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556A -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 - Google Patents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556A
KR20130132556A KR1020137019224A KR20137019224A KR20130132556A KR 20130132556 A KR20130132556 A KR 20130132556A KR 1020137019224 A KR1020137019224 A KR 1020137019224A KR 20137019224 A KR20137019224 A KR 20137019224A KR 20130132556 A KR20130132556 A KR 2013013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mol
fluorophenyl
dihydroimidazo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987B1 (ko
Inventor
안드레스 아벨리노 트라반코-수아레즈
프란치스카 델가도-히메네스
라미로 후안 안토니오 베가
게리 존 트레사던
헨리쿠스 야코부스 마리아 기즈센
다니엘 오엘리치
Original Assignee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3013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부위 아밀로이드 절단 효소, BACE, BACE1, Asp2 또는 메맙신2로도 알려져 있는 베타-세크레타아제 저해제로서의 신규 5-아미노-3,6-디하이드로-1H-피라진-2-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알츠하이머병 (AD),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루이소체 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뇌졸중 관련 치매, 파킨슨병 관련 치매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관련 치매 등과 같은 베타-세크레타아제가 연루되는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5,6-DIHYDRO-IMIDAZO[1,2-a]PYRAZIN-8-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본 발명은 베타-부위 아밀로이드 절단 효소, BACE, BACE1, Asp2 또는 메맙신2로도 알려져 있는 베타-세크레타아제 저해제로서의 신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알츠하이머병 (AD),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루이소체 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뇌졸중 관련 치매, 파킨슨병 관련 치매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관련 치매 등과 같은 베타-세크레타아제가 연루되는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 (AD)은 노화와 관련된 신경변성 질환이다. AD 환자는 인지 결핍 및 기억 상실뿐 아니라 불안증과 같은 행동 장애를 앓는다. AD로 고통받는 환자 중 90% 이상은 산발적 형태의 질병을 가지며, 10% 미만의 경우는 가족성 또는 유전성이다. 미국에서 65세의 사람 10명 중 약 1명이 AD를 가지나, 85세에는 매 2명의 사람 중 1명이 AD에 걸린다. 처음 진단으로부터의 평균 여명은 7-10년이며, AD 환자는 매우 고가인 노인 원호 생활 시설에서나 가족 구성원에 의한 광범위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AD는 인구 중에 노인 수의 증가와 함께, 의학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AD에 대한 현재 이용가능한 치료법은 단지 질환의 징후를 치료하는 것이며, 인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제뿐 아니라 이 병과 관련된 행동 장애를 제어하기 위한 항불안제 및 항정신병제를 포함한다.
AD 환자의 뇌에서의 현저한 병리학적 특징은 tau 단백질의 과인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신경원섬유 매듭 (neurofibillary tangle) 및 β-아밀로이드1-42 (Aβ1-42)펩티드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이다. Aβ1-42는 올리고머를 형성한 다음, 원섬유를 형성하고, 궁극적으로는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형성한다. 올리고머 및 원섬유는 특히 신경독성인 것으로 여겨지며, AD와 관련된 대부분의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Aβ1-42의 형성을 예방하는 제제는 AD의 치료용 질환 조절제(disease-modifying agent)일 가능성을 가진다. Aβ1-42는 77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로부터 생성된다. Aβ1-42의 N-말단이 β-세크레타아제 (BACE)에 의해 절단된 다음, γ-세크레타아제가 C-말단을 절단한다. γ-세크레타아제는 또한 Aβ1-42 외에, 주된 절단 산물인 Aβ1-40 뿐 아니라 Aβ1-38 및 Aβ1-43을 유리시킨다. 이들 Aβ는 또한 응집하여 올리고머 및 피브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BACE의 저해제는 Aβ1-42 뿐 아니라 Aβ1-40, Aβ1-38 및 Aβ1-43의 형성을 예방하는 것으로 예상되며, AD의 치료에서의 유력한 치료제일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호변이성체 또는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부가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3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및 C3-6사이클로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3알킬, C3-6사이클로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호모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X1, X2, X3, X4는 독립적으로 C(R4) 또는 N이나, 단 N을 나타내는 것은 두개를 넘지 않고;각 R4는 수소, 할로, C1-3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시아노,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L은 결합 또는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C1-3알킬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질, 피리다질,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졸릴, 및 옥사디아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례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있다. 본 발명의 실례로는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것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있다. 본 발명의 실례로는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것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는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중 임의의 것의 치료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β-세크레타아제 효소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의 치료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에는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중 임의의 것의 치료적 유효량을 β-세크레타아제 효소의 저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β-세크레타아제 효소의 저해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는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중 임의의 것의 치료적 유효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레비소체 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뇌졸증과 관련된 치매,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 베타-아밀로이드와 관련된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a) 알츠하이머병, (b) 경증 인지 장애, (c) 노쇠, (d) 치매, (e) 레비소체치매, (f) 다운증후군, (g) 뇌졸증과 관련된 치매, (h)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 및 (i) 베타-아밀로이드와 관련된 치매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β-세크레타아제 효소 (β-부위 절단 효소, BACE, BACE1, Asp2 또는 메맙신 2로도 공지되어 있음)의 저해제이며, 알츠하이머병,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뇌졸증과 관련된 치매, 레비소체치매, 다운증후군,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 베타-아밀로이드와 관련된 치매,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 경증 인지 장애 또는 치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3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및 C3-6사이클로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3알킬, C3-6사이클로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호모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X1, X2, X3, X4는 독립적으로 C(R4) 또는 N이나, 단 N을 나타내는 것은 두개를 넘지 않고; 각 R4는 수소, 할로, C1-3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시아노,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L은 결합 또는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C1-3알킬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질, 피리다질,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졸릴, 및 옥사디아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3알킬중에서 선택되고;
R3은 C1-3알킬이고;
X1, X2, X3, X4는 독립적으로 C(R4)이고, 여기에서 각 R4는 수소 및 할로중에서 선택되고;
L은 결합 또는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시아노, C1-3알킬, 및 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할로, 시아노, C1-3알킬, 및 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질, 및 피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 및 R2는 수소이고;
R3은 메틸이고;
X1, X2, X3, X4는 CH 또는 CF이고;
L은 결합 또는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클로로, 플루오로, 시아노, 메틸, 및 메톡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라질, 피리다질, 및 피리미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 브로모 및 시아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R3은 C1-3알킬 또는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X1 및 X3은 독립적으로 CH 또는 CF이고;
X2 및 X4는 CH이고;
L은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할로, 시아노, C1-3알킬, 및 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질, 피라졸릴, 옥사졸릴 및 이소티아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은 수소, 모노-, 디-,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 브로모 또는 시아노이고;
R2는 수소, 클로로, 시아노, 모노-, 디-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3은 메틸, 모노-, 디-,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X1은 CF이고;
X2, X3, X4는 CH이고;
L은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각각 클로로, 플루오로, 시아노, 메틸, 메톡시, 에톡시,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피리딜, 피라질 및 피라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 브로모 및 시아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R3은 C1-3알킬 또는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X1 및 X3은 독립적으로 CH 또는 CF이고;
X2 및 X4는 CH이고;
L은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5-클로로-2-피리딜, 5-플루오로-2-피리딜, 5-시아노-2-피리딜, 3,5-디클로로-2-피리딜, 3-플루오로-5-클로로-2-피리딜, 3-플루오로-5-시아노-2-피리딜, 3-클로로-5-시아노-2-피리딜, 5-메톡시-2-피라질, 5-에톡시-2-피라질, 1-디플루오로메틸-3-피라졸릴, 2-메틸-4-옥사졸릴, 2,5-디메틸-4-옥사졸릴,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옥사졸릴, 3-이소티아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3로 치환된 탄소 원자는 R-배열을 갖는다.
정의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를 의미한다;
"C1-3 알킬"은 1, 2 또는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알킬 그룹, 예를 들면 메틸, 에틸, 1-프로필 및 2-프로필을 의미한다;
"C1-3알킬옥시"는 C1-3알킬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에테르 래디칼을 의미한다;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은 1, 2, 3개 또는 경우에 따라 그 이상의 상기 정의된 할로 원자로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3알킬을 의미한다;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옥시"는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에테르 래디칼을 의미한다;
"C3-6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을 의미한다;
"C3-6사이클로알칸디일"은 사이클로프로판디일, 사이클로부탄디일, 사이클로펜탄디일 및 사이클로헥산디일과 같은 2가 래디칼을 의미한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이거나 또는 대상이 되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 또는 의학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생각되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제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성분들을 특정 양으로 포함하는 생성물뿐만 아니라, 특정 양의 특정 성분들의 조합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되는 임의의 생성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일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부가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입체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및 이후, 용어 "화학식 (I)와 화합물"은 그의 부가염, 용매화물 및 입체이성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또는 이후에서, 용어 "입체이성체" 또는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동일한 의미이다.
본 발명은 순수한 입체이성체 또는 2 이상의 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체를 포함한다.
에난티오머는 서로의 거울상 이미지가 포개지지 않는 입체이성체이다. 에난티오머 쌍의 1:1 혼합물은 라세메이트 또는 라세믹 혼합물이다. 디아스테레오머(또는 디아스테레오이성체)는 에난티오머가 아닌 입체이성체로서, 즉 거울상 이미지가 관련이 없다. 화합물이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으면, 치환체는 E 또는 Z 배열일 수 있다. 화합물이 이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그룹을 가지고 있으면, 치환체는 시스 또는 트랜스 배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라세메이트, E 이성체, Z 이성체, 시스 이성체, 트랜스 이성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절대 배위는 Cahn-Ingold-Prelog 시스템에 따라 지정된다. 비대칭 원자에서의 배열은 R 또는 S로 명기된다. 절대 배위를 모르는 분할 화합물은 면 편광 회전 방향에 따라 (+) 또는 (-)로 표기될 수 있다.
특정 입체이성체가 표시될 경우, 이는 상기 형태가 다른 이성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으며, 즉, 다른 이성체를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미만, 특히 2%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미만으로 함유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R)로서 특정된 경우, 이것은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S) 이성체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E로서 특정된 경우, 이것은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Z 이성체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시스로서 특정된 경우, 이것은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트랜스 이성체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a)의 호변이성체와 동작 평형으로 공존한다.
Figure pct00002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 결정성 형태는 다형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그밖에,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은 물과 용매화물(즉, 수화물) 또는 일반 유기 용매와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매화물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은 비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말한다. 그러나, 다른 염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화합물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예를 들어, 화합물의 용액을 염산, 황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아세트산, 벤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탄산 또는 인산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의 용액과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산 부가염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성 부분(moiety)을 지니는 경우, 그들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 및 적합한 유기 리간드와 함께 형성된 염, 이를 테면 4차 암모늄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산에는 다음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세트산, 2,2-디클로로아세트산, 아실화된 아미노산, 아디프산, 알긴산, 아스코르브산, L-아스파르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캄포르산, 캄포르설폰산, 카프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신남산, 시트르산, 사이클람산, 에탄-1,2-디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포름산, 푸마르산, 갈락타르산, 겐티신산, 글루코헵톤산, D-글루콘산, D-글루코론산, L-글루탐산, 베타-옥소-글루타르산, 글리콜산, 히푸르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L-락트산, (±)-DL-락트산, 락토비온산, 말레산, (-)-L-말산, 말론산, (±)-DL-만델산, 메탄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탈렌-1,5-디설폰산, 1-하이드록시-2-나프토산, 니코틴산, 질산, 올레산, 오로트산, 옥살산, 팔미트산, 파모인산, 인산, L-파이로글루탐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세바신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황산, 타닌산, (+)-L-타르타르산, 티오시안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폰산, 및 운데실렌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염기에는 다음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암모니아, L-아르기닌, 베네타민, 벤자틴, 수산화칼슘, 콜린, 디메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1H-이미다졸, L-라이신, 수산화마그네슘, 4-(2-하이드록시에틸)-모르폴린, 피페라진, 수산화칼륨,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2차 아민,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및 수산화아연.
본 발명의 화합물명은 Advanced Chemical Development, Inc., 소프트웨어(ACD/Name product version 10.01; Build 15494, 1 Dec 2006)를 사용하여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에 의해 공인된 명명 규칙에 따라, 또는 Advanced Chemical Development, Inc., 소프트웨어(ACD/Name product version 10.01.0. 14105, October 2006)를 사용하여 국제 순수 응용 화학 연합(IUPAC)에 의해 공인된 명명 규칙에 따라 생성되었다. 호변이성체의 경우는, 구조에 표시된 호변이성체의 명칭이 생성되었다. 다른 표시되지 않은 호변이성체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A. 최종 화합물의 제조
실험 방법 1
화학식 (I)에 따른 최종 화합물은 화학식 (II)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절한 암모니아 공급원, 예를 들어, 염화암모늄 또는 암모니아수 등과, 반응식 (1)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물 또는 메탄올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을 60 ℃ 내지 90 ℃에서, 예컨대 6 내지 100 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된다. 반응식 (1)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3

실험 방법 2
L이 -N(R5)CO-인 화학식 (I-a)에 따른 최종 화합물은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반응식 (2)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중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K3PO4 등, 구리 촉매, 예를 들어, CuI 및 디아민, 예를 들어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80 ℃에서, 예컨대 135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2)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W는 할로이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4

실험 방법 3
또한, 화학식 (I-a)에 따른 최종 화합물은 화학식 (III-b)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V)의 화합물과 반응식 (3)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또는 메탄올 등중에, 임의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등의 존재하, 축합제, 예를 들어 2-(1H-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CAS 148893-10-1] 또는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DMTMM, CAS 3945-69-5]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컨대 2 내지 18 시간동안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3)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5

실험 방법 4
또한, 화학식 (I-a)에 따른 최종 화합물은 화학식 (III-b)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반응식 (4)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4)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할로이다.
반응식 4
Figure pct00006

실험 방법 5
L이 결합인 화학식 (I-b)에 따른 최종 화합물은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반응식 (5)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에탄올과 같은 불활성 용매의 혼합물 등중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K2CO3 등, Pd-착체 촉매,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CAS 14221-01-3]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예컨대 20 시간동안 가열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50 ℃에서, 예컨대 10 내지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5)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W는 할로이다. R6 및 R7은 수소 또는 알킬일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예를 들어 식 -CH2CH2-, -CH2CH2CH2-, 또는 -C(CH3)2C(CH3)2-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07
상기 제조에 있어 다수의 중간체 및 출발물질은 업계에 공지된 상기 또는 유사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공지 화합물이고, 일부 중간체는 신규하다. 이같은 다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험 방법 6
추가로, R1이 CN인 화학식 (I-a)에 따른 최종 화합물[본 원에서 화학식 (I-d)의 화합물로 언급됨]은 Y가 Br 또는 I인 화학식 (I-c)의 화합물을 시안화아연 및 시안화나트륨과 반응식 (6)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톨루엔의 혼합물 등중에 적합한 커플링 시약,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등의 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예컨대 16 내지 21 시간동안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6)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Z1은 아민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 그룹 등이다.
반응식 6
Figure pct00008

