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869A - 특히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 - Google Patents

특히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869A
KR20130132869A KR1020137016108A KR20137016108A KR20130132869A KR 20130132869 A KR20130132869 A KR 20130132869A KR 1020137016108 A KR1020137016108 A KR 1020137016108A KR 20137016108 A KR20137016108 A KR 20137016108A KR 20130132869 A KR20130132869 A KR 2013013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all
feature
bending
machining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366B1 (ko
Inventor
틸로 볼츠
클라우스 랑
다니엘 하버란트
노르베르트 쉬르홀츠
하이코 그루슈비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3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0Arrangement of fuel distributors, e.g. with means for supplying equal portion of metered fuel to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21C37/0803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the tubes having a special shape, e.g. polygon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6Making tubes with wall irregularities
    • B21C37/157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23K31/027Making tubes with soldering o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53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apparatu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84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welding or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특히 연료 분배 레일로서 이용되는 관형 축압기(1)에 관한 것이며, 상기 관형 축압기는 관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금속 벽(2)을 포함한다.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2)의 서로 관련된 종측면들(10, 11)은 용접 이음매(15)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2)은,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2)의 만곡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특징 형상부(3, 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히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TUBULAR PRESSURE ACCUMULATOR, IN PARTICULAR FOR MIXTURE COMPRESSING SPARK-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본 발명은,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관형 축압기, 특히 연료 분배 레일에 관한 것이다.
관형 축압기, 예컨대 휘발유 직접 분사를 위한 고압 레일을 형성할 경우, 이음매 없는 인발관들 또는 용접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용접관들은 스트립 또는 박판 형태의 반제품으로부터 롤링된 다음, 길이방향 이음매 또는 경사면의 주변을 따라 용접될 수 있다. 용접 공정 후에, 관은 반제품으로서 고압 레일의 제조업체에서 추가로 가공될 수 있고, 그런 다음 금속 절삭 또는 천공과 같은 추가 공정들에 의해 관의 횡방향 보어들 및 단부들이 가공된다. 횡방향 보어들은 예컨대 공급, 연결 라인들 및 분사 밸브 컵들의 유압 포트를 위해 이용된다. 상기 보어들은 천공되고 추가로 버 제거(deburring)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버 제거는 복잡하다. 단순화를 위해, 그리고 비용의 이유에서 디버링 공정(deburring process)을 생략한다면, 맥동하는 내압 조건에서 구조 부재의 강도 감소를 초래하는 실질적인 취약 지점들이 남게 된다. 따라서, 디버링 공정이 생략된다면, 필요한 구조 부재 강도의 달성을 위해, 관의 초과 치수화가 필요하며, 이는 다시 더욱 높은 비용, 특히 더욱 높은 재료 비용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연료 분배 레일로서 이용되는 관형 축압기에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새로운 특징 형상부(design feature)가 실현될 수 있으면서 감소된 제조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상기 관형 축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관형 축압기는, 생산성이 향상되고, 그리고/또는 새로운 특징 형상부들이 실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관형 축압기는, 예컨대 절삭 공정과 같은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고 최적화된 재료 설계, 특히 얇은 벽 구조가 가능해짐으로써, 감소된 제조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 조치들을 통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관형 축압기의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관형 축압기의 제조시, 하나 이상의 특징 형상부는 만곡된 금속 벽의 용접 전에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차후에도, 즉 용접 공정 후에도, 바람직할 경우, 관형 축압기의 추가 가공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조의 단순화 및 생산 비용의 감소를 위해, 특징 형상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들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벽의 형성과 관련하여 더 큰 부하가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관형 축압기는 더 높은 부하에 적합하다. 