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229B1 - 층간 소음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229B1
KR101866229B1 KR1020160068219A KR20160068219A KR101866229B1 KR 101866229 B1 KR101866229 B1 KR 101866229B1 KR 1020160068219 A KR1020160068219 A KR 1020160068219A KR 20160068219 A KR20160068219 A KR 20160068219A KR 101866229 B1 KR101866229 B1 KR 10186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leg
support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303A (ko
Inventor
정창욱
Original Assignee
정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욱 filed Critical 정창욱
Priority to KR102016006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22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W)과 슬라브(S)로 이루어진 건물의 슬라브(S) 상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15)이 설치되는 지지판(10); 상기 슬라브(S)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10)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10)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20a)와, 상기 지지판(10)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다리(20b)로 이루어지는 다리(20); 상기 지지판(10)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0)의 저면을 커버하고, 단열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제1 차단판(30); 및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제1 차단판(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지지판(10)의 각 모서리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제1 차단판(3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방진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슬라브(S) 상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15)이 설치되며,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10); 상기 슬라브(S)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10)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10)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20a)와,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10)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되, 인접하는 지지판(10)의 맞닿는 코너 부분은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다리(20b)로 이루어지는 다리(20);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10)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10)의 저면을 커버하고, 단열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제1 차단판(30); 및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10)과 상기 제1 차단판(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10)의 각 코너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제1 차단판(3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방진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열차단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재량을 감소시켜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방지 구조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효율을 높이면서 효율적인 층간 소음 감소를 구현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물은 다수의 세대가 하나의 건물에 모여 살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는 다층 건물의 특성상 콘크리트 슬라브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 공사를 완료하고, 이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난방배관을 한 뒤 자갈과 시멘트 몰탈로 소정 두께로 바닥층을 시공함에 따라 해당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충격으로 인한 진동은 구조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저감되지 않기 때문이다.
층간소음은 위층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소음(걷거나 뛰는 발자국 소리,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끄는 소리, 화장실의 급/배수소리, 문을 여닫는 소리, 오디오/비디오 음향기기 소리 등)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뜻하는데, 보통 바닥 충격음으로 대표된다.
최근에는 층간소음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직접충격소음(뛰거나 걷는 소리, 문/창을 닫거나 두드리는 소리, 망치질, 의자 등 가구 끄는 소리 등)과 공기전달음(TV/라디오/악기/청소시구 등에서 나는 소리 등)으로 구분하여 일정 소음을 기준으로 정하여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실효성이 낮다.
이러한 층간소음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많은 층간 소음 방지 구조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층간 소음 방지 구조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패널부 내에 난방용 파이프가 매립되고, 패널부와 단열층 사이에 공간이 있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75573 B1 (2015. 12. 0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 기능을 갖는 차단판을 지지판에 최대한 근접하게 설치하고, 지지판과 차단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구획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벽과 슬라브로 이루어진 건물의 슬라브 상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이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슬라브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와, 상기 지지판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다리로 이루어지는 다리;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저면을 커버하고, 단열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제1 차단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차단판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지지판의 각 모서리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차단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방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건물의 슬라브 상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이 설치되며,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 상기 슬라브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와,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되, 인접하는 지지판의 맞닿는 코너 부분은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다리로 이루어지는 다리;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의 저면을 커버하고, 단열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제1 차단판; 및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과 상기 제1 차단판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다수 개의 지지판의 각 코너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차단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방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효율적으로 열차단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재량을 감소시켜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다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흡음재가 더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제2 차단판이 더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제2 차단판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의 실시예의 단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의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다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5는 도 3에 흡음재가 더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벽(W)과 슬라브(S)로 이루어진 건물의 슬라브(S) 상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15)이 설치되는 지지판(10); 슬라브(S) 상부에 설치되어 지지판(10)을 지지하고, 지지판(10)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20a)와, 지지판(10)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다리로 이루어지는 다리(20); 지지판(10)의 저면에 위치되어 지지판(10)의 저면을 커버하고, 단열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제1 차단판(30); 및 지지판(10)과 제1 차단판(30) 사이에 개재되되, 지지판(10)의 각 모서리에 위치되어 지지판(10)과 제1 차단판(3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방진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판(10)은 건물 내에서 바닥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15)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0)은,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벽판(11); 벽판(11)의 저면에 위치되어 벽판(11)과 연결되는 바닥판(12); 바닥판(12)의 중심과 각 코너 상부에 설치되며,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는 체결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판(11)은 지지판(10)의 측면에 해당되는 곳으로, 4개가 구비되어 사각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판(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부분에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할 다리(20)의 기둥(23)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바닥판(12)은 지지판(10)의 아랫면에 해당되는 곳으로, 사각으로 배치된 벽판(11) 사이의 저면에 위치되어 바닥판(12)과 연결된다. 그리고 바닥판(12)의 각 코너부분의 저면에는 연결돌기(12a)가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다리(20)의 연결판(26)과 연결되기 위함이다.
