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85B1 -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85B1
KR102531985B1 KR1020210057570A KR20210057570A KR102531985B1 KR 102531985 B1 KR102531985 B1 KR 102531985B1 KR 1020210057570 A KR1020210057570 A KR 1020210057570A KR 20210057570 A KR20210057570 A KR 20210057570A KR 102531985 B1 KR102531985 B1 KR 102531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oof
mortar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0511A (ko
Inventor
김건우
한영옥
Original Assignee
김건우
한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한영옥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1005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combinations of materials fully covered by groups E04C2/04 and E04C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벽체패널(10)을 준비하는 벽체패널 준비단계(S1);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지붕패널(50)을 준비하고 준비된 지붕패널(50)에 대해 벽체패널(10) 및 지붕패널(50)로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준비단계(S2); 상기 개방구들 중 벽체패널(10)로 몰탈(20')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통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벽체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지붕패널 설치단계(S3);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몰탈(20')을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로 주입 및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 상기 개방구들 중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구들을 폐쇄하도록 마감재로 마감하는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S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장건물의 건축방법{Construction Method Of Factory Building}
본 발명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벽체패널(10)을 준비하는 벽체패널 준비단계(S1);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지붕패널(50)을 준비하고 준비된 지붕패널(50)에 대해 벽체패널(10) 및 지붕패널(50)로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준비단계(S2); 상기 개방구들 중 벽체패널(10)로 몰탈(20')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통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벽체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지붕패널 설치단계(S3);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몰탈(20')을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로 주입 및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 상기 개방구들 중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구들을 폐쇄하도록 마감재로 마감하는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S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은 그 무게가 가볍고 방음과 단열의 효과가 좋아 일반 건축자재 보다 우수하고, 부피가 커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아니라 시공기간이 짧아 금전적인 면과 시간적인 면을 절약할 수 있으며, 패널의 가격 또한 저렴하기 때문에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다.
즉, 상기의 샌드위치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단열재(20)가 설치되어, 다수개의 패널(11a, 11b, 11c, 11d; 12a, 12b, 12c, 12d)이 연속되게 인접설치됨으로써 건물의 외벽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패널(10)은 다수의 고정나사 등에 의해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을 관통하여 건물의 외벽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샌드위치패널(10)은 그 기능이 한정되어 주로 공장건물의 외벽 등에만 사용되는 실정인데,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작업 시 내측 패널(12)과 단열재(20)에 설치된 콘센트(40)에 전선을 통해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 시 과부하가 걸려 누전이 발생하여 콘센트 내측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단열재(20)에 불꽃이 옮겨붙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재(2)는 금방 화재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연기와 함께 불꽃이 샌드위치패널(10)의 상측에 설치된 지붕패널(50)로 옮겨가게 되며 지붕패널(50) 역시 여러 개의 패널(52a, 52b, 52c, 52d, 52e, 52f)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내측 패널(52)과 여러 개의 패널(51a, 51b, 51c, 51d, 51e, 51f)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외측 패널(52)이 서로 간격을 두고 있고 이들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2)의 사이에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단열재(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를 현성하는 샌드위치패널(10)의 단열재(20)에서 발생한 불이 샌드위치패널(10)과 지붕패널(5)의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하여 단열재(60)으로 옮겨 붙게되며 이후 단열재(60)는 불에타게 되고 그때 여러 개의 패널(52a, 52b, 52c, 52d, 52e, 52f)의 연결부위를 통해 불꽂이 공장 내부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며 이때 공장바닥면에 목재나 종이를 포함하는 자재(70)가 있다면 그러한 자재(70)에 불이 붙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35400호(2021.04.01.)
