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855A -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855A
KR20130129855A KR1020130056841A KR20130056841A KR20130129855A KR 20130129855 A KR20130129855 A KR 20130129855A KR 1020130056841 A KR1020130056841 A KR 1020130056841A KR 20130056841 A KR20130056841 A KR 20130056841A KR 20130129855 A KR20130129855 A KR 2013012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destination
address
setting
lim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0224B1 (ko
Inventor
마사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25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scan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confirmation, acknowledgement or receip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는, 유저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접수부가 접수한 유저 정보에 근거해서 특정되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하는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1 설정부와, 상기 제1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2 설정부와,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신에게 이-메일(e-mail) 송신"이라고 하는 조작 키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0148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01484호에서는, "자신에게 이-메일 송신"의 조작 키를 유저가 조작하면, 화상처리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으로서 설정한다. 이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송신하고 싶은 유저에 있어서,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시간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최근, 화상처리장치의 "종료 통지"가 알려져 있다. 그 "종료 통지"는, 스캔 잡이나 카피 잡이 종료했을 때에, 미리 지정된 보낼곳에 그 스캔 잡이나 카피 잡의 종료를 이-메일로 통지하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스캔 잡이나 카피 잡의 실행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유저가 별도의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스캔 잡이나 카피 잡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를 이-메일에 첨부해서 송신하는 경우에, 부적절한 보낼곳에 잘못해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버려, 정보가 누설되기도 한다. 또한, 악의를 가진 유저가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보낼곳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메일의 설정가능한 보낼곳은,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제한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이외에는 이-메일이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잘못하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보낼곳에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낼곳 제한의 구체적인 방법은, 예를 들면 이-메일의 설정가능한 보낼곳을, "자신에게 이-메일 송신"의 조작 키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이-메일 어드레스에 제한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부적절한 보낼곳에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유저가 자신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보낼곳의 제한을 "종료 통지"에까지 적용해버리면, 유저의 편리함을 저하시킨다. 일반적으로, "종료 통지"는, 일반적인 화상 데이터가 첨부되어 있는 이-메일보다 정보가 적다. 따라서, 정보누설의 리스크가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이외의 어드레스에의 통지를 제한하면, 유저가 제한된 장소에서만 상기 통지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의 편리성이 저하된다.
특히, 이-메일의 설정가능한 보낼곳을, "자신에게 이-메일 송신"의 조작 키로 설정되는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하는 경우에, 화상처리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이외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종료 통지를 보낼 수 없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저A가 대량의 원고를 스캔해서 송신하고 있을 때에, 유저A의 잡이 종료된 후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하려고 기다리고 있는 유저B에 대하여, 유저A의 스캔 잡의 종료를 통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하는 이-메일의 보낼곳을 제한하지만, 해당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의 보낼곳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유저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접수부가 접수한 유저 정보에 근거해서 특정되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하는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1 설정부와, 상기 제1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2 설정부와,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 시스템의 전체도다.
도 2는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가 관리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로그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제1 보낼곳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제2 보낼곳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주소록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의 송신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상처리 시스템의 전체도다. 근거리 통신망(LAN)(100) 상에는, 복합기(MFP)(101), 인증 서버(102), 이-메일 서버(103), 퍼스널 컴퓨터(PC)(104)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MFP(101)는, 화상처리장치의 일례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의 일례로서 MFP를 설명하긴 하지만, 그 화상처리장치는 MFP에 제한되지 않고, 단기능의 스캐너 장치등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 어떠한 화상처리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인증 서버(102)는, 인증 장치의 일례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인증 서버(102)와 MFP(101)가 따로따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긴 하지만, 인증 서버(102)의 인증 기능이 MFP(101)에 내장되어도 된다. MFP(101)는, 화상 데이터 첨부의 이-메일 또는 후술하는 종료 통지 이-메일을, 이-메일 서버(103)를 통해 PC(104)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1대의 PC(104)를 기술하긴 하지만, LAN(100)상에 복수대의 PC(104)가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MFP(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중앙처리장치(CPU)(211)를 구비하는 제어부(210)는, MFP(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211)는, 판독전용 메모리(ROM)(212)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을 판독해서 판독 제어와 송신 제어등의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3)는, CPU(211)의 주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MFP(101)는, 1개의 CPU(211)가 1개의 메모리(RAM 213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214)를 사용해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MFP(101)는, 구성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CPU나 복수의 RAM 또는 HDD를 협동시켜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HDD(214)는, 화상 데이터와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I/F)(215)는, 조작부(219)와 제어부(210)를 접속한다. 조작부(219)에는, 터치패널 기능을 가지는 액정표시부, 키보드등을 구비하고, 조작부(219)에는 유저의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부로서 기능한다.