실험 방법 7
또한, 화학식 (I-a)에 따른 최종 화합물은 화학식 (I-e)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합한 산,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반응식 (7)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컨대 30 분동안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7)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Z1은 아민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 그룹 등이다.
반응식 7
Figure pct00009

B.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
실험 방법 8
화학식 (II)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VIII)의 중간체 화합물을 티오아미드를 합성하기 위한 적합한 황 공여제, 예를 들어, 오황화인 또는 2,4-비스-(4-메톡시페닐)-1,3-디티아-2,4-디포스페탄 2,4-디설파이드 [라벳손 시약, CAS 19172-47-5]와 반응식 (8)에 따라 반응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톨루엔 등중에, 임의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예컨대 18 시간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6)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8
Figure pct00010

실험 방법 9
L이 결합인 화학식 ((VIII)에 따른 중간체[본 원에서 화학식 (VIII-a)의 중간체로 언급됨]는 화학식 (IX-a)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반응식 (9)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예를 들어, 1,4-디옥산/물과 같은 적합한 불활성 용매의 혼합물 등중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성 Na2C03, Pd-착체 촉매,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CAS 14221-01-3]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예컨대 20 시간동안 가열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50 ℃에서, 예컨대 15 내지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7)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W는 할로이다. R6 및 R7은 수소 또는 알킬일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예를 들어 식 -CH2CH2-, -CH2CH2CH2-, 또는 -C(CH3)2C(CH3)2-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pct00011

실험 방법 10
화학식 (III-b)에 따른 중간체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0)에 따라 업계에 공지된 부흐발트-하르트빅 타입(Buchwald-Hartwig type) 커플링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은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X-a)의 중간체 화합물로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불활성 용매의 혼합물, 예를 들면, 1,2-디메톡시에탄/물/에탄올 등중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면, 수성 K3PO4 또는 CS2CO3, Pd-착체 촉매, 예를 들면,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CAS 72287-26-4] 또는 트랜스-비스(디사이클로헥실아민)팔라듐 디아세테이트 [DAPCy, CAS 628339-96-8]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예컨대 20 시간동안 가열하거나, 또는 반응 혼합물을 130 ℃에서, 예를 들면 1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8)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W는 할로이다. R5는 수소 또는 C1-3알킬이다.
반응식 10
Figure pct00012

실험 방법 11
또한, R5가 수소인 화학식 (III-b)의 중간체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c)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1)에 따라 업계에 공지된 니트로를 아미노로 환원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환원은 업계에 공지된 촉매적 수소화 방법에 따라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원은 반응물을 수소 분위기하 및 적절한 촉매, 예를 들어, 차콜상 팔라듐, 차콜상 백금, 라니-니켈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물, 알칸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다. 상기 환원 반응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의 온도 및/또는 압력을 올리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반응물 및 반응 생성물에서 특정 작용기의 원치 않는 추가 수소화는 반응 혼합물에 촉매독, 예를 들어, 티오펜 등을 첨가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반응식 (11)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11
Figure pct00013

실험 방법 12
화학식 (III-b)에 따른 중간체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2)에 따라 업계에 공지된 화학식 (III-a)와 (X-b)의 중간체 간 부흐발트-하르트빅 타입 커플링 방법에 따라 화학식 (III-d)의 중간체를 제공하고, (III-d)를 가수분해하여 (III-a)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흐발트-하르트빅 커플링은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X-b)의 중간체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등중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소듐 tert-부톡사이드, Pd-착제 촉매, 예를 들어,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Pd2(dba)3, CAS 51364-51-3], 포스핀-리간드, 예컨대, 예를 들어, 라세미-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rac-BINAP, CAS 98327-87-8] 등의 존재하에서 가열 조건하에,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예를 들어 18 시간동안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III-d)의 (III-a)로의 가수분해는 산성 조건하에, 예를 들어 실온에서 1-4 시간동안 2-프로판올중의 HCl로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2)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W는 할로이다. R5는 디페닐메틸리덴이다.
반응식 12
Figure pct00014
실험 방법 13
화학식 (III-b)에 따른 중간체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a)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3)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중에 소듐 아지드 [CAS 26628-22-8], 적합한 구리 염, 예컨대, 예를 들어 요오드화구리(I) [CAS 7681-65-4],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Na2C03, 및 적합한 디아민 리간드, 예를 들어,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CAS 110-70-3] 등의 존재하에서 가열 조건하에, 예컨대,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예를 들어 3 내지 6 시간동안 가열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13)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W는 할로이다.
반응식 13
Figure pct00015

