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080A - 모듈러 주택용 벽체 - Google Patents

모듈러 주택용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080A
KR20130132080A KR1020120056181A KR20120056181A KR20130132080A KR 20130132080 A KR20130132080 A KR 20130132080A KR 1020120056181 A KR1020120056181 A KR 1020120056181A KR 20120056181 A KR20120056181 A KR 20120056181A KR 20130132080 A KR20130132080 A KR 2013013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main body
frame
horizont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to KR102012005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2080A/ko
Publication of KR2013013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의 높이로 제공됨과 아울러 층간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 및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어 구매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프레임의 외측 및 내측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가지는 본체; 및 본체에 일체로 제공되며, 슬래브를 지지하는 거더들이 연결되는 슬래브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러 주택용 벽체{WALL FOR MODULAR HOUSING}
본 발명은 모듈러 주택용 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의 높이로 제공됨과 아울러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 및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구매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형생활주택이나 한옥 등 소규모 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적인 시공방식으로 짓는 것보다 인건비와 공사기간 등을 줄일 수 있는 모듈러 주택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모듈러 공법(Modular Framing)은 공장에서 제작/조립된 부품들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건설하는 방법으로서, 유닛 부품에 들어가는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설치 등 주택의 9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은 공간 유닛 부품을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하여 주택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독주택뿐만 아니라 집합주택도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주택의 예로는 스틸 하우스(Steel House)가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모듈러 주택에서의 벽체는 단층 높이로 제작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주택을 복층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벽체들을 상하로 연결하여야만 하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슬래브 시공이 용이하지 못해 공사기간 및 건축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사기간 및 건축비용 절감을 위해 복층의 높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슬래브 시공이 용이한 모듈러 주택용 벽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 2009-0002661 호(공개일자 : 2009년 01월 09일, 명칭: "조립식 건축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복층의 높이로 제공됨과 아울러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 및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구매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는, 프레임, 프레임의 외측 및 내측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가지는 본체; 및 본체에 일체로 제공되며, 슬래브를 지지하는 거더들이 연결되는 슬래브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단층 높이, 또는 복층 높이 중 어느 하나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 및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의 양단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지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 연결수단은, 본체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의 외측 및 내측에 동시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래브 연결수단은, 상허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 및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면서 등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거더가 연결되는 다수의 거더 조인트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감부재에는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가 프레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수평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는, 본체에 슬래브 연결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층간 슬래브, 및 지붕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하여 공사기간 및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는, 복층의 높이로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본체 제작에 따른 제작비용 및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주택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층의 높이로 측벽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와 슬래브 연결수단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에 층간 슬래브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100)는, 전체적인 외형을 결정하는 본체(110), 및 본체(110)에 일체로 제공되는 슬래브 연결수단(1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체(110) 및 슬래브 연결수단(130)으로 이루어진 벽체(100)는 주택의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거나, 또는 주택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판체 형상을 가진다. 본체(110)는 프레임(112), 및 프레임(112)의 외측 및 내측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22)를 포함한다.
프레임(112)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114a, 114b)와,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114a, 114b)의 양단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지지 바(116)를 포함한다.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114a, 114b)와, 한 쌍의 측면 수직 지지 바(1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한 사각 틀 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114a, 114b) 및 한 쌍의 측면 수직 지지 바(116)로 이루어진 프레임(112)의 내측으로는 창호(120)가 시공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프레임(112)의 내측에는 창호(12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창호 지지용 프레임(118)이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창호(120) 중 창(window)이 시공된 본체(11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창(window)을 지지하는 창호 지지용 프레임(118)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1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마감부재(122)가 장착된다.
마감부재(122)는 패널(panel) 형상을 가지는 통상의 건축용 외장재(124) 및 통상의 건축용 내장재(126)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124) 및 내장재(126)는 창호(120)에 간섭되지 않게 프레임(112)의 양측을 마감하는데, 이때 본체(110)가 주택의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 사용될 경우에는 프레임(112)의 외측 및 내측에는 각각 외장재(124) 및 내장재(126)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체(110)가 주택의 실내를 구획하는 벽체로 사용될 경우에는 프레임(112)의 양측에는 내장재(126)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10)는 주택의 단층 높이로 제작되거나, 또는 주택의 복층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는 주택의 복층 높이로 제작된 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슬래브 연결수단(130)은 주택의 아래층과 윗층을 구획하는 층간 슬래브(도시되지 않음), 또는 주택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슬래브(도시되지 않음), 또는 처마 슬래브(도시되지 않음) 등을 지지하는 거더(G; 도 3 참조)들이 연결되는 것으로, 슬래브 연결수단(130)은 본체(110)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하나, 또는 본체(110)의 외측 및 내측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래브 연결수단(130)은 본체(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층간 슬래브 및 지붕 슬래브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형성된 슬래브 연결수단(1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슬래브 연결수단(130)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132, 134), 및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132, 134)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을 포함한다.
제 1 수평 연결 바(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연장되고 사각의 각관 형상을 가지며, 제 2 수평 연결 바(134)는 제 1 수평 연결 바(132)와 마찬가지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수평 연결 바(132) 및 제 2 수평 연결 바(134)의 양단에 인접한 일측면은 한 쌍의 측면 수직 지지 바(116)에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 1 수평 연결 바(132) 및 제 2 수평 연결 바(134)가 프레임(112)의 측면 수직 지지 바(116)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마감부재(120)에는 수평하게 절개부(128)가 형성된다.
한편,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은 수직하게 연장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단면이 대략 "["자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132, 134) 사이에 등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의 하부는 제 2 수평 연결 바(134)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의 상부는 제 1 수평 연결 바(136)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132, 134)에 고정 장착된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의 폐쇄된 일측면 상에는 형성될 슬래브를 지지하는 거더(G)가 통상의 체결수단, 즉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연결되며, 거더(G)가 연결된 각각의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은 제 2 수평 연결 바(134)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다수의 거더 조인트 브라켓(136)에 거더(G)가 연결되면, 거더(G)의 상부 및 하부는 마감되어 슬래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100)는, 본체(110)에 슬래브 연결수단(13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층간 슬래브, 및 지붕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하여 공사기간 및 건축비용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용 벽체(100)는, 복층의 높이로 본체(110)를 형성함으로써, 본체(110) 제작에 따른 제작비용 및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층의 높이로 측벽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듈러 주택용 벽체(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모듈러 주택용 벽체 110 : 본체
112 : 프레임 114a : 제 1 수평 지지 바
114b : 제 2 수평 지지 바 116 : 측면 수직 지지 바
122 : 마감부재 124 : 외장재
126 : 내장재 130 : 슬래브 연결수단
132 : 제 1 수평 연결 바 134 : 제 2 수평 연결 바
136 : 거더 조인트 브라켓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 및 내측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일체로 제공되며, 슬래브를 지지하는 거더들이 연결되는 슬래브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층 높이, 또는 복층 높이 중 어느 하나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 및
    상기 제 1, 제 2 수평 지지 바의 양단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지지 바;를 포함하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외측 및 내측에 동시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연결수단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 및
    상기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면서 등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거더가 연결되는 다수의 거더 조인트 브라켓;을 포함하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에는 상기 제 1, 제 2 수평 연결 바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수평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모듈러 주택용 벽체.
KR1020120056181A 2012-05-25 2012-05-25 모듈러 주택용 벽체 KR20130132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181A KR20130132080A (ko) 2012-05-25 2012-05-25 모듈러 주택용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181A KR20130132080A (ko) 2012-05-25 2012-05-25 모듈러 주택용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80A true KR20130132080A (ko) 2013-12-04