프린터I/F(216)는, 프린터(220)와 제어부(210)를 접속한다. 프린터(220)로 인쇄해야 할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I/F(216)를 통해 제어부(210)로부터 전송되어, 프린터(220)에서 기록매체 상에 인쇄된다.
스캐너I/F(217)는, 스캐너(221)와 제어부(210)를 접속한다. 스캐너(221)는, 원고상의 화상을 읽어내서 화상 데이터(화상 파일)를 생성하고, 스캐너I/F(217)를 통해 제어부(210)에 입력한다. MFP(101)는, 스캐너(221)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 송신 또는 이-메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I/F(218)는, 제어부(210)(MFP(101))를LAN(100)에 접속한다. 네트워크I/F(218)는, LAN(100)상의 외부장치에 각종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I/F(218)는, LAN(100)상의 외부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MFP(101)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모뎀을 구비하고,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팩스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인증 서버(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CPU(311)를 구비한 제어부(310)는, 인증 서버(10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311)는, ROM(312)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AM(313)은, CPU(311)의 주메모리와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인증 서버(102)는, 1개의 CPU(311)가 1개의 메모리(RAM 313 또는 HDD 314)를 사용해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인증 서버(102)는, 구성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CPU나 복수의 RAM 또는 HDD를 협동 시켜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HDD(314)는, 화상 데이터와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네트워크I/F(315)는, 제어부(310)(서버(102))를 LAN(100)에 접속한다. 네트워크I/F(315)는, LAN(100)상의 또 다른 장치에 각종 정보를 송신하고 LAN(100)상의 또 다른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도 4는, 인증 서버(102)가 HDD(314)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증 서버(10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메인을 관리한다. 또한, 인증 서버(102)는 유저를 인증(특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401 및 정보 402와, 유저에 관한 정보 403 및 정보 404를, 유저마다 관리한다. 정보 401은, 유저를 유일하게 특정하는 유저 이름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정보 401은, 예를 들면 MFP(101)가 설치되어 있는 회사의 사원 코드이지만, 그 정보 401은 그 이외의 정보이어도 된다.
도 4는, 유저 이름 A1001에 대응하는 유저의 정보를 나타낸다. 유저 A1001은, 유저 이름으로서 "A1001"을, 패스워드로서 "xyz"를 입력하여 MFP(101)를 사용하기 시작할 필요가 있다. MFP(101)를 통해 입력된 유저 정보(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는, 인증 서버(102)에 송신된다. 인증 서버(102)는, MFP(101)로부터 송신된 유저 정보를, 정보 401 및 402로서 관리된 정보와 대조한다. 그 유저 정보가 MFP(101)가 관리한 정보와 일치한 경우에는, 인증 서버(102)는, 인증 성공을 MFP(101)에 통지한다. 한편, 상기 유저 정보가 MFP(101)가 관리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서버(102)는, 인증 실패를 MFP(101)에 통지한다.
정보 403 및 정보 404는, 유저 인증이 성공했을 경우에, 인증 성공 정보와 함께 MFP(101)에 통지된다. 정보 403은, A1001의 유저의 이름이 "User X"인 것을 보이고 있다. 정보 404는, A1001의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보이고 있다. 유저 A1001은, 정보 404로서 관리된 이-메일 어드레스에 송신된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조작부(219)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는, 도 5의 화면에 있어서, 조작 키 501 또는 502를 조작 함에 의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조작 키(501)가 선택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예시적 기능으로서 "스캔해서 송신" 및 "카피"를 예시하고 있지만, MFP(101)가 다른 기능들을 갖추어도 된다.
조작 키 501을 선택한 유저는, 조작 키 511 또는 512를 조작하여서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조작 키(511)를 조작하면, HDD(214)에 기억된 주소록의 내용이 표시된다. 유저는, 주소록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을 설정할 수 있다.
조작 키(512)는, 유저가 자기 자신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으로서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유저가 조작 키(512)를 조작하면,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가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조작 키(521)는, 컬러/흑백사진등의 판독설정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조작 키(522)는,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조작 키(523)는,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파일 형식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조작 키(524)는, 한면/양면 판독 설정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조작 키(525)는, 판독 사이즈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조작 키(526)는, 후술하는 종료 통지의 보낼곳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조작부(219)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조작 키(511)가 눌렸을 경우에 표시된 주소록 화면이다. 정보 601은, 각 어드레스의 종류를 나타낸다. MFP(101)에는, 이-메일 어드레스, 팩스 어드레스, 및 파일 어드레스가 등록될 수 있다. 파일은, 서버 메시지 블록(SMB)이나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정보 602는, 각 어드레스의 명칭을 나타낸다. 정보 603은, 각 어드레스의 상세 내용을 나타낸다. 어드레스의 종류가 이-메일일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가 이-메일 어드레스가 된다. 상기 어드레스의 종류가 팩스일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는 전화번호(팩스 번호)가 된다. 어드레스의 종류가 파일일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는 파일 서버의 호스트명이 된다.