본 발명에 의한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건물 내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을 방지하면서도 가벼운 벽체 및 지붕을 구비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축시간이 단축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벽체패널(10)을 준비하는 벽체패널 준비단계(S1);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지붕패널(50)을 준비하고 준비된 지붕패널(50)에 대해 벽체패널(10) 및 지붕패널(50)로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준비단계(S2); 상기 개방구들 중 벽체패널(10)로 몰탈(20')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통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벽체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지붕패널 설치단계(S3);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몰탈(20')을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로 주입 및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 상기 개방구들 중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구들을 폐쇄하도록 마감재로 마감하는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S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패널 준비단계(S1)는, 창문(80)의 유무에 따라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패널(10)을 형성하는 벽체패널 형성단계(S1-2); 및 상기 복수의 벽체패널(10)을 도색하는 벽체패널 도색단계(S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패널 준비단계(S2)는,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2-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형성단계(S2-2);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들의 서로 맞닿는 단부 측에서 지붕패널(50)에 대해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기 위한 제1 개방부(53)를 형성하고,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기 위한 제2 개방부(54)를 형성하는 지붕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3);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주입된 상기 몰탈(20')이 벽체패널(10)을 통과하여 벽체패널(10)에 충진되게 하기 위한 제3 개방부(55)를 형성하는 벽체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4); 및 상기 복수의 지붕패널(50)을 도색하는 지붕패널 도색단계(S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재는, 제1 개방부(53)를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제1 마감재(30); 및 제2 개방부(54)를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제2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마감재(30)는, 제1 개방부(53)가 형성되기 전의 외측 패널(51)들의 서로 맞닿는 단부 인접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 마감재 본체(32), 및 마감재 본체(32)의 정점부의 내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화살 모양의 매입 고정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패널 형성단계(S2-2)는,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할 때,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보다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을 더 좁게 하여 형성하고,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외측 패널(51)의 하측 단부는 하측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단면의 제1 고리부(51a1)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감재는 제1 고리부(51a1)에 걸 수 있는 후크부(31a)를 가지는 'ㄴ'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마감재(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패널 형성단계(S2-2)는,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할 때,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과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을 동일하게 하여 형성하고,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의 외측 패널(5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는 하측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제1, 2 고리부(51a1, 51a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감재는, 제2 개방부(54)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을 반분하는 격벽(31p);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마감재 손잡이(31h); 격벽(31p)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반분되는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들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31s); 스프링(31s)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베이스(31ab', 31ab")를 각각 구비하며, 스프링(31s)의 신축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들로부터 측방으로 출몰하고, 제1, 2 고리부(51a1, 51a2)에 걸 수 있도록 단부에 후크부(31ap1, 31ap2)를 각각 구비한 이동식 걸이부(31a', 31a"); 및 몸체의 내외로 수직방향으로 출몰하여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 및 허용하는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를 가지는 마감재(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면에 형성된 장공(31sl)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는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31bh)와, 상기 손잡이(31bh)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장공(31sl)에 삽입될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본체부(31bb)와, 자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31bb)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장공(31sl)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장공(31sl)의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 형태의 외부이탈 방지부(31b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공장건물 내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재발생을 방지하면서도 가벼운 벽체 및 지붕을 구비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축시간이 단축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B부에서 마감재로 마감되기 전에 지붕패널의 외측패널의 정점부에 형성된 제1 개방구를 통해 몰탈이 지붕패널 내로 주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C부에서 마감재로 마감되기 전에 벽체패널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3 개방부의 수직 상측에 위치하는 지붕패널의 외측패널의 부분에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통해 몰탈이 지붕패널을 통해 벽체패널 내로 주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는 도 2d의 제2 개방부를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로 폐쇄하도록 마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f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패널의 외측패널에 형성된 다른 마감재로 폐쇄하도록 마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g는 도 2f의 마감재의 설치 중 및 설치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h는 도 2f의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장건물의 사각 울타리형 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을 B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창문이 있는 벽체패널의 창틀의 마구리를 동바리로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벽체패널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의 종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에서 마감재로 마감되기 전에 지붕패널의 외측패널의 정점부에 형성된 제1 개방구를 통해 몰탈이 지붕패널 내로 주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C부에서 마감재로 마감되기 전에 벽체패널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3 개방부의 수직 상측에 위치하는 지붕패널의 외측패널의 부분에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통해 몰탈이 지붕패널을 통해 벽체패널 내로 주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e는 도 2d의 제2 개방부를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로 폐쇄하도록 마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f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패널의 외측패널에 형성된 다른 마감재로 폐쇄하도록 마감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g는 도 2f의 마감재의 설치 중 및 설치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h는 도 2f의 마감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공장건물의 사각 울타리형 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을 B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창문이 있는 벽체패널의 창틀의 마구리를 동바리로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건물은 벽체패널(10), 및 지붕패널(50)을 포함한다.
