귀(1)에서 허리 신축부(G1)는 배측 시트부재(2A) 또는 등측 시트부재(2B)에 있어서 측부 접착영역(27, 27) 사이의 전역에 걸쳐서 신축성을 발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편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 신축부(G3)는 흡수성 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의 바깥쪽에서는 신축성을 발현하고, 흡수성 본체(3)와 겹치는 부분, 특히 흡수성 본체(3)의 폭방향 중앙부와 겹치는 부분에서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도록 기저귀(1) 좌우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기저귀(1, 101)에서 배측 본체부(20a), 등측 본체부(20b), 배측 연장부(21a) 및 등측 연장부(21b)에는 각각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각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등측 본체부(20b)를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4)를 물품 길이방향(X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B1~B3)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제3영역(B3)으로 했을 때, 제1영역~제3영역(B1~B3) 각각에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영역~제3영역(B1~B3) 각각이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제1영역~제3영역(B1~B3) 각각에는 탄성부재(24)가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연장부(21b)를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길이방향(X방향)으로 2등분하여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로 구분했을 때,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 각각에,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 각각이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 각각에는 탄성부재(24)가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본체부(20a)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4)를 물품 길이방향(X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A1~A3)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3영역(A3)으로 했을 때, 제1영역~제3영역(A1~A3) 각각에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영역~제3영역(A1~A3) 각각이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제1영역~제3영역(A1~A3) 각각에는 탄성부재(24)가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에서의 배측 연장부(21a)에도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측 연장부(21a)도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21b)의 X방향 길이(L6)의 절반 길이이며,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와 같다. 그로 인해, 배측 연장부(21a) 전체가, 배측 시트부재(2A)에서의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A4)이다.
이에 대하여, 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보다 길 경우에는, 배측 연장부(21a) 중 본체부(20a)로부터의 거리가 L61까지의 범위가, 배측 시트부재(2A)에서의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A4)이며, 반대로 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보다 짧을 경우에는, L61보다 짧은 L5의 길이를 가지는 영역을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A4)으로 한다.
배측 시트부재(2A)에서의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A4)에도 탄성부재(24)가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배측 시트부재(2A)에서의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A4)을 배측 연장부 상부(A4)라고도 한다.
기저귀(1)는 등측 연장부 상부(B4), 등측 연장부 하부(B5) 및 배측 연장부 상부(A4)가 각각 기저귀 폭방향(X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배측 연장부 상부(A4)는 각각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동 수축 응력(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보다 크다.
즉, 하기 식(2) 및 (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 (2)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 (3)
배측 본체부(20a) 및 등측 본체부(20b), 특히 배측 및 등측의 제3영역(A3, B3)에 강한 수축 응력을 부여하면 기저귀 착용시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배측 및 등측의 제3영역(A3, B3)에만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강한 수축 응력을 부여했을 경우에는 그 영역이 피부에 강하게 닿아 고무 자국이 나거나 피부에 부담이 된다.
이에 대하여,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그것에 대응하는 배측 연장부 상부(A4)에 등측 연장부 하부(B5)보다 강한 어느 정도의 수축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제3영역(A3, B3)의 응력을 억제하여 피부에 대한 부담을 억제하면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측 연장부 하부(B5)에 등측 연장부 상부(B4)보다 약한 수축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등측 연장부 하부(B5)가 만곡이 큰 둔부의 아래쪽에 부드럽게 피트 되어 둔부가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되며, 누설에 대하여 안심감이 있는 외관이 얻어진다. 또한 등측 연장부(21b)가 젖혀지거나, 등측 연장부(21b)가 강하게 수축하여 외관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각 부(A1~A4, B1~B5)의 수축 응력(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은 아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A31, A32, B31, B32 등의 수축 응력도 마찬가지이다.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를 박리하여 도 2와 같이 신장, 전개하여 평면형상으로 펼치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대하여 A1~A4, B1~B5의 영역을 각각 기저귀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절단하여 잘라내, 양쪽 부재(2A, 2B)의 양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의 각 영역의 리드(reed) 내지 띠형상의 샘플을 얻는다. 이러한 절단시에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뿐만 아니라, 흡수성 본체(3) 등을 포함하는 기저귀 전체를 절단하여 흡수체를 제거한다. 흡수체를 제거하고 나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를 각 영역으로 절단해도 된다. 영역의 경계부에 탄성부재가 존재할 경우에는 근접하는 탄성체 이외의 부분에서 절단한다. 잘라낸 각 영역(측정 샘플)의 길이방향의 양측을, 텐실론 인장 시험기(SHIMADZU사 제품 "오토그래프 AG-X")의 척에 끼우고, 상기 측정 샘플을 300mm/min의 속도로 신장시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내부 치수[탄성부재에 의해 외포재의 시트가 수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바꿔 말하면 탄성부재를 배치하지 않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만 신장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사이드 실부 사이의 길이를 100(예를 들면 350mm)으로 했을 때, 80상당(예를 들면 280mm)의 길이까지 신장시킨 후에 71상당(예를 들면 250mm)의 길이까지 수축시켰을 때의 단위길이(10mm)당 인장 하중(cN)을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으로 한다.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내부 치수를 100으로 했을 때 71상당의 길이에 있어서의 되돌아가는 힘을 규정한 이유는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하는 주된 대상자인 유아의 배둘레 길이가 기저귀 내부 치수에 비해 71%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배둘레 길이는 유아의 자세가 변화되었을 때의 배둘레의 둘레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선 자세 및 앉은 자세에서 측정한 배둘레의 평균값이다.
한편, 배측 및 등측의 제3영역(A3, B3)의 수축 응력은 제3영역 전역을 잘라내서 측정하고, 제3영역의 하반부(A32, B32)의 수축 응력은 제3영역의 하반부(A32, B32)를 잘라내서 측정한다.