유저가 주소록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결정(OK) 버튼(604)을 누르면, 그 선택된 어드레스가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으로서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은, 도 6에 나타낸 3종류 7건의 어드레스가 MFP(101)에 등록되어 있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도 7은, MFP(101)에 있어서의 로그인 동작(MFP(101)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일련의 유저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MFP(101)의 CPU(211)는,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단계)를 HDD(21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현한다.
단계S701에서, CPU(211)는, 조작부(219)에 표시한 화면을 거쳐서, 유저 정보(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접수한다.
단계S702에서, CPU(211)는, 단계S701에서 접수한 유저 정보를 인증 서버(102)에 송신하고, 유저 인증을 의뢰한다(CPU(211)는, 인증 서버(102)에 의뢰하여, 유저가 MFP(101)를 사용하는 것을 허가받을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703에서, CPU(211)는, 인증 서버(102)로부터의 통지가 인증 성공인지 인증 실패인지를 나타내는 것을 판정한다. 상기 통지가 성공인 경우(단계S703에서 YES) 단계S704에 진행되고, CPU(211)는, 유저에 의한 MFP(101)의 사용을 허가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실패한 경우에는(단계S703에서 NO), 그 처리를 종료한다(또는, 단계S701에 되돌아가서, 유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재표시한다).
단계S704에서, CPU(211)는, 유저에 의한 MFP(101)의 사용을 허가한다. 단계S705에서, CPU(211)는, 인증 서버(102)에서 통지된 이-메일 어드레스(도 4의 404)를 취득하여, RAM(213)에 기억한다.
도 8은, MFP(101)에 있어서의 제1 설정 동작(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단계)는, MFP(101)의 CPU(211)가 HDD(21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801에서,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11)를 조작한 것인가 아닌가를(유저가 주소록 버튼을 눌렀는가를) 판정한다.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11)를 조작하였다고 판정하면(단계S801에서 YES), 단계S802의 처리로 진행된다.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11)를 조작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801에서 NO), 단계S8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802에서, CPU(211)는, 주소록 화면(도 6)을 표시한다. 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행해진 상세한 동작에 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803에서, CPU(211)는, 주소록 화면을 통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를 접수한다. 주소록 화면에서 유저가 원하는 어드레스의 표시 영역에 터치하면, 그 표시 영역이 강조된다. 단계S804에서, CPU(211)는, 유저가,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결정(OK) 버튼(604)을 조작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11)는, 유저가,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604)을 조작하였다고 판정하면(단계S804에서 YES), 단계S805의 처리로 진행된다. CPU(211)는, 유저가,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604)을 조작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804에서 NO), 단계S8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S805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를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으로서 설정한다. 그 선택된 어드레스가 이-메일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그 선택된 이-메일 어드레스는,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는 이-메일의 보낼곳으로서 설정된다.
단계S806에서,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자신에게 이-메일 송신")(512)를 조작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12)를 조작하였다고 판정하면(단계S806에서 YES), 단계S807의 처리로 진행된다.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12)를 조작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806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807에서, CPU(211)는, 인증 서버(102)로부터 취득하고, RAM(213)에 기억한 이-메일 어드레스(도 4의 404)를,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는 이-메일의 보낼곳으로서 설정한다. "자신에게 이-메일 송신"의 조작 키(512)를 사용함으로써,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자신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유저가 쉬운 조작으로 자신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MFP(101)에 있어서의 제2 설정 동작(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9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단계)는, MFP(101)의 CPU(211)가 HDD(21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실현된다.