상기 벽체패널(10)은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벽체 패널(1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사각 울타리형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각형 울타리형일 수도 있고 원형 울타리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형강재(13')는 H빔일 수도 있고 철근일 수도 있다.
상기 지붕패널(50)은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패널(1)과 내측 패널(5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몰탈(20')이 타설되어 양생된 지붕패널(50)들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몰탈(20')은 본 실시예에서 기포 몰탈인데, 이런 기포 몰탈은 시멘트와 모래를 섞을 때 기포를 같이 주입하여 섞어 기포를 포함하는 몰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몰탈이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 몰탈이기 때문에 양생되었을 때 벽체의 강도도 원하는 수준을 만족하면서 가볍고 또한 저렴하게 벽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벽체패널(10) 중 하나 이상은, 벽체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하는 창문(8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벽체패널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벽체패널 준비단계(S1), 지붕패널 준비단계(S2), 지붕패널 설치단계(S3),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S5), 및 몰탈 양생단계(S6)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패널 준비단계(S1)는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벽체패널(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벽체패널 준비단계(S1)는, 창문(80)의 유무에 따라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패널(10)을 형성하는 벽체패널 형성단계(S1-2); 및 상기 복수의 벽체패널(10)을 도색하는 벽체패널 도색단계(S1-3)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패널 형성단계(S1-2)에서 상기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은, 상기 형강재(13')의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벽체패널(10)에서 서로 인접하는 내측 패널(12)들의 단부의 접촉지점과 서로 인접하는 외측 패널(11)들의 단부의 접촉지점에 용접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내외측 패널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형강재(13')의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벽체패널(10)에서 서로 인접하는 내측 패널(12)들의 단부의 접촉지점과 서로 인접하는 외측 패널(11)들의 단부의 접촉지점에 용접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내측 패널(12) 서로 인접하는 외측 패널(11)들이 용접으로 연결되면서 이들 연결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패널 준비단계(S2)는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지붕패널(50)을 준비하고 준비된 지붕패널(50)에 대해 벽체패널(10) 및 지붕패널(50)로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붕패널 준비단계(S2)는,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2-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형성단계(S2-2);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들의 서로 맞닿는 단부 측에서 지붕패널(50)에 대해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기 위한 제1 개방부(53)를 형성하고,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기 위한 제2 개방부(54)를 형성하는 지붕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3);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주입된 상기 몰탈(20')이 벽체패널(10)을 통과하여 벽체패널(10)에 충진되게 하기 위한 제3 개방부(55)를 형성하는 벽체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4); 및 상기 복수의 지붕패널(50)을 도색하는 지붕패널 도색단계(S2-5)를 포함한다.
