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559A - 수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수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559A
KR20130132559A KR1020137019370A KR20137019370A KR20130132559A KR 20130132559 A KR20130132559 A KR 20130132559A KR 1020137019370 A KR1020137019370 A KR 1020137019370A KR 20137019370 A KR20137019370 A KR 20137019370A KR 20130132559 A KR20130132559 A KR 2013013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made
bottle
homemade
stirr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318B1 (ko
Inventor
데츠야 시바사키
Original Assignee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6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using stored recipe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to be produced, i.e. for determining the amounts of the basic components to be dispensed from the compon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3Transmissions; Means for modify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 B01F35/332Transmissions; Means for modifying the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alternately chang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01F35/881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by weighing, e.g. with automatic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2Compounding apparatus specially for enteral or parenteral nutritive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Mixing of ingredients for pharmaceutical or med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제의 투약 보틀로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제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 수제 공급 장치는, 수제를 수용한 수제 보틀로부터 수제를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수제 공급 장치로서, 수제 보틀 내의 수제를 교반하는 수제 교반부와, 수제 G를 수용한 제1 보틀과 수제 B를 수용한 제2 보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제 보틀을 유지하는 보틀 유지부와, 수제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 보틀로부터 투약 보틀에 수제 G를 공급하는 동안에, 수제 교반부를 작동시켜 수제 B를 교반한다.

Description

수제 공급 장치{PHARMACEUTICAL SOLUTION-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수제(水劑)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제를 수용한 수제 보틀로부터 수제를 투약 보틀에 공급하기 위한 수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제 약국 등에서는, 액상 약제인 수제의 조제가 행해지고 있다. 환자에 대한 처방전에 따라서, 1종 또는 복수 종류의 수제가 소정량씩 투약 보틀에 순차적으로 주입되고, 필요한 부형제(賦形劑)가 주입되어, 수제의 조제가 행해진다.
현탁성의 수제를 조제하는 경우, 조제 지침에 따라서, 수제 보틀 내의 수제를 교반한 후에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수제의 교반에 관하여, 종래에는, 복수의 수제 보틀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유닛을 가지며, 회전 유닛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수제 보틀을 전도(轉倒)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12673호 공보(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수제를 수용한 수제 보틀 내에 노즐을 삽입하여, 수제의 흡인 및 배출을 반복함으로써, 수제 보틀 내의 수제를 정기적으로 교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0/110303호(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12673호 공보 특허문헌 2 : 국제 공개 제2010/110303호
특허문헌 1에는, 투약 보틀을 토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수제 보틀을 전도시켜 수제를 교반하는 조제 처리의 흐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제 처리에서는, 수제를 투약 보틀에 공급하기 전에 수제를 교반하기 위한 시간을 잡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수제의 투약 보틀로의 공급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 목적은, 수제 보틀에 수용된 수제의 투약 보틀로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의 수제 공급 장치는, 수제를 수용한 수제 보틀로부터 수제를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수제 공급 장치로서, 수제 보틀 내의 수제를 교반하는 수제 교반부와, 제1 수제를 수용한 제1 보틀과 제2 수제를 수용한 제2 보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제 보틀을 유지하는 보틀 유지부와, 수제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 보틀로부터 투약 보틀로 제1 수제를 공급하는 동안에, 수제 교반부를 작동시켜 제2 수제를 교반한다.
상기 수제 공급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1 수제의 투약 보틀로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제2 보틀로부터 투약 보틀로의 제2 수제의 공급을 개시한다.
상기 수제 공급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수제는, 투약 보틀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하다.
상기 수제 공급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보틀 유지부에 유지된 복수의 수제 보틀의 위치를 변경하는 보틀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보틀 위치 변경부가 수제 보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에, 수제 교반부를 작동시켜 제2 수제를 교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양태의 수제 공급 장치는, 수제를 수용한 복수의 수제 보틀을 가지며, 수제를 각각의 수제 보틀로부터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수제 공급부를 구비한다. 수제는, 투약 보틀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필요한 교반 필요 수제를 포함한다. 수제 공급 장치는 또한, 수제 보틀 내의 수제를 교반하는 수제 교반부와, 복수의 수제 보틀에 수용된 각 수제를 수제 보틀로부터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 중, 교반 필요 수제를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공급 순번이 될 때까지, 교반 필요 수제를 교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제 공급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교반 필요 수제보다 공급 순번이 앞인 수제를 투약 보틀에 공급하는 동안에, 교반 필요 수제를 교반한다.
상기 수제 공급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제는, 투약 보틀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교반 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이 교반 불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보다 이후가 되도록, 공급 순서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수제 공급 장치에 의하면, 수제의 투약 보틀로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제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Ⅲ-Ⅲ선을 따라 취한 수제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Ⅳ-Ⅳ선을 따라 취한 수제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Ⅴ-Ⅴ선을 따라 취한 수제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수제 보틀 내의 수제를 교반하는 교반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교반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에 나타내는 Ⅷ-Ⅷ선을 따라 취한 교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수제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각각의 수제 보틀의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수제 보틀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12는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13은 투약 보틀에 공급되는 수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처방전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제 공급 장치를 사용한, 수제 보틀로부터 투약 보틀로의 수제 공급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6은 TOTAL 주출(注出)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7은 수제 B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제 보틀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8은 수제 C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제 보틀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9는 수제 B, C, G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0은 수제 G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제 보틀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1은 수제 G, B, C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2는 수제 G, C, B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3은 도 14에 나타내는 수제를 주출하는 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4는 수제를 교반하는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2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3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4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5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相當)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제 공급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Ⅲ-Ⅲ선을 따라 취한 수제 공급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Ⅳ-Ⅳ선을 따라 취한 수제 공급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Ⅴ-Ⅴ선을 따라 취한 수제 공급 장치(1)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 장치(1)는, 환자에 대한 처방전에 따라서, 액상의 약제인 수제(5)를, 수제(5)를 수용한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공급하여, 조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수제 공급 장치(1)는, 수제(5)를 수용한 복수의 수제 보틀(23)을 가지며, 각각의 수제 보틀(23)로부터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수제 공급부(3)와, 투약 보틀(2)에 수용되는 수제(5)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검출부(4)를 구비한다. 중량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되는 수제(5)의 중량, 및 수제(5)의 비중으로부터, 투약 보틀(2)에 공급된 수제(5)의 체적이 산출된다. 수제 공급부(3)는, 처방전에 따른 소정 체적의 수제(5)가 투약 보틀(2)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수제 공급부(3)와 중량 검출부(4)는 케이스(6)에 설치된다. 케이스(6)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립한 상태로 수평의 설치면에 설치된다.
케이스(6)의 내부에는 지지 프레임(8)이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8)은, 케이스(6)의 바닥판(9)과 케이스(6)의 상판(10) 사이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케이스(6)의 상판(10) 가까이에 배치된다. 케이스(6)의 내부 공간은, 지지 프레임(8)에 의해, 지지 프레임(8)보다 상측의 상부 공간(11)과 지지 프레임(8)보다 하측의 하부 공간(12)으로 구획된다. 케이스(6)의 전면부(前面部)(13)에는, 터치 패널(14)과, 프린터(17a, 17b)가 배치된다. 또한 전면부(13)에는, 하부 공간(12)과 케이스(6)의 외부를 연통하는 하부 개구(15)가 형성된다.
하부 개구(15)는, 케이스(6)의 전면부(13)에서의 좌우 양측부(16a, 16b) 사이에 형성된다. 좌우 양측부(16a, 16b) 사이의 하부 개구(15)의 상측에는, 하부 공간(12)과 케이스(6)의 외부를 구획하는 만곡된 판형의 전방 커버부(18)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 커버부(18)는, 하부 공간(12)을 케이스(6)의 전방측의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 커버부(18)는, 좌우 양측부(16a, 16b)의 한쪽에 힌지를 통해 부착되어, 상기 힌지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방 커버부(18)는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제 공급부(3)는, 하부 공간(12)에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8)에 대하여 수직인 축선(이하, 「드럼축선」이라고 함)(L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인 회전 드럼(21)과, 지지 프레임(8)의 상면에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8)에 대하여 드럼축선(L1) 둘레로 회전 드럼(21)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용 모터(22)를 갖는다. 수제 공급부(3)는 또한, 회전 드럼(21)에 설치되고, 수제(5)가 수납된 복수의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로 수제를 이송하는 복수의 펌프(24)와, 각 펌프(24)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 유닛(25)을 갖는다. 각 펌프(24)는, 튜브 펌프이어도 좋다.