전술한 1 또는 2 이상의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은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의 1.3~3.5배, 특히 1.5~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0cN인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은 1~30cN, 특히 5~2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은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의 1.3~3.5배, 특히 1.5~3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대하여, 제1~제3영역(A1~A3, B1~B3)은 하기 식(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역의 수축 응력>제3영역의 수축 응력>제1영역의 수축 응력 (1)
즉, 배측 시트부재(2A)의 제1~제3영역(A1~A3)은 제2영역(A2)의 수축 응력이 가장 크고, 제3영역(A3)의 수축 응력이 다음으로 크고, 제1영역(A1)의 수축 응력이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시트부재(2B)의 제1~제3영역(B1~B3)도 제2영역(B2)의 수축 응력이 가장 크고, 제3영역(B3)의 수축 응력이 다음으로 크고, 제1영역(B1)의 수축 응력이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의 제3영역의 하반부(A32, B32)는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제1영역(A1, B1)의 수축 응력(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보다 크고, 제2영역(A2, B2)의 수축 응력(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측 시트부재(2A)의 제1, 제2영역(A1, A2), 제3영역의 하반부(A32)는 제2영역(A2)의 수축 응력이 가장 크고, 제3영역의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이 다음으로 크고, 제1영역(A1)의 수축 응력이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시트부재(2B)의 제1, 제2영역(B1, B2), 제3영역의 하반부(B32)도 제2영역(B2)의 수축 응력이 가장 크고, 제3영역의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이 다음으로 크고, 제1영역(B1)의 수축 응력이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배치되는 제1영역(A1, B1)의 응력을 저감하는 한편, 착용자의 장골(腸骨;iliac)영역에 닿기 쉬운 제2영역(A2, B2)의 응력을 높임으로써, 허리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부의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배둘레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이나 유아의 배 주변이 기저귀에서 나와 버리는 데 따른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3영역(A3, B3)의 적어도 하반부(A32, B32)의 응력을 제2영역(A2, B2)보다 약하게 함으로써, 이 영역들이 피부에 강하게 닿아 고무 자국이 나거나 피부에 부담이 되는 것과 같은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장골영역이란, 착용자의 장골능(腸骨稜;iliac crest)에서 상전 장골극(upper front iliac spine)에 걸친 부위이며, 예를 들면 장골능에서 상전 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대해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61680호에 설명되어 있다.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로 제2영역(A2, B2)이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 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개 신장 상태의 기저귀(1)에서 제2영역(A2, B2)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심위치)와 기저귀의 길이방향 중심선(CL) 사이의 거리(k1 및 k2)(도 2 참조)가, 유아용 기저귀에서는 각각 180~2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22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95~215mm이다. 성인용 기저귀의 경우에는 거리(k1 및 k2)(도 2 참조)가 300~350mm, 특히 305~33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의 수축 응력은 제3영역(B3, A3)의 수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3영역(B3, A3)의 수축 응력은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은 제3영역(B3, A3) 수축 응력의 1.3~2.5배, 특히 1.3~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의 수축 응력은 제3영역의 하반부(B32, A32)의 수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3영역의 하반부(B32, A32)의 수축 응력은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의 수축 응력은 제3영역의 하반부(B32, A32)의 수축 응력의 1.3~2.5배, 특히 1.3~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3영역(B3, A3)의 수축 응력은 제1영역(B1, A1)의 수축 응력의 1배보다 크고 3.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배보다 크고 3.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3영역의 하반부(B32, A32)의 수축 응력은 제1영역(B1, A1)의 수축 응력의 1.2배~3.5배, 특히 1.2~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은 14~50cN, 특히 20~5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3영역(B3, A3)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1영역(B1, A1)의 수축 응력은 1~30cN, 특히 5~2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영역(A3, B3), 특히 그 하반부(A32, B32)가 피부에 강하게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3영역(A3, B3) 및 전술한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력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등측 연장부 상부(B4)는 등측 시트부재(2B)의 제2영역(B2)의 수축 응력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배측 연장부 상부(A4)는 배측 시트부재(2A)의 제2영역(A2)의 수축 응력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 배측 연장부 상부(A4) 양자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3영역(A3, B3)은 상반부(A31, B31) 및 하반부(A32, B32) 각각에 탄성부재(24)가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는 것, 특히 탄성부재(24)가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연장부 상부(B4),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의 하반부(B32)는 배뇨가 이루어져 중량이 증가한 기저귀 가랑이 부분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뇨시에 큰 압력이 가해지기 쉬워, 결과적으로 고무 자국이 나기 쉬운 부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과,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을 동등하게 함으로써, 배뇨시에 등측 연장부 상부(B4)와,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의 하반부(B32)에 걸리는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어느 한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고무 자국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과,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을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의 0.3~2.5배, 특히 0.5~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율이 0.8~1.2배인 경우를 동등하다고 한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의 제2영역(B2)의 수축 응력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의 1.3~2.5배, 특히 1.3~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 상반부(B31)의 수축 응력은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과 같거나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이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기저귀의 신장의 용이함을 더욱 향상시켜, 고무 자국을 한층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제3영역(B3)의 수축 응력은 제1영역(B1)의 수축 응력보다 큰 것이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은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의 0.3~2.5배, 특히 0.5~2.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율이 0.8~1.2배인 경우를 동등하다고 한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의 제2영역(A2)의 수축 응력은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의 1.3~2.5배, 특히 1.3~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 상반부(A31)의 수축 응력은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과 같거나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이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기저귀의 신장의 용이함을 더욱 향상시켜, 고무 자국을 한층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제3영역(A3)의 수축 응력은 제1영역(A1)의 수축 응력보다 큰 것이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에 있어서 하나의 영역과 다른 하나의 영역에서 수축 응력을 다르게 하는 방법은 수축 응력을 다르게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시트(22 및 또는 23)에 고정할 때의 탄성부재의 신장률을 다르게 하는 방법, (2)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배치하는 탄성부재의 굵기를 다르게 하는 방법, (3)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배치하는 탄성부재의 재질을 다르게 하는 방법, (4)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탄성부재의 배치 피치를 다르게 하는 방법, 및 (5)이들 중 2 이상을 조합시킨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서는 등측 연장부(21b)의 X방향 길이(L6)가, 배측 연장부(21a)(이하, 배측 연장부(21a)를 배측 연장부(A4')라고도 함)의 X방향 길이(L5)보다 길다. 그렇기 때문에, 등측 연장부(21b)는 배측 연장부(21a(A4'))에 대응하는 등측 대응부(B4')와, 등측 대응부(B4')보다 더 가랑이부(C)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고 있다.
등측 대응부(B4')는 등측 연장부(21b) 중 등측 본체부(20b)보다 가랑이부(C)측에 위치하고, 등측 본체부(20b)로부터의 거리가 제로 이상이고, 배측 연장부(A4')의 X방향 길이(L5) 이하의 범위이다.
이에 대하여, 배측 연장부(A4')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21b)의 X방향 길이(L6)와 같을 경우에는 등측 연장부(21b) 전체가 등측 대응부(B4')가 된다.
그리고 배측 본체부(20a)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4)를 물품 길이방향(X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A1'~A3')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3영역(A3')으로 했을 때, 제1영역~제3영역(A1'~A3') 각각에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영역~제3영역(A1'~A3') 각각이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에 있어서 배측 연장부(A4')에도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측 연장부(A4')도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배측 시트부재(2A)에 있어서 제1영역~제3영역(A1'~A3') 및 배측 연장부(21a(A4')) 각각에는 탄성부재(24)가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개수는 제1영역~제3영역(A1'~A3')의 각 폭을 가령 40mm 정도로 했을 경우에는 각 영역(A1'~A3')에 대하여 각각 2~80개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개의 범위 내이며, 배측 제3영역(A3') 및 배측 연장부(21a(A4'))에 대해서는 2~80개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개의 범위 내이다.
배측 시트부재(2A)에 배치된 탄성부재의 개수에 따른 수치범위는 각 영역(A1'~A3')의 폭에 기초하여 변동된다. 각 영역(A1'∼A3')의 폭이 40mm보다 큰(또는 작은) 경우에는, 각 수치범위의 최대 개수는 전술한 최대 개수에, 상기 영역의 폭을 40으로 나눈 몫을 곱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가령 영역(A1'~A3')의 폭을 80mm로 했을 경우, 각 영역(A1'~A3')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의 개수는 2~160개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개의 범위 내이며, 배측 제3영역 및 배측 연장부(21a(A4'))에 대해서는 2~160개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개의 범위 내이다.
또한 등측 본체부(20b)를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4)를 물품 길이방향(X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B1'~B3')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제3영역(B3')으로 했을 때, 제1영역~제3영역(B1'~B3') 각각에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영역~제3영역(B1'~B3') 각각이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또한 등측 연장부(21b)에 있어서 등측 대응부(B4') 및 연장부 하부(B5') 각각에 탄성부재(24)가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등측 대응부(B4') 및 연장부 하부(B5') 각각이 Y방향의 신축성을 발현한다.
등측 시트부재(2B)에 있어서 제1영역~제3영역(B1'~B3'), 등측 대응부(B4') 및 연장부 하부(B5') 각각에는 탄성부재(24)가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개수는 제1영역~제3영역(B1'~B3')의 각 폭을 가령 40mm 정도로 했을 경우, 각 영역(B1'~B3')에 대해서는 각각 2~80개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개의 범위 내이며, 등측 제3영역(B3') 및 등측 대응부(B4')에 대해서는 2~80개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개의 범위 내이며, 연장부 하부(B5')에 대해서는 2~80개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개의 범위 내이다.
등측 시트부재(2B)에 배치된 탄성부재의 개수에 따른 수치범위는 각 영역(B1'~B3')의 폭에 기초하여 변동된다. 각 영역(B1'∼B3')의 폭이 40mm보다 큰(또는 작은) 경우에는 각 수치범위의 최대 개수는 전술한 최대 개수에, 상기 영역의 폭을 40으로 나눈 몫을 곱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가령 영역(B1'~B3')의 폭을 80mm로 했을 경우, 각 영역(B1'~B3')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의 개수는 2~160개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개의 범위 내이며, 등측 제3영역(B3') 및 등측 대응부(B4')에 대해서는 2~160개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개의 범위 내이며, 연장부 하부(B5')에 대해서는 2~160개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개의 범위 내이다.