위 구성에 따르면,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이 형강재(13')로 상호 용접되어 연결되고 또한 개방구 형성단계(S2-3)에서 제2 개방부(54)가 형성되며 벽체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4)에서 제3 개방부(55)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 개방부(54)를 통해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고 제3 개방부(55)를 통해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주입된 상기 몰탈(20')이 벽체패널(10)을 통과하여 벽체패널(10)에 충진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지붕패널 도색단계(S2-5)를 통해 지붕패널(50)은 이미 도색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몰탈(20')의 충진 후 마감재로 상기 제2, 3 개방부(53, 54)를 폐쇄하도록 마감하고 양생하기만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제1 개방부(53)를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제1 마감재(30); 및 제2 개방부(54)를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제2 마감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마감재(30)와 제2 마감재에 의해 제1 개방부(53)와 제2 개방부(54)가 폐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재(30)는, 제1 개방부(53)가 형성되기 전의 외측 패널(51)들의 서로 맞닿는 단부 인접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 마감재 본체(32), 및 마감재 본체(32)의 정점부의 내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화살 모양의 매입 고정부(33)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몰탈(20')이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에 충진되었을 때 마감재 본체(32)의 꼭지점 부분을 제1 개방부(53)의 중심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게 하여 마감재 본체(32)를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면 화살 모양의 매입 고정부(33)가 지붕패널(50)에 충진된 몰탈(20')에 침투하여 몰탈(20') 내에 매립되며 이와 같이 매립된 상태에서 몰탈(20')이 양생되어 건조가 완료되면 제1 개방부(53)는 제1 마감재(30)에 의해 폐쇄되고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때 화살 모양의 매입 고정부(33)가 지붕패널(50)에 충진된 몰탈(20')에 침투하여 몰탈(20') 내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양생되어 건조된 몰탈(20')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화살 모양의 매입 고정부(33)는 양생되어 건조된 몰탈(20')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제1 개방부(53)는 제1 마감재(30)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붕패널 형성단계(S2-2)는,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할 때,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보다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을 더 좁게 하여 형성하고,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외측 패널(51)의 하측 단부는 하측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단면의 제1 고리부(51a1)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감재는 제1 고리부(51a1)에 걸 수 있는 후크부(31a)를 가지는 'ㄴ'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마감재(31)이다. 이와 같이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보다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이 더 좁게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감재(31)의 후크부(31a)를 제2 개방부(54)로 집어 넣어 제1 고리부(51a1)에 거는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처럼 마감재(31)의 후크부(31a)를 제1 고리부(51a1)에 걸기만 하면 제2 개방부(54)를 마감재(31)로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작업이 완료될 수 있어 작업성 향상에 기여한다.
도 2f 내지 도 2h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붕패널 형성단계(S2-2)는,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할 때,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과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을 동일하게 하여 형성하고,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의 외측 패널(5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는 하측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제1, 2 고리부(51a1, 51a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감재는, 제2 개방부(54)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을 반분하는 격벽(31p);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마감재 손잡이(31h); 격벽(31p)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반분되는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들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31s); 스프링(31s)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베이스(31ab', 31ab")를 각각 구비하며, 스프링(31s)의 신축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들로부터 측방으로 출몰하고, 제1, 2 고리부(51a1, 51a2)에 걸 수 있도록 단부에 후크부(31ap1, 31ap2)를 각각 구비한 이동식 걸이부(31a', 31a"); 및 몸체의 내외로 수직방향으로 출몰하여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 및 허용하는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를 가지는 마감재(31')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상면에 형성된 장공(31sl)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는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31bh)와, 상기 손잡이(31bh)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장공(31sl)에 삽입될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본체부(31bb)와, 자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31bb)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장공(31sl)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장공(31sl)의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 형태의 외부이탈 방지부(31bc)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마감재(31')는 제2 개방부(54)를 폐쇄하려고 제2 개방부(54)에 삽입되기 전에는 외력에 의해 이동식 걸이부(31a', 31a")의 베이스(31ab', 31ab")가 스프링(31s)을 압축한 상태에서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에 의해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었다가 마감재(31')가 제2 개방부(54)를 폐쇄하려고 제2 개방부(54)에 삽입된 후에는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의 외부이탈 방지부(31bc)를 90° 회전시켜 장공(31sl)에 정렬하여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를 장공(31sl)으로부터 빼내어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이동식 걸이부(31a', 31a")도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때 후크부(31ap1, 31ap2)를 제1, 2 고리부(51a1, 51a2)에 걸 수 있고 이후 제2 개방부(54)가 마감재(31')에 의해 폐쇄되어 마감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장공(31sl)으로부터 빼내어진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의 외부이탈 방지부(31bc)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제2 마감재의 몸체는 철제로 구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장공(31sl)으로부터 빼내어진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를 외부이탈 방지부(31bc)를 통해 제2 마감재의 몸체에 부착하여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의 외부이탈 방지부(31bc)는 도 2h에서 도시된 길이보다 실제로 길이는 더 짧고 폭은 더 넓게 형성되어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의 장공(31sl) 내 삽입후 90° 회전으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식 걸이부(31a', 31a")는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마감되는 작업이 완료 후에 제2 개방부(54)로부터 제2 마감재(31')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제2 마감재 손잡이(31h)를 이용하여 제2 마감재(31')의 몸체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적으로 후크부(31ap1, 31ap2)를 제1, 2 고리부(51a1, 51a2)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복수의 상기 돌출부를 이용하여 이동식 걸이부(31a', 31a")를 제2 마감재(31')의 몸체 내부쪽으로 측방 이동시키고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를 장공(31sl)에 삽입하여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 상태에서 제2 마감재 손잡이(31h)를 이용하여 제2 개방부(54)로부터 제2 마감재(31')를 분리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는 도 2h에서 편의상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두개가 구비되어 양측 두개의 장공(31sl)에 각각 삽탈될 수 있다.