실험 방법 14
화학식 (III-a) 및 (III-b)의 중간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14) 및 (15)에 나타내어진 반응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4
Figure pct00016
A: 티오아미드의 아미딘으로의 전환
B: 아미드의 티오아미드로의 전환 (황화)
C 및 H: 폐환
D: 임의의 N-보호 그룹 Z1의 제거
E: 알킬화
상기 반응식 (14)에서 아미딘 유도체는 상응하는 티오아미드 유도체로부터 업계에 공지된 티오아미드를 아미딘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따라 (반응 단계 A)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환은 상기 티오아미드를 암모니아 공급원, 예를 들면, 염화암모늄 또는 암모니아수 등으로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물 또는 메탄올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60 내지 90 ℃에서 예컨대 6 내지 100 시간동안 가열하여 처리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식 (14)에서 아미딘 유도체는 상응하는 화학식 (XIII-d)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업계에 공지된 폐환 방법 (반응 단계 H)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폐환은 상기 화학식 (XIII-d)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합한 산, 예컨대 디옥산, 또는 TFA 중에 염산 4M로 가열 조건하에 처리하여, 예컨대, 반응 혼합물을 25 내지 70 ℃로 예를 들어 2 내지 5 시간동안 가열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4)에서 티오아미드 유도체는 아미드 유도체로부터 업계에 공지된 황화방법 (반응 단계 B)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환은 상기 아미드를 황화제, 예를 들면, 오황화인 또는 2,4-비스-(4-메톡시페닐)-1,3-디티아-2,4-디포스페탄 2,4-디설파이드 [라벳손 시약, CAS 19172-47-5] 등으로 반응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1,4-디옥산 등중에, 피리딘 등의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서 가열 조건하에,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50 내지 100 ℃에서 예컨대 24 시간동안 가열하여 처리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4)에서 화학식 (IX-a) 및 (IX-c)의 아미드 유도체는 상응하는화학식 (XII-a) 및 (XII-c)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업계에 공지된 폐환 방법 (반응 단계 C)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폐환은 상기 화학식 (XII-a) 및 (XII-c)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컨대 소듐 메톡사이드, 또는 탄산칼륨으로 적합한 반응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등중에서 -8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60 ℃로 30 분 내지 10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24 시간동안 처리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식 (14)에서는, 화학식 (XII-a) 및 (XII-c)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루이스산, 예를 들면 트리메틸알루미늄 등으로 가열 조건하에 처리하여,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을 120 ℃에서 3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처리함으로써 에스테르로부터 아미드 형성을 위한 표준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4)에서 화학식 (XII-a) 및 (XII-c)의 중간체 화합물은 상응하는 화학식 (XIII-a) 및 (XIII-c)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보호 그룹 Z1을 제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5
Figure pct00017
E: 알킬화
F: 옥사티아졸리딘 산화
G: 옥사티아졸리딘 형성
상기 반응식 (14) 및 (15)에서 화학식 (XIII-a), (XIII-c) 및 (XIII-d)에 따른 중간체는 Z1이 아민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 그룹 등인 상응하는 화학식 (XV-a) 및 (XV-c)의 중간체 화합물로부터 업계에 공지된 알킬화 방법 (반응 단계 E)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킬화는 XIV 또는 XVIII을 적합한 불활성 용매, 예컨대, 예를 들어, N,N-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 30 분동안 저온, 예컨대 0 ℃에서 및 이어, 예를 들어, 24 시간 내지 100 시간동안 6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소화나트륨, 탄산세슘, 탄산칼륨 또는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덱-7-엔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화학식 (XV-a) 및 (XV-c)의 중간체 화합물로 처리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30 ℃에서, 예를 들어 30 분 내지 45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5)에서 화학식 (XV-a) 및 (XV-c)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VI-a) 및 (XVI-c)의 중간체 화합물을 업계에 공지된 산화 방법 (반응 단계 F)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산화는 상응하는 화학식 (XVI-a) 및 (XVI-c)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합한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물중에 염화루테늄(III) [CAS: 10049-08-8]의 존재하에서 예를 들어, 25 ℃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2 시간동안 산화제, 예를 들어, 과요오드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5)에서 화학식 (XVI-a) 및 (XVI-c)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VII-a) 및 (XVII-c)의 중간체 화합물을 업계에 공지된 설파미데이트 형성 방법 (반응 단계 G)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환은 상응하는 화학식 (XVII-a) 및 (XVII-c)의 중간체 화합물을 염기, 예를 들어, 피리딘 등의 존재하에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등중에서 저온, 예를 들어, -40 ℃에서 예를 들어 30 분 및 이어 예를 들어, 25 ℃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24 내지 72 시간동안 티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Z1이 아민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 그룹 등인 화학식 (XVII-a) 및 (XVII-c)의 중간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업계에 공지된 스트렉커(Strecker) 타입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실험 방법 16
화학식 (XVIII)의 중간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16)에 예시된 반응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6
Figure pct00018
상기 반응식 (16)에서 화학식 (XVIII)의 시아노 유도체는 화학식 (XIX)의 중간체 화합물 (여기에서, Z2는 이미다졸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등임)을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탈보호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로 가열 조건하에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65 ℃에서 예를 들어 4 시간동안 가열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6)에서 화학식 (XIX)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의 중간체 화합물을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무수물 등으로 가열 조건하에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40 ℃에서 예를 들어 6 시간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6)에서 화학식 (XX)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I)의 중간체 화합물을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증류수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예를 들어 1 시간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6)에서 화학식 (XXI)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II)의 중간체 화합물을 업계에 공지된 카보닐화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카보닐화는 상응하는 화학식 (XXII)의 중간체를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염기, 예를 들어, 부틸 리튬 또는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존재하에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 -78 ℃에서 예를 들어 1 내지 2 시간동안 냉각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6)에서 화학식 (XXII)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III)의 중간체 화합물을 보호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는 상응하는 화학식 (XXIII)의 중간체를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30 분동안 가열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6)에서 화학식 (XIII)에 따른 중간체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실험 방법 17
R1A가 H 또는 Cl이고, R2가 CN인 화학식 (III-b)의 중간체 화합물[본 원에서 화학식 (III-e)의 중간체로 언급됨]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17)에 예시된 반응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7
Figure pct00019
상기 반응식 (17)에서 화학식 (III-e)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IV)의 중간체 화합물 (여기에서, Z1은 아민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 등임)을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탈보호는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 25 ℃에서, 예를 들어 30 분동안 교반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XXIV)에 따른 중간체 화합물은 화학식 (XXV)의 중간체 화합물을 반응식 (17)에 따라 시안화아연 및 아연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은 적합한 커플링 시약, 예를 들어,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의 존재하, 적합한 리간드, 예컨대, 예를 들어,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의 존재하에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150 ℃에서, 예를 들어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여 수행된다.
상기 반응식 (17)에서 화학식 (XXV)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III-f)의 중간체 화합물을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요오드화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는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N-부틸리튬 등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요오드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 -78 ℃에서, 예를 들어 10 분동안 냉각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7)에서 화학식 (III-f)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VI)의 중간체 화합물을 보호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는 상응하는 화학식 (XXVI)의 중간체를 염기,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존재하에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24 시간동안 교반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7)에서, R1A는 H, Cl이고, 다른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험 방법 18
R1이 H이고, R2는 CF2인 화학식 (III-b)의 중간체 화합물[본 원에서 화학식 (III-g)의 중간체로 언급됨]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18)에 예시된 반응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8
Figure pct00020
상기 반응식 (18)에서 화학식(III-g)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VII)의 중간체 화합물 (여기에서, Z1은 아민의 보호 그룹, 예컨대,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임)을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탈보호는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30 분동안 교반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XXVII)에 따른 중간체 화합물은 화학식 (XXVIII)의 중간체 화합물을 반응식 (18)에 따라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디에틸아미노 삼불화황과 반응시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16 시간동안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8)에서 화학식 (XXVIII)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IX)의 중간체 화합물을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산화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산화는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이산화망간으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2 시간동안 가열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8)에서 화학식 (XXIX)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X)의 중간체 화합물을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하이드록시메틸화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메틸화는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N-부틸리튬 등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예를 들어 10 분동안 냉각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8)에서 화학식 (XXX)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III-h)의 중간체 화합물을 보호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h)의 중간체를 염기, 예컨대,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24 시간동안 교반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8)에서, Z1은 아민의 보호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 등이고, 다른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험 방법 19
화학식 (I-e)의 중간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19)에 예시된 반응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9
Figure pct00021
상기 반응식 (19)에서 화학식 (XXXI)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III-b)의 중간체 화합물을 보호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b)의 중간체를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등중에 가열 조건하에서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24 시간동안 교반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9)에서 화학식 (I-e)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XXXI)의 중간체 화합물을 반응식 (19)에 따라 화학식 (V)의 중간체와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응은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또는 메탄올 등중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의 존재하, 축합제, 예를 들어 2-(1H-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CAS 148893-10-1] 또는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DMTMM, CAS 3945-69-5]의 존재하에 가열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예를 들어 2 내지 18 시간동안 교반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19)에서, Z1은 적합한 N-보호 그룹이고, 다른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험 방법 20
R1이 Cl이고, R2가 Cl인 화학식 (III-b)의 중간체 화합물[본 원에서 화학식 (III-j)의 중간체로 언급됨]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20)에 예시된 반응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0
Figure pct00022
상기 반응식 (20)에서 화학식 (III-j)에 따른 중간체는 화학식 (III-i)의 중간체 화합물을 염소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염소화는 상응하는 화학식 (III-i)의 중간체를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 등중에서 가열 조건하에 N-클로로숙신이미드로 처리하여,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예를 들어 16 시간동안 가열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20)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약리학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BAC를 저해하며, 따라서 알츠하이머병(AD), 경증 인지 장애(MCI), 노망, 치매, 루이소체 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파킨슨씨병 관련 치매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관련 치매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D, MCI, 노망, 치매, 루이소체 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파킨슨씨병 관련 치매 및 베타-아밀로이드 관련 치매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질환 또는 병태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유용성에 비추어, 상기 언급된 질환중 어느 하나로 고통받는 인간을 포함한 온혈동물을 치료하거나 또는 인간을 포함한 온혈동물이 상기 언급된 질환중 어느 하나로 고통받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의 유효량을 사람을 포함한 온혈동물에 투여, 즉, 전신 또는 국소 투여,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 방법은 또한 일일 1 내지 4회 섭취 요법으로 활성 성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다. 이들 치료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전에 제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기재되는 바와 같이, 적합한 약제학적 제형은 숙지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된 공정으로 제조된다.
알츠하이머병 또는 이들 증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적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할 수 있거나, 1종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와 함께 투여할 수 있다. 병용 치료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1종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를 함유하는 단일 약제학적 제형의 투여뿐 아니라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각 추가의 치료제를 이들 각각의 별도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치료제는 환자에게 정제 또는 캡슐제와 같이 단일 경구 투여 조성물로 함께 투여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약제를 별개의 경구 투여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알츠하이머병 (AD),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루이소체 치매, 다운증후군, 뇌졸중 관련 치매, 파킨슨병 관련 치매 및 베타-아밀로이드 관련 치매 등과 같은 베타-세크레타아제 저해가 유익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담체 또는 희석제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을 나타내고 수용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점에서 "허용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약 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염기 또는 부가염 형태의 특정 화합물이, 투여에 필요한 제제의 형태에 따라 각종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친밀히 혼합된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전신 투여, 예컨대 경구 투여, 경피 투여, 비경구 투여, 또는 국소 투여(예를 들면 흡입, 비강내 스프레이, 점안제 또는 크림, 겔, 샴푸 등을 통해)에 적절한 단위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조성물을 경구 제형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현탁제, 시럽, 엘릭시르 및 용액 등의 경구 액체 제제의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등; 또는 분제, 환약, 캡슐 및 정제의 경우에는 전분, 당, 카올린, 희석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고체 담체와 같은 통상의 약제학적 매질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으로 인해, 정제 및 캡슐이 가장 유리한 경구 복용 단위형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는 고체 약제학적 담체가 명백히 사용된다. 비경구 조성물의 경우에, 담체는 예를 들면 용해성을 돕기 위해 다른 성분, 보통은 적어도 대부분을 멸균수로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담체가 식염수, 글루코스 용액, 또는 식염수와 글루코스 용액의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주사 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 주사용 현탁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적당한 액체 담체, 현탁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피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에 있어서, 담체는 임의로 소정 특성을 지니는 적절한 첨가제와 소량의 비율로 혼합된 침투촉진제 및/또는 적당한 습윤제를 포함하고, 이때 첨가제는 피부에 심각한 유해 효과를 끼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피부에의 투여를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원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경피 패치, 스팟 온제(spot-on) 또는 연고로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 및 용량의 균일성을 위해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단위 복용 형태로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단위 복용 형태는 단위 용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이며, 각각의 단위는 필요한 약제학적 담체와 함께 원하는 치료 효과를 산출하도록 계산된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단위 복용 형태의 예로는 정제 (분할정 또는 코팅정을 포함), 캡슐, 환약, 분말 패킷, 웨이퍼, 주사 용액 또는 주사용 현탁제, 티스푼형 (teaspoonful), 테이블스푼형 (tablespoonful) 등, 및 이들의 분리된 다중회분 (segregated multiples)이 있다.
정확한 투여 용량 및 빈도는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 치료될 특정 증상, 치료될 증상의 중증도, 연령, 체중, 성별, 질병의 범위 및 특정 환자의 전신적인 신체 상태 및 개개인이 취할 수 있는 기타 약제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상기 일일 유효량이 치료되는 대상의 반응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평가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투여 방식에 따라, 약제학적 조성물은 0.05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의 활성 성분 및 1 내지 9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9 중량%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것이며, 이때 모든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경피 또는 비경구 투여와 같은 전신 투여; 또는 흡입, 비강내 스프레이, 점안제 또는 크림, 겔, 샴푸 등을 통한 국소 투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된다. 정확한 투여 용량 및 빈도는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 치료될 특정 증상, 치료될 증상의 중증도, 연령, 체중, 성별, 질병의 범위 및 특정 환자의 전신적인 신체 상태 및 개개인이 취할 수 있는 기타 약제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상기 일일 유효량이 치료되는 대상의 반응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평가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단일 복용형을 산출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배합될 수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포유동물종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일반 지침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합한 단위 용량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활성 화합물을 0.1 mg 내지 약 1000 mg으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용량은 1 mg 내지 약 500 mg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단위 용량은 1 mg 내지 약 300 mg이다. 더욱 더 바람직한 단위 용량은 1 mg 내지 약 100 mg이다. 이 단위 용량은 하루에 수 회, 예를 들면 1일 2, 3, 4, 5 또는 6 회, 바람직하게는 1일 1 또는 2회 투여될 수 있으며, 70 kg 성인의 총 투약량은 0.001 내지 약 15 mg/대상 체중 kg/투여이다. 바람직한 투약량은 0.01 내지 약 1.5 mg/대상 체중 kg/투여이고, 이러한 치료법은 수 주 또는 수 개월, 및 일부의 경우는 수 년에 걸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특정 환자에 특정적인 용량 수준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치료 대상의 연령, 체중, 전체적인 건강,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기 및 경로; 배출률; 이전에 투여된 다른 약물; 및 치료를 받고 있는 특정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일부의 경우에는 투약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임상의나 치료 담당의는 개별 환자 반응에 답해 치료를 언제 어떻게 개시, 중단, 조정 또는 종료할 것인지를 알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설명하고자 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지 않는다.
실험 부분
이후, 용어 'm.p.'는 융점을 의미하고, 'THF'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의미하고, 'DIPE'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의미하고,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의미하고, 'DCM'은 디클로로메탄을 의미하고,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의미하고, 'AcOH'는 아세트산을 의미하고, 'MeOH'는 메탄올을 의미하고, 'EtOH'는 에탄올을 의미하고, 'rac'는 라세믹을 의미하고, 'SFC'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의미하고, 'PFA'는 퍼플루오로알콕시를 의미하고, 'DIPEA'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의미하고, 'DIPE'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의미하고, 'DMA'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의미하고, 'DAST'는 디에틸아미노 삼불화황을 의미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는 실리카겔 60 F254 플레이트(Merck) 상에서 시약 구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자동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아르멘 인스트루먼트(Armen Instrument) 제품인 SPOT 또는 FLASH 시스템상에 입자 크기 15-40 ㎛의 불규칙 실리카겔(일회용 순상 플래쉬 칼럼)에서 머크(Merck) 사 제품인 연결식(ready-to-connect) 캐트리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파 보조 반응은 단일 모드식 반응기: Emrys™ Optimizer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Personal Chemistry A.B., currently Biotage)에서 수행하였다.
수소화 반응은 테일즈나노 나노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ThalesNano Nanotechnology Inc.) 제품인 연속 흐름 수소화기 H-CUBE®에서 수행하였다.
흐름 반응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냉각 반응기 모듈을 갖춘 Vapourtec R2+R4 모듈식 장비에서 수행하였다. 웹사이트: http://www.vapourtec.co.uk.
주요 중간체 및 일부 최종 화합물에 대해서는 키랄 중심의 절대 배열(R 및/또는 S로 표시)이 공지된 배열의 샘플과 비교하거나, 또는 절대 배열을 결정하는데 적합한 분석 기술, 예컨대 VCD (진동 원편광 이색성) 또는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규명되었다. 키랄 중심에서 절대 배열이 분명치 않으면, *R 또는 *S로 임의로 표기하였다.
A.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A1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피오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23
트리메틸실릴시아나이드 (20 g, 200 mmol)를 NH3/MeOH (400 mL) 중 3-브로모아세토페논 (20 g, 100 mmol) 및 NH4Cl (11 g, 200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일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EtOAc (100 mL)에 취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증발시켜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피오니트릴 (20 g, 86% 수율)을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2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ct00024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피오니트릴 (20 g, 88.9 mmol)을 HCl/MeOH (500 m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4 일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 후, EtOAc (100 mL) 및 물 (10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2 x 100 mL). 모아진 수성층을 수성 암모니아 용액으로 pH 8 까지 염기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5 x 100 mL). 모아진 유기층을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0.6 g, 46% 수율)를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3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ct00025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THF 중 1M; 22 mL, 22 mmol)를 -15 ℃에서 THF (200 mL) 중 중간체 2 (7.5 g, 29.1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동안 0 ℃로 서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이어, 더 많은 THF (150 mL)를 첨가하고, 포화 Na2SO4를 수소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적가하였다. 이어, 무수 Na2SO4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THF로 헹군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메탄올중 7M 암모니아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 (5.70 g, 85% 수율)을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4
(R)-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ct00026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의 샘플 (15.4 g)을 분취용 SFC (Chiralpak® Daicel AD × 250 mm, 이동상: CO2, MeOH + 0.2% iPrNH2)에 의해 그의 상응하는 에난티오머로 분리하여 (R)-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 (7.21 g, 40% 수율)을 수득하였다.
αD: -14.9° (589 nm, c 0.2946 w/v%, MeOH, 20 ℃).
실시예 A5
rac-[1-(3-브로모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ct00027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 (4.84 g, 22.16 mmol)를 0 ℃에서 NaHC03 (15 mL) 및 THF (15 mL)의 혼합물중 rac-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판-1-올 (1.7 g, 7.39 mmol)의 교반 용액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10 분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빙/수조에서 냉각하고, KHSO4로 pH 1-2로 산성화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20/8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1-(3-브로모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36 g, 93%) 수율)를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1 내지 A5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6
(R) 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28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에타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7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의 제조
Figure pct00029
수소화나트륨 (광유중 60%;0.4 g, 10 mmol)을 0 ℃에서 THF (19 mL) 중 4-(트리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 (1.15 g, 8.45 mmol)의 교반 용액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한 후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1.69 g, 1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생성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 (2.2 g, 98% 수율)을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7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8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 및 5-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의 혼합물의 제조
Figure pct00030
4-요오도이미다졸로부터 제조.
실시예 A9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의 제조
Figure pct00031
n-부틸리튬 (헥산중 1.6 M; 7.74 mL, 12.4 mmol)을 THF (76.5 mL) 중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 (2.75 g, 10.33 mmol)의 교반 용액에 -78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10 분동안 교반한 뒤, DMF (5.74 mL, 74.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30 분동안 교반한 다음, 0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DCM/헵탄 0/100 - 60/4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1.6 g, 53%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A10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옥심의 제조
Figure pct00032
Na2C03 (0.54 g, 5.1 mmol)를 증류수 (10.2 mL) 중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1.5 g, 5.1 mmol) 및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71 g, 10.2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고, 냉각 후 침전을 얻고, 여과한 다음, 추가의 물로 세척하여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옥심 (1.5 g, 95% 수율)을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10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11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옥심의 제조
Figure pct00033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로부터 제조.
실시예 A12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34
아세트산 무수물 (16.7 mL, 176.23 mmol) 중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옥심 (1.4 g, 4.53 mmol)의 용액을 140 ℃에서 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EtOAc에 취해 Na2C03 (sat.)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1.15 g, 87% 수율)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13
4-(트리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35
밀봉 튜브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HF 중 1 M; 25.6 mL, 25.6 mmol) 중 4-(트리플루오로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1.15 g, 3.95 mmol)의 용액을 65 ℃에서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K2HPO4/H2PO4의 완충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의 EtOAc로 세척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2/98 및 이어, MeOH/DCM 0/100 - 1/99).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4-(트리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0.26 g, 41% 수율)을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7 내지 A13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14
4-클로로-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36
4-(클로로)-1H-이미다졸로부터 제조.
실시예 A15
4-브로모-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37
4-(브로모)-1H-이미다졸로부터 제조.
실시예 A16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및 5-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의 혼합물의 제조
Figure pct00038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1.8 M; 57.6 mL, 103.6 mmol)를 THF (640 mL) 중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 및 5-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 (28 g, 86.4 mmol) 혼합물의 교반 용액에 -78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20 분동안 교반한 뒤, DMF (48 mL, 62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30 분동안 교반한 후, 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및 5-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의 혼합물 (45 g, 정량적 수율)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A17
4-요오도-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39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HF 중 1 M; 200.5 mL, 2.12 mol) 중 4-요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카브알데히드 옥심 (20 g, 54.5 mmol)의 용액을 6 시간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EtOAc에 취해 sat. Na2C03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65 ℃에서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K2HPO4/KH2PO4의 완충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의 EtOAc로 세척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건조시킨 후 (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DCM 0/100 - 5/9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4-요오도-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3 g, 25% 수율)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A18
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040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7.96 g, 110 mmol)를 -5 ℃에서 피리딘 (27.85 mL) 중 2-이미다졸카복스알데히드 (10 g, 100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80 ℃로 가열하고, 아세트산 무수물 (18.7 mL, 200 mmol)을 온도를 110 ℃ 아래로 유지하면서 40 분간 적가하였다. 적가 후,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45 분동안 교반한 후, 5 ℃로 냉각하고, NaOH (25%)를 사용하여 pH 8로 염기화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7.5 g, 77% 수율)을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19
4-포르밀-N,N-디메틸-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1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21 g, 187.33 mmol) 및 디메틸 설파모일 클로라이드 (18.4 mL, 171.72 mmol)를 0 ℃에서 아세토니트릴 (300 mL) 중 1H-이미다졸-4-카브알데히드 (15 g, 156.11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한 후,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한 다음,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60/4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4-포르밀-N,N-디메틸-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 (27.2 g, 86% 수율)를 크림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0
4-(디플루오로메틸)-N,N-디메틸-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042
Vapourtec R2+R4 유닛의 매니폴드 시스템 (펌프, 밸브, PFA 튜빙 및 반응기 코일)을 이소프로필 알콜 (2 mL/분, 15 min) 및 무수 THF (0.5 mL/분, 20 min)로 건조시켰다. DCM 중의 4-포르밀-N,N-디메틸-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 (0.5 g, 2.46 mmol)의 용액을 Vapourtec R2+R4 상의 샘플 루프 (10 mL)에 로딩하였다. DCM 중 디에틸아미노 삼불화황 (0.65 mL, 4.92 mmol)의 용액을 제2 샘플 루프 (10 mL)에 로딩하였다. 두 샘플 루프를 DCM의 스트림에 각각 0.110 mL/분으로 유동시키면서 직렬 연결하고, 반응기에서 80 ℃에서 혼합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10 mL 코일을 사용하여 반응기에서 숙성시켰다. 이어, 코일 산물을 CaC03에서 직접 수집하였다. 용액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DCM).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4-(디플루오로메틸)-N,N-디메틸-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 (0.41 g, 73% 수율)를 담갈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1
에틸 4-(디플루오로메틸)-1-(디메틸설파모일)-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43
포타슘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THF 중 1 M; 7.66 mL, 7.66 mmol)를 THF (30 ml) 중의 4-(디플루오로메틸)-N,N-디메틸-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 (1.5 g, 6.66 mmol)의 교반 용액에 -78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고, THF (7 ml) 중 에틸 시아노포르메이트 (0.76 g, 7.6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NH4Cl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O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헵탄 0/100 - 60/4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에틸 4-(디플루오로메틸)-1-(디메틸설파모일)-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1.3 g, 66% 수율)를 담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2
에틸 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44
염산 (디옥산중 4 M; 35 mL, 140 mmol)을 에틸 4-(디플루오로메틸)-1-(디메틸설파모일)-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5.55 g, 18.67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NaHC03 (sat.)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에틸 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2.98 g, 84%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3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에타논의 제조
Figure pct00045
n-부틸리튬 (헥산중 2.5 M; 20.03 mL, 50.07 mmol)을 THF (125.4 mL) 중 디이소프로필아민 (7.02 mL, 50.07 mmol)의 교반 용액에 -70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한 뒤, 4-브로모플루오로벤젠 (5 mL, 45.51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하고, 에틸 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5.74 mL, 54.6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고, NH4Cl (sat.)로 희석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DCM/헵탄 0/100 - 100/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에타논 (9.3 g, 81% 수율)을 방치하면 고체로 되는 담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4
tert-부틸 [(1Z)-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에틸리덴]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46
N-boc-이미노-(트리페닐)포스포란 (15.26 g, 40.43 mmol)을 톨루엔 (93 mL) 중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에타논 (9.3 g, 36.76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 ℃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헵탄에 취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헵탄 0/100 - 5/9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tert-부틸 [(1Z)-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에틸리덴]카바메이트 (8.7 g, 67% 수율)를 담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5
rac-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1-(디플루오로메틸)프로프-2-엔-1-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47
비닐 브롬화마그네슘 (THF 중 1 M; 4 mL, 4 mmol)을 THF (8.9 mL) 중 tert-부틸 [(1Z)-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에틸리덴]카바메이트 (0.94 g, 2.67 mmol)의 교반 용액에 -78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30 분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H4Cl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100/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1-(디플루오로메틸)프로프-2-엔-1-일]카바메이트 (1 g, 99% 수율)를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6
rac-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메틸)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48
-78 ℃에서 DCM (50 mL) 및 MeOH (112 mL)의 혼합물중 rac-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1-(디플루오로메틸)프로프-2-엔-1-일]카바메이트 (3.0 g, 7.9 mmol)의 용액에 오존을 청색이 지속되는 동안 (30 분) 도입하였다. 과량 산소 가스를 10 분간 버블링하여 과량의 오존을 제거하였다. 이어,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0.89 g, 23.7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에 이르도록 하였다. 30 분 교반 후, 혼합물을 HCl (1 N)에 붓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고 (Na2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ac-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메틸)에틸]카바메이트 (2.99 g, 98%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27
(R)-tert-부틸 [1-(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49
디메틸 설폭사이드 (279.5 mL)를 (R) 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바메이트 (6.8 g, 19.5 mmol), 소듐 아지드 (3.17 g, 48.8 mmol), 요오드화구리(I) (4.65 g, 24.4 mmol) 및 Na2C03 (4.14 g, 39.1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로 수 분간 탈기한 후,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3.68 mL, 34.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90 ℃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EtOAc 및 물로 희석하고, 1M HCl로 주의하여 산성화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수중 NH3으로 염기화한 다음, EtOAc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5/9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tert-부틸 [1-(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바메이트 (2.7 g, 49%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A28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하이드록시-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50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1 mL, 10.5 mmol)를 sat. NaHC03 (60 mL) 및 THF (50 mL) 중 (R)-tert-부틸 [1-(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바메이트 (2.7 g, 9.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건조시키고 (Na2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하이드록시-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3.1 g, 92% 수율)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29
rac-[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옥사이드의 제조
Figure pct00051
무수 아세토니트릴 (40 mL) 중 rac-[1-(3-브로모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7.2 g, 21.8 mmol)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40 ℃로 냉각시킨 무수 아세토니트릴 (114 mL) 중 티오닐 클로라이드 (3.98 mL, 54.51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한 뒤, 피리딘 (8.78 mL, 109.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한 후, 6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EtOAc를 잔사에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옥사이드 (7.09 g, 86% 수율)를 오일로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30
rac-[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2-디옥사이드의 제조
Figure pct00052
염화루테늄(III) (39 mg, 0.19 mmol)을 0 ℃에서 아세토니트릴/물 (1:1) (200 mL) 중 rac-[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옥사이드 (7 g, 18.6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 (5.97 g, 27.9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한 후,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EtOAc (50 mL)로 세척하였다. 물 (50 mL) 및 EtOAc (100 mL)를 여액에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DCM).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2-디옥사이드 (6.66 g, 91%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29 내지 A30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31
(R)-tert-부틸-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의 제조
Figure pct00053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1-메틸에틸]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32
rac-tert-부틸 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디플루오로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의 제조
Figure pct00054
rac-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디플루오로-1-(하이드록시메틸)-에틸]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33
(R)-tert-부틸-4-{5-[(에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의 제조
Figure pct00055
(R)-에틸-(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하이드록시-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34
rac-1-[1-(3-브로모페닐)-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ct00056
수소화나트륨 (광유중 60%) (199 mg, 4.97 mmol)을 실온에서 DMF (33 mL) 중 에틸 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697 mg, 4.97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rac-[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2-디옥사이드 (1.95 g, 4.9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 ℃에서 64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생성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DCM 0/100 - 5/9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1-[1-(3-브로모페닐)-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19 g, 53% 수율)를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34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35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시아노-4-(트리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57
(R)-tert-부틸-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로부터 제조.
실시예 A36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58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덱-7-엔 (7.28 mL, 48.75 mmol)을 아세토니트릴 (80 mL) 중 (R)-tert-부틸-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10 g, 24.4 mmol) 및 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2.61 g, 28.0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 ℃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한 후, HCl (1 M)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 (10 g, 97% 수율)를 점성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37
(R)-에틸 1-{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59
에틸 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0.5 g, 2.63 mmol)를 실온에서 DMF (10.5 mL) 중 tert-부틸 (R)-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1.03 g, 2.5 mmol) 및 K2C03 (0.36 g, 2.6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시트르산 (sat.) 및 EtOAc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DCM).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에틸 1-{(R)-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0.66 g, 51% 수율)를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37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38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4-클로로-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0
(R)-tert-부틸-4-{5-[(에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및 4-클로로-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로부터 제조.
실시예 A39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4-브로모-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1
(R)-tert-부틸-4-{5-[(에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및 4-브로모-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로부터 제조.
실시예 A40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2-시아노-4-요오도-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2
(R)-tert-부틸 4-{5-[(에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및 4-요오도-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로부터 제조.
실시예 A41
rac-1-[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ct00063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9 mL)을 DCM (59 mL) 중 rac-1-[1-(3-브로모페닐)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18 g, 2.6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1-[2-아미노-2-(3-브로모 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49 g, 92% 수율)를 오일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42
에틸 1-[(R)-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프로필]-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4
염산 (디옥산중 4 M; 3.4 mL, 13.5 mmol)을 에틸 1-{(R)-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0.62 g, 1.19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90 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sat. NaHC03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에틸 1-[(R)-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프로필]-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0.5 g, 100% 수율)를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43
rac-에틸 1-[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3,3-디플루오로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5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덱-7-엔 (3.35 mL, 22.4 mmol)을 톨루엔 (50 mL) 중 rac-tert-부틸 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디플루오로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5 g, 11.2 mmol) 및 에틸 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2.36 g, 16.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THF (50 mL)에 용해시키고, HCl (1 N)로 처리한 뒤, 18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잔사를 얻고, 이를 디옥산중 HCl 4 M (28 mL)에 용해시킨 뒤, 실온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DCM에 현탁시킨 후, sat. NaHC03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ac-에틸 1-[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3,3-디플루오로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3.95 g, 87%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44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4-클로로-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6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덱-7-엔 (10.3 mL, 68.8 mmol)을 아세토니트릴 (203 mL) 중 (R)-tert-부틸 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 (28.24 g, 34.41 mmol) 및 4-클로로-1H-이미다졸-2-카보니트릴 (7.9 g, 61.9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DCM으로 희석하고, HCl (1N)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4-클로로-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 (15.5 g, 98%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45
(R)-1-[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ct00067
탄산세슘 (4.98 g, 15.3 mmo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 (36 mL) 중 에틸 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1.39 g, 9.94 mmol) 및 (R)-[3-(tert-부틸옥시카보닐)-4-(3-브로모페닐)-4-메틸-[1,1,3]옥사티아졸리딘-2,2-디옥사이드 (3 g, 7.6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30 ℃에서 45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이어, NH4Cl (sat.)을 첨가하고, 생성물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이어, HCl (디옥산중 4M)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DCM에 현탁시킨 뒤, NaHC03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1-[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46g, 54%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45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46
(R)-에틸 1-[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68
(R)-tert-부틸-4-(5-브로모-2-플루오로페닐)-4-메틸-1,2,3-옥사티아졸리딘-3-카복실레이트 2,2-디옥사이드로부터 제조.
실시예 A47
rac-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온의 제조
Figure pct00069