기저귀(101)는 배측 시트부재(2A)에 있어서 제1~제3영역(A1'~A3') 및 배측 연장부(21a(A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A1'~PA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A1'~QA4'로 하는 동시에, 등측 시트부재(2B)에 있어서 제1~제3영역(B1'~B3') 및 등측 대응부(B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B1'~PB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B1'~QB4'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11)~(14)를 만족하고 있다.
비(PA3'/PA1')>비(QA3'/QA1'), 비(PA3'/PA1')>1 (11)
비(PB3'/PB1')>비(QB3'/QB1'), 비(PB3'/PB1')>1 (12)
비(PA4'/PA1')>비(QA4'/QA1'), 비(PA4'/PA1')>1 (13)
비(PB4'/PB1')>비(QB4'/QB1'), 비(PB4'/PB1')>1 (14)
관계식(11) 및 (12)는,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에 대해서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모두 제1영역(A1', B1')보다 제3영역(A3', B3')이 크지만, 탄성부재(24)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에 대해서는 양자의 차이가 그렇게까지 크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13) 및 (14)는,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에 대해서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모두 제1영역(A1', B1')보다 제4영역(배측 연장부(A4'), 등측 대응부(B4'))이 크지만, 탄성부재(24)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에 관한 양자의 차이는 그렇게까지 크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2A)와 등측 시트부재(2B)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착용중에 흘러내림이 생기기 쉽지만, 등측 시트부재 및 배측 시트부재 각각의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사이드 실부의 하단부(가랑이부측의 단부) 부근의 영역에서 특별히 높이면,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드 실부의 하단부(가랑이부측의 단부) 부근은 착용자의 피부에 고무 자국이 나기 쉬워 피부에 부담이 되기 쉽다. 이 이유는 사이드 실부의 하단부(가랑이부측의 단부) 부근이 접촉하는 부위는 착용자의 체형이 타원에 가까운 단면형상이어서, 다른 부분에 비해 고무 자국이 나기 쉽다고 추측된다.
이에 대하여, 기저귀(101)와 같이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양쪽에 연장부(A4', 21b)를 마련하고,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에 대해서는 사이드 실부의 하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제3영역(A3', B3') 그리고 배측 연장부(A4') 및 등측 대응부(B4')의 수축 응력을 제1영역(A1', B1')보다 크게 하는 한편, 탄성부재 1개당 수축 응력은 제3영역(A3', B3) 및 배측 연장부(A4') 및 등측 대응부(B4')의 수축 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착용중 흘러내림 방지성이 뛰어난 동시에,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 피부에 나기 어려워 피부에 부담이 적은 기저귀(팬츠형 흡수성 물품)가 얻어진다.
또한 허리둘레에 배치되는 제1영역(A1', B1')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을 저감함으로써 허리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부 아래쪽으로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누름 자국이 나는 것도 방지되어, 허리둘레의 피부에 대한 부담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을 저감하고, 또한 사이드 실 하단부 주변(제3영역, 제4영역)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을 제1영역보다 적정하게 높임으로써, 허리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의 흘러내림과 사이드 실 하단부 주변으로부터의 흘러내림 모두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제1영역과 제3영역의 1개당 수축 응력의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제3영역, 제4영역에 대해서도 수축 응력이 작은 제1영역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까지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을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QA3'/QA1'), 비(QA4'/QB1'), 비(QB3'/QB1'), 비(QB4'/QB1')는 1이어도 된다.
또한 기저귀(101)는 하기 관계식(15) 및 (16)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A3'=PA4', QA3'=QA4' (15)
PB3'=PB4', QB3'=QB4' (16)
관계식(15)는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과 배측 연장부(A4')에서 X방향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이 같고, 또한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과 배측 연장부(A4')에서 탄성부재(24) 1개당 수축 응력도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16)은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과 등측 대응부(B4')에서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이 같고, 또한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과 등측 대응부(B4')에서 탄성부재(24)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도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15), (16)을 만족함으로써, 고무 자국이 나기 쉬운 사이드 실 하단부 둘레가장자리부에서 제3영역, 또는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균일하게 응력을 저감할 수 있고, 사이드 실 하단부 둘레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고무 자국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이 같은 경우에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양자의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 차이의 절대값이 2.5cN 이하인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탄성부재(24)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이 같은 경우에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양자의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 차이의 절대값이 2.5cN 이하인 경우도 포함된다.
각 영역(A1'~A4', B1'~B5')의 수축 응력은 아래와 같이 측정한다.
[측정 샘플]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를 박리하여 도 7과 같이 신장, 전개하여 평면형상으로 펼치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대하여 A1'~A4', B1'~B5'의 영역을 각각 기저귀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절단하여 잘라내, 양쪽 부재(2A, 2B)의 양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의 각 영역의 리드 내지 띠형상의 샘플을 얻는다. 이러한 절단시에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뿐만 아니라, 흡수성 본체(3) 등을 포함하는 기저귀 전체를 절단하여 흡수체를 제거한다. 흡수체를 제거하고 나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를 각 영역으로 절단해도 된다. 영역의 경계부에 탄성부재가 존재할 경우에는 근접하는 탄성체 이외의 부분에서 절단한다.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의 측정]
인장 시험기(SHIMADZU사 제품 "오토그래프 AG-X")의 척에 샘플의 양 끝을 끼우고 300mm/min의 속도로 신장시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내부 치수[탄성부재에 의해 외포재의 시트가 수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바꿔 말하면 탄성부재를 배치하지 않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만 신장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사이드 실부 사이의 길이를 100(예를 들면 350mm)으로 했을 때, 80상당(예를 들면 280mm)의 길이까지 신장시킨 후에 71상당(예를 들면 250mm)의 길이까지 수축시켰을 때의 단위길이(10mm)당 인장 하중(cN)을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으로 한다.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내부 치수를 100으로 했을 때 71상당의 길이에 있어서의 되돌아가는 힘을 규정한 이유는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1)를 착용하는 주된 대상자인 유아의 배둘레 길이가 기저귀 내부 치수에 비해 71%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배둘레 길이는 유아의 자세가 변화되었을 때의 배둘레의 둘레길이의 변화를 고려하여, 선 자세 및 앉은 자세에서 측정한 배둘레의 평균값이다.
[탄성부재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Q)의 측정]
인장 시험기(SHIMADZU사 제품 "오토그래프 AG-X")의 척에 샘플의 양 끝을 끼우고 300mm/min의 속도로 신장시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내부 치수[탄성부재에 의해 외포재의 시트가 수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바꿔 말하면 탄성부재를 배치하지 않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만 신장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사이드 실부 사이의 길이를 100(예를 들면 350mm)으로 했을 때, 80상당(예를 들면 280mm)의 길이까지 신장시킨 후에 71상당(예를 들면 250mm)의 길이까지 수축시켰을 때의 수축 응력을 측정한 샘플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개수로 나눈 값을 탄성부재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Q)으로 한다.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내부 치수를 100으로 했을 때 71상당의 길이에 있어서의 되돌아가는 힘을 규정한 이유는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1)를 착용하는 주된 대상자인 유아의 배둘레 길이가 기저귀 내부 치수에 비해 71%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배둘레 길이는 유아의 자세가 변화되었을 때의 배둘레의 둘레길이의 변화를 고려하여, 선 자세 및 앉은 자세에서 측정한 배둘레의 평균값이다.
흘러내림 방지 및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나 피부에 대한 부담 방지의 관점, 혹은 후술하는 효과의 1 또는 2 이상을 보다 확실하게 얻는 관점에서, 상기 비(PA3'/PA1'), 상기 비(PB3'/PB1'), 상기 비(PA4'/PA1') 및 상기 비(PB4'/PB1')는 각각 1.5~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3.5이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비(QA3'/QA1'), 상기 비(QB3'/QB1'), 상기 비(QA4'/QA1') 및 상기 비(QB4'/QB1')는 각각 0.3~2.2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4이다.