회전 드럼(21)은, 각 펌프(24)를 유지하는 펌프 유지체(31)와, 복수의 수제 보틀(23)을 개구부(23a)(후술하는 도 8 참조)가 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기립한 상태로 유지하는 보틀 유지부로서의 수제 보틀 유지체(32)를 갖는다. 수제 보틀 유지체(32)는, 펌프 유지체(3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환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펌프 유지체(31)에는, 각 펌프(24)가, 드럼축선(L1)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이하, 「드럼 둘레 방향」이라고 함)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수제 보틀 유지체(32)에는, 각 수제 보틀(23)이 드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 드럼(21)에 탑재되는 수제 보틀(23) 및 펌프(24)의 개수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수제 보틀(23)의 각각에 상이한 수제(5)가 수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처방 빈도가 높은 동종의 수제(5)가 수용되어도 좋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상수(常水)나 심플 시럽 등의 부형제가 수용되어도 좋다.
각 펌프(2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펌프 구동 유닛(25)은, 지지 프레임(8)에 고정되는 고정부(37)와, 고정부(37)에 대하여 전후방향(도 4 및 도 5 중에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38)와, 고정부(37)에 고정되어, 이동부(38)를 고정부(37)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용 모터(39)와, 이동부(38)에 고정되어, 펌프(24)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용 모터(40)를 갖는다. 펌프 구동용 모터(40)로서 스텝핑 모터가 이용되어도 좋다.
펌프 구동용 모터(4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41)의 선단에는, 연결 부재(42)가 고정된다. 각 펌프(24)의 로터의 회전축(43)에는, 연결 부재(42)와 연결되는 피연결 부재(44)가 고정된다. 연결 부재(42)와 피연결 부재(44)가 연결됨으로써, 펌프 구동용 모터(40)의 회전이 펌프(24)에 전달된다. 펌프(24)는, 드럼 회전용 모터(22)의 간헐 구동에 연동하여, 각 펌프(24)별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 속도는, 펌프 구동용 모터(40)의 회전 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고속이 된다.
이동용 모터(39)를 구동시킴으로써, 펌프 구동용 모터(4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펌프 구동용 모터(40)의 이동에 의해, 펌프 구동용 모터(40)의 연결 부재(42)를 펌프(24)의 피연결 부재(44)에 연결시키는 연결 상태와, 연결 부재(42)가 피연결 부재(44)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연결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동용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이동부(38)를 전진시킴으로써 연결 부재(42)와 피연결 부재(44)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동용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이동부(38)를 후퇴시킴으로써, 연결 부재(42)와 피연결 부재(44)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회전 드럼(21)은, 연결 해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연결 해제 상태에서 드럼 회전용 모터(22)를 구동시킴으로써, 수제 공급 장치(1)에 입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특정 펌프(24)의 피연결 부재(44)가 펌프 구동용 모터(40)의 연결 부재(42)에 대면하는 위치까지 회전 드럼(21)을 회전시키고, 회전후에 연결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특정 펌프(24)를 구동시켜, 원하는 수제 보틀(23)로부터 공급되는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나누어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42)와 피연결 부재(44)는 모두 기어로 구성되어 있지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회전 드럼(21)의 상단부(26)에는, 드럼축선(L1)과 동축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링부재(27)가, 드럼축선(L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링부재(27)의 외주측에는, 링부재(27)를 지지하는 3개 이상의 지지 부재(28)가 설치된다. 각 지지 부재(28)는, 드럼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지지 부재(28)는, 드럼축선(L1)에 평행한 축선 둘레에, 지지 프레임(8)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편평 원통형의 각 지지 부재(28)의 외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부(29)가 형성된다. 링부재(27)의 외주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환형의 볼록부(30)가 형성된다. 링부재(27)의 볼록부(30)는, 각 지지 부재(28)의 오목부(29)에 끼워진다. 링부재(27)와 지지 부재(28)는,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 회전용 모터(22)는 지지 프레임(8)에 고정된다. 드럼 회전용 모터(22)의 회전축에는, 원동(原動) 톱니바퀴(도시 생략)가 고정된다. 회전 드럼(21)의 상단부(26)에는, 원동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종동 톱니바퀴(33)가 고정된다. 종동 톱니바퀴(33)는 환형 박판형으로 형성되고, 링부재(27)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드럼 회전용 모터(22)의 회전은, 원동 톱니바퀴 및 종동 톱니바퀴(33)를 통해 링부재(27)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링부재(27)와 링부재가 고정된 회전 드럼(21)이 일체로서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지 프레임(8)에 대하여 회전 드럼(21)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 회전용 모터(22)는, 회전 드럼(21)에 탑재된 복수의 수제 보틀(23)과, 복수의 수제 보틀(23)마다 대응하여 설치된 펌프(24) 및 공급 노즐(36)과, 일단이 수제 보틀(23)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공급 노즐(36)에 부착된 후술하는 튜브(34)를,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회동시킨다. 회전 드럼(21)은, 수제 공급 장치(1)의 케이스(6) 내의 수제 보틀 유지체(32)에 유지된 복수의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보틀 위치 변경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공급 노즐(36)은, 펌프 유지체(31)의 하단에 마련된 환형의 평판인 노즐 부착판(53)의 외주부 동일 원주 상에 부착되어 있다. 각 공급 노즐(36)은, 노즐 부착판(53) 상에, 드럼축선(L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 상에서 드럼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공급 노즐(36)은, 드럼축선(L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져, 노즐 부착판(53)에 부착되어 있다. 노즐 부착판(53)은, 수제 보틀 유지체(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 부착판(53)과 수제 보틀 유지체(32)는 서로 평행하고, 회전 드럼(21)과 함께 수평면 상에서 드럼축선(L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중량 검출부(4)는 하부 개구(15)에 배치된다. 중량 검출부(4)는, 전자 천칭(45)과, 전자 천칭(45)을 수용하는 케이싱(46)과, 전자 천칭(45)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투약 보틀(2)을 개구(2A)가 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기립한 상태로 유지하는 투약 보틀 유지체(47)를 갖는다. 전자 천칭(45)은, 투약 보틀(2)에 공급된 수제(5)의 중량을 검출한다. 수제(5)의 중량이 소정값에 도달함으로써, 수제 공급부(3)는 펌프(24)의 구동을 정지하고, 투약 보틀(2)로의 수제(5)의 공급을 정지한다. 전자 천칭(45)은, 음차식, 로드셀식 또는 전자식 등의 임의의 형식이어도 좋다. 케이싱(46)은, 케이스(6)의 전면부(13)에서의 좌우 양측부(16a, 16b) 사이의 하부에 설치된다. 투약 보틀 유지체(47)는, 투약 보틀(2)이 배치되는 배치대(48)와, 배치대(48)의 상측에 설치되어 투약 보틀(2)을 유지하는 유지구(49)를 갖는다.
중량 검출부(4)는, 도 5에 나타내는 구동부로서의 승강 장치(50)에 의해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승강 장치(50)는, 초기 위치와 공급 위치의 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량 검출부(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중량 검출부(4)의 배치대(48) 상에 배치된 투약 보틀(2)을 이동시킨다. 초기 위치는, 투약 보틀(2)을 수제 공급 장치(1)의 배치대(48) 상에 설치하기 위한 위치이다. 공급 위치는, 상기 초기 위치보다 투약 보틀(2)과 공급 노즐(36)이 접근하여, 투약 보틀(2)에 수제(5)를 공급하기 위한 위치이다. 승강 장치(50)에 의해, 투약 보틀(2)은, 초기 위치와 공급 위치를 왕복하도록, 수제 공급 장치(1)의 케이스(6)의 외부와 내부를 왕복 이동한다.