에탄올 (10 mL) 중 rac-1-[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4 g, 3 mmol)의 용액을 90 ℃에서 24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sat. NaHC03으로 처리한 후, 생성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ac-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온 (0.6 g, 65%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47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48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의 제조
Figure pct00070
(R)-에틸 1-[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49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의 제조
Figure pct00071
톨루엔중 트리메틸알루미늄 2 M (10.6 mL, 21.1 mmol)을 0 ℃에서 THF (39 mL) 중의 rac-에틸 1-[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3,3-디플루오로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3.9 g, 9.6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Na2C03 (sat.)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 (3 g, 87%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50
(R)-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온의 제조
Figure pct00072
소듐 메톡사이드 (MeOH 중 25%) (1.9 mL, 8.29 mmol)를 MeOH (5 mL) 중 (R)-1-[2-아미노-2-(3-브로모페닐)프로필]-1H-이미다졸-2-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46 g, 4.1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5 ℃에서 18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sat. NH4Cl로 처리한 후, 생성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온 (1.2 g, 95%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51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의 제조
Figure pct00073
K2CO3 (1.32 g, 13.42 mmol)를 EtOH (51.1 mL) 중 에틸 1-[(R)-2-아미노-2-(5-브로모-2-플루오로페닐)프로필]-4-(디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2-카복실레이트 (3.6 g, 7.4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4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NH4Cl (sat.)로 처리한 후, 생성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 (2.89 g, 100% 수율)을 백색 폼으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52
rac-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티온의 제조
Figure pct00074
오황화인 (0.65 g, 2.94 mmol)을 피리딘 (7 mL) 중 rac-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온 (0.6 g, 1.96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95 ℃에서 18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EtOAc/DCM 0/100 - 100/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티온 (0.49 g, 78% 수율)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52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53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티온의 제조
Figure pct00075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54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티온의 제조
Figure pct00076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55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티온의 제조
Figure pct00077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온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56
rac-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78
32% 암모니아 수용액 (3.2 mL, 54.7 mmol)을 밀봉 튜브내 MeOH 중 암모니아 7N 용액 (3.3 mL, 22.8 mmol) 중 (rac-6-(3-브로모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5H-이미다조[1,2-a]피라진-8-티온 (049 g, 1.52 mmol)의 교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9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Na2C03 (수성 sat.) 및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2/98 - 3/97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44g, 95% 수율)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56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57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79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티온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58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0
염화암모늄 (0.91 g, 17 mmol)을 밀봉 튜브내 MeOH 중 암모니아 7N 용액 (32 mL, 63.8 mmol) 중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티온 (1.6 g, 4.2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 ℃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DCM에 현탁시킨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2/98).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1.5 g, 98%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58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59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1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6,7-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5H)-티온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60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2
HCl 4 M/디옥산 (50 mL) 중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시아노-4-(트리플루오로메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 (2.95 g, 6 mmol)의 용액을 7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DCM에 현탁시킨 후, Na2C03 (sat.)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1/99).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1.5 g, 64% 수율)을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60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61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3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62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4
(R)-tert-부틸 [1-(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4-클로로-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63
(R)-에틸 {3-[8-아미노-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85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4-클로로-2-시아노-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64
(R)-에틸 {3-[8-아미노-2-브로모-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86
(R)-에틸 (3-{2-(4-브로모-2-시아노-1H-이미다졸-1-일)- 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65
(R)-에틸 {3-[8-아미노-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087
(R)-에틸 {3-[1-[(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2-시아노-4-요오도-1H-이미다졸-1-일)-1-메틸에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66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8
N-클로로숙신이미드 (0.123 g, 0.92 mmol)를 아세트산 (6.23 mL) 중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0.27 g, 0.8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 ℃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0.18 g, 61%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66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67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89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68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0
(R)-에틸 {3-[8-아미노-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0.2 g, 0.55 mmol), 황산 (2 mL, 37.5 mmol), 물 (2 mL) 및 아세트산 (0.8 mL, 13.9 mmol)의 혼합물을 11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에 취해 sat. Na2C03으로 염기화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0.17 g, 79% 수율)을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69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브로모-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1
수산화칼륨 (0.98 g, 17.6 mmol)을 EtOH (10.25 mL) 중 (R)-에틸 {3-[8-아미노-2-브로모-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0.72 g, 1.76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5 ℃에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 및 EtOAc에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브로모-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0.6 g, 100% 수율)을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69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70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2
(R)-에틸 {3-[8-아미노-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71
rac-6-(3-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3
에탄올 (28 mL) 중 rac-6-(3-니트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310 mg, 1.14 mmol)의 용액을 H-큐브 반응기에서 수소화하였다 (1 mL/min., 30 mm, Pd/C 5% 캐트리지, 완전 수소 모드, 실온, 2 사이클). 반응물을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3-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250 mg, 91%)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72
(R)-6-[5-(벤즈하이드릴리덴-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4
톨루엔 (10 mL)을 밀봉 튜브내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60 g, 1.86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17 g, 0.19 mmol), rac-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0.35 g, 0.56 mmol) 및 소듐 tert-부톡사이드 (0.32 g, 3.3 mmol)의 혼합물에 질소하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로 수 분간 플러싱하고, 벤조페논 이민 (0.62 mL, 3.71 mmol)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10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2.5/96.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6-[5-(벤즈하이드릴리덴-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55 g, 70% 수율)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A73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5
H20 중 염산 37% (0.11 mL)를 이소프로판올 (8 mL) 중 (R)-6-[5-(벤즈하이드릴리덴-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31 g, 0.7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에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동안 교반하였다. 침전을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켰다. 잔사를 DCM에 현탁시키고, NaHC03 (sat)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1 g, 58% 수율)을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72 내지 A73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74
rac-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6
rac-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디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75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7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76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8
디메틸 설폭사이드(69.5 mL)를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1.9 g, 4.86 mmol), 소듐 아지드 (0.79 g, 12.1 mmol), 요오드화구리(I) (1.16 g, 6.1 mmol) 및 Na2C03 (1.03 g, 9.7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로 수 분간 탈기하고,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0.91 mL, 8.5 mmol)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110 ℃에서 3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NH4OH (32%)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0.72 g, 45% 수율)을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76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77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99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78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00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79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01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80
(R)-tert-부틸 [2-브로모-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2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0.060 g, 0.27 mmol)를 0 ℃에서 sat. NaHC03 (1 mL) 및 THF (2 mL) 중 (R)-N-3-[8-아미노-2-브로모-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0.07 g, 0.1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추가 EtOAc로 추출하였다,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2-브로모-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85 g, 100% 수율)를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81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3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2.89 g, 13.28 mmol)를 DCM (77.5 mL) 중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 (1.3 g, 4.43 mmol) 및 DIPEA (1.91 mL, 11.06 m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으로 희석하고, sat. NaHC03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EtOAc/DCM 0/100 - 30/7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1.5 g, 69% 수율)를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81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82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4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83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3-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5
n-부틸리튬 (헵탄중 2.7 M; 11.92 mL, 32.2 mmol)을 THF (12 mL) 중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1.2 g, 2.43 mmol)의 교반 용액에 -78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15 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THF (20 mL) 중 요오드 (11.1 g, 43.73 mmol)의 용액을 -78 ℃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10 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실온에 이르게 하고, EtOAc로 희석한 다음, 물 및 Na2S203으로 연달아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5/9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3-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1.46 g, 97% 수율)를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83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84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6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85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하이드록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7
n-부틸리튬 (헵탄중 2.7 M; 25 mL, 67.5 mmol)을 THF (110 mL) 중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3.1 g, 6.75 mmol)의 교반 용액에 -78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10 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파라포름알데히드 (6 g)를 -78 ℃에서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실온에 이르게 하고, EtOAc로 희석한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5/95).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하이드록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1.83 g, 55%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A86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포르밀-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8
이산화망간 (3.75 g, 43.1 mmol)을 DCM (12 mL) 중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하이드록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1.63 g, 3.3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포르밀-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1.42 g, 87% 수율)를 얻고,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A87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09
DAST (0.78 mL, 6.41 mmol)를 0 ℃에서 DCM (15 ml) 중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포르밀-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1.42 g, 2.91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DCM에 취하고, sat. NaHC03으로 염기화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1/99).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0.44 g, 29%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A88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10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2.27 g, 10.38 mmol)를 DCM (50 ml) 중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2 g, 5.1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2/98).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1 g, 33%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A89
(R)-tert-부틸 {3-[8-아미노-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11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38.4 mg, 0.042 mmol)을 DMA (12 mL) 중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3-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1.3 g, 2.1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46.5 mg, 0.084 mmol), 아연 (16.5 mg, 0.25 mmol) 및 시안화아연 (0.492 g, 4.19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잔사를 DCM으로 희석한 후, NH4OH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tert-부틸 {3-[8-아미노-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0.56 g, 64% 수율)를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89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90
(R)-tert-부틸 {3-[8-아미노-2-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12
(R)-tert-부틸 [6-{5-[(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2-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91
(R)-tert-부틸 {3-[8-아미노-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13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24 g, 0.2 mmol)을 DMF (6 mL) 중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요오도-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1.2 g, 2.05 mmol) 및 시안화아연 (1.93 g, 16.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0 ℃에서 1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tert-부틸 {3-[8-아미노-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0.4 g, 51%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A92
(R)-8-아미노-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3-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114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 65.34 mmol)을 DCM (20 mL) 중 (R)-tert-부틸 {3-[8-아미노-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0.56 g, 1.3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DCM에 용해시킨 후, sat. NaHC03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8-아미노-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3-카보니트릴 (0.21 g, 49% 수율)을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92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93
(R)-8-아미노-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3-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115
(R)-tert-부틸 {3-[8-아미노-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94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16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95
(R)-8-아미노-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2-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117
(R)-tert-부틸 {3-[8-아미노-2-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로부터 제조.
실시예 A96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18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0.14 g, 0.65 mmol)를 DCM (11.5 mL) 중 (R)-8-아미노-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3-카보니트릴 (0.21 g, 0.66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aHC03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25 g, 91% 수율)를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96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97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19
(R)-8-아미노-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3-카보니트릴로부터 제조.
실시예 A98
(R)-tert-부틸 (3-{8-[(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0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99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1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아민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0
(R)-tert-부틸 [2-클로로-3-시아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2
5-플루오로-2-피리딘카복실산 (15 mg, 0.11 mmol)을 MeOH (0.95 mL) 중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31.7 mg, 0.1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MeOH (0.95 mL) 중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40 mg, 0.095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7N NH3/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tert-부틸 [2-클로로-3-시아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40 mg, 77% 수율)를 수득하였다.
다음 중간체를 실시예 A100에 기술된 유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A101
(R)-tert-부틸 [2-클로로-3-시아노-6-(2-플루오로-5-{[(5-메톡시피라진-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3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2
(R)-tert-부틸 [2-클로로-6-(5-{[(5-클로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4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3
(R)-tert-부틸 [2-클로로-3-시아노-6-(5-{[(5-시아노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5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시아노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4
(R)-tert-부틸 {2-클로로-3-시아노-6-[5-({[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6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5
(R)-tert-부틸 [3-시아노-6-(2-플루오로-5-{[(5-메톡시피라진-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7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6
(R)-tert-부틸 {3-시아노-6-[5-({[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8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7
(R)-tert-부틸 [3-시아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29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플루오로-2-피리딘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8
(R)-tert-부틸 [3-시아노-6-(5-{[(5-시아노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0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시아노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09
(R)-tert-부틸 [6-(5-{[(5-클로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1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0
(R)-tert-부틸 [2,3-디클로로-6-(5-{[(5-시아노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2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시아노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1
(R)-tert-부틸 2,3-디클로로-6-[5-({[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3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2
(R)-tert-부틸 [2,3-디클로로-6-(5-{[(5-클로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4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3
(R)-tert-부틸 [2,3-디클로로-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5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플루오로-2-피리딘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4
(R)-tert-부틸 [2,3-디클로로-6-(2-플루오로-5-{[(5-메톡시피라진-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6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3-디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5
(R)-tert-부틸 [6-(5-{[(5-클로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7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6
(R)-tert-부틸 [6-(5-{[(5-시아노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8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시아노피리딘-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7
(R)-tert-부틸 [3-(디플루오로메틸)-6-(2-플루오로-5-{[(5-메톡시피라진-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39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8
(R)-tert-부틸 [3-(디플루오로메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40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5-플루오로-2-피리딘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실시예 A119
(R)-tert-부틸 {3-(디플루오로메틸)-6-[5-({[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ct00141
(R)-tert-부틸 [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및 1-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
B. 최종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B1
rac-6-메틸-6-(3-피리미딘-5-일-페닐)-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42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27 g, 0.023 mmol)을 1,4-디옥산 (4 mL) 및 에탄올 (0.4 mL) 중 rac-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4 g, 0.46 mmol), 피리미딘-5-보론산 (0.17 g, 1.38 mmol) 및 탄산칼륨 (0.19 g, 1.38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메틸-6-(3-피리미딘-5-일-페닐)-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078 g, 56%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2
rac-6-[3-(5-메톡시피리딘-3-일)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43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27 g, 0.023 mmol)을 1,4-디옥산 (4 mL) 및 에탄올 (0.4 mL) 중 rac-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4 g, 0.46 mmol), 5-메톡시-3-피리디닐 보론산 (0.21 g, 1.38 mmol) 및 탄산칼륨 (0.19 g, 1.38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 6-[3-(5-메톡시피리딘-3-일)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080 g, 52%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3
rac-6-(3',5'-디클로로-비페닐-3-일)-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4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29 g, 0.025 mmol)을 1,4-디옥산 (4 mL) 및 에탄올 (0.4 mL) 중 rac-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5 g, 0.5 mmol), 3,5-디클로로페닐보론산 (0.11 g, 0.6 mmol) 및 탄산칼륨 (0.21 g, 1.5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및 이어, EtOAc/MeOH 0/100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ac-6-(3',5'-디클로로-비페닐-3-일)-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14 g, 61%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4
(R)-6-메틸-6-(3-피리미딘-5-일-페닐)-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45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38 g, 0.033 mmol)을 1,4-디옥산 (4 mL) 및 에탄올 (0.4 mL) 중 (R)-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20 g, 0.66 mmol), 피리미딘-5-보론산 (0.24 g, 1.97 mmol) 및 탄산칼륨 (0.27 g, 1.97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6-메틸-6-(3-피리미딘-5-일-페닐)-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12 g, 56%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5
(R)-6-(3',5'-디클로로-비페닐-3-일)-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46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28 g, 0.025 mmol)을 1,4-디옥산 (4 mL) 및 에탄올 (0.4 mL) 중 (R)-6-(3-브로모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5 g, 0.5 mmol), 3,5-디클로로페닐보론산 (0.11 g, 0.6 mmol) 및 탄산칼륨 (0.20 g, 1.5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및 이어, EtOAc/MeOH 0/100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6-(3',5'-디클로로-비페닐-3-일)-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92 g, 50%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6
rac-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페닐]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147
5-클로로-2-피리딘카복실산 (108 mg, 0.68 mmol)을 MeOH (3 mL) 중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206 mg, 0.7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MeOH (3 mL) 중 rac-6-(3-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150 mg, 0.6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a2C03 및 물로 처리한 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7N NH3/MeOH/DCM 0/100 - 2/98).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켜 rac-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페닐]아미드 (0.145 g, 61%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7
(R)-6-(2-플루오로-5-피리미딘-5-일-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48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09 g, 0.0077 mmol)을 1,4-디옥산 (2 mL) 및 에탄올 (0.2 mL) 중 (R)-6-(5-브로모-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05 g, 0.15 mmol), 피리미딘-5-보론산 (0.06 g, 0.46 mmol) 및 탄산칼륨 (0.06 g, 0.46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디에틸 에테르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6-(2-플루오로-5-피리미딘-5-일-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015 g, 30%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8
(R)-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149
5-클로로-2-피리딘카복실산 (0.07 mg, 0.45 mmol)을 MeOH (3 mL) 중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134 mg, 0.4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MeOH (3 mL) 중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105 mg, 0.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a2C03 및 물로 처리한 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한 다음,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7N NH3/MeOH/DCM 0/100 - 2/98).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디에틸 에테르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5-클로로-피리딘-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아미드 (0.068 g, 42%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9
(R)-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150
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 (0.105 mg, 0.68 mmol)을 MeOH (3 mL) 중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205 mg, 0.7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MeOH (3 mL) 중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105 mg, 0.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a2C03 및 물로 처리한 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한 다음,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7N NH3/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DIPE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아미드 (0.100 g, 41% 수율)를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10
(R)-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아미드의 제조
Figure pct00151
5-플루오로-2-피리딘카복실산 (0.10 mg, 0.68 mmol)을 MeOH (3 mL) 중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205 mg, 0.7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MeOH (3 mL) 중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160 mg, 0.6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a2C03 및 물로 처리한 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한 다음,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7N NH3/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디에틸 에테르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실산 [3-(8-아미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아미드 (0.088 g, 37% 수율)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11
(R)-6-(2,4-디플루오로-5-피리미딘-5-일-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52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51 g, 0.044 mmol)을 1,4-디옥산 (4 mL) 및 에탄올 (0.4 mL) 중 (R)-6-(5-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30 g, 0.88 mmol), 피리미딘-5-보론산 (0.33 g, 2.64 mmol) 및 탄산칼륨 (0.365 g, 2.64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 ℃에서 30 분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및 이어, MeOH/EtOAc 20/8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6-(2,4-디플루오로-5-피리미딘-5-일-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10 g, 37%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12
(R)-6-[5-(5-클로로-피리딘-3-일)-2,4-디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의 제조
Figure pct00153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34 g, 0.029 mmol)을 1,4-디옥산 (6 mL) 및 에탄올 (0.6 mL) 중 (R)-6-(5-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20 g, 0.59 mmol), 5-클로로피리딘-3-보론산 (0.138 g, 0.88 mmol) 및 탄산칼륨 (0.243 g, 1.76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 ℃에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겔;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DIPE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6-[5-(5-클로로-피리딘-3-일)-2,4-디플루오로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0.125 g, 57% 수율)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13
(R)-N-{3-[8-아미노-2-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ct0015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7 mg, 0.015 mmol)을 DMF (1.52 mL) 중 (R)-tert-부틸 [2-브로모-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85 g, 0.15 mmol) 및 시안화아연 (0.020 g, 0.17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 ℃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에 취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톨루엔 (2 mL) 중 시안화나트륨 (0.015 g,0.3 mmol), 요오드화칼륨 (0.025 g, 0.15 mmol), 요오드화구리 (0.036 g, 0.19 mmol) 및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0.029 mL, 0.26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물로 희석한 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MeOH 중 암모니아 7 M 용액/DCM 0/100 - 10/90).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R)-N-{3-[8-아미노-2-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7 mg, 11% 수율)를 오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B14
(R)-N-{3-[8-아미노-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화합물 59)의 제조
Figure pct0015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32.67 mmol)을 DCM (5 mL) 중 (R)-tert-부틸 [2-클로로-3-시아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40 g, 0.07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DCM에 용해시킨 후, sat. NaHC03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헵탄/DIPE의 1/1 혼합물에서 연마하여 (R)-N-{3-[8-아미노-2-클로로-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26 mg, 80%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B15
(R)-N-{3-[8-아미노-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화합물 66)의 제조
Figure pct00156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 13.06 mmol)을 DCM (2 mL) 중 (R)-tert-부틸 [3-시아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56 g, 0.11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DCM에 용해시킨 후, sat. NaHC03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헵탄/DIPE의 1/1 혼합물에서 연마하여 (R)-N-{3-[8-아미노-3-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35 mg, 78%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B16
(R)-N-{3-[8-아미노-2-클로로-3-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화합물 72)의 제조
Figure pct00157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34 mL, 5.01 mmol)을 DCM (0.77 mL) 중 (R)-tert-부틸 [2-클로로-3-클로로-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44 g, 0.080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DCM에 용해시킨 후, sat. NaHC03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헵탄/DIPE의 1/1 혼합물에서 연마하여 (R)-N-{3-[8-아미노-2-클로로-3-클로로-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14 mg, 39%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B17
(R)-N-{3-[8-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화합물 77)의 제조
Figure pct00158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48 mL, 6.25 mmol)을 DCM (0.96 mL) 중 (R)-tert-부틸 [3-디플루오로메틸-6-(2-플루오로-5-{[(5-플루오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53 g, 0.0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DCM에 용해시킨 후, sat. NaHC03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MgS04), 여과한 다음,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헵탄/DIPE의 1/1 혼합물에서 연마하여 (R)-N-{3-[8-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6-일]-4-플루오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사미드 (36 mg, 84%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B18
(R)-[2-시아노-6-(2-플루오로-5-{[(5-메톡시피라진)-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화합물 79)의 제조
Figure pct00159
5-메톡시피라진-2-카복실산 (0.044 mg, 0.28 mmol)을 MeOH (3 mL) 중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 클로라이드 (86 mg, 0.3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MeOH (3 mL) 중 (R)-6-(5-아미노-2-플루오로페닐)-2시아노-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80 mg, 0.2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sat. Na2C03 및 물로 처리한 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후 (Na2S04), 여과한 다음,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리카; 7N NH3/MeOH/DCM 0/100 - 3/97). 목적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DIPE에서 연마하고, 여과한 후, 진공중에 건조시켜 (R)-[2-시아노-6-(2-플루오로-5-{[(5-메톡시피라진)-카보닐]아미노}페닐)-6-메틸-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카바메이트 (0.013 g, 11% 수율)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표 1 내지 2에 상기 실시예 중 하나와 유사하게 제조된 화합물 1 내지 80을 예시하였다. 염 형태가 표기되지 않은 경우, 화합물은 자유 염기로서 수득된 것이다. 'Ex. No.'는 화합물이 합성된 프로토콜에 따르는 실시예 번호를 나타낸다. 'Co. No.'는 화합물 번호를 나타낸다.
Figure pct00160
Figure pct00161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Figure pct00164
Figure pct00165
C. 분석 파트
LCMS
본 발명의 화합물의 (LC)MS-특정을 위해 다음의 방법들이 이용되었다.
일반적인 방법 A
샘플 오가나이저, 탈기장치가 있는 바이너리 펌프, 4 칼럼 오븐,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DAD) 및 각 방법에 명시되어 있는 칼럼을 포함하는 Acquity UPLC (Waters) 시스템을 사용하여 UPLC (초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을 수행하였다. 칼럼으로부터의 유동을 MS 분광계로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는 전자스프레이 이온화원이 설치되어 있다. 질량 스펙트럼은 0.08초의 채널간 지연을 이용하여 0.1초에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단일 사중극 SQD 검출기에서 얻었다. 모세 바늘 전압은 3.0 kV이었다. 콘 전압은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에 대해 25V,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에 대해 30V이었다. 네뷸라이저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였다. 공급원 온도는 140 ℃로 유지하였다. 데이터는 MassLynx-Openlynx 소프트웨어로 수집였다.
방법 1
일반적인 방법 외에: 역상 UPLC를 Waters사 제품인 BEH-C18 칼럼 (1.7 μm, 2.1 × 50 mm) 상에서 1.0 ㎖/분의 유속으로 50 ℃에서 MS 검출기로의 분리없이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구배 조건을 이용하였다: 95% A (H20 중 6.5 mM 암모늄 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 95/5), 5% B (아세토니트릴), - 40% A, 60% B로 3.8 분, - 5% A, 95% B로 4.6 분, 5.0 분까지 유지. 주입 용적 2 ㎕.
방법 2
일반적인 방법 외에: 역상 HPLC를 Agilent사 제품인 RRHD Eclipse Plus-C18 칼럼 (1.8 μm, 2.1 × 50 mm) 상에서 1.0 ㎖/분의 유속으로 50 ℃에서 MS 검출기로의 분리없이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구배 조건을 이용하였다: 95% A (H20 중 6.5 mM 암모늄 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 95/5), 5% B (아세토니트릴), - 40% A, 60% B로 7.0 분, - 5% A, 95% B로 8.6 분, 9.0 분까지 유지. 주입 용적 2 ㎕.
방법 3
BEH 칼럼 대신 Agilent사 제품인 RRHD Eclipse Plus-C18 칼럼 (1.8 μm, 2.1 × 50 mm)을 사용하여 방법 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배 이용.
일반적인 방법 B
탈기장치가 있는 바이너리 펌프, 오토샘플러, 칼럼 오븐, 다이오드-어레이 검출기 (DAD) 및 각 방법에 명시되어 있는 칼럼을 포함하는 HP 1100 (Agilent Technologies) 시스템을 사용하여 HPLC 측정을 수행하였다. 칼럼으로부터의 유동을 MS 분광계로 분배하였다. MS 검출기 (SQD 또는 TOF) 에는 전기스프레이 이온화원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원 온도는 140 ℃ 유지하였다. 네뷸라이저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MassLynx-Openlynx 소프트웨어로 수집하였다.
B1: 질량 스펙트럼은 0.08초의 체류시간을 사용하여 0.1초에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단일 사중극 SQD 검출기에서 얻었다. 모세 바늘 전압은 3.0 kV이었다.
B2: 질량 스펙트럼은 0.3초의 체류시간을 사용하여 0.5초에 100 내지 750회 스캔하여 비행 시간 (TOF) 검출기에서 얻었다. 모세 바늘 전압은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에 대해 2.5 kV,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에 대해 2.9 kV이었다. 콘 전압은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 및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 모두 20 V이었다. 류신-엔케팔린을 록 질량 보정(lock mass calibration)을 위한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다.
방법 4
일반적인 방법 B1 외에: 역상 HPLC를 Agilent사 제품인 Eclipse Plus-C18 칼럼 (3.5 μm, 2.1 × 30 mm) 상에서 1.0 ㎖/분의 유속으로 60 ℃에서 MS 검출기로의 분리없이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구배 조건을 이용하였다: 95% A (H20 중 6.5 mM 암모늄 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 95/5), 5% B (아세토니트릴/메탄올의 혼합물, 1/1), - 100% B로 5.0 분, 5.15 분 까지 유지, 5.30 분에서 7.0 분까지 초기 조건으로 평형화. 주입 용적 2 ㎕. 콘 전압은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의 경우 20V이고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의 경우 30V이었다.
방법 5
일반적인 방법 B1 외에: 역상 HPLC를 Agilent사 제품인 Eclipse Plus-C18 칼럼 (3.5 μm, 2.1 × 30 mm) 상에서 1.0 ㎖/분의 유속으로 60 ℃에서 MS 검출기로의 분리없이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구배 조건을 이용하였다: 95% A (H20 중 6.5 mM 암모늄 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 95/5), 5% B (아세토니트릴/메탄올, 1/1), 0.2 분 유지, - 100% B로 3.0 분, 3.15 분 까지 유지, 3.30 분에서 5.0 분까지 초기 조건으로 평형화. 주입 용적 2 ㎕. 콘 전압은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의 경우 20V 및 50V이고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의 경우 30V이었다.
일반적인 방법 C
바이너리 펌프, 샘플 오가나이저, 칼럼 히터 (55 ℃로 설정),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DAD) 및 하기 각 방법에 명시되어 있는 칼럼을 포함하는 Acquity UPLC (Waters) 시스템을 사용하여 LC 측정을 수행하였다. 칼럼으로부터의 유동을 MS 분광계로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는 전자스프레이 이온화원이 설치되어 있다. 질량 스펙트럼은 0.02초의 체류시간을 사용하여 0.18초에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얻었다. 모세 바늘 전압은 3.5 kV이며 공급원 온도는 140 ℃로 유지하였다. 콘 전압은 포지티브 이온화 모드의 경우 10V이고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의 경우 20V이었다. 네뷸라이저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Waters-Micromass MassLynx-Openlynx 데이터 시스템으로 수집하였다.
방법 6
일반적인 방법 C 외에; 역상 UPLC (초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가교된 에틸실록산/실리카 하이브리드 (BEH) C18 칼럼 (1.7 ㎛, 2.1 x 50 mm; Waters Acquity) 상에서 0.8 ㎖/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다. 2종의 이동상 (이동상 A: H20 중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 95/5;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1.3분에 95% A 및 5% B로부터 5% A 및 95% B까지의 구배 조건을 수행하고 0.7분간 유지한다. 0.75 ml의 주입 용적이 이용되었다.
일반적인 방법 D
탈기장치가 있는 바이너리 펌프, 오토샘플러,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DAD) 및 하기 각 방법에 명시되어 있는 칼럼을 포함하는 Acquity UPLC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Waters) 시스템을 사용하여 LC 측정을 수행하고, 칼럼은 40 ℃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칼럼으로부터의 유동을 MS 분광계로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 전자스프레이 이온화원이 설치되었다. 질량 스펙트럼은 0.1초의 스캔간 지연을 사용하여 0.2초에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Quattro 검출기 (Waters사 제품인 삼중 사중극 질량 분광계) 상에서 얻었다. 모세 바늘 전압은 3 kV이며 공급원 온도는 130 ℃로 유지하였다. 콘 전압은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이온화 모드 모두 20V이었다. 네뷸라이저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MassLynx-Openlynx 소프트웨어 (Waters)로 수집하였다.
방법 7
일반적인 방법 D 외에: 역상 UPLC를 Waters Acquity BEH (가교된 에틸실록산/실리카 하이브리드) 페닐-헥실 칼럼 (1.7 μm, 2.1 × 100 mm) 상에서 0.34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다. 2종의 이동상 (이동상 A: 95% 7 mM 암모늄 아세테이트/5%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을 84.2% A 및 15.8% B (0.49 분 유지) - 10.5% A 및 89.5% B, 2.18 분, 1.94 분 유지 및 0.73 분내에 다시 초기 조건으로, 0.73 분 유지의 구배조건으로 사용하였다. 주입 용적 2 ml가 사용되었다.
융점
수치는 피크값 또는 융점 범위이고, 이러한 분석 방법에서 보통 일어나는 실험 불확실성으로 얻어진다.
Mettler FP 81HT/FP90 장치 (표 3에서 FP90으로 표시)
다수의 화합물에 있어, 융점은 오픈 모세관에서 Mettler FP62 또는 Mettler FP81HT/FP90 장치로 측정하였다. 융점은 1, 3, 5 또는 10 ℃/분의 온도 구배로 측정하였다. 최대 온도는 300 ℃이었다. 융점은 디지털 디스플레이에서 읽었다.
DSC823e (표 3에서 DSC로 표시)
다수의 화합물에 있어, 융점은 DSC823e (Mettler-Toledo)로 측정하였다. 융점은 30 ℃/분의 온도 구배로 측정하였다. 최대 온도는 400 ℃이었다.
표 3: 분석 데이터 - Rt는 체류 시간(분)을 의미하고, [M+H]+는 화합물의 양자화 질량을 의미하며, 방법은 (LC)MS를 위해 사용된 방법을 가리킨다.
Figure pct00166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n.d.는 결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SFC/MS-방법:
SFC-MS 대한 일반적인 방법 A:
SFC 측정은, 이산화탄소(CO2) 및 모디파이어(modifier) 전달용 FCM-1200 듀얼 펌프 유체 제어 모듈, CTC Analytics 자동 액체 샘플러, 실온에서 80 ℃ 까지 칼럼을 가열하기 위한 TCM-20000 열 제어 모듈을 구비한 Berger Instrument사 제품인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고압 유동 셀 (최대 400 bar)이 장착된 Agilent 1100 UV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가 사용되었다. 칼럼으로부터의 유동을 MS 분광계로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는 대기압 이온화원이 설치되었다. Waters ZQ 질량 분광계의 이온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 9μa, 공급원 온도: 140 ℃, 콘: 30 V, 프로브 온도 450 ℃, 추출기 3 V, 탈용매화 가스 400 L/hr, 콘 가스 70 L/hr. 네뷸라이저 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였다. 데이타 수집은 Waters-Micromass MassLynx-Openlynx 데이타 시스템으로 행하였다.
방법 1
일반적인 방법 A 외에: SFC에서의 키랄 분리를 CHIRALCEL OJ DAICEL 칼럼 (5 μm, 4.6 × 250 mm)에서 3.0 ml/분의 유속으로 35 ℃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CO2, 30% iPrOH (0.3% iPrNH2 함유)로 등용매 방식.
방법 2
일반적인 방법 A 외에: SFC에서의 키랄 분리를 CHIRALPAK IC DAICEL 칼럼 (5 μm, 4.6 × 250 mm)에서 3.0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다. 이동상: CO2, 50% iPrOH (0.3% iPrNH2 함유)로 등용매 방식.
SFC-MS에 대한 일반적인 방법 B:
SFC 측정을, 이산화탄소(CO2) 및 모디파이어(modifier) 전달용 듀얼 펌프 제어 모듈 (FCM-1200), 1-150 ℃ 범위로 온도를 제어하는 칼럼 가열용 열 제어 모듈 (TCM-2100) 및 6개의 상이한 칼럼을 위한 칼럼 선택 밸브 (Valco, VICI, Houston, TX, USA)를 구비한 Berger Instruments사 (Newark, DE, USA) 제품인 분석 SFC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고압 유동 셀 (최대 400 bar)이 장착되고 CTC LC Mini PAL 오토샘플러 (Leap Technologies, Carrboro, NC, USA)를 갖춘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Agilent 1100, Waldbronn, Germany)가 사용되었다. 직교형 Z-전기스프레이 인터페이스가 있는 ZQ 질량 분광계 (Waters, Milford, MA, USA)를 SFC-시스템에 결합하였다. 장비 제어, 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SFC ProNTo 소프트웨어 및 Masslynx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통합 플랫폼에서 행하였다.
방법 3
일반적인 방법 B 외에: SFC에서의 키랄 분리를 CHIRALCEL OD-H 칼럼 (4.6 × 250 mm)에서 3.0 ml/분의 유속으로 30 ℃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1.6%/분의 비율로 10-40% MeOH (0.2% iPrNH2 함유)/CO2, 이어 5%의 비율로 40-50% MeOH/CO2, 50%로 3.60분 유지.
방법 4
CHIRALPAK AS-H 칼럼 (4.6 x 250 mm)을 대신 사용하여 방법 3과 동일한 구배 이용.
방법 5
일반적인 방법 B 외에: SFC에서의 키랄 분리를 CHIRALCEL OJ-H 칼럼 (4.6 × 250 mm)에서 3.0 ml/분의 유속으로 30 ℃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15% EtOH (0.2% iPrNH2 함유)/CO2, 이어 15분 유지.
방법 6
일반적인 방법 B 외에: SFC에서의 키랄 분리를 CHIRALPAK AS-H 칼럼 (4.6 × 250 mm)에서 3.0 ml/분의 유속으로 30 ℃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5% MeOH (0.2% iPrNH2 함유)/CO2를 16.16분 유지, 이어 10%의 비율로 5-40% MeOH/CO2, 50%로 3.34분 유지.
표 4: 분석 SFC 데이터 - Rt는 체류 시간(분)을 의미하고, [M+H]+는 화합물의 양자화 질량을 의미하며, 방법은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의 SFC/MS 분석에 이용된 방법을 가리킨다.
Figure pct00170
이성체 용출 순서: A는 가장 먼저 용출되는 이성체를 의미하고; B는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의미한다.
선광도:
선광도는 나트륨 램프를 사용하는 Perkin Elmer 341 편광계에서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보고되었다: [α]o(λ, c g/100 ml, 용매, T℃).
[α]λ T = (100α)/(l×c)
상기 식에서,
l은 dm 단위의 경로 길이이고,
c는 온도 T(℃)에서 샘플에 대한 g/100 ml의 농도이며,
λ는 파장(nm)이다.
사용된 광의 파장이 589 nm(나트륨 D 라인)인 경우에는 D 부호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회전 표시(+ 또는 -)는 항상 주어져야 한다. 이러한 식을 사용하는 경우, 농도 및 용매는 항상 회전 다음 괄호안에 주어진다. 회전은 도로 보고되며, 농도 단위는 주어지지 않는다 (g/100 ml로 가정)
표 5: 분석 데이터 -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에 대한 선광도 값
Figure pct00171
Figure pct00172