다른 한편으로, 최소 부하 능력이 사전 설정된 경우, 금속 벽을 위한 출발 재료는 더욱 낮은 요건에 부응할 수 있고, 특히 더욱 얇은 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조 비용은 용접 금속관의 가공과 관련하여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특징 형상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인 금속 벽을 가공하고, 평면 금속 벽을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으로 만곡하는 것을 통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 형상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특히 모든 특징 형상부 또는 거의 모든 특징 형상부가 이미 평면 금속 벽에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재가공이 필요하지 않거나, 작은 범위에서만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는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의 내측면에서 버 제거된 보어이다. 용접관 또는 인발관의 가공을 통해 종래의 방식으로 보어를 형성하는 경우, 관의 내측면에 버(burr)가 생긴다. 이 경우, 버 제거는 상응하게 복잡해진다. 그와 반대로, 예컨대 평면 금속 벽에서 보어를 형성하는 경우, 버 제거는 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보어 등이 최대한 평면 금속 벽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 금속 벽은, 버가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반면, 내측면에는 버가 없는 방식으로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디버링 공정 없이도 버가 없는 내측면이 실현될 수 있다. 이는, 바로 내측면에 제공되고 강도를 분명하게 감소시키는 버들이 처음부터 발생하지 않고 버들은 보다 적은 문제를 야기하는 외측면에 잔존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스트립에서의 천공 공정에서 펀치 후퇴에 의해, 이후 만곡된 상태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일측의 측면에는 자동으로 버 없음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타측의 측면에서는 천공 시에 생기는 버가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잔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후의 버 제거조차도 내측면에서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조에 따라,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는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의 외측면에 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특징 형상부는 양측에서 버 제거되며, 그리고 특히 양측에서 버 제거된 보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는 원주 방향과 관련하여 금속 벽의 만곡의 굽힘 반경에 의해 사전 설정되는 개방 각도를 갖는 보어이다. 이로 인해 보어의 적어도 거의 원추형인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통형 보어는 벤딩 공정을 통해 (부분) 원추형 구조를 달성하는 평면 금속 벽에서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는 적어도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의 내측면에 확대된 횡단면을 갖는 연속적인 홈부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징 형상부는 평면 금속 벽 내에 구성되는 계단형 보어에 의해, 그리고 평면 금속 벽을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으로 만곡하는 것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인발관 또는 용접관의 가공 시 실제로 불가능한 특징 형상부들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는 평탄부(flat portion) 또는 림 구멍(rim hole)이다. 이 경우, 평탄부 또는 림 구멍은 평면 금속 벽의 일측 또는 양측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평면 금속 벽은 가공 시에 지지대 상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징 형상부는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이는 인발관 또는 용접관을 재가공할 경우 불가능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높은 비용으로만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는 장공(long hole), 확대된 단부들을 포함하는 장공, 또는 O형 장공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특징 형상부가 단일의 관형 축압기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대부분 임의의 연결 가능성들이 실현된다. 평면 박판에서 천공 공정을 통해, 용접관 또는 인발관에서 실현될 수 없거나 매우 복잡하게만 실현될 수 있는 기하구조들도 실현된다. 특히, 응력 최적화된 기하구조들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접 이음매가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의 영역이면서, 기계적으로 가장 적은 부하을 받는 영역에 배치된다. 평면 금속 벽의 가공을 통해, 대부분 차후의 용접 이음매의 위치와 무관하게, 가공 단계들, 특히 절삭 공정, 또는 천공 공정이 실행될 수 있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평면 금속 벽 내 특징 형상부의 배치가, 차후에 형성되는 용접 이음매의 위치와 관련하여, 용접 이음매가 기계적으로 가장 적은 부하을 받는 영역에 위치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차후의 용접 이음매에 대해 특징 형상부들, 예컨대 횡방향 보어들을 의도대로 할당하는 것을 통해, 여타의 경우라면 용접 이음매의 정렬이 요구될 수도 있는 차후 공정에서의 추가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새로운 특징 형상부들이 실현될 수 있으면서 감소된 제조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관형 축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응하는 부재들이 서로 일치하는 도면 부호들로 표시되어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는 하기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형 축압기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 금속 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평면 금속 벽을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형 축압기를 형성하기 위해 만곡되어 용접된 상태에서 II로 표시된 절단선을 따라 도 1에 도시된 금속 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관형 축압기(1)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평면 금속 벽(2)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II로 표시된 절단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2)을 포함하는 관형 축압기(1)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예의 관형 축압기(1)의 특별한 구조는 금속 벽(2)의 가공 순서를 통해 제공된다. 