도 6은 수제 보틀(23) 내의 수제(5)를 교반하는 교반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교반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에 나타내는 Ⅷ-Ⅷ선을 따라 취한 교반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부(3)는, 수제 공급 장치(1)의 케이스(6)의 내부에, 수제 보틀(23) 내에 수용된 수제(5)를 교반하는 수제 교반부를 구비한다. 이하, 이 수제 교반부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6~도 8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우선하여, 수제 보틀(23)이 1개만 배치된 수제 보틀 유지체(32)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제 공급 장치(1)는 수제 보틀(23)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컵 고정부(76, 76A) 및 컵(78) 등을 구비하지만, 도 6, 도 7에는 복수의 컵 고정부(76, 76A) 및 컵(78) 등의 일부만이 도시되고, 이들 모두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수제 보틀 유지체(32)의 하측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부(61)가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61)는, 동력원의 일례로서의 모터(62)와, 모터(62)를 내부에 수용하는 박스(63)를 갖는다. 모터(62)의 회전축에는, 모터(62)와 함께 회전하는 축부(64)가 연결된다. 축부(64)는, 모터(62)와 일체로 회전축(L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모터(62)에 고정되어 있다. 축부(64)는, 박스(63)의 내부와 외부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축부(64)는, 평판형의 수제 보틀 유지체(3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모터(62)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수제 보틀 유지체(32)의 하측으로부터 수제 보틀 유지체(32)의 상측에 전달한다.
축부(64)는, 커버(75)에 의해 그 주위가 둘러싸여 있고 그 상단이 덮여 있다. 축부(64)에는, 커버(75)를 개재시켜 컵(78)이 일체로 고정된다. 컵(78)은, 바닥이 있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컵(78)은, 수제 보틀(23)을 유지하는 홀더로서 기능한다. 컵(78)은, 도 8에 나타내는 수제 보틀(23)의 바닥부(23B)측을 유지한다. 수제 보틀(23)은, 바닥부(23B)가 컵(78)의 내측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컵(78) 내에 수용된다. 컵(78)의 측벽의 내벽면은, 수제 보틀(23)의 측면의 직경에 대하여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이 때문에, 수제 보틀(23)의 측면은, 컵(78)의 측벽의 내벽면에 대하여 미소한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수제 보틀(23)의 측면의 일부가 컵(78)의 측벽의 내벽면에 접촉해도 좋다.
수제 보틀(23)의 내부에는, 관부로서의 튜브(34)가 배치된다. 튜브(34)는, 복수의 수제 보틀(23)마다 설치된다. 튜브(34)는, 가요성과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그 단면은 압박에 의해 변형 가능하며, 압박을 해제함으로써 탄성 복원된다. 튜브(34)는, 예를 들면 실리콘 튜브 등의 합성 수지제이어도 좋다. 튜브(34)는,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로부터 바닥부(23B)를 향하여 연장되고, 그 일단부(34a)가 수제 보틀(23)의 바닥부(23B)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수제 보틀(2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에는, 베이스 부재(81)가 고정되어 있다. 튜브(34)는, 베이스 부재(81)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수제 보틀(23)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8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에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81)의 내주면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 원통형상의 스페이서(82)가 부착된다. 베이스 부재(81) 또는 수제 보틀(23)에 치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확실하게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에 베이스 부재(8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8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페이서(82)를 개재시켜 수제 보틀(23)에 부착된다.
베이스 부재(81) 상에는 커버(83)가 배치되어 있다. 커버(83)는, 베이스 부재(81)에 대하고 비고정 상태로, 베이스 부재(8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83)는, 중공 원통형의 벽부와 벽부의 상단을 덮는 원판형의 천장부를 갖는 캡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벽부의 하단이 베이스 부재(81)의 상면에 접촉하여, 베이스 부재(81) 상에 커버(83)가 배치된다. 수제 보틀(23)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81) 상에 커버(83)가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83)는,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83)의 상기 천장부에는, 튜브(34)가 딱 삽입 관통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83)의 상기 천장부에는 또한, 상면의 일부가 움푹 들어간 리세스(84)가 형성되어 있다. 튜브(34)에는 위치 결정 부재(85)가 부착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85)는, 튜브(34)의 내부를 경유하여 흐르는 수제(5)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튜브(34)에 부착된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85)는, 튜브(34)에 대한 튜브(34)의 길이 방향의 이동이 어렵도록 튜브(34)에 부착된다. 리세스(84)와 위치 결정 부재(85)는, 위치 결정 부재(85)가 리세스(84) 내에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85)는, 커버(83)에 형성된 리세스(84)와 결합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85)가 부착된 튜브(34)의 수제 보틀(23)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85)가 커버(83)의 리세스(84) 내에 수용될 때, 수제 보틀(23) 내에서 약간 만곡된 튜브(34)의 일단부(34a)가 수제 보틀(23)의 바닥부(23B)와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 부재(85)는 수제 보틀(23)에 대한 튜브(34)의 위치 결정을 한다.
또한, 수제 보틀(23)의 외부에서 튜브(34)를 고정하기 위한 튜브 고정부(86)가 설치되어 있다. 튜브 고정부(8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착판(53)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튜브(34)가 수제 보틀(23)의 내부에 삽입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튜브 고정부(86)에 튜브(34)를 유지시킴으로써, 튜브(34)는 노즐 부착판(53)에 대하여 고정된다. 튜브(34)는 또한, 노즐 부착판(53)에 형성된 노치부(54)(도 5 참조)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노즐 부착판(5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수제 교반부에서, 회전 구동부(61)의 모터(62)를 구동시키면, 모터(62)에 고정된 축부(64)가, 모터(62)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의 모터(62)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 칭한다. 축부(64)의 정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축부(64)에 고정된 컵(78)과, 컵(78)에 유지된 수제 보틀(23)은, 회전축(L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수제 보틀(23)의 회전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회전축(L3)은, 수제 보틀(23)의 중심선(L2)을 따르고 있다. 여기서, 수제 보틀(23)의 중심선(L2)이란,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와 바닥부(23B)를 연결하는 직선을 말하며, 전형적으로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인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의 중심과,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인 수제 보틀(23)의 바닥부(23B)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말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수제 보틀(23)이 컵(78)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제 보틀(23)의 중심선(L2)과, 회전 구동부(61)의 회전축(L3)은, 동일 직선형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수제(5)를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하기 위해, 수제 보틀(23)의 중심선(L2)을 회전 구동부(61)의 회전축(L3)으로부터 어긋나게 해도 좋고, 수제 보틀(23)의 중심선(L2)을 회전 구동부(61)의 회전축(L3)에 대하여 경사지게 해도 좋다.
이 수제 보틀(23)의 회전에 따라, 수제 보틀(23) 내에 수용된 수제(5)는, 수제 보틀(23)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수제 보틀(23)의 내부에서, 수제 보틀(23)의 원통형의 측부의 둘레 방향으로 흐른다.
모터(62)를 소정 시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계속해서, 정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모터(62)를 회전시킨다. 회전 구동부(61)는, 정역 양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수제 공급 장치(1)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모터(62)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시간을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수제 공급 장치(1)를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모터(62)를 정방향으로 5초간 회전시켜 수제 보틀(23)을 복수회 회전시킨 후에, 모터(62)를 역방향으로 5초간 회전시켜 수제 보틀(23)을 역방향으로 복수회 회전시키는 등, 모터(62)의 정방향의 회전과 역방향의 회전의 시간을 같게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모터(62)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만 설정해도 좋다.
모터(6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수제 보틀(23)의 회전 방향도 전환된다. 즉, 회전 구동부(61)는, 수제 보틀(23)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정방향과 반대의 역방향으로 수제 보틀(23)을 회전시킨다.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제 보틀(23)의 내부에서는, 수제(5)의 흐름에서의 난류의 강도가 증대된다. 게다가, 수제(5)의 흐름 속에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이 난류 및 소용돌이의 작용에 의해, 수제(5)는 수제 보틀(23) 내에서 교반된다.