NMR
다수 화합물에 대해서, 1H NMR 스펙트럼을, 각각 360 MHz, 400 MHz 및 600 MHz로 작동하는 표준 펄스 시퀀스의 Bruker DPX-360, Bruker DPX-400 또는 Bruker Avance 600 분광계 상에서 클로로포름-d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CDCl3) 또는 DMSO-d6 (중수소화 DMSO, 디메틸-d6 설폭사이드)를 용매로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 (δ)은 테트라메틸실란 (TMS)에 대한 ppm으로 보고되었으며, 여기서 TMS는 내부 표준으로 사용된다.
Figure pct00173
Figure pct00174
Figure pct00175

약물학적 실시예
본 발명으로 제공되는 화합물은 β-부위 APP-절단 효소 1 (BACE1)의 저해제이다.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인 BACE1의 저해는 알츠하이머 병 (AD)의 치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베타-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로부터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 (Aβ)의 생산 및 축적은 AD의 발병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Aβ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로부터 Aβ 도메인의 N- 및 C-말단에서 각각 β-세크레타아제 및 γ-세크레타아제에 의해 연속 절단됨으로써 생산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효소 활성의 저해능으로 인해 BACE1에서 실질적으로 그의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화합물, 더욱 특히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을 확인하는데 적합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생화학적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FRET) 기반 검정 및 SKNBE2 세포에서 세포 αlisa 검정을 이용하여 상기 저해제의 행동을 시험하고,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생화학적 FRET 기반 검정
이 검정은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검정 (FRET)에 기반한 검정이다. 이 검정에 사용되는 기질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 β-세크레타아제 절단 부위의 'Swedish' Lys-Met/Asn-Leu 돌연변이를 가지는 APP 유래 13 아미노산 펩티드이다. 상기 기질은 또한 다음과 같은 두개의 형광단을 가진다: (7-메톡시쿠마린-4-일) 아세트산 (Mca)은 여기 파장이 320 nm이고 발광 파장이 405 nm인 형광 공여체이고, 2,4-디니트로페닐 (Dnp)은 독점적 소광제 수용체이다. 이들 두 그룹 간의 거리는 광 여기시 공여 형광 에너지가 공명 에너지 전이를 통해 수용체에 의해 상당히 소광되도록 선택된다. BACE1에 의해 절단 시, 형광단 Mca는 소거 그룹 Dnp으로부터 분리되고, 공여체의 완전 형광 수율을 회복한다. 형광 증가는 단백질가수분해 속도와 선형적인 관계에 있다 (Koike H et al. J. Biochem. 1999, 126, 235-242).
요약하면, 384-웰 포맷에서 최종 농도 1 μg/ml의 재조합 BACE1 단백질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 완충제 (40 mM 시트레이트 완충제 pH 5.0, 0.04% PEG, 4% DMSO) 중에 10 ㎛ 기질과 120 분동안 화합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인큐베이션한다. 이어, 단백질가수분해량을 T=0 및 T=120에서 형광 측정 (320 nm에서 여기 및 405 nm에서 발광)으로 직접 측정한다. 결과를 T120와 TO 사이의 차이로서 RFU로 나타내었다.
최소 제곱합의 방법으로 화합물 농도에 대해 대조군최소%(%Controlmin)를 플롯팅하여 최고의 적합 곡선을 조정하였다. 이로부터 IC50 값 (활성을 50% 저해하는 저해 농도)을 구할 수 있다.
LC = 대조군 저치의 중간
= 저 대조군: 효소 부재하의 반응
HC = 대조군 고치의 중간
= 고 대조군: 효소 존재하의 반응
효과% = 100-[(샘플-LC)/(HC-LC)×100]
대조군% = (샘플/HC)×100
대조군최소% = (샘플-LC)/(HC-LC)×100
하기 예시된 화합물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고 하기 활성을 얻었다:
Figure pct00176