체결판(13)은 후술할 다리(20)의 기둥(23)이 체결되어 연결되는 곳으로, 바닥판(12)의 중심과, 각 코너의 상부에 설치된다. 체결판(13) 내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 내부로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기둥(23)과 연결된다. 그리고 바닥판(12)의 코너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판(13)은 중심에 설치되는 체결판의 1/4 부분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20)가 설치되는 구조와 관련이 있다.
격벽(15)은 지지판(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판(1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1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격자공간(16)을 형성한다.
강화벽(17)은 보다 지지판(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격자공간(16) 내부에 십자 형태로 배치된다.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지판(10)은 실제 설치될 시 격자공간(16) 내부로 모래 등을 채워서 단열 효과를 높인 뒤 그 상부에는 난방용 파이프(P)가 설치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몰탈과 같은 마감재를 이용해 난방용 파이프(P)를 매립함으로써 완성된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 1’과는 달리 습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보다 높은 열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리(20)는 지지판(10)과 슬라브(S)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판(1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다리(20)는 지지판(10)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20a)와, 지지판(10)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다리(2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리(20)의 세부적인 구성은, 슬라브(S) 상부에 위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몸체(22); 일단이 몸체(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체결판(13)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체결판(13)에 연결되고, 상면에 십자홈(24)이 형성되는 기둥(23); 및 기둥(23)이 관통되어 체결되어 지지판(10)과 연결되는 연결판(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2)는 지지판(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실질적으로 지탱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필요에 따라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기둥(23)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무두(無頭)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단은 몸체(22)에 연결되고, 상단은 연결판(26)과 지지판(10)의 체결판(13)에 체결된다. 이때 기둥(23)은 몸체(2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기둥(23)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24)이 형성되어 설치 과정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십자홈(24) 외에 일자홈이나 각종 체결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둥(23)은 몸체(22)와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23a, 23b)이 구비되며 그 사이에 몸체(22)가 개재됨으로써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22)가 기둥(23)에 대해 소정 부분 꺾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만약 슬라브(S)가 완전히 평평하지 않고 경사가 있을 경우에 몸체(22)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또한, 기둥(23)의 상단에는 너트(25a)가 설치되는데, 이는 지지판(10)이 다리(2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너트(25a) 내측에 와셔(25b)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연결판(26)은 지지판(10)과 다리(20)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원형 또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결판(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의 중심과, 코너에 각각 연결된다. 특히, 코너에 설치되는 연결판(26)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 부분이 하나의 지지판(10)과 맞닿도록 설치된다. 이는 다리(20)가 설치되는 효율성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지지판(10)이 설치될 경우, 하나의 연결판(26)이 네 개의 인접한 지지판(10)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설치되는 다리(20)의 개수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연결홀(2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26)의 각 코너에 형성된다. 연결홀(27)에는 지지판(10)의 연결돌기(12a)가 삽입됨으로써 지지판(10)과 연결판(26)이 연결되어 지지판(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밀한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효율적인 소음 방지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의 저면에 방진재(28)가 설치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0)의 기둥(23) 둘레를 감싸도록 흡음재(2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방진재(28)는 방진고무로 이루어진다.
흡음재(29)는 효율적인 자재의 사용과 손쉬운 설치를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칼집을 낸 뒤 각각의 기둥(23)에 끼움으로써 설치한다.
