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87A -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87A
KR20200004587A KR1020180077642A KR20180077642A KR20200004587A KR 20200004587 A KR20200004587 A KR 20200004587A KR 1020180077642 A KR1020180077642 A KR 1020180077642A KR 20180077642 A KR20180077642 A KR 20180077642A KR 20200004587 A KR20200004587 A KR 2020000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space
mortar
wa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한영옥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옥, 김건우 filed Critical 한영옥
Priority to KR102018007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587A/ko
Publication of KR2020000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및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의 상기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Factory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및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의 상기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은 그 무게가 가볍고 방음과 단열의 효과가 좋아 일반 건축자재 보다 우수하고, 부피가 커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아니라 시공기간이 짧아 금전적인 면과 시간적인 면을 절약할 수 있으며, 패널의 가격 또한 저렴하기 때문에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다.
즉, 상기의 샌드위치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단열재(20)가 설치되어, 다수개의 패널(11a, 11b, 11c, 11d; 12a, 12b, 12c, 12d)이 연속되게 인접설치됨으로써 건물의 외벽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패널(10)은 다수의 고정나사 등에 의해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을 관통하여 건물의 외벽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샌드위치패널(10)은 그 기능이 한정되어 주로 공장건물의 외벽 등에만 사용되는 실정인데,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작업 시 내측 패널(12)과 단열재(20)에 설치된 콘센트(40)에 전선을 통해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 시 과부하가 걸려 누전이 발생하여 콘센트 내측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단열재(20)에 불꽃이 옮겨붙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재(2)는 금방 화재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연기와 함께 불꽃이 샌드위치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된 지붕패널(50)로 옮겨가게 되며 지붕패널(50) 역시 여러 개의 패널(52a, 52b, 52c, 52d, 52e, 52f)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내측 패널(52)과 여러 개의 패널(51a, 51b, 51c, 51d, 51e, 51f)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외측 패널(52)이 서로 간격을 두고 있고 이들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2)의 사이에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단열재(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를 현성하는 샌드위치패널(10)의 단열재(20)에서 발생한 불이 샌드위치패널(10)과 지붕패널(5)의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하여 단열재(60)으로 옮겨 붙게되며 이후 단열재(60)는 불에타게 되고 그때 여러 개의 패널(52a, 52b, 52c, 52d, 52e, 52f)의 연결부위를 통해 불꽂이 공장 내부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며 이때 공장바닥면에 목재나 종이를 포함하는 자재(70)가 있다면 그러한 자재(70)에 불이 붙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09315호(2017.01.25.)
본 발명에 의한 공장건물 및 그 건축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건물 내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을 방지하면서도 가벼운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조비용이 저렴한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장건물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및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의 상기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탈(20')은 기포 몰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중 하나 이상의 벽체 패널(10)은, 벽체 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하는 창문(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을 준비하는 벽체 패널 준비단계(S1);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준비하는 지붕패널 준비단계(S2); 및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지붕패널 설치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 패널 준비단계(S1)는, 창문(80)의 유무에 따라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으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 패널(10)을 형성하는 벽체 패널 형성단계(S1-2); 상기 복수의 벽체 패널(10)을 도색하는 벽체 패널 도색단계(S1-3); 상기 벽체 패널(10)을 다른 벽체 패널(10)과 연결하여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을 형성하는 사각 울타리형의 벽체 형성단계(S1-4);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의 각 벽체 패널(10)의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 사이의 공간에 몰탈(20')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 단계(S1-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공장건물 내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재발생을 방지하면서도 가벼운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조비용이 저렴한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 및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장건물의 사각 울타리형 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을 B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창문이 있는 벽체 패널의 창틀의 마구리를 동바리로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6의 벽체 패널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도 7의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공장건물의 사각 울타리형 벽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을 B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창문이 있는 벽체 패널의 창틀의 마구리를 동바리로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은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및 지붕패널(50)을 포함한다.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울타리형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각형 울타리형일 수도 있고 원형 울타리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형강재(13')는 H빔일 수도 있고 철근일 수도 있다.
상기 지붕패널(50)은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의 상기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포함하는데, 상기 단열재(60)는 일례로 종래와 같이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스티로폼인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몰탈(20')은 본 실시예에서 기포 몰탈인데, 이런 기포 몰탈은 시멘트와 모래를 섞을 때 기포를 같이 주입하여 섞어 기포를 포함하는 몰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몰탈이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 몰탈이기 때문에 양생되었을 때 벽체의 강도도 원하는 수준을 만족하면서 가볍고 또한 저렴하게 벽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창문(80)은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중 하나 이상의 벽체 패널(10)은, 벽체 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7은 도 6의 벽체 패널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며, 도 8은 도 7의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벽체 패널 준비단계(S1), 지붕패널 준비단계(S2), 및 지붕패널 설치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 패널 준비단계(S1)는,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벽체 패널 준비단계(S1)는, 창문(80)의 유무에 따라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 패널(10)을 형성하는 벽체 패널 형성단계(S1-2); 상기 복수의 벽체 패널(10)을 도색하는 벽체 패널 도색단계(S1-3); 상기 벽체 패널(10)을 다른 벽체 패널(10)과 연결하여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을 형성하는 사각 울타리형의 벽체 형성단계(S1-4);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의 각 벽체 패널(10)의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 사이의 공간에 몰탈(20')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 단계(S1-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벽체 패널(10) 내부가 몰탈, 예컨대 기포 몰탈로 충진되어 양생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조비용이 저렴한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는, 상기 벽체 패널(10)에 창문(80)을 형성하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창문형성여부 확인단계(S1-1a); 및 창문(8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벽체 패널 형성단계(S1-2)로 이행하여 벽체 패널(10)을 형성하고, 창문(8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벽체 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하는 창문(80)을 포함하는 벽체 패널(10)을 형성하는 창문 유무에 따른 벽체 패널 형성단계(S1-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조비용이 저렴한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을 건조할 때 창문(80)을 포함하는 벽체 패널(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붕패널 준비단계(S2)는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지붕패널(50)은 이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 사이에 몰탈을 충진하여 양생할 필요가 없어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으로 벽체 패널(10)에서 화재발생이 미리 방지되므로 지붕패널(50)에서는 굳이 화재발생 방지구조를 채용할 필요까지는 없다.
상기 지붕패널 설치단계(S3)는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창틀(81)을 끼운 후 상기 몰탈 양생단계(S1-6)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동바리(90)로 상기 창틀(81)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마구리를 상하 및 좌우로 지지하는 지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벽체 패널(10)의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 사이의 공간에 몰탈(20')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 단계(S1-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1-6)에서 부하를 받아 막음판(10a)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벽체 패널
10a : 막음판
11 : 외측 패널
12 : 내측 패널
13' : 형강재
14 : 용접비드
20 : 단열재
20' : 몰탈
40 : 콘센트
50 : 지붕패널
51 : 외측 패널
51a, 51b, 51c, 51d, 51e, 51f, 52a, 52b, 52c, 52d, 52e, 52f : 패널
52 : 내측 패널
60 : 단열재
70 : 자재
80 : 창문
81 : 창틀
90 : 동바리
S1 : 벽체 패널 준비단계
S2 : 지붕패널 준비단계
S3 : 지붕패널 설치단계
S1-1 :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
S1-1a : 창문형성여부 확인단계
S1-1b : 창문 유무에 따른 벽체 패널 형성단계
S1-2 : 벽체 패널 형성단계
S1-3 : 벽체 패널 도색단계
S1-4 : 벽체 형성단계
S1-5 : 몰탈 주입 및 충진 단계
S1-6 : 몰탈 양생단계