상기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2-1)는, 상기 벽체패널(10)에 창문(80)을 형성하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창문형성여부 확인단계(S2-1a); 및 창문(8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벽체패널 형성단계(S1-2)로 이행하여 벽체패널(10)을 형성하고, 창문(8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벽체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하는 창문(80)을 포함하는 벽체패널(10)을 형성하는 창문 유무에 따른 벽체패널 형성단계(S2-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조비용이 저렴한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을 건조할 때 창문(80)을 포함하는 벽체 패널(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붕패널 설치단계(S3)는 상기 개방구들 중 벽체패널(10)로 몰탈(20')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통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벽체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에 따르면, 상기 개방구들 중 벽체패널(10)로 몰탈(20')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이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통되도록 정렬된다.
상기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는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몰탈(20')을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로 주입 및 충진하는 단계인데,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몰탈(20')을 지붕패널(50)에 주입하는 경우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이 한꺼번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S5)는 상기 개방구들 중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구들을 폐쇄하도록 마감재로 마감하는 단계인데, 이에 의하면 상기 개방구들 중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구들을 폐쇄하도록 마감재로 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몰탈 양생단계(S6)에서는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한다.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로 주입 및 충진된 것이 몰탈, 특히 기포 몰탈이기 때문에 양생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은 74∼96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생시간이 74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몰탈의 건조가 불충분해질 수 있으며 양생시간이 96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벽체패널(10) 중 하나 이상은, 벽체패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상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패널(11)의 단부와 내측 패널(1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막음판(10a); 및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창틀(81)을 구비하는 창문(8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재발생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도 건조비용이 저렴한 벽체를 구비하는 공장건물을 건조할 때 창문(80)을 포함하는 벽체 패널(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장건물의 건축방법은, 상기 막음판(10a)의 내측면에 창틀(81)을 끼운 후 상기 몰탈 양생단계(S6)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동바리(90)로 상기 창틀(81)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마구리를 상하 및 좌우로 지지하는 지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에서 벽체 패널(10)의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 사이의 공간에 몰탈(20')을 주입하여 충진하고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6)에서 부하를 받아 막음판(10a)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붕패널(50)과 벽체 패널(10) 중 하나 이상이 연기감지시 인근 경찰서, 또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 등에 화재발생 사실을 통지할 수 있는 연기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지붕패널(50)과 벽체 패널(10)은 그 자체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내부의 공간은 몰탈(20'), 특히 기포 몰탈로 충진되기 때문에 화재발생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공장건물 내부에 적치된 다른 가연성 물질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가 공장건물 내부에 가득차는 경우에는 유독성 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연기로 인하여 공장건물 내부의 작업자 등은 불에 탈 위험도 있지만 그보다는 질식사의 위험이 더 크다. 따라서, 연기감지센서에서 공장건물 내의 연기 감지시 인근 경찰서, 또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 등에 화재발생 사실을 통지하여 공장건물 내부의 작업자 등을 대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붕패널(50)과 벽체 패널(10) 중 하나 이상이 연기감지시 인근 경찰서, 또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 등에 화재발생 사실을 통지할 수 있는 연기감지센서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인근 건물의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경보기를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연기감지센서에서 공장건물 내의 연기 감지시 인근 경찰서, 또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 등에 화재발생 사실을 통지하여 공장건물 내부의 작업자 등을 대피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혹시 인근 경찰서나 다른 사람이 다른 사정으로 화재발생사실은 통지받았지만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상황일 때를 대비하여 공장건물 내의 연기 감지시 인근 건물 또는 인근 공장건물의 거주자 내지 작업자 가 경보기로부터의 경보음을 듣고 적절한 조치를 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벽체패널 10a : 막음판