관형 축압기(1)는 특히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을 위한 연료 분배 레일로서 적합하다. 특히, 관형 축압기(1)는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연료 분배 레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관형 축압기(1)는 또 다른 적용 사례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도 1에 도시된 평면 금속 벽(2)은 스트립, 박판 등으로부터 천공 따내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벽(2) 내에는 천공 따내기 전에, 그와 더불어, 또는 그 후에 특징 형상부들(3, 4, 5, 6, 7)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특징 형상부는 보어(3 내지 7)이다. 여기서 보어들(3 내지 7)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은 예컨대 관형 축압기(1)에서 연결 위치들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벽(2)은 종측면들(10, 11)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 벽(2)은 단부면들(12, 13)을 포함한다. 금속 벽(2)의 평면 구조의 경우, 종측면들(10, 11)은 우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다. 그런 다음, 금속 벽(2)은 관형으로 만곡된다. 이 경우, 종측면들(10, 11)은 서로 접촉하며, 예컨대 테두리끼리 서로 맞닿는다. 그러나 금속 벽(2)의 재료 두께(14)에 따라 종측면들(10, 11)의 영역에서 소정의 중첩이 적합할 수 있다. 종측면들(10, 11)의 영역에서는 용접 이음매(15)에 의해 용접을 통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2)의 종측면들(10, 11)은 용접 이음매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두 종측면(10, 11)은 만곡을 통해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종측면들(10, 11)은 서로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보어(4)는 만곡 전에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가공될 수 있다. 특히, 융기부들(16, 17)에 의해, 양측의 버 제거는 이미 보어(4)의 천공 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 금속 벽(2)의 측면(18)은 만곡된 상태에서 만곡된 금속 벽(2)의 내측면(18)으로 향한다. 따라서, 측면(19)은 만곡된 상태에서 만곡된 금속 벽(2)의 외측면(19)으로 향한다.
버 등은 관형 축압기(1)의 강도와 관련하여 바로 내측면(18)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측면(18)에서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의 버 제거가 이루어진다. 또한,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의 형성 시, 가공 방향은, 버가 의도한 바대로 외측면(19)에서 발생하는 반면, 내측면(18)에서는 버 형성이 가공 조건에 따라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도 6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에는, 관형 축압기(1)가 도 1에 II로 표시된 절단선을 따르는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을 포함하는 관형 축압기의 구조는 한편으로 가공된 평면 금속 벽(2)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만곡과 뒤이은 용접에 의해 제공된다. 도 2에 표시된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에 상응하게, 도 3에는 특징 형상부들(3, 4)이 보어들(3, 4)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 180°와 동일한 각도(20)는, 평면 금속 벽(2)의 두 종측면(10, 11)의 상호 간 간격과 동일한 평면 금속 벽(2)의 폭(22)과 관련하여, 두 특징 형상부(3, 4)의 중심점 간 간격(21)으로부터 제공된다. 이 경우, 경우에 따라 요구되는 중첩도 고려된다. 그 외에, 용접 이음매(15)의 이미 알고 있는 위치, 다시 말해 평면 금속 벽(2)의 종측면들(10, 11)에서 만곡 후에 생성되는 상기 위치에 의해, 용접 이음매(15)에 대한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의 포지셔닝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개별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의 상호 간 위치들뿐 아니라, 용접 이음매(15)의 위치는 거의 임의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용접 이음매(15)는 관형 축압기(1)의 영역 중에서 항상 기계적으로 가장 적은 부하를 받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이 처음부터 종측면들(10, 11)과 관련하여, 그에 따라 차후의 용접 이음매(15)와 관련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제조는 단순화된다. 다시 말해, 용접관에 차후 보어들 등이 구성되는 제조의 경우, 예컨대 보어들이 용접 이음매로부터 소정의 최소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용접 이음매를 의도한 바대로 정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4에는, 제 2 실시예에 상응하는 관형 축압기(1)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보어(3)로서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는 우선 원통형 보어(3)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챔퍼부들(16, 17)이 양측의 버 제거를 위해 제공된다. 도 3에서도 도시된 것처럼, 원형 횡단면을 갖는 중공 원통형 기하구조로 금속 벽(2)을 만곡하는 것을 통해, 보어(3)는 원주 방향(25)과 관련하여, 금속 벽(2)의 만곡의 굽힘 반경(26)(도 3)에 의해 사전 설정되는 개방 각도(27)를 갖게 된다. 그럼으로써 보어(3)의 (부분) 원추형 구조가 달성된다.