제1 차단판(30)은 지지판(10)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열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지지판(10)의 저면에 위치되어 지지판(10)의 저면을 커버한다. 제1 차단판(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과 다리(20)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 차단판(30)은 단열층(32)과 차음층(34)으로 이루어져 단열 기능과 차음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순서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차음층(34)이 단열층(32) 보다 위에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단열층(32)이 지지판(10)과 밀접하게 있기 때문에 열손실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진판(40)은 방진(防振) 기능과 동시에 지지판(10)과 제1 차단판(3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페이서 기능을 한다. 방진판(40)은 제1 차단판(30)과는 달리 지지판(10)의 저면을 전부 커버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다리(20)의 연결판(26) 크기로 형성되어 지지판(10)과 제1 차단판(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지판(10)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열이 공기층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물론, 일부는 다리(20)의 기둥(23)을 통해 전달된다}에 직접 연결된 구조보다는 소음과 열의 차단 효율이 높아진다.
도 6은 도 3에 제2 차단판이 더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7은 제2 차단판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벽(W)으로 전달되는 열,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 차단판(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 차단판(50)은 지지판(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은 다리(20)가 지지판(10)의 코너에 설치되되, 인접한 지지판(1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깥측에 위치한 지지판(10)의 제2 다리(20b) 상부로는 빈공간이 형성된다. 제2 차단판(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빈공간에 설치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열, 소음 및 진동 차단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차단판(50)은 방진층(52), 충진층(53), 차음층(54) 및 단열층(5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차단판(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층(52)과 충진층(52)은 벽(W)과 슬라브(S)의 경계까지 내려오고, 차음층(54)과 단열층(55)은 제1 차단판(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벽(W)과 인접한 제2 다리(20b)는 바깥쪽이 지지판(10)의 벽판(11)에 일치하도록 이동되어 설치되고, 지지판(10) 가운데쪽에 위치한 제2 다리(20b) 역시 간격을 맞추도록 이동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벽(W)을 통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차단판(50)의 차음층(54)과 단열층(55)은 각각이 제1 차단판(30)의 단열층(32)과 차음층(34)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접혀짐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의 실시예의 단위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의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판(10)을 통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판(10)이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이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도 다리(20)는 지지판(10)의 중심에 설치되는 제1 다리(20a)와, 코너에 설치되는 제2 다리(20b)로 구분된다. 특히 하나의 제2 다리(20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4개의 지지판(10)의 코너와 함께 연결되어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지지판(10)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판(10)이 구비될 시 하나의 제1 차단판(30)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크기에 제한이 있을 때에는 지지판(10) 크기로 이루어진 제1 차단판(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차단판(30)의 측면 중 연결판(26) 사이에 위치된 부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T)만큼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차단판(30)이 겹치도록 하여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차단판(30)의 저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이 위치되고, 실선으로 경계가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판(30)들이 서로 겹쳐짐으로써 지지판(10)의 위치보다 넓게 위치된다.
또한, 다수 개의 지지판(10)이 공간에 설치될 시, 규격화된 지지판(10)으로 완전히 상기 공간을 덮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지지판(10)을 잘라서 상기 덮지 못하는 공간을 덮도록 한다. 이때, 잘린 지지판(10)에 체결판(13)이 없을 경우, 다리(20)의 기둥(23)이 상부로 돌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연결판(26)이 '
Figure 112016052956536-pat00001
'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절곡된 부분에 기둥(23)이 체결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설치될 시 지지판(10)의 상부에 난방용 파이프(P)가 위치된 뒤 몰탈과 같은 마감재가 타설됨으로써 완성된다.