이와 같이, 회전 구동부(61)가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수제 보틀(23)이 회전함으로써, 수제 공급 장치(1)의 내부에서, 수제 보틀(23) 내에 수용된 수제(5)를 교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5)를, 본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하여,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조제할 수 있다.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회전 구동부(61)가 추가된 간단한 구성으로, 수제 보틀(23)을 유지하는 컵(78)과 수제 보틀(23)을 일체로 회전시켜, 수제(5)를 수제 공급 장치(1) 내에서 교반할 수 있다. 수제 보틀(23)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수제 보틀(23) 내의 난류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수제(5)를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수제 보틀(23)의 개구부(23a)로부터 바닥부(23B)에까지 이르도록 수제 보틀(23) 내에 튜브(34)가 배치되어 있고, 튜브(34)는 수제 보틀(23)의 외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하는 수제 보틀(23)에 대하여, 튜브(34)는 상대 회전한다. 수제 보틀(23)과 함께 수제 보틀(23) 내에서 흐르는 수제(5)에 대하여, 튜브(34)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튜브(34)는 수제(5)에 대한 교반자로서 기능한다. 즉, 튜브(34)를 수제 보틀(23) 내에 수제(5)에 침지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수제(5)의 흐름이 난류가 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제(5)를 교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수제(5)를 공급하여 조제를 행하는 경우의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수제 공급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공급 장치(1)는, 수제 공급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14)은, 처방전 데이터 등의 수제 공급 장치(1)의 동작에 따른 여러 파라미터와, 환자명 및 약제사명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터치 패널(14)은 또한, 수제 공급 장치(1)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수제 공급 장치(1)는, 표시부로서, 터치 패널(14) 외에, 예를 들면 수제 공급 장치(1)의 동작 불량의 발생시에 점등하는 램프를 구비해도 좋다.
전자 천칭(45)은, 투약 보틀(2)에 공급된 수제(5)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량의 값을 제어부(90)에 입력한다. 제어부(90)는, 전자 천칭(45)으로부터 투약 보틀(2) 내의 수제(5)의 중량 데이터를 수취하면서, 소정량의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한다.
수제 공급 장치(1)는, 케이스(6)의 내부의 하부 공간(12)에 있어서 각각의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검출하는 보틀 위치 검출 수단(91)을 구비한다. 보틀 위치 검출 수단(91)은, 예를 들면 각종 센서이어도 좋고, 상기 센서는 수제 보틀 유지체(32)의 드럼축선(L1) 둘레의 회전각을 검출해도 좋다. 회전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수제 보틀(23)은 드럼축선(L1) 둘레로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는 빈번하게 변화한다. 보틀 위치 검출 수단(91)을 이용하여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되고, 검출된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에 따른 데이터는 제어부(90)에 입력된다.
수제 공급 장치(1)는 또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여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92)를 구비한다. 수제 공급 장치(1)의 동작에 따른 여러 파라미터는, 전술한 터치 패널(14)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90)에 입력되어도 좋고, 또는 대안으로서 통신부(92)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제어부(90)에 입력되어도 좋다.
수제 공급 장치(1)는 또한, 제어부(90)가 연산을 행하기 위한 메모리(93)를 구비한다. 메모리(93)에는,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에 따른 데이터 및, 수제 공급 장치(1)에 탑재되어 있는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수제(5)의 데이터가 저장되어도 좋다. 수제 공급 장치(1)는 또한,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기록 매체 액세스부(94)를 구비한다. 전술한 수제(5)의 데이터는, 기록 매체 액세스부(94)에 장착된 각종 기록 매체에 저장되고, 제어부(90)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적절하게 판독되어도 좋다.
제어부(90)는, 이상 설명한 각종 기기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제 공급 장치(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0)로부터, 드럼 회전용 모터(22), 이동용 모터(39), 펌프 구동용 모터(40), 수제(5)의 교반용 모터(62), 및 승강 장치(50)에 제어 신호가 송신되고, 각 모터가 적절하게 운전 및 정지됨으로써,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로의 수제(5)의 공급이 행해진다. 수제(5)의 공급 종료후, 출력부(17)를 구성하는 프린터(17a, 17b)로부터, 주출 결과가 인자(印字)된 종이 조각, 및 환자명, 약국명, 복약 시각 및 복약량 등을 인자한 투약 보틀(2) 부착용의 라벨이 출력된다.
도 10은 보틀 위치 검출 수단(91)에 의해 검출되는 각각의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제 보틀 유지체(32)에는, 8개의 수제 보틀(23)이 탑재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들 8개의 수제 보틀(23)이 수제 보틀 유지체(32) 상에 탑재되는 위치를, 도 10 중에 숫자 1~8로 나타내고 있다. 숫자 1로 나타내는 위치는, 수제 공급 장치(1)의 가장 전면측의,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수제(5)가 투약 보틀로 나오는 위치이며, 이 위치를 주출 위치로 칭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수제 공급 장치(1)에 탑재되어 있는 8개의 수제 보틀(23)에는, 각각 A~H의 8종류의 수제가 수용되어 있다. 현시점에서, 수제 A가 수용된 수제 보틀(23)이 주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회전 드럼(21)은, 드럼 둘레 방향의 양측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 한다. 수제 보틀 유지체(32)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때문에, 현재 주출 위치에 있는 수제 A의 이웃에 배치된 수제 B 및 수제 H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시간은 같다.
이하의 예에서는, 수제 보틀 유지체(32)를 45°회전시키는 시간, 즉 현재 수제 A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 옆의 수제 B를 주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요하는 시간을 가령 3초로 한다. 이 경우, 수제 보틀(23)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이동 시간이 걸리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A의 옆의 옆에 있는 수제 C 및 수제 G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은 6초이고, 마찬가지로 수제 A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가장 떨어진 수제 E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은 12초이다.
도 12는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5)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수제 공급 장치(1)에 탑재된 8종류의 수제 A~H 중, 수제 B 및 수제 E가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필요한 교반 필요 수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반이 필요한 수제란, 장시간 정치(靜置)해 두면 침강 등에 의해 불균질해지는 수제이다. 교반이 필요한 수제로는, 예를 들면 현탁액 또는 유탁액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해, 수제 A, C, D 및 F~H는,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이다. 교반이 불필요한 수제란, 장시간 정치하더라도 균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제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 및 수제 E의 필요 교반 시간은 10초라고 되어 있고, 이 필요 교반 시간에 기초하여 교반용 모터(62)의 정방향으로의 회전 시간(5초)과 역방향으로의 회전 시간(5초)이 결정된다. 도 12에서는,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 B, E의 필요 교반 시간이 동일하고, 필요 교반 시간은 고정되어 있지만, 수제(5)의 종류마다 필요 교반 시간이 상이해도 좋다.
도 13은, 투약 보틀(2)에 공급되는 수제(5)의 종류를 나타내는 처방전 테이블의 일례이다. 본 예에서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환자가 복용하기 위한 3종류의 수제(5)를 혼합하여 투약 보틀(2)에 공급한다. 처방전 테이블에는, 수제의 종류와, 수제의 주출량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수제 B를 20 ㎖, 수제 C를 30 ㎖ 및 수제 G를 40 ㎖ 공급한다. 처방전 테이블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4)을 사용하여 제어부(90)에 입력되어도 좋고, 또는 통신부(92)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제어부(90)에 입력되어도 좋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한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로의 수제 공급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 처리에서는, 우선 단계 S100에서 수제(5)의 주출 순번이 결정되고, 그 후 단계 S200에서 실제의 주출이 행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수제(5)의 각각을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연속적으로 순서대로 공급하는 일련의 순서를 공급 순서라고 칭한다. 이 공급 순서에서, 각각의 수제(5)를 공급하는 순번을 공급 순번이라고 칭한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 S10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복수의 수제(5)의 공급 순서와, 각각의 수제(5)의 공급 순번은, 이하에 설명하는 단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우선 단계 S110에서, 투약 보틀(2)에 주출되는 약품수를 취득한다. 이때 제어부(90)는, 도 13에 나타내는 처방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제 B, 수제 C 및 수제 G의 3종류의 수제가 주출되는 것을 인식한다.
계속해서 단계 S120에서는, 주출 약품수를 취득한 단계에서의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를 취득한다. 이때 제어부(90)는, 보틀 위치 검출 수단(9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가 기록된 도 11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주출 위치에 있는 수제가 수제 A인 것, 및 주출되는 3종류의 수제 B, C, G가 수용된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를 인식한다. 계속해서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에서 취득된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부(90)는 각각의 수제 보틀(23)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본 예의 경우, 수제 A가 주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은 3초이고, 수제 C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은 6초이며, 수제 G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은 6초이다.
