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328B1 -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328B1
KR101866328B1 KR1020170133021A KR20170133021A KR101866328B1 KR 101866328 B1 KR101866328 B1 KR 101866328B1 KR 1020170133021 A KR1020170133021 A KR 1020170133021A KR 20170133021 A KR20170133021 A KR 20170133021A KR 101866328 B1 KR101866328 B1 KR 10186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andard
joint
modular housing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호
정준수
백정훈
설욱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3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은 모듈러주택의 평입면 또는 평단면 계획에서 안목 기준선을 설정하고 외장재를 다수개의 패널로 나누는 제1단계와, 다수개의 상기 패널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제2단계와, 분류된 상기 패널을 일정배수의 치수로 설정하는 제3단계와, 설정된 상기 패널의 치수를 규격화하는 제4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Design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Modular Housing Ex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주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듈러주택의 설계표준화를 위한 일련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이 법령으로 고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모듈러 구조체 유닛과 내장재는 물론 외장재의 표준화와 규격화도 가능할 수 있는 기본 구축 단계에 이르렀다.
한편, 현재 국내 외장재의 KS 기준에는 외장재에 대한 모듈 호칭 치수가 부재한 실정이다.
특히 모듈러주택의 외장재는 유닛모듈 간의 수평 및 수직 접합부 등에 의해 부득이하게 현장설치를 하여야 하는 부분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외장재의 쪽 나눔에 대한 기준이 부재하고 업체 또는 프로젝트마다 상이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외장재의 선 제작이 불가능하여 현장에서 실측을 통해 제작되므로 공기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선 제작을 하더라도 현장에서 오차가 발생할 경우 이 또한 공기지연의 사유가 된다.
따라서, 모듈러 외장재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통해 특정 치수체계로 정리할 수 있는 설계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2080호(2013.1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러 외장재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통한 부품화를 실현할 수 있는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성과 제작성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외장재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은 모듈러주택의 평입면 또는 평단면 계획에서 안목 기준선을 설정하고 외장재를 다수개의 패널로 나누는 제1단계와, 다수개의 상기 패널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제2단계와, 분류된 상기 패널을 일정배수의 치수로 설정하는 제3단계와, 설정된 상기 패널의 치수를 규격화하는 제4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규격패널과, 모듈러주택의 최외곽부 모서리에 설정되는 코너패널과, 상기 모듈러주택의 개구부에 설정되는 창호패널과, 상기 모듈러주택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평접합부에 설정되는 조인트패널과, 상기 모듈러주택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직접합부에 설정되는 층간대패널로 상기 패널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안목 기준선은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코너패널 사이에 형성되고, 안목 치수로부터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이격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규격패널을 3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하고, 상기 조인트패널 및 상기 층간대패널을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규격패널에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상기 조인트패널을 설치할 시,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조인트패널 사이에는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조인트패널 사이 틈새를 막는 제1보호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케이스는 제1알루미늄 압출 조이너, 알루미늄 압출 커버 및 가스켓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규격패널에 수직방향으로 이웃하게 상기 층간대패널을 설치할 시,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층간대패널 사이에는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층간대패널 사이 틈새를 막는 제2보호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에 의하면, 모듈러 외장재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통한 부품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공성과 제작성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외장재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2의 C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2의 D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보호케이스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2의 E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10)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은 모듈러주택(10)의 평입면 또는 평단면 계획에서 안목 기준선(40)을 설정하고 외장재를 다수개의 패널로 나누는 제1단계(S110)와, 다수개의 패널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제2단계(S120)와, 분류된 패널을 일정배수의 치수로 설정하는 제3단계(S130)와, 설정된 패널의 치수를 규격화하는 제4단계(S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단계(S110)를 통해 다수개의 패널로 나뉜 외장재는 위치와 역할 등에 따라 제2단계(S120)에서 유형별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의 제2단계(S120)를 통해 분류되는 패널을 살펴보면, 상기의 외장재는 규격패널(100), 모듈러주택(10)의 최외곽부 모서리(11)에 설정되는 코너패널(200), 모듈러주택(10)의 창호(20)에 설정되는 창호패널(300), 모듈러주택(1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평접합부(11a)에 설정되는 조인트패널(400), 모듈러주택(1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직접합부(11b)에 설정되는 층간대패널(500)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규격패널(100)과 상기 코너패널(200) 사이에는 상기의 안목 기준선(40)이 형성되며, 상기의 안목 기준선(40)은 안목 치수로부터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규격패널(10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목 치수의 길이가 300센티미터일 경우, 안목 치수의 일측에서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인 20센티미터가 이격되도록 안목 기준선(40)을 형성하고, 안목 치수의 타측에서 10센티미터가 이격되도록 또 다른 안목 기준선(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목 기준선(40)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안목 기준선(40) 사이의 길이는 270센티미터가 되어 3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되는 규격패널(10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코너패널(200)은 안목 기준선(40)에 의해 규격패널(100)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여 기둥의 외각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안목 