11 : 외측 패널 12 : 내측 패널
13' : 형강재 14 : 용접비드
20 : 단열재 20' : 몰탈
30 : 제1 마감재 31, 31' : 마감재
31a : 후크부 31a', 31a" : 이동식 걸이부
31ab', 31ab" : 메이스 31ap1, 31ap2 : 후크부
31b : 베이스 이동 제한부 31bb : 본체부
31bc : 외부이탈 방지부 31bh : 손잡이
31h : 제2 마감재 손잡이 31p : 격벽
31s : 스프링 31sl : 장공
32 : 마감재 본체 33 : 매입 고정부
40 : 콘센트 50 : 지붕패널
51 : 외측 패널
51a1 : 제1 고리부 51a2 : 제 2 고리부
52 : 내측 패널 53 : 제1 개방부
54 : 제2 개방부 55 : 제3 개방부
60 : 단열재 70 : 자재
80 : 창문 81 : 창틀
90 : 동바리 S1 : 벽체패널 준비단계
S2 : 지붕패널 준비단계 S2-1 :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
S2-2 : 지붕패널 형성단계
S2-3 : 지붕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
S2-4 : 벽체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
S2-5 : 지붕패널 도색단계 S3 : 지붕패널 설치단계
S1-1 :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 S1-1a : 창문형성여부 확인단계
S1-1b : 창문 유무에 따른 벽체패널 형성단계
S1-2 : 벽체패널 형성단계 S1-3 : 벽체패널 도색단계
S1-4 : 벽체 형성단계 S4 :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
S5 :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 S6 : 몰탈 양생단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벽체패널(10)을 준비하는 벽체패널 준비단계(S1);
    외측 패널(51)과 내측 패널(52)이 형강재(13')의 양단부의 좌우측에 용접비드(14)를 형성하면서 용접되어 연결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지붕패널(50)을 준비하고 준비된 지붕패널(50)에 대해 벽체패널(10) 및 지붕패널(50)로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준비단계(S2);
    상기 개방구들 중 벽체패널(10)로 몰탈(20')을 주입하기 위한 개방구들을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연통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벽체패널(10)의 상측에 상기 지붕패널(50)을 설치하는 지붕패널 설치단계(S3);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몰탈(20')을 지붕패널(50)과 벽체패널(10)로 주입 및 충진하는 몰탈 주입 및 충진단계(S4);
    상기 개방구들 중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구들을 폐쇄하도록 마감재로 마감하는 몰탈 주입구 마감단계(S5); 및
    상기 주입 및 충진된 몰탈(20')을 양생하는 몰탈 양생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패널 준비단계(S1)는,
    창문(80)의 유무에 따라 내측 패널(12)과 외측 패널(1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1-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패널(10)을 형성하는 벽체패널 형성단계(S1-2); 및
    상기 복수의 벽체패널(10)을 도색하는 벽체패널 도색단계(S1-3)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패널 준비단계(S2)는,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을 별도로 준비하는 내외측 패널 별도 준비단계(S2-1);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하는 지붕패널 형성단계(S2-2);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들의 서로 맞닿는 단부 측에서 지붕패널(50)에 대해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기 위한 제1 개방부(53)를 형성하고, 지붕패널(50)의 외측 패널(51)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몰탈(20')을 주입 및 충진하기 위한 제2 개방부(54)를 형성하는 지붕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3);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에서 벽체패널(10)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주입된 상기 몰탈(20')이 벽체패널(10)을 통과하여 벽체패널(10)에 충진되게 하기 위한 제3 개방부(55)를 형성하는 벽체패널 몰탈 주입용 개방구 형성단계(S2-4); 및
    상기 복수의 지붕패널(50)을 도색하는 지붕패널 도색단계(S2-5)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는,
    제1 개방부(53)를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제1 마감재(30); 및
    제2 개방부(54)를 폐쇄하도록 마감하는 제2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감재(30)는, 제1 개방부(53)가 형성되기 전의 외측 패널(51)들의 서로 맞닿는 단부 인접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 마감재 본체(32), 및 마감재 본체(32)의 정점부의 내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화살 모양의 매입 고정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패널 형성단계(S2-2)는,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할 때,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보다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을 더 좁게 하여 형성하고,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외측 패널(51)의 하측 단부는 하측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단면의 제1 고리부(51a1)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감재는 제1 고리부(51a1)에 걸 수 있는 후크부(31a)를 가지는 'ㄴ'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마감재(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패널 형성단계(S2-2)는, 준비된 내외측 패널의 사이를 형강재(13')로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여 복수의 지붕패널(50)을 형성할 때,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과 하측의 지붕패널(50)의 내측 패널(52)과 외측 패널(51) 사이의 폭을 동일하게 하여 형성하고,