계속해서 단계 S140에서는, 수제(5)의 교반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90)는, 도 13에 나타내는 처방전 테이블과, 도 12에 나타내는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의 테이블을 비교하여, 금회의 조제 처리에서 주출되는 수제 B가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인 것, 및 필요 교반 시간이 10초인 것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단계 S150에서는, 각 수제의 주출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90)는, 도 13의 처방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3종류의 수제 B, C, G의 각각의 주출량을 인식하고, 펌프 구동용 모터(40)에 의한 단위 시간당 수제(5)의 주출량에 기초하여, 수제 B, C, G의 각각의 주출 시간을 산출한다. 본 예의 경우, 펌프 구동용 모터(40)는 1초간에 10 ㎖의 수제(5)를 이송할 수 있는 사양이며, 주출 시간은 수제(5)의 주출량에 비례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수제 B의 주출 시간은 2초이고, 수제 C의 주출 시간은 3초이며, 수제 G의 주출 시간은 4초이다.
계속해서, 단계 S160에서는, 3종류의 수제 B, C, G 모두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데 필요한 합계 공급 시간(이하, TOTAL 주출 시간으로 칭함)을 산출한다.
도 16은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S16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TOTAL 주출 시간의 산출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61에서, 변수 i를 1로 하고, 변수 total을 0으로 한다.
여기서, 변수 i는, 주출되는 수제에 부여된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1 이상의 정수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처방전 테이블에 따라서, 수제 B를 1번, 수제 C를 2번, 수제 G를 3번으로 하도록 임시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변수 total은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변수 i는, 단계 S200에서 실제 주출이 행해질 때의 공급 순번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제 주출이 행해질 때의 공급 순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고려할 수 있는 모든 공급 순서에 관한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한 후에, 그 중에서 최적의 공급 순서(즉, TOTAL 주출 시간이 최단이 되는 공급 순서)가 선택된다. 도 13에서는 수제 B에 1번, 수제 C에 2번, 수제 G에 3번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이들은, 예를 들면 의사가 처방을 쓴 순번에 따른 번호,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가 입력된 순번 등에 불과한 것이다. TOTAL 주출 시간을 결정할 때에는, 수제 B, C 및 G에 1~3의 임의의 번호가 부여되어, 총 6가지의 주출 순서의 조합이 시행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2종류의 수제가 처방전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면, 총 2가지의 주출 순서의 조합이 시행되고, 또한 예를 들어 4종류의 수제가 처방전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면, 총 24가지의 주출 순서의 조합이 시행된다.
도 16으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단계 S162에서는, 1번째 약품인 수제 B의 교반 시간과 이동 시간을 비교한다. 이 시점에서 변수 total은 0이기 때문에, 수제 B의 교반 시간과 이동 시간만을 비교하면 된다. 본 예의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의 필요 교반 시간은 10초이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시간은 3초이기 때문에, 교반 시간 쪽이 길다. 즉, 수제 B를 현재 위치로부터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안에 수제 B의 교반이 종료되지 않고, 수제 B의 교반 시간이 율속(律速)이 되어, 수제 B의 교반 시간에 의해 변수 total이 지배된다. 이 때문에, 단계 S163으로 진행하여, 수제 B의 교반 시간과 주출 시간의 합(10초+2초=12초)을 변수 total로 한다.
단계 S163에서는 1번째 수제 B의 주출까지 필요한 시간이 산출되었기 때문에, 계속해서 단계 S165로 진행하여, 변수 i에 1을 더한다. 즉, 2번째 수제 C에 관한 주출 시간을 다음으로 검토한다. 다음 단계 S166에서는, 모든 처방 약품에 관한 주출 시간을 산출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변수 i가 처방 약품수를 초과했는지를 판단한다. 본 예에서는, 이 시점에서의 변수 i는 2, 처방 약품수는 3이고, 변수 i는 처방 약품수 이하이기 때문에, 단계 S162로 되돌아간다.
2회째의 단계 S162에서는, 2번째 약품인 수제 C의 교반 시간과,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C의 이동 시간의 합을 비교한다. 본 예의 경우, 수제 C는 교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제이기 때문에, 교반 시간은 0이다. 즉, 수제 C의 교반 시간보다,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C의 이동 시간의 합이 길다. 이 때문에,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C의 이동 시간의 합이 율속이 되어,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C의 이동 시간의 합이 새로운 변수 total을 지배한다. 이 때문에 단계 S164로 진행하여,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C의 이동 시간과, 수제 C의 주출 시간의 합을 새로운 변수 total로 한다.
도 17은 수제 B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테이블의 위치로부터 회전 드럼(21)이 회전 이동하여 수제 보틀(23)의 위치가 변화한 결과, 현시점에서 수제 B가 주출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2번째 수제 C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요하는 이동 시간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초이다. 이 때문에,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12초)에, 수제 C의 이동 시간과 주출 시간(3초+3초=6초)을 더하여, 새로운 변수 total은 18초가 된다. 이에 따라, 2번째 수제 C의 주출까지 필요한 시간이 산출되게 된다.
계속해서 단계 S165에서는 변수 i에 1을 더하여, 변수 i를 3으로 한다. 계속해서 단계 S166에서는, 변수 i의 값과 처방 약품수를 비교하고, 변수 i와 처방 약품수가 모두 3이고 변수 i는 처방 약품수 이하이기 때문에, 다시 단계 S162로 되돌아간다.
3회째 단계 S162에서는, 3번째 약품인 수제 G의 교반 시간과,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G의 이동 시간의 합을 비교한다. 본 예의 경우, 수제 G는 교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제이기 때문에, 교반 시간은 0이다. 이 때문에 단계 S164로 진행하여,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G의 이동 시간과, 수제 G의 주출 시간의 합을, 새로운 변수 total로 한다.
도 18은, 수제 C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테이블의 위치로부터 회전 드럼(21)이 회전 이동하여 수제 보틀(23)의 위치가 변화한 결과, 현시점에서 수제 C가 주출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3번째 수제 G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이동 시간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초이다. 이 때문에,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18초)에, 수제 C의 이동 시간과 주출 시간(12초+4초=16초)을 더하여, 새로운 변수 total은 34초가 된다. 이에 따라, 3번째 수제 G의 주출까지 필요한 시간이 산출되게 된다.
계속해서 단계 S165에서는 변수 i에 1을 더하여, 변수 i를 4로 한다. 계속해서 단계 S166에서는, 변수 i의 값과 처방 약품수를 비교한다. 이 시점에서의 변수 i는 4, 처방 약품수는 3이고, 변수 i가 처방 약품수를 초과했기 때문에, TOTAL 주출 시간의 산출을 종료한다.
도 19는 수제 B, C, G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제 B의 이동 시간에 비교하여 수제 B의 교반 시간이 길기 때문에, 수제 B의 교반 및 주출, 수제 C의 이동 및 주출, 및 수제 G의 이동 및 주출에 요하는 시간을 더함으로써, 수제 B, C, G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이 34초로 산출된다.
본 예의 경우, 주출 약품수가 3이기 때문에, 수제 B, C 및 G의 순서를 교체하는 것에 의한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주출 순서의 조합은, 합계 6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이 6가지의 주출 순서 전부에 관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다음으로 수제 G, B, C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6을 다시 참조하여, 1번째 약품인 수제 G는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수제 G의 주출까지 필요한 시간은, 수제 G의 이동 시간과 주출 시간의 합(6초+4초=10초)이다.
2번째 약품인 수제 B는, 10초간의 교반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수제 B의 교반은, 교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제 G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시간과, 수제 G를 주출하는 주출 시간 사이에 행해진다. 수제 B를 수용하는 수제 보틀(23)은, 수제 B가 교반되면서, 드럼축선(L1) 둘레로 회전 이동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제어부(90)는, 투약 보틀(2)에 수제 G를 공급하는 동안, 및 보틀 위치 변경부로서의 회전 드럼(21)을 회전시켜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에, 수제 교반부를 작동시켜 수제 B를 교반한다. 제어부(90)는,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각 수제(5)를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 중, 수제 B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번이 될 때까지, 즉 수제 B가 수용된 수제 보틀(23)을 주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드럼(21)의 회전 이동이 개시될 때까지, 수제 B를 교반한다. 제어부(90)는, 수제 G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투약 보틀(2)로의 수제 B의 공급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수제 B보다 공급 순서가 앞인 수제 G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동안에, 수제 B를 교반한다.