또한 기저귀(101)는 하기 관계식(17) 및 (18)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cN<QA3'<23cN (17)
4cN<QB3'<23cN (18)
관계식(17) 및 (18)은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모두 제3영역(A3', B3)의 탄성부재(24)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이 4cN 초과, 23cN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17) 및 (18)을 만족함으로써, 기온이 높아 유아가 땀을 흘리기 쉬운 시기나, 장착 시간이 장시간인 것과 같은 고무 자국이 나기 쉬운 상황에서 사용해도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고무 자국)이 피부에 나기 어려워 피부에 대한 부담이 적다. 이러한 고무 자국은 압박에 의한 피부에 대한 부담뿐만 아니라 붉은 기나 땀도, 심한 경우에는 피부염, 상처의 원인도 될 수 있다. 또한 피부염이나 상처가 발병하지 않더라도, 어머니는 이러한 발병에 대한 불안이나 아이가 압박에 의한 위화감을 느끼지 않을까 하는 불안을 느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고무 자국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하게 수축 응력을 저하시키면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위치 어긋남에 의해 발생한 틈으로부터 배설물이 새거나 고간부의 흡수체가 아래로 늘어진 모양이 됨으로써 유아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된다. 관계식(17) 및 (18)을 만족함으로써, 이러한 고무 자국 방지와 흘러내림 방지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QA3' 및 QB3'는 각각 4cN 초과 20cN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cN 초과 15cN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흘러내림 방지 및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나 피부에 대한 부담 방지의 관점, 혹은 후술하는 효과의 1 또는 2 이상을 보다 확실하게 얻는 관점에서, 등측 제3영역(B3)의 X방향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B3')은 14~40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측 제3영역(A3')의 X방향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A3')은 14~40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등측 대응부(B4')의 X방향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B4')은 14~40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장부 하부(B5')의 X방향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B5')은 5~30cN, 특히 5~2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배측 연장부(A4')의 X방향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A4')은 14~40cN, 특히 17~3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부 아래쪽으로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누름 자국이 나는 것도 방지되어 허리둘레의 피부에 대한 부담도 방지하는 관점에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1영역(B1', A1')의 X방향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B1', PA1')은 각각 5~30cN, 특히 5~25cN인 것이 바람직하다.
흘러내림 방지 및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나 피부에 대한 부담 방지의 관점, 혹은 후술하는 효과의 1 또는 2 이상을 보다 확실하게 얻는 관점에서, 등측 대응부(B4')의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QB4')은 4~23cN, 특히 4~20cN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측 연장부(A4')의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QA4')은 4~23cN, 특히 4~20cN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01)는 하기 관계식(19) 및 (20)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A2'>PA3', PB2'>PB3' (19)
PA2'>PA4', PB2'>PB4' (20)
관계식(19)는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에 대해서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제3영역(A3', B3)의 수축 응력이 제2영역(A2', B2')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20)은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에 대해서는, 배측 연장부(A4') 및 등측 대응부(B4')의 수축 응력이 제2영역(A2', B2')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닿기 쉬운 제2영역(A2', B2')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을 높이고, 허리 개구 둘레가장자리부의 제1영역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을 제2영역보다 저감시킴으로써, 허리 개구부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장골영역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장골영역보다도 몸의 단면형상이 타원에 가까워 다른 영역보다 비교적 고무 자국의 나기 쉬운 제3영역(A3', B3) 그리고 배측 연장부(A4') 및 등측 대응부(B4')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을 제2영역(A2', B2')보다 약하게 함으로써, 이 영역들이 피부에 강하게 닿아 고무 자국이 나거나 피부에 부담이 되는 것과 같은 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비(PA2'/PA3'), 비(PB2'>PB3'), 비(PA2'>PA4') 및 비(PB2'>PB4')는 각각 1보다 크고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보다 크고 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보다 크고 2.5 이하이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PB2', PA2')은 각각 14~50cN, 특히 20~50cN이고,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QB2', QA2')은 각각 4~23cN, 특히 4~20cN인 것이, 허리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장골 둘레가장자리부에 누름 자국이 나는 것도 방지되어, 장골 둘레가장자리부 피부에 대한 부담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장골영역이란,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 장골극에 걸친 부위이며, 예를 들면 장골능에서 상전 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대해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61680호에 설명되어 있다.
기저귀(101)를 착용한 상태로 제2영역(A2', B2')이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 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개 신장 상태의 기저귀(101)에 있어서, 제2영역(A2', B2')의 중심위치(기저귀(101) 길이방향에서의 중심위치)와 기저귀 길이방향 중심선(CL) 사이의 거리(k1 및 k2)(도 7 참조)가, 유아용 기저귀에서 각각 180~2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22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95~215mm이다. 성인용 기저귀의 경우에는 거리(k1 및 k2)(도 7 참조)가 300~350mm, 특히 305~33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귀(101)는 하기 관계식(22)~(25)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PA2'/PA3')>비(QA2'/QA3'), 비(PA2'/PA3')>1 (22)
비(PB2'/PB3')>비(QB2'/QB3'), 비(PB2'/PB3')>1 (23)
비(PA2'/PA4')>비(QA2'/QA4'), 비(PA2'/PA4')>1 (24)
비(PB2'/PB4')>비(QB2'/QB4'), 비(PB2'/PB4')>1 (25)
제2영역은 장골영역에 상당하며, 기저귀의 허리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의 흘러내림 방지에는, 제1영역의 수축 응력을 저감하고 제2영역의 수축 응력을 높이는 것이 유효하다. 특히 허리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부는 앉기 서기 등의 동작에 따라 둘레길이의 변동이 큰 부분이며, 사이드 실 하단부 둘레가장자리부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동작에 따른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관계식(22)~(25)를 만족하는 동시에 (11)~(14)의 관계식을 만족함으로써, 기저귀의 배로부터의 위치 어긋남과 사이드 실 하단부 둘레가장자리부의 위치 어긋남 모두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또한 몸통둘레영역과 마찬가지로 장골영역에 대해서도 단위개수당 응력을 저감함으로써 배둘레 전역에 걸쳐서 고무 자국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QA2'/QA3'), 비(QB2'/QB3'), 비(QA2'/QA4'), 비(QB2'/QB4')는 1이어도 된다.
한편, 탄성부재(24)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이 같은 경우에는, 전술한 대로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양자의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 차이의 절대값이 2.5cN 이하인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기저귀(101)는 연장부 하부(B5')의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을 PB5', 탄성부재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을 QB5'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21)을 만족시키고 있다.
비(PB4'/PB5')>비(QB4'/QB5'), 비(PB4'/PB5')>1 (21)
관계식(21)은,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은 등측 대응부(B4')보다 연장부 하부(B5') 쪽이 작고,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의 등측 대응부(B4')와 연장부 하부(B5')의 차이는 X방향의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의 등측 대응부(B4')와 연장부 하부(B5')의 차이보다 작고, 1개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의 등측 대응부(B4')와 연장부 하부(B5')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이 등측 대응부(B4')보다 연장부 하부(B5') 쪽이 작음으로써, 특히 둔부의 만곡이 큰 둔부 아래쪽에서 연장부 전역이 둔부를 따르도록 피트되기 쉬워진다. 또한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이 작음으로써, 연장부 하부(B5')가 수축했을 경우의 Y방향의 폭이 커지고, 그 결과 둔부를 덮는 면적이 커짐으로써, 기저귀로부터 둔부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누설에 대한 불안감이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연장부가 수축했을 경우의 Y방향의 폭이 커지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장부 하부(B5')의 탄성부재를 고정할 때의 신장률을 등측 대응부(B4')의 탄성부재를 고정할 때의 신장률보다 작게 함으로써 한층 더 둔부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1개당 수축 응력의 차이를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의 차이보다 작게 하는 것은 고무 자국이 나기 쉬운 등측 대응부(B4')에서의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을, 단위길이당 수축 응력이 작고, 1개당 수축 응력이 작아, 고무 자국이 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는 연장부 하부에 근접시킴으로써, 등측 대응부(B4')의 고무 자국을 방지할 수 있고, 연장부 전역에서 고무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QB4'/QB5')는 1이어도 된다.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PB5')을 등측 대응부(B4')의 동 수축 응력(PB4')보다 작게 하는 방법으로는, 등측 대응부(B4')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연장부 하부(B5')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배치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전술한 수축 응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더해, 연장부 하부의 탄성부재를 포함한 시트부재의 X방향의 굽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특히 만곡이 큰 둔부의 하부영역에서 피트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배치 피치는 각각의 탄성부재의 X방향의 중심위치간의 거리이다.