도 5에는 제 3 실시예에 상응하는 관형 축압기(1)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는 내측면(18)에서 확대된 횡단면(28)을 갖는 연속적인 홈부(3)이다. 또한, 홈부(3)는 본 실시예에 따라 외측면(19)에서도 확대된 횡단면(29)을 포함한다. 이 경우, 특징 형상부(3)는 평면 금속 벽(2) 내에 구성되는 계단형 보어(3)에 의해, 그리고 평면 금속 벽(2)을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2)으로 만곡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내측면(18)에는 특징 형상부(3)의 설계상 구조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구조가 이미 여전히 평면인 금속 벽(2)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6에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형 축압기(1)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특징 형상부(3), 예컨대 보어(3)는, 원칙상 조건에 따라 외측면(19)에 버(30)가 발생하는 반면, 내측면(18)은 버 없이 유지되도록, 평면 금속 벽(2) 내에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미 평면 금속 벽(2)에서, 측면(18)이 만곡 후에 내측면인 반면에, 그에 상응하게 측면(19)은 만곡 후에 외측면(19)인 점이 결정된다. 이런 결정을 통해, 모든 특징 형상부(3 내지 7)는, 내측면(18)에 버가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적어도 뚜렷한 버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개별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은 내측면(18) 및/또는 외측면(19)에서 버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여전히 평면인 금속 벽(2)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구조의 경우, 기하구조들은 평면 박판 등에서 천공 공정에 의해, 그에 따라 매우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제 5 실시예에 상응하는 관형 축압기(1)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평면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8)가 제공된다. 이 경우, 특징 형상부(8)는 평면 금속 벽(2)에서 측면(19)에서 측면(18) 쪽으로 함몰부를 형성하고, 이어서 만곡 및 용접하는 것을 통해 형성된다. 특징 형상부(8)는 만곡 및 용접 후에 관형 축압기(1)에 평탄부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의도한 바대로 정확하게 치수화된 평탄부들, 특히 평탄부(8)가 관형 축압기(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 6 실시예에 상응하는 관형 축압기(1)가 절단되어 도 3에서와 같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8)는 림 구멍(rim hole)이다. 상기 림 구멍(8)은 여전히 평면인 금속 벽(2)에서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하구조적 특징 형상부(8)는 비절삭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구조 부재가 절감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 7 실시예에 상응하는 관형 축압기(1)가 부분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특징 형상부(9, 9', 9")가 제공된다.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여전히 평면인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9)는 확대된 단부들을 포함하는 장공(9)으로서 형성된다. 특징 형상부들(9', 9")도 마찬가지로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평면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된다. 특징 형상부(9')는 장공(9')으로서 형성된다. 특징 형상부(9")는 O형 장공(9")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복잡하게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들(9, 9', 9")이 실현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천공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관형 축압기(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 8, 9, 9', 9")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적용 사례와 관련해서는 상기 특징 형상부들(3 내지 7, 8, 9, 9', 9")의 적합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인발관 또는 용접관의 가공 시 실현될 수 없거나 적어도 실제로 실현될 수 없는 특징 형상부들도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외부에 위치하는 버(30)와 같은 기하구조는 인발관 또는 용접관에서는 형성될 수 없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상응하는 관형 축압기에서 도 3에서 IV로 표시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특징 형상부(8)는 바깥쪽을 향해 형성되는 기하구조(8)이다. 