2회째의 단계 S162에서는, 수제 B의 교반 시간과,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B의 이동 시간의 합을 비교한다. 도 20은 수제 G가 주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제 보틀(2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2번째 수제 B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이동 시간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9초이다.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은, 1번째 약품인 수제 G의 이동 시간과 주출 시간의 합이다. 즉, 2회째의 단계 S162에서, 제어부(90)는, 수제 G의 공급에 요하는 제1 수제 공급 시간과, 수제 B의 교반에 요하는 제2 수제 교반 시간을 비교한다.
여기서 제1 수제 공급 시간은, 1번째로 주출되는 제1 수제인 수제 G를 수용한 제1 보틀로서의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수제 G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또한 제2 수제 교반 시간은, 2번째로 주출되는 제2 수제인 수제 B의 교반에 요하는 시간이다. 또한 제어부(90)는, 상기 제1 수제 공급 시간과 수제 보틀(23)의 위치 변경에 요하는 위치 변경 시간을 더한 소계 시간과, 상기 제2 수제 교반 시간을 비교한다.
수제 B의 교반 시간(10초)과,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B의 이동 시간의 합(10초+9초=19초)을 비교하면, 후자(後者)쪽이 크다. 이 때문에, 단계 S164로 진행하여,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10초)에, 수제 B의 이동 시간과 주출 시간(9초+2초=11초)을 더하여, 새로운 변수 total은 21초가 된다. 이에 따라, 2번째 수제 B의 주출까지 필요한 시간이 산출되게 된다.
3번째 약품인 수제 C는 교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단계 S164에서는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과, 수제 C의 이동 시간과, 수제 C의 주출 시간의 합을, 새로운 변수 total로 한다. 도 17을 참조해 보면, 3번째 수제 C를 주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이동 시간은 3초이다. 이 때문에, 현시점에서의 변수 total(21초)에, 수제 C의 이동 시간과 주출 시간(3초+3초=6초)을 더하여, 새로운 변수 total은 27초가 된다. 이에 따라, 3번째 수제 G의 주출까지 필요한 시간이 산출되게 된다.
도 21은 수제 G, B, C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제 B의 교반 시간에 비교하여, 1번째 수제 G의 이동 시간 및 주출 시간 및 2번째 수제 B의 이동 시간의 합이 길다. 이 때문에, 수제 G의 이동 및 주출, 수제 B의 이동 및 주출, 및 수제 C의 이동 및 주출에 요하는 시간을 더함으로써, 수제 G, B, C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이 27초로 산출된다.
도 22는 수제 G, C, B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교반을 필요로 하는 수제 B는 3번째로 주출된다. 수제 B의 교반은 1번째 수제 G의 이동 개시와 동시에 개시되기 때문에, 2번째 수제 C의 주출이 끝날 때까지 수제 B의 교반은 이미 완료되었다. 제어부(90)는, 수제 B의 교반 종료후, 시간을 두고 수제 B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수제 G의 이동 및 주출, 수제 C의 이동 및 주출, 및 수제 B의 이동 및 주출에 요하는 시간을 더함으로써, 수제 G, C, B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이 30초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수제 B, G, C의 순, 수제 C, B, G의 순, 수제 C, G, B의 순으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각각 산출한다. 즉, 3종류의 수제 B, C, G 순으로 주출하는 조합의 전부인 6가지의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한다.
도 15로 되돌아가, 다음으로 단계 S170에서, 상기 6가지 TOTAL 주출 시간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로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주출을 행할 때의 주출 순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6가지의 TOTAL 주출 시간 중, TOTAL 주출 시간이 최단이 되는 순서를 선택하고, 그 순서를,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각 수제(5)를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수제(5)(즉 수제 B, C 및 G)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번이 결정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단계 S100이 완료되게 된다.
회전 드럼(21)의 회전량을 최소로 함으로써, 수제 보틀(23)의 주출 위치로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교반 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이 교반 불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보다 뒤가 되도록,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복수 종류의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교반 필요 수제의 교반에 요하는 시간 중, TOTAL 주출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종류의 수제 모두의 주출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수제(5)를 수용한 복수의 수제 보틀(23)의 각각으로부터 투약 보틀(2)로의 수제(5)의 공급이 행해진다. 도 23은 도 14에 나타내는 수제(5)를 주출하는 단계 S20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3을 참조해 보면, 우선 단계 S210에서는, 투약 보틀(2)에 공급되는 복수의 수제(5)에, 교반이 필요한 약품이 포함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교반 필요 수제가 있다면, 단계 S220으로 진행하여,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고, 그 후 단계 S230으로 진행한다. 교반이 필요한 약품이 없다면, 단계 S220을 빼고, 직접 단계 S230으로 진행한다.
도 24는 수제(5)를 교반하는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서브루틴은, 수제 공급 장치(1)의 기동과 동시에 개시되어, 상시 실행되고 있다. 단계 S2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었는지의 여부가 항상 감시되어,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지시를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가 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단계 S220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면, 단계 S221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었다고 판단되어, 단계 S222로 진행한다. 단계 S222에서는, 제어부(90)가 수제(5)의 교반용 모터(62)를 구동시킴으로써, 수제 보틀(23)을 회전시킨다. 수제 보틀(23)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제 보틀(23) 내에 난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수제 보틀(23) 내의 수제(5)를 교반한다. 단계 S223에서 교반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교반이 계속된다. 교반의 완료 판단은, 예를 들면 모터(62)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타이머로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S220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었을 때, 단계 S221에서의 판단이 YES가 되어, 단계 S222로 진행하여 교반이 개시된다. 하나의 처방전이 교반이 필요한 수제(5)를 복수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수제(5)의 교반 동작 플래그가 동시에 셋팅되어, 복수의 수제(5)의 교반이 일제히 개시된다.
교반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모터(62)가 정지되고, 계속해서 단계 S224로 진행하여, 교반 동작 플래그가 클리어된다. 도 24의 서브루틴은 그 후 리턴되어, 다시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서브루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기동과 동시에 상시 실행되어도 좋지만, 수제(5)의 공급 순서 결정후에 서브루틴 개시 플래그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 필요한 복수 종류의 수제(5) 모두가 투약 보틀(2)에 공급된 후에 서브루틴을 종료시키면 된다.
도 23으로 되돌아가, 다음으로 단계 S230에서는, 교반이 필요한 약품의 분주(分注)의 순번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교반 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이라면, 다음으로 단계 S240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는지가 판단된다. 즉, 교반 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이 되었을 때, 도 24에 나타내는 서브루틴에 따라서 이미 수제(5)의 교반이 행해지고, 그 결과 단계 S224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클리어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교반 동작 플래그가 클리어되어 있지 않으면, 교반이 아직 종료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교반이 완료되어 교반 동작 플래그가 클리어될 때까지 대기한다. 교반 동작 플래그가 클리어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50으로 진행한다.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의 공급 순번이라면, 교반 동작 플래그와는 관계없이 수제(5)의 주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계 S230으로부터 직접 단계 S250으로 진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250에서, 주출되는 수제(5)를 수용하는 수제 보틀(23)을 주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 수제(5)의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로의 주출이 행해진다.
여기서, 단계 S220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면, 즉시 단계 S222에서 교반이 개시된다. 또한, 단계 S220에서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된 후, 처음에 투약 보틀(2)에 공급되는 수제(5)가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라면, 즉시 단계 S250에서 수제 보틀(23)의 이동이 개시된다. 제어부(90)는, 회전 드럼(21)이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에, 수제 교반부를 구성하는 회전 구동부(61)를 작동시켜, 수제 보틀(23) 내의 수제(5)를 교반한다.