Figure pct00177
Figure pct00178
Figure pct00179
n.t.는 검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SKNBE2 세포에서 세포 αlisa 검정
두 αlisa 검정에서 인간 신경모세포종 SKNBE2 세포의 배지에서 생산되고 분비된 Aβtotal 및 Aβ42의 수준을 정량하였다. 이 검정은 야생형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hAPP695)을 발현하는 인간 신경모세포종 SKBE2를 기반으로 한다. 화합물을 희석하여 이 세포에 첨가한 후, 18 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하고, Aβ42 및 Aβtotal을 측정하였다. Aβtotal 및 Aβ42는 샌드위치 αlisa로 측정하였다. αlisa는 스트렙타비딘 코팅 비드에 부착된 비오티닐화 항체 AbN/25 및 각각 Aβtotal 및 Aβ42를 검출하기 위한 항체 Ab4G8 또는 cAb42/26 접합 수용체 비드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검정이다. Aβtotal 또는 Aβ42의 존재하에, 비드는 근접한다. 공여 비드의 여기는 수용체 비드에서 에너지 전이 케스케이드를 촉발하여 광 방출을 일어나게 하는 단일 산소 분자의 방출을 유도한다. 광 방출은 1 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측정한다 (650 nm에서 여기 및 615 nm에서 방출).
최소 제곱합의 방법으로 화합물 농도에 대해 대조군최소%(%Controlmin)를 플롯팅하여 최고의 적합 곡선을 조정하였다. 이로부터 IC50 값 (활성을 50% 저해하는 저해 농도)을 구할 수 있다.
LC = 대조군 저치의 중간
= 저 대조군: αlisa에서 비오티닐화 Ab없이 화합물 부재하에 예비인큐베이션된 세포
HC = 대조군 고치의 중간
= 고 대조군: 화합물 부재하에 예비인큐베이션된 세포
효과% = 100-[(샘플-LC)/(HC-LC)×100]
대조군% = (샘플/HC)×100
대조군최소% = (샘플-LC)/(HC-LC)×100
하기 예시된 화합물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고 하기 활성을 얻었다:
Figure pct00180
Figure pct00181
Figure pct00182
Figure pct00183