기준선(40)이 설정된 위치에 따라 현장에서 비모듈 치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목 기준선(40)을 통해 안목 치수를 모듈화하여 규격패널(1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제작성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외장재의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안목 기준선(40)이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안목 기준선(40)은 15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도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부호하였지만, 상기의 규격패널(100), 코너패널(200), 조인트패널(400) 및 층간대패널(500)은 기본적으로 외피와 내피를 구비하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피와 내피는 스틸파이프와 스틸브라켓에 의해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계(S120)를 통해 분류된 규격패널(100)은 제3단계(S130)에서 3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조인트패널(400)과 층간대패널(500)은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될 수 있다. 제3단계(S130)를 통해 일정한 치수의 배수로 설정됨에 따라 외장재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규격패널(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의 규격패널(100)은 외장재의 기준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러주택(10)의 모서리(11)부분, 창호(20)부분,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평접합부(11a) 및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직접합부(11b)를 제외한 모듈러주택(10)의 평입단면 계획의 대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규격패널(100)은 코너패널(200), 창호패널(300), 조인트패널(400) 및 층간대패널(500)과 연계할 수 있으며, 규격패널(100)의 폭(L1)을 3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하여 60센티미터, 90센티미터, 120센티미터 등의 규격화된 규격패널(100)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코너패널(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코너패널(200)은 최외곽부 모서리(11) 즉, 모듈러주택(10)의 모서리(1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너패널(200)은 'ㄱ'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규격패널(100)과는 다르게 비모듈치수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실측을 통해 전체적인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코너패널(200)에 단열성능을 추가하여 최외곽 기둥으로의 열교현상 등을 예방함으로써 단열성능 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모듈러주택(10)의 전반적인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패널(200)과 코너패널(2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규격패널(100) 사이에는 실란트(30)가 구비되어 코너패널(2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코너패널(200)의 양측에 각각 규격패널(100)이 구비되는 것을 보였으나, 코너패널(200)의 양측에는 규격패널(100), 창호패널(300) 또는 조인트패널(40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창호패널(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C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의 창호패널(300)은 모듈러주택(10)의 개구부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창호패널(3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창호(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패널(300)의 양측에 조인트패널(400)과 규격패널(1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창호패널(300)과 조인트패널(400) 사이 및 창호패널(3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는 상기의 실란트(30)가 구비되어 창호패널(300)과 조인트패널(400) 사이 및 창호패널(3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창호패널(300)의 폭(L2)은 모듈러주택(10)에 적용되는 창호(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창호패널(300)의 양측에 조인트패널(400)과 규격패널(100)이 각각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창호패널(300)의 양측에는 각각 조인트패널(400)이나 규격패널(100)만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조인트패널(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D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보호케이스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의 조인트패널(400)은 모듈러주택(1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평접합부(11a)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의 조인트패널(400)의 폭(L3)은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규격화되며,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평접합부(11a)에 설정되어 모듈러주택(10)의 실내에 위치하는 유닛모듈의 기둥의 외곽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패널(400)의 양측에는 각각 규격패널(100)이 구비되며, 조인트패널(4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는 제1보호케이스(6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제1보호케이스(6000는 외장재의 재질 등에 따라 알루미늄 압출 조이너(610), 알루미늄 압출 커버(620) 또는 가스켓(6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패널(4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는 제1보호케이스(6000가 구비되기 이전에 실란트(30)가 구비되어 1차적으로 조인트패널(4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조인트패널(400)의 양측에 규격패널(100)이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조인트패널(400)의 양측에는 코너패널(200) 또는 창호패널(30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의 층간대패널(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2의 E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의 층간대패널(500)은 모듈러주택(1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직접합부(11b)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의 층간대패널(500)의 폭(L4)은 상기의 조인트패널(400)과 마찬가지로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규격화되며,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직접합부(11b)에 설정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유닛모듈의 천장 외부와 상측에 위치하는 유닛모듈의 슬라브외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대패널(50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규격패널(100)이 구비되며, 층간대패널(5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는 제2보호케이스(7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층간대패널(5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는 제2보호케이스(700)가 구비되기 이전에 실란트(30)가 구비되어 1차적으로 층간대패널(500)과 규격패널(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장재를 위치와 역할 등에 따라 규격패널(100), 코너패널(200), 창호패널(300), 조인트패널(400) 및 층간대패널(500)로 분류하고, 특히, 규격패널(100), 조인트패널(400) 및 층간대패널(500)의 폭을 일정 치수의 배수로 설정함으로써 모듈러용 외장재의 선제작 및 부품화를 촉진할 수 있다.