계속해서 단계 S260으로 진행하여, 처방전에 기재된 모든 대상의 수제(5)가 투약 보틀(2)에 공급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30으로 되돌아간다. 모든 수제(5)가 주출되어 있다면,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이 완료되어, 도 14에 나타내는 단계 S200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제 공급 장치(1)에서는,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필요한 수제(5)는, 다른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동안, 및/또는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에 교반된다. 교반 필요 수제의 교반 시간을, 다른 수제(5)의 주출 시간 및/또는 이동 시간에 겹치게 함으로써, 교반만을 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교반만을 행하는 시간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수제(5)의 주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복수 종류의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는, 교반 필요 수제인 수제 B의 공급 순번이 교반 불필요 수제인 수제 G의 공급 순번보다 뒤가 되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또는, 공급 순서는, 의사가 처방을 쓴 순번에 따라서 설정되는 등, 미리 설정된 것이며, 제어부(90)는 공급 순서를 변경하지 않아도 좋다. 공급 순서가 미리 설정된 것이며, 교반이 필요한 수제 B가 최초의 공급 순번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의 교반 시간과 이동 시간을 겹치게 함으로써, 수제 B의 교반만을 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제(5)의 주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25는 실시형태 2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5종류의 수제 P, Q, R, S 및 T를 각각 50 ㎖씩 공급하는 처방전에 따라서,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을 행하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수제 P, Q, R, S 및 T의 주출 시간은 전부 똑같이 5초로 한다. 이때, 5종류의 수제 P, Q, R, S 및 T가 수용된 수제 보틀(23)은, 수제 보틀 유지체(32) 상에 각각 인접하여 나열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각 수제 보틀(23)의 주출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은 3초로 한다.
또한, 5종류의 수제 P, Q, R, S 및 T 중, 수제 T만이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필요한 교반 필요 수제이고, 다른 수제 P, Q, R 및 S는 모두,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 개시시에 교반 동작 플래그가 셋팅되기 때문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P의 이동 개시와 동시에 수제 T의 교반이 개시되고 있다. 수제 T는, 10초간 교반된 후에 교반이 정지된다. 또 수제 T는, 정해진 시간(본 예의 경우 10초간) 정지한 후에, 다시10초간의 교반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교반 필요 수제인 수제 T를, 그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반복 교반하면, 수제 T의 공급 순번이 되는 시점, 즉 수제 T를 수용한 수제 보틀(23)의 주출 위치로의 이동이 개시되는 시점에 보다 가까운 시간대에서, 수제 T를 교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제 T에 포함되는 현탁 성분의 수제 보틀(23)의 바닥부로의 침강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상태의 수제 T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26은 실시형태 3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실시형태 3은, 전술한 실시형태 2와 동일한, 5종류의 수제 P, Q, R, S 및 T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예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P의 이동 개시로부터 수제(S)의 주출 종료까지, 즉 수제 T의 공급 순번이 될 때까지 수제 T의 교반이 연속적으로 계속된다.
실시형태 3에 나타내는 조제 처리에 의하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투약 보틀(2)로의 공급 개시 시점에 보다 가까운 시간대에 수제 T를 교반할 수 있어, 수제 T에 포함되는 현탁 성분의 수제 보틀(23)의 바닥부로의 침강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상태의 수제 T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27은 실시형태 4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실시형태 4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테이블대로 배치된 2종류의 수제 B 및 H를 공급하고, 수제 B의 주출량이 20 ㎖, 수제 H의 주출량이 50 ㎖인 처방전에 따라서, 수제(5)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을 행하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수제 B의 주출 시간은 2초, 수제 H의 주출 시간은 5초로 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는 교반 필요 수제이고, 수제 H는 교반 불필요 수제로 한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제 B, H를 공급하는 처방이 3회 연속하여 행해지는 경우로 한다.
이 경우,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필요한 수제 B는, 3회의 연속 처방 중의 최초의 회에만 교반하면 된다. 1회째의 처방에서 수제 B를 교반하고 나서 단시간후에, 2, 3회째의 처방에 따른 수제 B의 주출이 행해진다. 2, 3회째의 처방에서는, 1회째의 처방에서 수제 B가 교반되고 나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아, 수제 B는 이미 교반되어 있다고 고려된다. 1회째 처방에서는 수제 B는 교반 필요 수제이지만, 2, 3회째의 처방에서는 수제 B는 교반 불필요 수제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 3회째의 처방에서, 수제 B의 재교반은 불필요하여, 수제 B의 교반 시간만큼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2, 3회째의 처방에서의 수제 B 및 H의 TOTAL 주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3회째의 처방에서, 제어부(90)는, 수제 B의 교반 종료후, 시간을 두고 수제 B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러한 조제 처리는, 처방전에 포함되는 수제가 전부 교반 필요 수제인 경우에, TOTAL 주출 시간을 단축하는 데 특히 유효하다.
(실시형태 5)
도 28은 실시형태 5의 TOTAL 주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실시형태 5는,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3종류의 수제 B, C 및 G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예이다. 교반 필요 수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교반한 후, 장시간(예를 들면 10시간 이상) 수제(5)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제의 경우, 1일 1회, 예를 들면 하루중의 수제 공급 장치(1)의 기동시에만 교반하면, 그 후의 실제 주출시에 교반은 불필요하다. 실시형태 5에서는, 수제 B가, 1일 1회의 교반으로 충분한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종류의 수제로 한다.
이 때문에,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수제 B를 교반해 두는 것에 의해, 실제의 주출시에는, 수제 B는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제 B의 교반 시간만큼 TOTAL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수제 B의 교반 종료후, 시간을 두고 수제 B의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9와 비교하여, 수제 B, C 및 G의 순서로 주출을 행하는 경우의 TOTAL 주출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수제 보틀(23)이 수제 공급 장치(1) 내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에서, 수제 보틀(23)을 주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했다. 수제 보틀(23)이 수제 공급 장치(1) 내에서 이동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수제 보틀(23)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하면 된다. 즉, 복수의 수제(5)의 주출 시간과 교반 시간을 적절하게 더함으로써, TOTAL 주출 시간을 산출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또한,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1 : 수제 공급 장치 2 : 투약 보틀
3 : 수제 공급부 5 : 수제
14 : 터치 패널 17 : 출력부
17a, 17b : 프린터 21 : 회전 드럼
22 : 드럼 회전용 모터 23 : 수제 보틀
32 : 수제 보틀 유지체 39 : 이동용 모터
40 : 펌프 구동용 모터 45 : 전자 천칭
50 : 승강 장치 61 : 회전 구동부
62 : 모터 90 : 제어부
91 : 보틀 위치 검출 수단 92 : 통신부
93 : 메모리 94 : 기록 매체 액세스부

Claims (7)

  1. 수제(水劑)(5)를 수용한 수제 보틀(23)로부터 상기 수제(5)를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수제 공급 장치(1)로서,
    상기 수제 보틀(23) 내의 상기 수제(5)를 교반하는 수제 교반부와,
    제1 수제를 수용한 제1 보틀과 제2 수제를 수용한 제2 보틀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수제 보틀(23)을 유지하는 보틀 유지부(32)와,
    상기 수제 공급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보틀로부터 상기 투약 보틀(2)에 상기 제1 수제를 공급하는 동안에, 상기 수제 교반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수제를 교반하는 것인 수제 공급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 수제의 상기 투약 보틀(2)로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2 보틀로부터 상기 투약 보틀(2)로의 상기 제2 수제의 공급을 개시하는 것인 수제 공급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제는, 상기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것인 수제 공급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유지부(32)에 유지된 복수의 상기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보틀 위치 변경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보틀 위치 변경부(21)가 상기 수제 보틀(23)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에, 상기 수제 교반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수제를 교반하는 것인 수제 공급 장치(1).
  5. 수제(5)를 수용한 복수의 수제 보틀(23)을 가지며, 상기 수제(5)를 각각의 상기 수제 보틀(23)로부터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수제 공급부(3)로서, 상기 수제(5)는 상기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필요한 교반 필요 수제를 포함하는 것인 수제 공급부와,
    상기 수제 보틀(23) 내의 상기 수제(5)를 교반하는 수제 교반부와,
    복수의 상기 수제 보틀(23)에 수용된 상기 수제(5)의 각각을 상기 수제 보틀(23)로부터 상기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서 중, 상기 교반 필요 수제를 상기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공급 순번이 될 때까지, 상기 교반 필요 수제를 교반하는 제어부(90)
    를 포함하는 수제 공급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교반 필요 수제보다 상기 공급 순번이 앞인 상기 수제(5)를 상기 투약 보틀(2)에 공급하는 동안에, 상기 교반 필요 수제를 교반하는 것인 수제 공급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제(5)는, 상기 투약 보틀(2)로의 공급전에 교반이 불필요한 교반 불필요 수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교반 필요 수제의 상기 공급 순번이 상기 교반 불필요 수제의 상기 공급 순번보다 뒤가 되도록, 상기 공급 순서를 설정하는 것인 수제 공급 장치(1).