10: 지지판 11: 벽판
12: 바닥판 12a: 연결돌기
13: 체결판 15: 격벽
16: 격자공간 17: 강화벽
20: 다리 20a: 제1 다리
20b: 제2 다리 22: 몸체
23: 기둥 23a, 23b: 판
24: 십자홈 25a: 너트
25b: 와셔 26: 연결판
27: 연결홀 28: 방진재
29: 흡음재 30: 제1 차단판
32: 단열층 34: 차음층
40: 방진판 50: 제2 차단판
52: 방진층 53: 충진층
54: 차음층 55: 단열층
S: 슬라브 W: 벽
P: 난방용 파이프

Claims (7)

  1. 벽(W)과 슬라브(S)로 이루어진 건물의 슬라브(S) 상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 개의 격벽(15)이 설치되는 지지판(10);
    상기 슬라브(S)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10)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10) 중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20a)와, 상기 지지판(10)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다리(20b)로 이루어지는 다리(20);
    상기 지지판(10)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0)의 저면을 커버하고, 단열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제1 차단판(30) 및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제1 차단판(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지지판(10)의 각 모서리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제1 차단판(3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방진판(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10)은,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벽판(11); 상기 벽판(11)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벽판(11)과 연결되는 바닥판(12); 상기 바닥판(12)의 중심과 각 코너 상부에 설치되며, 체결홀이 형성되는 체결판(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20)는, 상기 슬라브(S) 상부에 위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몸체(22); 일단이 상기 몸체(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판(13)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판(13)에 연결되고, 상면에 십자홈(24)이 형성되는 기둥(23); 상기 기둥(23)이 관통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10)의 저면과 연결되는 연결판(26); 상기 기둥(23)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10)의 상부를 가압하는 너트(25a)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23)에는 두 개의 판(23a, 23b)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22)는 상기 두 개의 판(23a, 23b) 사이에 움직일 수 있도록 개재되어 상기 몸체(22)가 상기 기둥(23)에 대해 소정 부분 꺾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차단판(30)은 단열 기능을 갖는 단열층(32) 및 차음 기능을 갖는 차음층(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10)의 측면과 상기 벽(W) 사이에 제2 차단판(5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차단판(50)은 방진층(52), 충진층(53), 차음층(54) 및 단열층(5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격자공간(16)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공간(16) 내부에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강화벽(17)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68219A 2016-06-01 2016-06-01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86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19A KR101866229B1 (ko) 2016-06-01 2016-06-01 층간 소음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19A KR101866229B1 (ko) 2016-06-01 2016-06-01 층간 소음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303A KR20170136303A (ko) 2017-12-11
KR101866229B1 true KR101866229B1 (ko) 2018-06-11

Family

ID=6094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19A KR101866229B1 (ko) 2016-06-01 2016-06-01 층간 소음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90B1 (ko) * 2021-08-31 2022-08-25 장호동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86B1 (ko) * 2018-12-20 2019-09-06 홍종화 점 지지 구조의 방진 장치
KR102422437B1 (ko) * 2021-07-12 2022-07-19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높이 및 수평 조절구조를 구비한 면진이중마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97Y1 (ko) * 2004-12-09 2005-03-10 박상준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100653596B1 (ko) * 2005-11-04 2006-12-05 나승철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20070011935A (ko)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지 볼트 및 이 볼트를 구비하는 이중 바닥재용 지지대
KR101575573B1 (ko) * 2015-09-09 2015-12-08 정창욱 층간 소음 방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57A (ko) * 2012-06-14 2013-12-24 김창대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삼중바닥 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97Y1 (ko) * 2004-12-09 2005-03-10 박상준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20070011935A (ko)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지 볼트 및 이 볼트를 구비하는 이중 바닥재용 지지대
KR100653596B1 (ko) * 2005-11-04 2006-12-05 나승철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1575573B1 (ko) * 2015-09-09 2015-12-08 정창욱 층간 소음 방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90B1 (ko) * 2021-08-31 2022-08-25 장호동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303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891B1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
KR101866229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439421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완충구조
KR101437337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2118869B1 (ko) 충격 및 소음 방지 바닥구조
KR20190034713A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930268B1 (ko) 내진성능의 향상을 위한 아파트 구조물의 벽체용 내진 보강방법
KR101968240B1 (ko)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JP2014012976A (ja) 建物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1575573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210061047A (ko) 충격 및 소음 방지 건식 바닥구조
KR10165042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분리형 온돌 슬래브
KR101551873B1 (ko) 공동주택용 단열 및 방음구조
KR100467655B1 (ko) 바닥충격음 바닥구조 시공방법 및 바닥충격음 차단판
KR101838656B1 (ko) 구조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소음과 비내력벽 이음부를 통한 공기전달음을 저감시키는 벽체의 시공방법
KR101650429B1 (ko) 온돌층의 강성을 활용한 층간소음 방지 구조
KR100827426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745295B1 (ko)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법 및 건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