Claims (5)

  1.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및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의 상기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20')은 기포 몰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 중 하나 이상의 벽체 패널(10)은,
    벽체 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하는 창문(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
  4.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을 준비하는 벽체 패널 준비단계(S1);
    공간을 사이에 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60)가 배치되며,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패널(50)을 준비하는 지붕패널 준비단계(S2); 및
    상기 벽체 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지붕패널 설치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패널 준비단계(S1)는,
    창문(80)의 유무에 따라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으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 패널(10)을 형성하는 벽체 패널 형성단계(S1-2);
    상기 복수의 벽체 패널(10)을 도색하는 벽체 패널 도색단계(S1-3);
    상기 벽체 패널(10)을 다른 벽체 패널(10)과 연결하여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을 형성하는 사각 울타리형의 벽체 형성단계(S1-4);
    상기 울타리형의 벽체 패널의 각 벽체 패널(10)의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 사이의 공간에 몰탈(20')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 단계(S1-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20180077642A 2018-07-04 2018-07-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20200004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42A KR20200004587A (ko) 2018-07-04 2018-07-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42A KR20200004587A (ko) 2018-07-04 2018-07-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95A Division KR20200007992A (ko) 2020-01-13 2020-01-13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87A true KR20200004587A (ko) 2020-01-14

Family

ID=691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642A KR20200004587A (ko) 2018-07-04 2018-07-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511A (ko) * 2021-05-04 2022-11-11 김건우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315A (ko) 2015-07-16 2017-01-25 한대승 건축물의 단열재 화재 진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315A (ko) 2015-07-16 2017-01-25 한대승 건축물의 단열재 화재 진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511A (ko) * 2021-05-04 2022-11-11 김건우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2937A1 (en) Barrier wall and method of forming wall panels between vertical wall stiffener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wall panels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KR101258188B1 (ko) 건축물 콘크리트벽 단열재 연결장치
EP3034708A1 (en) Acoustic screen module
KR20190115655A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00004587A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CA2947901A1 (en) Single leaf separating wall
US5755067A (en) Method of overlapping composite building construction with superior thermal insulation efficiency
KR20200007992A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1866229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101547685B1 (ko) Eps벽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1466905B (zh) 用于建筑物构造的预制墙板和用于制造这种墙板的方法
KR101551873B1 (ko) 공동주택용 단열 및 방음구조
KR20120028198A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EP2639372B1 (en)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ll structure
JP20080196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及び建物
KR102531985B1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CN112663979A (zh) 临时防护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347846B1 (ko) 지붕 패널구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427130B1 (ja) 壁の施工方法及び壁構造
JP7059870B2 (ja)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及び施工方法
CN202767285U (zh) 装配式防火墙
KR102380525B1 (ko) 보 제작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