또한 등측 본체부의 제1영역(B1')은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연장부 하부(B5')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와 동일한 것이, 둔부와 마찬가지로 잘록함이나 만곡이 큰 배둘레 둘레가장자리부를 추종하기기 쉬운 점이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트부재의 강성이 부드러워 피트성이 뛰어나 위화감이 적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배치 피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배치 피치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양자의 배치 피치 차이의 절대값이 2mm 이하인 경우도 포함된다.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에 있어서 하나의 영역과 다른 하나의 영역에서 X방향의 단위길이당 Y방향의 수축 응력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1)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시트(22 및 또는 23)에 고정할 때의 탄성부재의 신장률을 다르게 하는 방법, (2)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배치하는 탄성부재의 굵기를 다르게 하는 방법, (3)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배치하는 탄성부재의 재질을 다르게 하는 방법, (4)수축 응력이 높은 영역과 수축 응력이 낮은 영역에서, 탄성부재의 배치 피치를 다르게 하는 방법, 및 (5)이들 중 2 이상을 조합시킨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서도 등측 연장부(21b)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등측 연장부 상부 및 등측 연장부 하부로 구분했을 때, 등측 연장부 상부 및 배측 시트부재(2A)에서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각각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의 동수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에 공통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는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의 본체부(20a, 20b)에 허리 신축부(G1) 및 몸통둘레 신축부(G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의 연장부(21a, 21b)에 연장부 신축부(G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신축부(G1~G3) 모두에 있어서,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산점(散點)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융착부(접합부)(26)에서 접합되어 있고, 탄성부재(24)가 그 융착부(26)들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부(G1~G3)에는 기저귀(1, 101)의 길이방향(X방향)에 접합부(26)가 간헐적으로 직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 열이 기저귀(1, 101)의 폭방향(Y방향)에 복수열 형성되어 있고, 그들 접합부 열에서의 각 접합부의 X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신축부(G1~G3) 모두에 있어서,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각 X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접합부(26)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부재(24)는 후술하는 측부 접착영역(27) 또는 흡수성 본체측 접착영역(28)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배측 시트부재(2A)는 도 3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시트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2a, 2a) 또는 그 근방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측부 접착영역(2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측 시트부재(2A)는 측부 접착영역(27)보다 기저귀 폭방향 중앙측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흡수성 본체측 접착영역(28)을 가지고 있다.
등측 시트부재(2B)는 도 4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시트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2b, 2b) 또는 그 근방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측부 접착영역(2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등측 시트부재(2B)도 측부 접착영역(27)보다 기저귀 폭방향 중앙측에, 외층 시트(22)와 내층 시트(23)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흡수성 본체측 접착영역(28)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모두에 있어서, 허리 신축부(G1)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한 쌍의 측부 접착영역(27) 각각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측부 접착영역(27)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한편,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모두에 있어서,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 신축부(G3)에 배치된 탄성부재(24)는 측부 접착영역(27) 및 흡수성 본체측 접착영역(28) 각각에 있어서 시트(22, 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측부 접착영역(27)과 흡수성 본체측 접착영역(28) 사이에서는 어느 시트(22, 23)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흡수성 본체측 접착영역(28)은 도 3 및 도 4, 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폭방향 외측의 끝이,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의 위치보다 기저귀 폭방향의 안쪽(중앙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 대신에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의 안팎에 걸치도록 형성하거나, 흡수성 본체(3)의 측가장자리(3c)보다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의 허리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 신축부(G3)에서는 탄성부재(24)가 수축함으로써, 인접하는 접합부 열 사이의 시트(22 및 23)가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변형하여, 인접하는 접합부 열 사이에 시트(22) 또는 시트(23)로 이루어지는 주름(29)이 생기는 동시에, 양 시트(22, 23) 사이에는 주름(29)과 주름(29)으로 주위를 둘러싸인 중공부(30)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주름(29)이나 중공부(30)가 형성됨으로써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부드러움이 향상되어 촉감 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피부 접촉면측에 형성되는 주름(29) 사이를 공기가 유통하기 쉬워 습기가 차는 것에 대한 방지성도 뛰어나다. 특히 내층 시트(23)를 부직포 등의 통기성 시트로 형성한 경우 등에는 기저귀(1, 101) 내의 습기를 외부로 내보내기가 한층 쉬워진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에서는 도 3 및 도 4, 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있어서, 본체부(20a, 20b)와 연장부(21a, 21b)의 경계영역에 측부 접착영역(27)의 폭(Y방향의 길이)이 다른 부분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의 등측 시트부재(2B)에 대해서는 제3영역(B3) 및 등측 연장부 상부(B4)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1)이,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고, 기저귀(1)의 배측 시트부재(2A)에 대해서는 제3영역(A3) 및 배측 연장부 상부(A4)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1)이, 제1영역(A1), 제2영역(A2)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01)의 등측 시트부재(2B)에 대해서는 제3영역(B3') 및 등측 대응부(B4')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1)이,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연장부 하부(B5')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고, 기저귀(101)의 배측 시트부재(2A)에 대해서는 제3영역(A3')의 하반부 및 배측 연장부(A4')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1)이, 제1영역(A1'), 제2영역(A2')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다.
사이드 실부(4) 하단 부근에서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특히 배뇨시에 응력이 높아지기 쉽고, 또한 착용자 피부의 곡률 등과의 관계로 인해 피부에 고무 자국이 나기 쉽다.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본체부(20a, 20b)와 연장부(21a, 21b)의 경계영역, 특히 등측 시트부재의 제3영역(B3) 및 등측 연장부 상부(B4), 및/또는 배측 시트부재가 대응하는 영역에 측부 접착영역(27)의 폭이 큰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그 부분은 주름(29)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평활하게 유지되어 피부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탄성부재에 따른 피부에 대한 압력을 분산시켜 고무 자국이 피부에 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흘러내림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서도 마찬가지로 본체부(20a, 20b)와 연장부(A4', 21b)의 경계영역, 특히 등측 시트부재의 제3영역(B3') 및 등측 대응부(B4'), 및/또는 배측 시트부재의 대응하는 영역에 측부 접착영역(27)의 폭이 큰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그 부분은 주름(29)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평활하게 유지되어 피부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탄성부재에 따른 피부에 대한 압력을 분산시켜 고무 자국이 피부에 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흘러내림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귀를 전개했을 때 좌우의 W2의 폭의 합계는 전개했을 때의 배측(또는 등측) 시트부재의 폭의 10~65%가 바람직하고, 특히 15~60%가 바람직하다. 또한 W2의 폭은 W1의 폭의 1.2~10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4~7.5배가 전술한 효과를 얻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배측 연장부(21a)의 길이(L5)(도 2, 도 7 참조)는 배측 시트부재(2A)의 길이(La)(도 2, 도 7 참조)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등측 연장부(21b)의 길이(L6)(도 2, 도 7 참조)는 등측 시트부재(2B)의 길이(Lb)(도 2, 도 7 참조)의 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용 기저귀의 경우,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 각각의 길이(L5, L6)가 10~1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mm이다. 성인용 기저귀의 경우, 배측 및 등측 연장부(21a, 21b) 각각의 길이(L5, L6)가 10~2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50이다.