더불어, 모듈러용 외장재를 지지하는 모듈러 하지 철물에 대한 부품화도 가능하여 시공성과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반적인 외장재의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모듈러주택 20: 창호
30: 실란트 40: 안목 기준선
100: 규격패널 200: 코너패널
300: 창호패널 400: 조인트패널
500: 층간대패널 600: 제1보호케이스
700: 제2보호케이스

Claims (7)

  1. 모듈러주택의 평입면 또는 평단면 계획에서 안목 기준선을 설정하고 외장재를 다수개의 패널로 나누는 제1단계와,
    다수개의 상기 패널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제2단계와,
    분류된 상기 패널을 일정배수의 치수로 설정하는 제3단계와,
    설정된 상기 패널의 치수를 규격화하는 제4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규격패널과, 상기 안목 기준선에 의해 상기 규격패널이 미설치된 부분을 포함한 기둥의 외각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안목 기준선이 설정된 위치에 따라 현장에서 비모듈 치수로 모듈러주택의 최외곽부 모서리에 설정되는 코너패널과, 상기 모듈러주택의 개구부에 설정되는 창호패널과, 상기 모듈러주택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평접합부에 설정되는 조인트패널과, 상기 모듈러주택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닛모듈 간의 수직접합부에 설정되는 층간대패널로 상기 패널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목 기준선은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코너패널 사이에 형성되고, 안목치수로부터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이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규격패널을 3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하고, 상기 조인트패널 및 상기 층간대패널을 10센티미터의 배수 치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규격패널에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상기 조인트패널을 설치할 시,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조인트패널 사이에는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조인트패널 사이 틈새를 막는 제1보호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케이스는 제1알루미늄 압출 조이너, 알루미늄 압출 커버 및 가스켓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패널에 수직방향으로 이웃하게 상기 층간대패널을 설치할 시,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층간대패널 사이에는 상기 규격패널과 상기 층간대패널 사이 틈새를 막는 제2보호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KR1020170133021A 2017-10-13 2017-10-13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KR10186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21A KR101866328B1 (ko) 2017-10-13 2017-10-13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21A KR101866328B1 (ko) 2017-10-13 2017-10-13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328B1 true KR101866328B1 (ko) 2018-06-11

Family

ID=6260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21A KR101866328B1 (ko) 2017-10-13 2017-10-13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395B1 (ko) 2022-11-11 2023-04-18 주식회사 텐일레븐 평면 모듈러 자동분할 시스템
KR102569030B1 (ko) *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내부 패널라이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내부 패널라이징방법
KR102569029B1 (ko) *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외부 패널라이징 설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070B1 (ko) * 2006-11-10 2007-01-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 자재의 부품화를 통한 건축물 구축방법
KR20130132080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모듈러 주택용 벽체
KR101553672B1 (ko) * 2014-03-13 2015-09-16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패널 조인트
JP2016069891A (ja) * 2014-09-30 2016-05-09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外壁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070B1 (ko) * 2006-11-10 2007-01-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 자재의 부품화를 통한 건축물 구축방법
KR20130132080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모듈러 주택용 벽체
KR101553672B1 (ko) * 2014-03-13 2015-09-16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패널 조인트
JP2016069891A (ja) * 2014-09-30 2016-05-09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外壁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030B1 (ko) *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내부 패널라이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내부 패널라이징방법
KR102569029B1 (ko) *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외부 패널라이징 설계방법
KR102522395B1 (ko) 2022-11-11 2023-04-18 주식회사 텐일레븐 평면 모듈러 자동분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328B1 (ko) 모듈러주택의 외장재 규격화를 위한 설계방법
KR101016315B1 (ko) 단열창호
KR101584036B1 (ko)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KR101884503B1 (ko) 방화성이 향상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유닛
KR101729968B1 (ko) 조립식 건축자재용 샌드위치패널
KR101617876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수배전반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JP6147495B2 (ja) 窓ユニット及び面材の取付方法
KR20210115385A (ko) 복합성능 방화문
KR101938620B1 (ko) 구조 보강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102065152B1 (ko) 차열방화유리 구조체
JP2017066680A (ja) 耐火壁
KR101331625B1 (ko)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JP6895805B2 (ja) 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EP3228769B1 (en) A firebreak device
KR20180118381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20180061535A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US11713903B2 (en) Ducting systems
KR101554425B1 (ko) 외장 패널의 체결구조 및 그 방법
KR102093162B1 (ko) 커튼월 프레임
KR101339730B1 (ko) 외장 패널
KR20170123783A (ko) 제트 파이어 구역용 방화벽
KR20200004587A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2633635B1 (ko)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CN106300171B (zh) 电器引线结构及电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