    제2 개방부(54)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의 외측 패널(5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는 하측에 'ㄷ'자형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제1, 2 고리부(51a1, 51a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감재는,
    제2 개방부(54)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을 반분하는 격벽(31p);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마감재 손잡이(31h);
    격벽(31p)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반분되는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들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31s);
    스프링(31s)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베이스(31ab', 31ab")를 각각 구비하며, 스프링(31s)의 신축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들로부터 측방으로 출몰하고, 제1, 2 고리부(51a1, 51a2)에 걸 수 있도록 단부에 후크부(31ap1, 31ap2)를 각각 구비한 이동식 걸이부(31a', 31a"); 및
    몸체의 내외로 수직방향으로 출몰하여 스프링(31s)에 의한 베이스(31ab', 31ab")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 및 허용하는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를 가지는 마감재(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형성된 장공(31sl)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 제한부(31b)는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31bh)와, 상기 손잡이(31bh)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장공(31sl)에 삽입될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본체부(31bb)와, 자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31bb)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장공(31sl)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장공(31sl)의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 형태의 외부이탈 방지부(31b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20210057570A 2021-05-04 2021-05-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253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570A KR102531985B1 (ko) 2021-05-04 2021-05-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570A KR102531985B1 (ko) 2021-05-04 2021-05-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511A KR20220150511A (ko) 2022-11-11
KR102531985B1 true KR102531985B1 (ko) 2023-05-17

Family

ID=8404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570A KR102531985B1 (ko) 2021-05-04 2021-05-04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511B1 (ko) * 2002-05-13 2004-12-03 권오혁 황토를 이용한 주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587A (ko) * 2018-07-04 2020-01-14 한영옥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20210035400A (ko) 2019-09-24 2021-04-01 차장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이 있는 샌드위치 패널 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511B1 (ko) * 2002-05-13 2004-12-03 권오혁 황토를 이용한 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511A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144B2 (en) System for forming and insulating concrete slab edges
US10364570B2 (en) Building form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633389B1 (ko) 조적식 벽체의 양면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KR102107066B1 (ko)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방법
AU2020257141A1 (en) A building element
KR102531985B1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2159180B1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2127735B1 (ko) 내진보강형 칸막이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01513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102352117B1 (ko) 건축용 조적벽 내진 보강장치
KR10197565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28198A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JP3638590B2 (ja) 多層階建築物の構築方法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KR102030960B1 (ko)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건축물 외벽 체결 구조
KR102017174B1 (ko) 공격시간 지연을 위한 금고 벽체구조
KR20200004587A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1617713B1 (ko) 조적줄눈부 매립형 보강철물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 내진보강공법 및 그 보강구조물
KR101666806B1 (ko) 내진용 rcss 및 rcst 단차부 샤프트 브라켓
KR102597132B1 (ko) 층간 방화기능을 갖는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KR20040009566A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스틸플레이트 보강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KR20200006427A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