생체내 효과 입증
본 발명의 Aβ 펩티드 저하제는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에서 AD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마우스, 래트 또는 기니피그가 예시되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동물 모델에서 효과를 입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포유동물은 AD로 진단되지 않았거나, AD에 대한 유전적 소질을 가지지 않았으나, AD에 걸린 인간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Aβ를 과생산하여 마침내는 이를 침착시키도록 유전자이식된 것일 수 있다.
Aβ 펩티드 저하제는 임의의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표준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β 펩티드 저하제는 경구 또는 주사로 취해지는 액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β 펩티드 저하제는 혈액, 혈장, 혈청, 뇌척수액 (CSF) 또는 뇌에서 Aβ42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임의적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Aβ 펩티드 저하제의 급성 투여가 생체내에서 Aβ42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전자이식 설치류, 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래트를 사용하였다. Aβ 펩티드 저하제로 처리된 동물을 비처리 또는 비히클로 처리된 동물과 비교 조사하고, 가용성 Aβ42 및 전체 Aβ의 뇌 수준을 표준 기술, 예를 들어, ELISA를 사용하여 정량할 수 있다. 처리 기간을 수시간 에서 수일로 변화시키고, 일단 효과 개시 기간이 확정되면, Aβ42 저하 결과에 기초해 조정한다.
생체내 Aβ42 저하를 측정하기 위한 전형적인 프로토콜이 제시되지만, 검출가능한 Aβ 수준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수 많은 변형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예를 들어, Aβ42 저하 화합물을 20% 하이드록시프로필 β 사이클로덱스트린에서 제제화한다. Aβ 펩티드 저하제를 밤새 굶긴 동물에 단일 경구 투여(p.o.) 또는 단일 피하 투여(s.c.) 경로로 투여한다. 특정 시간, 보통 2 내지 4 시간(표 19에 제시된 바와 같이)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Aβ42 수준을 분석한다.
단두하고 방혈시켜 혈액을 EDTA-처리된 수집관에 모은다. 혈액을 4 ℃에서 10 분간 1900 g으로 원심분리하고, 혈장을 회수하여 나중 분석을 위하여 급냉동시킨다. 두개골과 후뇌로부터 뇌를 제거한다. 소뇌를 제거하여 좌 및 우측 반구로 분리한다. 좌측 반구는 시험 화합물 수준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18 ℃에서 보관한다. 우측 반구는 인산염-완충 염수 (PBS) 완충액으로 세정하여 드라이 아이스상에서 급냉동시켜 생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균질화시킬 때까지 -80 ℃에서 보관한다.
비-유전자이식 동물 유래 마우스의 뇌를 예를 들어, 뇌 0.158 g에 대해 조직 1 그램 당 8 배 용적의 0.4% DEA (디에틸아민)/50 mM NaCl 함유 프로테아제 저해제 (Roche-11873580001 또는 0469315900)에 재현탁시키고, 0.4% DEA 1.264 ㎖를 가한다. 모든 샘플을 20 초동안 6 m/s로 용해 매트릭스 D(MPBio #6913-100)를 사용하여 FastPrep-24 시스템(MP Biomedicals)에서 균질화한다. 균질물을 221,300 x g으로 50 분간 원심분리시킨다. 이어서, 생성된 고속 상등물을 새로운 에펜도르프 시험관으로 옮긴다. 상등액의 9부를 1부 0.5M Tris-HCl(pH6.8)로 중성화시키고 Aβtotal 및 Aβ42를 정량하는데 사용한다.
뇌 균질물의 가용성 분획에서 Aβtotal 및 Aβ42의 양을 정량하기 위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을 사용한다. 간략하면, 표준물질 (합성 Aβ1-40 및 Aβ1-42의 희석액, Bachem)을 최종 농도 범위 10000 내지 0.3 pg/㎖로, Ultraculture 중의 1.5 ㎖ 에펜도르프 시험관에 준비한다. 샘플 및 표준물질을 Aβ42 검출을 위해 HPRO-표지 N-말단 항체 및 Aβtotal 검출을 위해 비오티닐화 중-도메인 항체 4G8과 공배양한다. 이어, 접합체/샘플 또는 접합체/표준물 혼합물 50 ㎕를 항체-코팅 플레이트 (캡쳐 항체는 Aβ42 검출을 위해 Aβ42의 C-종결 말단, 항체 JRF/cAβ42/26 및 Aβtotal 검출을 위해 Aβ의 N-종결 말단, 항체 JRF/rAβ42/2을 선택적으로 인식한다)에 가한다. 상기 플레이트를 4 ℃에서 밤새 배양시켜 항체-아밀로이드 복합체를 형성시킨다. 상기 배양 및 후속 세척 단계 후,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Quanta Blu 형광발생성 퍼옥시다제 기질 (Pierce Corp., Rockford, Il)을 가해 Aβ42 정량화를 위한 ELISA를 마친다. 10 내지 15 분후 판독한다 (여기 320/방출 420).
Aβtotal의 검출을 위해, 스트렙타비딘-퍼옥시다제-접합체를 첨가하고, 60 분후 추가 세척 단계 후,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Quanta Blu 형광발생성 퍼옥시다제 기질 (Pierce Corp., Rockford, Il)을 가한다. 10 내지 15 분후 판독한다 (여기 320/방출 420).
상기 모델에서는, 비처리 동물과 비교하여 Aβ42를 적어도 20% 저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하기 예시된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고 하기 활성을 얻었다:
Figure pct00184

Claims (8)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호변이성체 또는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8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3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및 C3-6사이클로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3알킬, C3-6사이클로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호모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X1, X2, X3, X4는 독립적으로 C(R4) 또는 N이나, 단 N을 나타내는 것은 두개를 넘지 않고; 각 R4는 수소, 할로, C1-3알킬,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 시아노,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L은 결합 또는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C1-3알킬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및 폴리할로-C1-3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질, 피리다질,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졸릴, 및 옥사디아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 브로모 및 시아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R3은 C1-3알킬 또는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X1 및 X3은 독립적으로 CH 또는 CF이고;
    X2 및 X4는 CH이고;
    L은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호모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호모아릴은 할로, 시아노, C1-3알킬, 및 C1-3알킬옥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각각 할로, 시아노, C1-3알킬, C1-3알킬옥시,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질, 피라졸릴, 옥사졸릴 및 이소티아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모노-, 디-,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 브로모 또는 시아노이고;
    R2는 수소, 클로로, 시아노, 모노-, 디-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3은 메틸, 모노-, 디-,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X1은 CF이고;
    X2, X3, X4는 CH이고;
    L은 -N(R5)CO-이고, 여기서 R5는 수소이고;
    Ar은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각각 클로로, 플루오로, 시아노, 메틸, 메톡시, 에톡시, 모노-, 디-,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피리딜, 피라질 및 피라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부가염 또는 용매화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3으로 치환된 탄소 원자가 R-배열을 갖는 화합물.
  5.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정의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정의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과 충분히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5 항에 정의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병,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레비소체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뇌졸증과 관련된 치매,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 또는 베타-아밀로이드와 관련된 치매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8. 치료적 유효량의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제 5 항에 정의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경증 인지 장애, 노쇠, 치매, 레비소체치매,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다발 경색 치매, 다운증후군, 뇌졸증과 관련된 치매,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 및 베타-아밀로이드와 관련된 치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장애의 치료방법.
KR1020137019224A 2010-12-22 2011-12-21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 KR101866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6568.9 2010-12-22
EP10196568 2010-12-22
PCT/EP2011/073522 WO2012085038A1 (en) 2010-12-22 2011-12-21 5,6-DIHYDRO-IMIDAZO[1,2-a]PYRAZIN-8-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556A true KR20130132556A (ko) 2013-12-04
KR101866987B1 KR101866987B1 (ko) 2018-07-19