KR1020137019370A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KR101841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2637 2010-12-28
JP2010292637A JP5794517B2 (ja) 2010-12-28 2010-12-28 水剤供給装置
PCT/JP2011/078524 WO2012090678A1 (ja) 2010-12-28 2011-12-09 水剤供給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88A Division KR20180031063A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KR1020187007389A Division KR20180031064A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559A true KR20130132559A (ko) 2013-12-04
KR101841318B1 KR101841318B1 (ko) 2018-03-22

Family

ID=463827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88A KR20180031063A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KR1020187007389A KR20180031064A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KR1020137019370A KR101841318B1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88A KR20180031063A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KR1020187007389A KR20180031064A (ko) 2010-12-28 2011-12-09 수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30255831A1 (ko)
EP (1) EP2659874A4 (ko)
JP (1) JP5794517B2 (ko)
KR (3) KR20180031063A (ko)
CN (1) CN103282011B (ko)
AU (1) AU2011351208B9 (ko)
CA (1) CA2823142A1 (ko)
HK (1) HK1187236A1 (ko)
WO (1) WO2012090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3629B2 (ja) * 2013-10-17 2017-05-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薬液容器交換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
CA2953317C (en) * 2014-07-01 2022-02-01 Yuyama Mfg. Co., Lt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N105989668A (zh) * 2015-03-06 2016-10-05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提供装置
US10611505B2 (en) * 2015-05-04 2020-04-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Dispensing machine for aerosol precursor
US10925808B2 (en) * 2015-12-04 2021-02-23 Carefusion 303, Inc. Tube management structures for automatic drug compounder
CN108697579B (zh) * 2015-12-04 2021-01-15 康尔福盛303公司 用于自动药物配制器的泵传动装置
WO2017095665A1 (en) * 2015-12-04 2017-06-08 Carefusion 303, Inc. Vial puck system for automatic drug compounder
EP3666667B1 (en) 2015-12-04 2023-05-24 Carefusion 303 Inc. Label reader for automatic drug compounder
JP6195037B1 (ja) * 2015-12-28 2017-09-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混注装置
US10759554B2 (en) * 2017-02-02 2020-09-01 Rai Strategic Holdings, Inc. Dispenser unit for aerosol precursor
US11903904B2 (en) * 2017-05-30 2024-02-20 Khalil RAMADI System for precise measurement and dispensing of liquids
ES1245109Y (es) * 2019-10-08 2020-08-24 Zummo Innovaciones Mecanicas Sa Dispositivo de sujecion de botellas para maquina exprimidora
US20210267355A1 (en) 2020-02-27 2021-09-02 Jason Litner Personal cosmetic dispenser
IT202000009745A1 (it) * 2020-05-04 2021-11-04 Biovalley Group S P A Apparecchio per la preparazione di un farmaco, dispositivo di pesatura compreso nell'apparecchio,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el farmaco
FR3114079B1 (fr) * 2020-09-17 2022-08-05 Packinov Automate de conditionnement de prescriptions et procede associ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3969A (en) * 1944-11-21 1947-07-15 Arco Company Dispensing apparatus
US3208823A (en) * 1958-10-20 1965-09-28 Philadelphia Quartz Co Finely divided silica product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JPS5971755A (ja) * 1982-10-19 1984-04-23 電気化学計器株式会社 点滴注射液の自動調合装置
US5272092A (en) * 1987-11-12 1993-12-21 Hitachi, Ltd. Method for analyzing a reaction solution
JPH01244759A (ja) 1988-03-27 1989-09-29 Anzai Sogyo Kk 放射線薬液分注装置
JPH03258332A (ja) * 1990-03-06 1991-11-18 Konica Corp 乳化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5206479A (en) * 1990-05-04 1993-04-27 Cem Corporation Microwave heating system
JP2000217906A (ja) 1999-01-29 2000-08-08 Shibuya Kogyo Co Ltd 溶質の投入装置
US6357907B1 (en) * 1999-06-15 2002-03-19 V & P Scientific, Inc. Magnetic levitation stirring devices and machines for mixing in vessels
JP4370552B2 (ja) 2001-09-14 2009-11-25 ニプロ株式会社 薬液注入ポート
JP3641461B2 (ja) * 2002-02-25 2005-04-20 アロカ株式会社 分注装置
US20080212401A1 (en) * 2005-04-07 2008-09-04 Sacchet Alessandro Modular Dye Meter
JP4642571B2 (ja) * 2005-07-06 2011-03-02 アロカ株式会社 自動調剤装置
JP4654081B2 (ja) * 2005-07-08 2011-03-16 アロカ株式会社 水薬調剤装置及び調剤方法
JP4837952B2 (ja) * 2005-07-21 2011-12-14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水薬調剤装置
JP2007040843A (ja) 2005-08-03 2007-02-1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自動分析装置
JP2007108937A (ja) 2005-10-12 2007-04-26 Sanden Corp 飲料自動販売機
JP4814642B2 (ja) * 2006-01-31 2011-11-16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液体調合装置
JP4955289B2 (ja) 2006-03-16 2012-06-20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水薬調剤装置
JP4887078B2 (ja) * 2006-05-31 2012-02-29 高園産業株式会社 水薬供給装置
JP5190191B2 (ja) * 2006-09-26 2013-04-24 高園産業株式会社 水薬供給装置
JP4805777B2 (ja) * 2006-09-26 2011-11-02 高園産業株式会社 ノズル保持機構および水薬供給装置におけるノズル保持機構
JP5040027B2 (ja) * 2007-11-09 2012-10-03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水薬調剤装置
WO2009060872A1 (ja) * 2007-11-09 2009-05-14 Aloka Co., Ltd. 水薬調剤装置
JP4861297B2 (ja) 2007-11-09 2012-01-25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水薬調剤装置
WO2010110303A1 (ja) 2009-03-24 2010-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分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87236A1 (en) 2014-04-04
US20130255831A1 (en) 2013-10-03
US20170290743A1 (en) 2017-10-12
KR20180031063A (ko) 2018-03-27
KR101841318B1 (ko) 2018-03-22
AU2011351208B2 (en) 2017-04-13
JP2012139277A (ja) 2012-07-26
EP2659874A4 (en) 2016-11-09
KR20180031064A (ko) 2018-03-27
CN103282011A (zh) 2013-09-04
JP5794517B2 (ja) 2015-10-14
US10722429B2 (en) 2020-07-28
CN103282011B (zh) 2015-06-10
EP2659874A1 (en) 2013-11-06
AU2011351208A1 (en) 2013-07-25
CA2823142A1 (en) 2012-07-05
WO2012090678A1 (ja) 2012-07-05
AU2011351208B9 (en)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559A (ko) 수제 공급 장치
KR101823184B1 (ko) 수제 공급 장치
CN103341335B (zh) 静脉用药自动配制设备和摆动型转盘式配药装置
KR20130096240A (ko) 자동으로 약물을 재구성하는 기기 및 방법
JP3024375B2 (ja) 自動前処理装置
JP2014014428A (ja) 水剤供給装置
JP6632940B2 (ja) 水剤供給装置
JP6762996B2 (ja) 水剤供給装置
JP6255065B2 (ja) 水剤供給装置
JP6082973B2 (ja) 水剤供給装置
JP5186309B2 (ja) 薬液供給装置
CN210175184U (zh) 液体分装装置
JP5521020B2 (ja) 薬液供給装置
CN103920413A (zh) 摇摆式药剂混融促进器
JP2023026827A (ja) 水剤供給装置
JP5920855B2 (ja) 水剤供給装置
JP2015224066A (ja) 吐出ユニット及び液体調合装置
JP5648253B6 (ja) 水剤供給装置
JP5648253B2 (ja) 水剤供給装置
TW201432225A (zh) 液體計量裝置
JP5135128B2 (ja) 薬液供給装置
KR101434538B1 (ko) 액체 계량장치
JP2002243752A (ja) 自動分離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