평면 상태의 금속 벽(2)을 가공하는 것을 통해, 상기 특징 형상부(8)는 금속 벽에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의도하는 국소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금속 벽(2)의 가공과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8)는 바깥쪽을 향해 형성되는 기하구조(8), 특히 볼록한 상승부(8)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1 관형 축압기
2 금속 벽
3, 4 특징 형상부, 보어
5 특징 형상부
6 특징 형상부
7 특징 형상부
8 특징 형상부, 평탄부, 림 구멍, 볼록한 상승부
9, 9', 9" 특징 형상부, 장공
10 종측면
11 종측면
15 용접 이음매
18 내측면
19 외측면
20 각도
21 간격
22 금속 벽의 폭
25 원주 방향
26 굽힘 반경
27 개방 각도
30 버

Claims (11)

  1. 관형으로 만곡되는 금속 벽(2)을 포함하는,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1), 특히 연료 분배 레일으로서,
    상기 관형으로 만곡되는 금속 벽(2)의 서로 관련된 종측면들(10 11)이 하나 이상의 용접 이음매(15)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관형으로 만곡되는 금속 벽(2)은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특징 형상부(3 내지 7, 8, 9, 9', 9")를 포함하는, 관형 축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형상부(3 내지 7, 8, 9, 9', 9")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인 금속 벽(2)을 가공하고, 상기 평면 금속 벽(2)을 상기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2)으로 만곡하는 것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 4)는 만곡되어 용접된 상기 금속 벽(2)의 내측면(18)에서 버 제거된 보어(3, 4)이거나,
    또는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 4)는 양측에서 버 제거된 보어(3,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는, 원주 방향(25)과 관련하여,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의 굽힘 반경(26)에 의해 사전 설정되는 개방 각도(27)를 갖는 보어(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는, 적어도 만곡되어 용접된 상기 금속 벽(2)의 내측면(18)에 확대된 횡단면(28)을 갖는 연속적인 홈부(3)이고,
    그리고/또는
    특징 형상부(3)는 평면 금속 벽(2) 내에 구성되는 계단형 보어(3)에 의해, 그리고 상기 평면 금속 벽(2)을 관형으로 만곡된 금속 벽(2)으로 만곡하는 것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3)는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2)의 외측면(19)에 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8)는 평탄부(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8)는 림 구멍(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8)는 바깥쪽을 향해 형성되는 기하구조(8), 특히 볼록한 상승부(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9')는 장공(9')으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9)는 확대된 단부들을 포함하는 장공(9)으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용접 공정 전에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 벽(2)의 가공과 상기 금속 벽(2)의 만곡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 형상부(9")는 O형 장공(9")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이음매(15)는 만곡되어 용접된 금속 벽(2)의 영역 중에서 기계적으로 가장 적은 부하를 받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축압기.