또한 등측 연장부(21b)의 길이(L6)는 배측 연장부(21a)의 길이(L5)보다 긴(L6>L5) 것이, 배측 연장부(21a)와 등측 연장부(21b) 사이의 틈이 사이드 실부의 박리나 시트의 찢어짐에 의해 생긴 듯한 인상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등측 연장부(21b)의 길이(L6)는 배측 연장부(21a) 길이(L5)의 1.2~10배, 특히 1.5~6.5배인 것이 체형에 대한 피트성이나 외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잘록함이나 만곡을 가지는 체형에 대한 피트성이나 엉덩이 튀어나옴 방지 등의 장착 외관 향상, 장착시의 위화감 개선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배측 연장부(21a) 및 등측 연장부(21b)의 길이(L5, L6)는 모두 기저귀 길이방향(X방향) 길이이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 101)에 있어서,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는 허리 개구부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끝을 이루는 끝가장자리부(2c)에 있어서 내층 시트(23)측으로 접힌 연장 접힘부(22a, 23a)를 가지고 있으며, 연장 접힘부(22a, 23a)는 사이드 실부(4)에 있어서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가 접혀 있지 않은 부분과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과 겹치는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흡수성 본체(3)의 표면 시트(31)측의 면에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1, 101)에 있어서 외층 시트(22) 및 내층 시트(23)로는 이러한 종류의 물품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시트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연성 등의 관점에서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롤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부직포 또는 2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부직포와 필름을 일체화한 시트여도 된다. 탄성부재(24)의 형성 재료로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각종 공지의 탄성 재료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탄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네오프렌 등의 합성 고무, 천연 고무, EVA, 신축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탄성부재의 형태로는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다각형상 등인 실형상(실고무 등) 혹은 끈형상(평고무 등)인 것, 또는 멀티 필라멘트 타입의 실형상인 것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기저귀(1, 101)는 예를 들면 배측 시트부재(2A)의 띠형상 원단과 등측 시트부재(2B)의 띠형상 원단을 이간시켜서 반송하면서, 흡수성 본체(3)를 양자 사이에 걸치도록 간헐적으로 고정하고, 이어서 배측 시트부재(2A)의 띠형상 원단과 등측 시트부재(2B)의 띠형상 원단이 겹치도록 반으로 접은 후 사이드 실부(4)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 실 등(접합)을 실시하고, 그 접합과 동시 또는 그 후에 절단하여 낱개의 일회용 기저귀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다리 개구부 형성용 관통 구멍이나 컷아웃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외포재의 원단으로부터 트림을 제거할 필요가 없게 하거나, 제거해야 할 트림의 소형화 등을 꾀할 수 있다. 특히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의 띠형상 원단을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직선으로 절단한 것이, 완성된 기저귀(1, 101)의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가 되도록 하는 것이 트림 제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측 시트부재(2A)와 등측 시트부재(2B)는 각각 탄성부재(24)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도트형상의 접합부(26)를 가지는 대신에, 기저귀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그 안쪽에 배치된 내층 시트(23)가 전역에 있어서 접착된 구조를 가져도 된다. 또한 허리 신축부(G1), 몸통둘레 신축부(G2), 연장부 신축부(G3)는 각각 그 전체 또는 일부가, 기저귀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22)와 그 안쪽에 배치된 내층 시트(23)가 전역에 있어서 접착된 구조를 가져도 된다.
또한 몸통둘레 신축부(G2)를 배측 시트부재(2A) 및/또는 등측 시트부재(2B)의 전체 폭에 걸치도록 형성해도 되고, 연장부 신축부(G3)도 배측 시트부재(2A) 및/또는 등측 시트부재(2B)의 전체 폭에 걸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는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보다 길어도 되고, 그 경우, 배측 연장부(21a)에 있어서, 등측 연장부 상부(B4)에 대응하는 부분(배측 연장부 상부(A4))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분(등측 연장부 하부(B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그 부분이 Y방향 신축성을 가질 경우, 그 수축 응력은 배측 연장부 상부(A4)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되고 같아도 되지만, 배측 연장부 상부(A4)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실부(4)는 배측 및 등측 시트부재의 측가장자리부(2a, 2b)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사이드 실부(4)의 외측에 배측 시트부재(2A)와 등측 시트부재(2B)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가는 폭(예를 들면 0mm 초과 20mm 이하)의 비접합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유아 또는 성인용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팬츠형 생리용 냅킨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 생략 부분 및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의 요건은 적절히 실시형태 사이에서 서로 치환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1>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배측 시트부재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등측 시트부재와,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에 걸치도록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는 각각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갖지 않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등측 연장부 상부 및 등측 연장부 하부로 구분했을 때,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 그리고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가 모두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각각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의 동 수축 응력보다 큰 팬츠형 흡수성 물품.
<2>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제3영역의 하반부는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제1영역의 수축 응력보다 크고, 제2영역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1>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시트부재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상기 제2영역의 수축 응력보다 낮은, <1> 또는 <2>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시트부재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상기 제3영역의 하반부의 수축 응력과 동등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5>상기 등측 시트부재(2B)의 제3영역(B3) 하반부(B32)의 수축 응력은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의 0.8~1.2배인 <4>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6>상기 배측 시트부재(2A)의 제3영역(A3) 하반부(A32)의 수축 응력은 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의 0.8~1.2배인 <4> 또는 <5>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7>상기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 길이가 상기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 길이보다 긴,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8>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에, 2장의 시트 사이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탄성부재가, 각각 물품 길이방향에 이웃하는 접합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9>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상기 2장의 시트 사이가 접착제로 접합된 접착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경계영역에 상기 접착영역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0>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의 길이방향(X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단부(3a, 3b)보다 바깥쪽에 허리 신축부(G1)가 형성되어 있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1>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있어서, 기저귀(1)의 길이방향(X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신축부(G1)와 배측 연장부(21a) 또는 등측 연장부(21b)와의 사이에 몸통둘레 신축부(G2)가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2>상기 몸통둘레 신축부(G2)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Y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3>배측 시트부재 및/또는 등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연장부 신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 신축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Y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성 본체(3)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4>허리 신축부(G1)는 배측 시트부재(2A) 또는 등측 시트부재(2B)에 있어서 측부 접착영역(27, 27) 사이의 전역에 걸쳐서 신축성을 발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5>몸통둘레 신축부(G2) 및 연장부 신축부(G3)는 흡수성 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 바깥쪽에서는 신축성을 발현하고, 흡수성 본체(3)와 겹치는 부분, 특히 흡수성 본체(3)의 폭방향 중앙부와 겹치는 부분에서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기저귀(1))의 좌우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10>~<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6>배측 본체부(20a), 등측 본체부(20b), 배측 연장부(21a) 및 등측 연장부(21b)에는 각각 복수개의 탄성부재(24)가 각각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간격을 두고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7>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와 같은 <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8>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보다 긴 <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9>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가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보다 짧은 <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0>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은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의 1.3~3.5배, 특히 1.5~3배인 <1>~<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1>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0cN인 <1>~<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2>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은 1~30cN, 특히 5~25cN인 <1>~<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3>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은 등측 연장부 하부(B5)의 수축 응력의 1.3~3.5배, 특히 1.5~3배인 <1>~<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4>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은 14~35cN, 특히 17~30cN인 <1>~<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5>배측 시트부재(2A)의 제1~제3영역(A1~A3)은 제2영역(A2)의 수축 응력이 가장 큰 <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6>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A2, B2)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기저귀(1))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2영역(A2, B2)이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 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는 <1>~<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7>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이 제3영역(B3, A3)의 수축 응력의 1.3~2.5배, 특히 1.3~2배인 <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8>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2영역(B2, A2)의 수축 응력이 제3영역 하반부(B32, A32)의 수축 응력의 1.3~2.5배, 특히 1.3~2배인 <1>~<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29>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등측 시트부재(2B) 및 배측 시트부재(2A) 각각에 있어서, 제3영역 하반부(B32, A32)의 수축 응력이 제1영역(B1, A1)의 수축 응력의 1.2배~3.5배, 특히 1.2~3.0배인 <1>~<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0>상기 배측 시트부재 및 상기 등측 시트부재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탄성부재가 시트간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 측부 접착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시트부재(2A) 및 등측 시트부재(2B) 각각에 있어서, 본체부(20a, 20b)와 연장부(21a, 21b)의 경계영역에, 측부 접착영역(27)의 폭(Y방향의 길이)이 다른 부분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1>~<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1>상기 등측 시트부재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탄성부재가 시트간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 측부 접착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제3영역(B3) 및 등측 연장부 상부(B4)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1)이,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등측 연장부 하부(B5)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는 <1>~<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2>상기 배측 시트부재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탄성부재가 시트간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 측부 접착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제3영역(A3) 및 배측 연장부 상부(A4)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1)이, 제1영역(A1), 제2영역(A2)에서의 측부 접착영역(27)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는 <1>~<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3>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는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배측 및 등측 본체부와, 상기 배측 및 등측 본체부에서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갖지 않는 배측 및 등측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등측 연장부는 물품 길이방향의 길이가 배측 연장부와 같거나 그보다 길고,
배측 본체부 및 배측 연장부 그리고 등측 본체부 및 등측 연장부의 배측 연장부에 대응하는 등측 대응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3영역(A3')으로 하고,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제1~제3영역(A1'~A3') 및 배측 연장부(A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A1'~PA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A1'~QA4'로 하는 동시에,
등측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제3영역(B3')으로 하고, 등측 시트부재에서의 제1~제3영역(B1'~B3') 및 등측 대응부(B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B1'~PB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B1'~QB4'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11)~(14)를 만족하는 <1>~<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비(PA3'/PA1')>비(QA3'/QA1'), 비(PA3'/PA1')>1 (11)
비(PB3'/PB1')>비(QB3'/QB1'), 비(PB3'/PB1')>1 (12)
비(PA4'/PA1')>비(QA4'/QA1'), 비(PA4'/PA1')>1 (13)
비(PB4'/PB1')>비(QB4'/QB1'), 비(PB4'/PB1')>1 (14)
<34>상기 비(PA3'/A1'), 상기 비(PB3'/PB1'), 상기 비(PA4'/PA1') 및 상기 비(PB4'/PB1')는 각각 1.5~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3.5인 <1>~<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5>상기 비(QA3'/QA1'), 상기 비(QB3'/QB1'), 상기 비(QA4'/QA1') 및 상기 비(QB4'/QB1')는 각각 0.3~2.2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4인 <1>~<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6>하기 관계식(15) 및 (16)을 만족하는 <33>~<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PA3'=PA4', QA3'=QA4' (15)
PB3'=PB4', QB3'=QB4' (16)
<37>하기 관계식(17) 및 (18)을 만족하는 <33>~<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cN<QA3'<23cN (17)
4cN<QB3'<23cN (18)
<38>하기 관계식(19) 및 (20)을 만족하는 <33>~<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PA2'>PA3', PB2'>PB3' (19)
PA2'>PA4', PB2'>PB4' (20)
<39>상기 등측 연장부는 상기 등측 대응부에서 더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 하부는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장부 하부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B5',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B5'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21)을 만족시키는 <33>~<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비(PB4'/PB5')>비(QB4'/QB5'), 비(PB4'/PB5')>1 (21)
<40>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제2~제3영역(A2'~A3') 및 배측 연장부(A4')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제1영역(A1')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작은, <33>~<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1>상기 등측 시트부재에서의 제2~제3영역(B2'~B3') 및 등측 대응부(B4')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등측 시트부재에서의 제1영역(B1')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작은, <33>~<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2>상기 등측 연장부는 상기 등측 대응부에서 더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며, 상기 등측 대응부 및 상기 연장부 하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등측 대응부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연장부 하부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큰, <33>~<4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3>상기 등측 연장부는 상기 등측 대응부에서 더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며, 상기 등측 본체부의 제1영역 및 상기 연장부 하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장부 하부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등측 본체부의 제1영역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와 동일한, <33>~<4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4>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에, 2장의 시트 사이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탄성부재가, 각각 물품 길이방향에 이웃하는 접합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는, <33>~<4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45>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유아용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인 <1>~<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 의해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에 표 1에 나타내는 탄성부재를 표 1에 나타내는 양태로 배치하고, 각 부가 표 1에 나타내는 수축 응력을 가지는 도 1~도 2에 나타내는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탄성부재는 모두 스판덱스 실형상 탄성체를 이용하였다.
한편, 표 1, 2의 「↑」는 위와 같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의 기저귀에서 배측 연장부(21a)의 X방향 길이(L5)는 등측 연장부(21b)의 X방향 길이(L6)의 1/2의 길이(등측 연장부 상부(B4)의 X방향 길이(L61)와 같은 길이)로 하였다. 또한 비교예 1, 2도 마찬가지로 하였다. 각 부의 수축 응력은 기저귀 길이방향의 단위길이(10mm)당 수축 응력이다.
Figure pct00001
[평가]
얻어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의해 (1)흘러내리기 어려움, (2)다리둘레에 고무 자국이 나기 어려움에 대하여 평가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1)흘러내리기 어려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기저귀를 1~2세 유아에 상당하는 베이비 동적 모델에 장착시켜, 240g(기상시 상정)의 유사 오줌을 주입하여 30분 동작시킨 후의 다리둘레의 흘러내림량을 비교하였다. 다리둘레의 흘러내림량은 서혜와 이주(耳珠;tragus) 수선의 교점(서혜 사이드점)에서 기저귀의 사이드 실 하단까지의 길이를 다리둘레 흘러내림량으로서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
○: 다리둘레 흘러내림량이 15mm 미만
△: 다리둘레 흘러내림량이 15mm 이상 25mm 미만
×: 다리둘레 흘러내림량이 25mm 이상
(2)다리둘레에 고무 자국이 나기 어려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기저귀를 1~2세 유아에게 4~10시간 장착(통상대로 사용)시켜 고무 자국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 고무 자국이 거의 보이지 않는 수준
○: 고무 자국이 있어도 신경 쓰이지 않는 수준
×: 고무 자국이 선명하게 나 있어 신경이 쓰이는 수준
흘러내리기 어려움 다리둘레의 고무 자국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
비교예 2 ×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등측 연장부 상부(B4)의 수축 응력 및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그 대응 부분(배측 연장부 상부(A4))의 수축 응력을 등측 연장부 하부의 수축 응력보다 높게 함으로써, 만곡이 있는 엉덩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는 데다가, 고무 자국이 나기 쉬운 제3영역의 응력을 과도하게 높이지 않아도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몸통둘레 주변의 고무 자국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결과를 대비해 보면, 연장부 상부의 응력을 제3영역의 하반부의 수축 응력과 동등하게 함으로써, 고무 자국이 나기 쉬운 제3영역의 수축 응력을 과도하게 높이지 않아도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고무 자국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11]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에 표 3에 나타내는 탄성부재를 표 3에 나타내는 양태로 배치하고, 각 부가 표 3에 나타내는 수축 응력을 가지는 도 6~도 9에 나타내는 개략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탄성부재는 모두 스판덱스 실형상 탄성체를 이용하였다.
한편, 표 3의 「↑」는 위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교예 11의 기저귀에 있어서 배측 연장부(21a(A4'))의 X방향 길이(L5)는 등측 연장부(21b)의 X방향 길이(L6)의 1/2의 길이로 하였다. 또한 비교예 11도 마찬가지로 하였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1 및 비교예 11에서의 각 수축 응력의 비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평가]
얻어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1)흘러내리기 어려움, (2)다리둘레에 고무 자국이 나기 어려움에 대하여 평가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흘러내리기 어려움 다리둘레의 고무 자국
실시예 11
비교예 11 ×
표 5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기저귀(특히 상기 관계식(11)~(14)를 만족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는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와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흘러내림 방지성이 뛰어나고,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 피부에 나기 어려워 피부에 대한 부담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외포재가 배측 시트부재와 등측 시트부재로 분할되어 효율적으로 제조 가능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서, 둔부의 피복성이 뛰어나고 착용중에 흘러내림이나 외관 악화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 특히 상기 관계식(11)~(14)를 만족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탄성부재의 누름 자국이 피부에 나기 어려워 피부에 대한 부담도 적다.