Family

ID=499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181A KR20130132080A (ko) 2012-05-25 2012-05-25 모듈러 주택용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20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28B1 (ko) 2017-10-13 2018-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CN113931317A (zh) * 2021-10-28 2022-01-14 中机中联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工业化模块式房屋及其建造方法
CN114775840A (zh) * 2022-05-09 2022-07-22 金松果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多层模块化墙体及其组装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28B1 (ko) 2017-10-13 2018-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CN113931317A (zh) * 2021-10-28 2022-01-14 中机中联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工业化模块式房屋及其建造方法
CN114775840A (zh) * 2022-05-09 2022-07-22 金松果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多层模块化墙体及其组装方法
CN114775840B (zh) * 2022-05-09 2023-11-03 金松果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多层模块化墙体及其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736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20130132080A (ko) 모듈러 주택용 벽체
JP2007315167A (ja) 建物
JP6467262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JP2008190202A (ja) 建物
JP2019065636A (ja) 板状建築物
JP7000103B2 (ja) 板状建築物の柱梁構造
JP2018109278A (ja) 組立式建築物
JP7386504B2 (ja) 住戸ユニット
JP5750026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6332979B2 (ja) 建物ユニットの補強構造
JP4898314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H07269138A (ja) 集合住宅
JP6096553B2 (ja) 建物
RU54386U1 (ru) Здание торгово-сервис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JP6112830B2 (ja) 組立て式建物
JP5985214B2 (ja) 集合住宅の施工方法
JP5632815B2 (ja) 建物
JPH01158136A (ja) 2階建木質ユニット建物
JP2005273240A (ja) 建物
JP2014034824A (ja) 浴室構造及びユニットバス本体の固定方法
JPH05248103A (ja) 住居用構造物
IE20180576A2 (en) Prefabricated house
JP2008179954A (ja) 建物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