KR1020137016108A 2010-12-23 2011-11-04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 KR101947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4021A DE102010064021A1 (de) 2010-12-23 2010-12-23 Rohrförmiger Druckspeicher, insbesondere für gemischverdichtende, fremdgezündete Brennkraftmaschinen
DE102010064021.2 2010-12-23
PCT/EP2011/069430 WO2012084326A1 (de) 2010-12-23 2011-11-04 Rohrförmiger druckspeicher, insbesondere für gemischverdichtende, fremdgezündete brennkraftmasch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869A true KR20130132869A (ko) 2013-12-05
KR101947366B1 KR101947366B1 (ko) 2019-02-13

Family

ID=4490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108A KR101947366B1 (ko) 2010-12-23 2011-11-04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82890B2 (ko)
EP (1) EP2655852B1 (ko)
KR (1) KR101947366B1 (ko)
CN (1) CN103492701B (ko)
BR (1) BR112013016042B1 (ko)
DE (1) DE102010064021A1 (ko)
ES (1) ES2535837T3 (ko)
WO (1) WO20120843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68A (ko) 2017-07-17 2019-01-25 김희경 안토시아닌 고함유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을 이용한 산패 억제 및 면역 증진 기능성 고단백 과자칩의 제조방법, 및 산패 억제 및 면역 증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8240A (ja) * 2018-02-13 2019-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配管
EP3587789A1 (en) * 2018-06-28 2020-01-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producing a fuel outlet opening in a tubular fuel rail and tubular fuel rai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5460A (en) * 1976-04-15 1977-10-21 Nippon Ereganto Kk Method of making oramental pipe
US5494209A (en) * 1992-12-28 1996-02-27 Olin Corporatio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n internally enhanced welded tubing
EP1413744B1 (de) * 2002-10-23 2005-12-28 Wärtsilä Schweiz AG Druckspeicher für ein Common Rail System
US7146700B1 (en) * 2003-10-22 2006-12-12 Millennium Industries Angola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ure damper for a fluid conduit
US6935314B2 (en) 2003-12-19 2005-08-30 Millennium Industries Corp. Fuel rail air damper
JP2007085245A (ja) * 2005-09-21 2007-04-05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コモンレール
ES2288403B1 (es) * 2006-04-05 2008-11-16 Valeo Termico S.A.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tubo para la conduccion de un fluido de un intercambiador de calor, y tubo obtenido mediante dicho procedimiento.
JP4484227B2 (ja) * 2006-10-02 2010-06-16 ボッシュ株式会社 コモンレール
DE102006061563A1 (de) * 2006-12-27 2008-07-03 Robert Bosch Gmbh Kraftstoffverteiler
JP5874907B2 (ja) * 2011-10-27 2016-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管状部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68A (ko) 2017-07-17 2019-01-25 김희경 안토시아닌 고함유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을 이용한 산패 억제 및 면역 증진 기능성 고단백 과자칩의 제조방법, 및 산패 억제 및 면역 증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5852A1 (de) 2013-10-30
BR112013016042A2 (pt) 2017-06-27
DE102010064021A1 (de) 2012-06-28
KR101947366B1 (ko) 2019-02-13
EP2655852B1 (de) 2015-04-22
BR112013016042B1 (pt) 2021-04-27
CN103492701B (zh) 2016-08-17
ES2535837T3 (es) 2015-05-18
US20130319375A1 (en) 2013-12-05
WO2012084326A1 (de) 2012-06-28
US9382890B2 (en) 2016-07-05
CN103492701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208A (en)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077168B1 (en) Punching method and punching device employing hydro-form
US20020005186A1 (en)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257587A1 (en) Profile element pipe for hydraulic bulging, hydraulic bulging device using the element pipe, hydraulic bulging method using the element pipe, and hydraulically bulged product
KR20130132869A (ko) 특히 혼합기 압축식 불꽃 점화 내연기관용 관형 축압기
KR101447344B1 (ko) 구조 부재
EP3006133B1 (en) Method for producing steel pipe
KR101380215B1 (ko)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클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3704A (ko) 인젝션 펌프의 토출부의 단조가공방법
JP5734950B2 (ja) 金属製パイプ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5626499B1 (ja) カムシャフトの製造方法及びギア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4456459B2 (ja) 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方法と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品及び構造体
JP6433064B2 (ja) 排気浄化装置の製造方法
JP3649297B2 (ja) 中空金属管体及び中空金属管体の製造方法
US8573177B2 (en) Engine and method for improved crankcase fatigue strength with fracture-split main bearing caps
JP6348938B2 (ja) 金属筒体の製造方法
EP3067130A1 (en) Sub-muffler
JP2010110811A (ja) 端管の潰し加工方法及び端管略いちょう型断面潰し加工治具
CN113474099A (zh) 金属管以及金属管的制造方法
JP6969129B2 (ja) 配管部品の製造方法
JP2007107624A (ja) 継手構造
JP7151807B2 (ja) 機械式継手管を有する鋼管矢板の製造方法
JP2005199349A (ja) 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方法及び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品及び構造体
JP5866324B2 (ja) 中空状構造部品の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方法
JP2006021236A (ja) テーラードチューブ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