Family

ID=4392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224A KR101866987B1 (ko) 2010-12-22 2011-12-21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840507B2 (ko)
EP (1) EP2655376B1 (ko)
JP (1) JP5834091B2 (ko)
KR (1) KR101866987B1 (ko)
CN (1) CN103403007B (ko)
AU (1) AU2011347377B2 (ko)
BR (1) BR112013015430A2 (ko)
CA (1) CA2819175C (ko)
CO (1) CO6721049A2 (ko)
EA (1) EA022409B1 (ko)
ES (1) ES2648143T3 (ko)
HK (1) HK1189221A1 (ko)
IL (1) IL227054A (ko)
MX (1) MX347912B (ko)
MY (1) MY170715A (ko)
NZ (1) NZ610948A (ko)
SG (1) SG191097A1 (ko)
UA (1) UA109459C2 (ko)
WO (1) WO2012085038A1 (ko)
ZA (1) ZA201304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76027T3 (es) 2005-10-25 2014-07-11 Shionogi & Co., Ltd. Derivados de aminodihidrotriazina
ES2476605T3 (es) 2007-04-24 2014-07-15 Shionogi & Co., Ltd. Derivados de aminohidrotiazina sustituidos con grupos cíclicos
WO2008133273A1 (ja) 2007-04-24 2008-11-06 Shionogi & Co., Ltd. アルツハイマー症治療用医薬組成物
AU2009258496B8 (en) 2008-06-13 2014-06-26 Shionogi & Co., Ltd.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derivative having beta-secretase-inhibiting activity
JPWO2010047372A1 (ja) 2008-10-22 2012-03-2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Bace1阻害活性を有する2−アミノピリミジン−4−オンおよび2−アミノピリジン誘導体
US8999980B2 (en) 2009-12-11 2015-04-07 Shionogi & Co., Ltd. Oxazine derivatives
WO2011154431A1 (en) 2010-06-09 2011-12-15 Janssen Pharmaceutica Nv 5,6-dihydro-2h-[1,4]oxazin-3-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EP2634188A4 (en) 2010-10-29 2014-05-07 Shionogi & Co FUSIONED AMINODIHYDROPYRIMIDINE DERIVATIVE
EP2634186A4 (en) 2010-10-29 2014-03-26 Shionogi & Co naphthyridine
AU2011347377B2 (en) * 2010-12-22 2016-03-03 Janssen Pharmaceutica Nv 5,6-dihydro-imidazo[1,2-a]pyrazin-8-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SI2681219T1 (sl) 2011-03-01 2016-02-29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ti 6,7-dihidro-pirazolo(1,5-a)pirazin-4-ilamina uporabni kot inhibitorji beta-sekretaze (BACE)
ES2534973T3 (es) 2011-03-09 2015-04-30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3,4-dihidro-pirrolo[1,2-a]pirazin-1-ilamina útiles como inhibidores de beta-secretasa (BACE)
TW201247635A (en) 2011-04-26 2012-12-01 Shionogi & Co Oxazine derivatives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BAC1 containing them
WO2014065434A1 (en) 2012-10-24 2014-05-01 Shionogi & Co., Ltd. Dihydrooxazine or oxazepine derivatives having bace1 inhibitory activity
CN105324383B (zh) * 2013-06-12 2017-10-31 詹森药业有限公司 作为β‑分泌酶(BACE)抑制剂的4‑氨基‑6‑苯基‑6,7‑二氢[1,2,3]三唑并[1,5‑A]吡嗪衍生物
CN105452251B (zh) * 2013-06-12 2017-12-26 詹森药业有限公司 作为β‑分泌酶(BACE)抑制剂的4‑氨基‑6‑苯基‑5,6‑二氢咪唑并[1,5‑A]吡嗪‑3(2H)‑酮衍生物
EP3008066B1 (en) * 2013-06-12 2018-08-15 Janssen Pharmaceutica N.V. 4-amino-6-phenyl-5,6-dihydroimidazo[1,5-a]pyraz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CN104016925B (zh) * 2014-06-17 2016-03-30 遵义医学院 4-烷基咪唑-2-羧酸的合成方法
EP3233834B1 (en) 2014-12-18 2019-11-13 Janssen Pharmaceutica NV 2,3,4,5-tetrahydropyridin-6-amine and 3,4-dihydro-2h-pyrrol-5-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SG11201803066VA (en) 2015-11-09 2018-05-30 Astrazeneca Ab Dihydroimidazopyrazinone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cancer
WO2018165520A1 (en) 2017-03-10 2018-09-13 Vps-3, Inc. Metalloenzyme inhibitor compoun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9434A2 (en) 2002-04-19 2003-10-30 Cellular Genomics, Inc. IMIDAZO[1,2-a]PYRAZIN-8-YLAMINE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4026877A1 (en) 2002-09-23 2004-04-01 Schering Corporation Imidazopyrazines as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s
WO2009102468A1 (en) 2008-02-13 2009-08-20 Cgi Pharmaceuticals, Inc. 6-aryl-imidaz0[l, 2-a] pyrazine derivative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389A (en) 1978-11-03 1980-02-12 Ayerst Mckenna & Harrison, Inc. 1,2,3,4-Tetrahydropyrrolo(1,2-A)pyrazines
TW224974B (ko) 1991-07-02 1994-06-11 Hoffmann La Roche
EP0998285A4 (en) 1997-06-18 2003-01-08 Merck & Co Inc ANTAGONISTS OF THE ALPHA 1a ADRENERIC RECEPTOR
BR0317525A (pt) 2002-12-20 2005-11-16 Pharmacia Corp Compostos pirazol acìclico, composição terapêutica e farmacêutica, kit, bem como respectivos usos
US7157460B2 (en) * 2003-02-20 2007-01-02 Sugen Inc. Use of 8-amino-aryl-substituted imidazopyrazines as kinase inhibitors
WO2005037832A2 (en) 2003-10-15 2005-04-28 Targacept, Inc. Azabicycyclic compounds for relieving pain and treat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JP2007533740A (ja) 2004-04-22 2007-11-22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Bace阻害剤としてのアミド
PE20060459A1 (es) 2004-06-16 2006-05-30 Wyeth Corp DERIVADOS DE AMINO-5,5-DIFENILIMIDAZOLONA COMO INHIBIDORES DE LA ß-SECRETASA
PE20060692A1 (es) 2004-09-21 2006-07-19 Lilly Co Eli Inhibidores bace
CN101103034A (zh) 2005-01-14 2008-01-09 惠氏公司 抑制β-分泌酶的氨基-咪唑酮
US20070005404A1 (en) 2005-06-09 2007-01-04 Drive Diagnost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insurance
KR20080028881A (ko) 2005-06-14 2008-04-02 쉐링 코포레이션 헤테로사이클릭 아스파르틸 프로테아제 억제제,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WO2007005404A1 (en) 2005-06-30 2007-01-11 Wyeth AMINO-5-(6-MEMBERED)HETEROARYLIMIDAZOLONE COMPOUNDS AND THE USE THEREOF FOR ß-SECRETASE MODULATION
ES2476027T3 (es) 2005-10-25 2014-07-11 Shionogi & Co., Ltd. Derivados de aminodihidrotriazina
TW200804290A (en) 2005-11-15 2008-01-16 Astrazeneca Ab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07114771A1 (en) 2006-04-05 2007-10-11 Astrazeneca Ab 2-AMINOPYRIMIDIN-4-ONES AND THEIR USE FOR TREATING OR PREVENTING Aβ-RELATED PATHOLOGIES
GB2443654A (en) 2006-05-30 2008-05-14 Matthew Emmerson Allen System for detecting and testing drivers who show abnormal driving behaviour.
US20080051420A1 (en) 2006-06-14 2008-02-28 Astrazeneca Ab New Compounds 317
ES2476605T3 (es) * 2007-04-24 2014-07-15 Shionogi & Co., Ltd. Derivados de aminohidrotiazina sustituidos con grupos cíclicos
TW200902499A (en) 2007-05-15 2009-01-16 Astrazeneca Ab New compounds
CN101910155A (zh) 2007-10-30 2010-12-08 艾尼纳制药公司 作为组胺-h3受体调节剂用于治疗与组胺-h3受体调节剂相关的障碍的联苯衍生物
CA2713998A1 (en) 2008-01-28 2009-08-06 Janssen Pharmaceutica N.V. 6-substituted-thio-2-amino-quinol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beta.-secretase (bace)
TWI431004B (zh) 2008-05-02 2014-03-21 Lilly Co Eli Bace抑制劑
WO2011002409A1 (en) 2009-07-02 2011-01-06 Astrazeneca Ab 5h-pyrrolo[3,4-£>]pyrazin-7-amine derivative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AR077277A1 (es) 2009-07-09 2011-08-17 Lilly Co Eli Compuestos de biciclo (1,3)tiazin-2-amina formula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y su uso para la manufactura de un medicamento util para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 alzheimer
UY32799A (es) 2009-07-24 2011-02-28 Novartis Ag Derivados de oxazina y su uso en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neurológicos
US8188079B2 (en) 2009-08-19 2012-05-29 Hoffman-La Roche Inc. 3-amino-5-phenyl-5,6-dihydro-2H-[1,4]oxazines
CN102686584A (zh) 2009-11-13 2012-09-19 盐野义制药株式会社 具有氨基连接基的氨基噻嗪或氨基噁嗪衍生物
UA103272C2 (uk) 2009-12-11 2013-09-25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2-аміно-5,5-дифтор-5,6-дигідро-4h-оксазини як інгібітори bace1 і/або bace2
US8999980B2 (en) 2009-12-11 2015-04-07 Shionogi & Co., Ltd. Oxazine derivatives
EP2518059A4 (en) 2009-12-24 2013-05-29 Shionogi & Co 4-AMINO-1,3-THIAZINE OR OXAZINE DERIVATIVE
US20120277244A1 (en) 2009-12-31 2012-11-01 Novartis Ag Pyraz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WO2011154431A1 (en) 2010-06-09 2011-12-15 Janssen Pharmaceutica Nv 5,6-dihydro-2h-[1,4]oxazin-3-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JP2013531644A (ja) 2010-06-09 2013-08-08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βセクレターゼ(BACE)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5−アミノ−3,6−ジヒドロ−1H−ピラジン−2−オン誘導体
EP2585440A1 (en) 2010-06-28 2013-05-01 Janssen Pharmaceutica, N.V. 3-amino-5,6-dihydro-1h-pyrazin-2-on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e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forms of dementia
SG188338A1 (en) 2010-09-22 2013-04-30 Janssen Pharmaceutica Nv 4,7-DIHYDRO-PYRAZOLO[1,5-a]PYRAZIN-6-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EP2634188A4 (en) 2010-10-29 2014-05-07 Shionogi & Co FUSIONED AMINODIHYDROPYRIMIDINE DERIVATIVE
AU2011347377B2 (en) * 2010-12-22 2016-03-03 Janssen Pharmaceutica Nv 5,6-dihydro-imidazo[1,2-a]pyrazin-8-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CN103429589A (zh) 2011-01-12 2013-12-04 诺瓦提斯公司 噁嗪衍生物及其在治疗神经障碍中的用途
JP2012147763A (ja) 2011-01-17 2012-08-09 Toshitaka Kobayashi 乾物穿孔具
US9242943B2 (en) 2011-01-18 2016-01-26 Siena Biotech S.P.A. 1,4 oxazines as BACE1 and/or BACE2 inhibitors
SI2681219T1 (sl) 2011-03-01 2016-02-29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ti 6,7-dihidro-pirazolo(1,5-a)pirazin-4-ilamina uporabni kot inhibitorji beta-sekretaze (BACE)
ES2534973T3 (es) 2011-03-09 2015-04-30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3,4-dihidro-pirrolo[1,2-a]pirazin-1-ilamina útiles como inhibidores de beta-secretasa (BACE)
TW201247635A (en) 2011-04-26 2012-12-01 Shionogi & Co Oxazine derivatives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BAC1 containing them
EP2766358B1 (en) 2011-10-13 2016-06-22 Novartis AG Novel oxaz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
UA111749C2 (uk) 2011-12-05 2016-06-10 Янссен Фармацевтика Нв Похідні 6-дифторметил-5,6-дигідро-2h-[1,4]оксазин-3-аміну
WO2013083556A1 (en) 2011-12-06 2013-06-13 Janssen Pharmaceutica Nv 5-(3-aminophenyl)-5-alkyl-5,6-dihydro-2h-[1,4]oxazin-3-amine derivatives
WO2014099794A1 (en) 2012-12-20 2014-06-26 Merck Sharp & Dohme Corp. C5, c6 oxacyclic-fused iminothiazine dioxide compounds as bace inhibitors
EP3008066B1 (en) 2013-06-12 2018-08-15 Janssen Pharmaceutica N.V. 4-amino-6-phenyl-5,6-dihydroimidazo[1,5-a]pyraz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CN105452251B (zh) 2013-06-12 2017-12-26 詹森药业有限公司 作为β‑分泌酶(BACE)抑制剂的4‑氨基‑6‑苯基‑5,6‑二氢咪唑并[1,5‑A]吡嗪‑3(2H)‑酮衍生物
CN105324383B (zh) 2013-06-12 2017-10-31 詹森药业有限公司 作为β‑分泌酶(BACE)抑制剂的4‑氨基‑6‑苯基‑6,7‑二氢[1,2,3]三唑并[1,5‑A]吡嗪衍生物
EP3233834B1 (en) 2014-12-18 2019-11-13 Janssen Pharmaceutica NV 2,3,4,5-tetrahydropyridin-6-amine and 3,4-dihydro-2h-pyrrol-5-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9434A2 (en) 2002-04-19 2003-10-30 Cellular Genomics, Inc. IMIDAZO[1,2-a]PYRAZIN-8-YLAMINE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4026877A1 (en) 2002-09-23 2004-04-01 Schering Corporation Imidazopyrazines as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s
WO2009102468A1 (en) 2008-02-13 2009-08-20 Cgi Pharmaceuticals, Inc. 6-aryl-imidaz0[l, 2-a] pyrazine derivative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ike H 등, Thimet oligopeptidase cleaves the full-length Alzheimer amyloid precursor protein at a beta-secretase cleavage site in COS cells, Journal of Biochemistry, Vol. 126 (1999), Issue 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27054A (en) 2016-09-29
NZ610948A (en) 2014-06-27
SG191097A1 (en) 2013-08-30
HK1189221A1 (zh) 2014-05-30
CN103403007A (zh) 2013-11-20
EP2655376B1 (en) 2017-08-23
EP2655376A1 (en) 2013-10-30
BR112013015430A2 (pt) 2016-09-20
MX347912B (es) 2017-05-17
US9840507B2 (en) 2017-12-12
CA2819175A1 (en) 2012-06-28
JP5834091B2 (ja) 2015-12-16
CA2819175C (en) 2019-01-08
MX2013007294A (es) 2013-08-26
US20130274266A1 (en) 2013-10-17
CO6721049A2 (es) 2013-07-31
AU2011347377B2 (en) 2016-03-03
EA022409B1 (ru) 2015-12-30
WO2012085038A1 (en) 2012-06-28
KR101866987B1 (ko) 2018-07-19
JP2014500293A (ja) 2014-01-09
ES2648143T3 (es) 2017-12-28
MY170715A (en) 2019-08-27
UA109459C2 (xx) 2015-08-25
CN103403007B (zh) 2015-12-09
EA201390932A1 (ru) 2013-11-29
AU2011347377A1 (en) 2013-06-13
ZA201304646B (en)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987B1 (ko)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6-디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8-일-아민 유도체
EP2681219B1 (en) 6,7-dihydro-pyrazolo[1,5-a]pyrazin-4-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EP2683721B1 (en) 3,4-DIHYDRO-PYRROLO[1,2-a]PYRAZIN-1-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JP5797756B2 (ja) ベータ−セクレターゼ(BACE)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4,7−ジヒドロ−ピラゾロ[1,5−a]ピラジン−6−イルアミン誘導体
KR20130090793A (ko) 베타-세크레타아제(bace) 저해제로 유용한 5-아미노-3,6-디하이드로-1h-피라진-2-온 유도체
KR20130089231A (ko) 알츠하이머병 및 다른 형태의 치매 치료용으로 유용한 3-아미노-5,6-디하이드로-1h-피라진-2-온 유도체
JP2015500223A (ja) 6−ジフルオロメチル−5,6−ジヒドロ−2h−[1,4]オキサジン−3−アミ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