Claims (17)

  1.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배측 시트부재와,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등측 시트부재와,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에 걸쳐서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는 각각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갖지 않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여 등측 연장부 상부 및 등측 연장부 하부로 구분했을 때,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 그리고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본체부,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가 모두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각각,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연장부 하부의 동(同) 수축 응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제3영역의 하반부는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제1영역의 수축 응력보다 크고, 제2영역의 수축 응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시트부재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상기 제2영역의 수축 응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3등분하는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했을 때,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등측 연장부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이, 상기 등측 시트부재 및/또는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의 상기 제3영역의 하반부의 수축 응력과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의 길이가 상기 배측 시트부재의 상기 연장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에, 2장의 시트 사이가 산점(散點)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탄성부재가, 각각 물품 길이방향에 이웃하는 접합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상기 2장의 시트 사이가 접착제로 접합된 접착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경계영역에, 상기 접착영역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는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배측 및 등측 본체부와, 상기 배측 및 등측 본체부에서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사이드 실부를 갖지 않는 배측 및 등측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등측 연장부는 물품 길이방향의 길이가 배측 연장부와 같거나 그보다 길고,
    배측 본체부 및 배측 연장부 그리고 등측 본체부 및 등측 연장부의 배측 연장부에 대응하는 등측 대응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배측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3영역(A3')으로 하고, 배측 시트부재에서 있어서 제1~제3영역(A1'~A3') 및 배측 연장부(A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A1'~PA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A1'~QA4'로 하는 동시에,
    등측 본체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를 물품 길이방향으로 3등분해서 3영역으로 구분하여, 허리 개구부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1영역(B1'), 제2영역(B2') 및 제3영역(B3')으로 하고, 등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제1~제3영역(B1'~B3') 및 등측 대응부(B4')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B1'~PB4',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B1'~QB4'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11)~(1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비(PA3'/PA1')>비(QA3'/QA1'), 비(PA3'/PA1')>1 (11)
    비(PB3'/PB1')>비(QB3'/QB1'), 비(PB3'/PB1')>1 (12)
    비(PA4'/PA1')>비(QA4'/QA1'), 비(PA4'/PA1')>1 (13)
    비(PB4'/PB1')>비(QB4'/QB1'), 비(PB4'/PB1')>1 (14)
  9. 제8항에 있어서,
    하기 관계식(15) 및 (1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PA3'=PA4', QA3'=QA4' (15)
    PB3'=PB4', QB3'=QB4' (16)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하기 관계식(17) 및 (1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cN<QA3'<23cN (17)
    4cN<QB3'<23cN (18)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관계식(19) 및 (2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PA2'>PA3', PB2'>PB3' (19)
    PA2'>PA4', PB2'>PB4' (20)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연장부는 상기 등측 대응부에서 더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 하부는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장부 하부의 물품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PB5', 탄성부재 1개당 물품 폭방향의 수축 응력을 QB5'로 했을 때, 하기 관계식(2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비(PB4'/PB5')>비(QB4'/QB5'), 비(PB4'/PB5')>1 (21)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제2~제3영역(A2'~A3') 및 배측 연장부(A4')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배측 시트부재에서 있어서 제1영역(A1')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제2~제3영역(B2'~B3') 및 등측 대응부(B4')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등측 시트부재에 있어서 제1영역(B1')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연장부는 상기 등측 대응부에서 더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며, 상기 등측 대응부 및 상기 연장부 하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등측 대응부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연장부 하부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연장부는 상기 등측 대응부에서 더 가랑이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하부(B5')를 가지며, 상기 등측 본체부의 제1영역 및 상기 연장부 하부는 모두 물품 폭방향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물품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장부 하부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가, 상기 등측 본체부의 제1영역의 탄성부재의 물품 길이방향의 배치 피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측 시트부재 및 등측 시트부재 각각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장부에, 2장의 시트 사이가 산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합부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탄성부재가, 각각 물품 길이방향에 이웃하는 접합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신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1020137016801A 2010-12-27 2011-12-26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101861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1047 2010-12-27
JPJP-P-2010-291047 2010-12-27
JPJP-P-2010-291048 2010-12-27
JP2010291048A JP5659006B2 (ja) 2010-12-27 2010-12-27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CT/JP2011/080060 WO2012090931A1 (ja) 2010-12-27 2011-12-26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885A true KR20130132885A (ko) 2013-12-05
KR101861798B1 KR101861798B1 (ko) 2018-06-29

Family

ID=4638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801A KR101861798B1 (ko) 2010-12-27 2011-12-26 팬츠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59870B1 (ko)
KR (1) KR101861798B1 (ko)
CN (1) CN103313685B (ko)
SG (1) SG191322A1 (ko)
TW (1) TW201236656A (ko)
WO (1) WO2012090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6329B2 (ja) * 2013-07-23 2015-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46801B2 (ja) * 2013-07-26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10487199B2 (en) 2014-06-26 2019-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ated films having low sound pressure levels
WO2016029371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0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68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7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5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4A1 (en)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2017527351A (ja) 2014-08-27 2017-09-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効率的に製造され、審美的な後脚縁部輪郭を有するパンツ構造体
WO2016029372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2017538536A (ja) 2014-12-25 2017-12-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ベルトを有する吸収性物品
WO2016101196A1 (en) 2014-12-25 2016-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5879462B1 (ja) * 2015-06-18 2016-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662634B2 (ja) * 2015-12-28 2020-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3410998B1 (en) * 2016-02-03 2021-0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CN108883011B (zh) 2016-04-08 2021-05-07 宝洁公司 具有艺术作品的可穿着制品
WO2017173644A1 (en) 2016-04-08 2017-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graphics
JP6351686B2 (ja) * 2016-10-21 2018-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US11298273B2 (en) 2017-02-03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US10744044B2 (en) 2017-02-03 2020-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US10702424B2 (en) 2017-04-05 2020-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graphics
JP2020519349A (ja) 2017-05-18 2020-07-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ゾーン分けされた弾性を有するベルトを有する吸収性物品
WO2018209629A1 (en) * 2017-05-18 2018-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belt having profiled elasticity
CN112236111B (zh) * 2018-05-31 2022-06-28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TWI690306B (zh) * 2019-01-24 2020-04-11 劉怡青 液體吸收袋
WO2020164060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7406989B2 (ja) * 2019-12-27 2023-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082A (ja) 2004-08-05 2008-03-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プルオン衣類
JP2008178682A (ja) 2006-12-28 2008-08-0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08212249A (ja) 2007-02-28 2008-09-18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08229246A (ja) * 2007-03-23 2008-10-0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9160129A (ja) * 2007-12-28 2009-07-23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546A (ja) * 1994-07-29 1996-02-13 New Oji Paper Co Ltd 立体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TWI224963B (en) * 2002-05-31 2004-12-11 Kao Corp Briefs-type diaper and briefs-type absorbent article
US20050107763A1 (en) * 2003-11-19 2005-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JP2006181172A (ja) * 2004-12-28 2006-07-13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308706B2 (en) * 2007-02-28 2012-11-13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4659020B2 (ja) * 2007-12-28 2011-03-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09119195A1 (ja) * 2008-03-27 2009-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306689B2 (ja) * 2008-03-31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306690B2 (ja) * 2008-03-31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328204B2 (ja) *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EP2260811B1 (en) * 2008-03-31 2014-01-22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5537846B2 (ja) * 2009-07-01 2014-07-0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02448418B (zh) * 2009-07-01 2016-10-26 花王株式会社 内裤型吸收性物品及其制造方法
JP5385075B2 (ja) * 2009-09-30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4966355B2 (ja) * 2009-10-08 2012-07-04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082A (ja) 2004-08-05 2008-03-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プルオン衣類
JP2008178682A (ja) 2006-12-28 2008-08-0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08212249A (ja) 2007-02-28 2008-09-18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08229246A (ja) * 2007-03-23 2008-10-0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9160129A (ja) * 2007-12-28 2009-07-23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798B1 (ko) 2018-06-29
CN103313685B (zh) 2015-02-18
EP2659870B1 (en) 2018-05-02
EP2659870A4 (en) 2017-06-14
TWI561226B (ko) 2016-12-11
WO2012090931A1 (ja) 2012-07-05
EP2659870A1 (en) 2013-11-06
CN103313685A (zh) 2013-09-18
RU2013135303A (ru) 2015-02-10
TW201236656A (en) 2012-09-16
SG191322A1 (en)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885A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JP565900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966355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534914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101486975B1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US20050010188A1 (en) Efficiently manufacturable absorbent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US10806639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37433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27450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9125087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7270377B2 (ja) 裾口を伴う使い捨てパンツ式吸収性物品
JP541517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99988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898947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393825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2061138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51902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309433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11389342B2 (en) Pull-on absorbent article with pair of belt sections
JP2017121387A (ja) 吸収性物品
JP5580675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05287930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9252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236420B2 (ja) 吸収性物品
TWI703970B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