도 8의 흐름도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화상 데이터를 첨부하는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도 9의 흐름도에서는, 종료 통지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종료 통지는, MFP(101)에 있어서의 스캔 잡(조작 키 501에 대응)이나 카피 잡(조작 키 502에 대응)이 종료했을 때에, 미리 지정된 보낼곳에 이-메일로 통지하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스캔 잡이나 카피 잡의 실행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유저가 또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그 통지에 의해 그 스캔 잡이나 카피 잡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901에서,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26)를 조작한 것인가 아닌가를(유저가 종료 통지 버튼을 눌렀는가를) 판정한다.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26)를 조작하였다고 판정하면(단계S901에서 YES), 단계S902의 처리로 진행된다. CPU(211)는, 유저가 조작 키(526)를 조작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901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902에서, CPU(211)는, 주소록 화면(도 12에 도시됨)을 표시한다. 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행해진 상세한 동작에 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S903에서, CPU(211)는, 주소록 화면을 통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를 접수한다. 주소록 화면에서 유저가 원하는 어드레스의 표시 영역에 터치하면, 그 표시 영역이 강조된다. 단계904에서, CPU(211)는, 유저가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604)을 조작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11)는, 유저가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604)을 조작하였다고 판정하면(단계904에서 YES), 단계S905의 처리로 진행된다. CPU(211)는, 유저가 적어도 1개의 어드레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604)을 조작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904에서 NO), 단계S9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S905에서, CPU(21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를 종료 통지 이-메일의 보낼곳으로서 설정한다.
도 10은, MFP(101)에 있어서의 주소록 표시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10의 흐름도는, 도 8의 단계S802 및 도 9의 단계S902의 상세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단계)는, MFP(101)의 CPU(211)가 HDD(21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1001에서, CPU(211)는,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조작 키(주소록)(511)를 조작해서 도 10의 흐름도가 개시된 경우에는, CPU(211)는,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하고(단계S1001에서 NO), 단계S10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003에서, CPU(211)는, 한정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한정 모드는, 화상 데이터를 첨부한 이-메일을 MFP(101)로부터 송신할 경우에, 그 이-메일의 보낼곳을 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하는 기능이다. 주소록에는 일반적인 유저가 자유롭게 어드레스를 등록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이-메일 어드레스등의 기밀정보의 보낼곳으로서 부적절한 이-메일 어드레스가 등록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보낼곳으로 등록된 이-메일 어드레스에 잘못해서 또는 의도적으로 기밀정보를 송신하면 정보가 누설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서, MFP(101)는, 이-메일의 보낼곳을 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 함에 의해, 부적절한 보낼곳에 기밀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정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MFP(101)의 한정 모드가 이-메일에 대해서만 설정되기는 하지만, 팩스와 파일에 관해서도 같은 한정 모드를 설정해도 된다.
도 11은, 조작부(219)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리자만이 도 11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고, 도 11의 그 화면은, 일반의 유저가 MFP(101)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관리자는, 도 11의 화면을 거쳐서, 상기 한정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가 조작 키(1101)를 조작하면, 한정 모드가 "ON"으로 설정된다. 한정 모드가 "ON"으로 설정되면, 조작 키(512)를 사용해서 설정된 보낼곳이외의 보낼곳에의 이-메일 송신이 금지된다. 관리자가 조작 키(1102)를 조작하면, 한정 모드는 "OFF"로 설정된다.
단계S1003의 판정의 결과, CPU(211)는 한정 모드가 "OFF"라고 판정하면(단계S1003에서 NO), 단계S1005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211)는 주소록에 등록된 모든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한편, CPU(211)는 한정 모드가 "ON"이라고 판정하면(단계S1003에서 YES), 단계S1004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211)는 주소록에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 "이-메일"의 어드레스이외의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한편, 단계S1001에 있어서, 유저가 조작 키(종료 통지)(526)를 조작해서 도 10의 흐름도가 개시된 경우에는, CPU(211)는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S1001에서 YES), 단계S10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002에서는, CPU(211)는 주소록에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 "이-메일"의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단계S1006에서, CPU(211)는 단계S1002, S1004 또는 S1005에서 추출된 어드레스를 주소록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의 처리 때문에,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는, 주소록에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 "이-메일"의 어드레스만이 표시되고, 그 이외의 어드레스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MFP(101)로부터의 종료 통지가 이-메일로만 이루어지지만, 그 이외의 형태(팩스나 파일)로는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한정 모드가 "ON"인 경우에는, 주소록에 등록된 어드레스 중 "이-메일"의 어드레스이외의 어드레스가 표시되고, 그 "이-메일"의 어드레스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한정 모드가 "ON"일 경우에, 주소록에 등록된 이-메일의 어드레스를 보낼곳으로서 설정할 수 없고, 유저가 화상 데이터를 이-메일로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조작 키(512)를 사용하여 자신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한정 모드가 "OFF"인 경우에는, 주소록에 등록된 모든 어드레스가 표시된다.
이렇게,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선택된 한정 모드에 따라 이-메일의 보낼곳을 제한한다. 한편,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일 경우는, 그 이-메일의 보낼곳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CPU(211)는 단계S1001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이-메일이 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 단계S1003의 판정을 생략하고 단계S1004의 처리로 진행하여도 된다.
도 12는, 조작부(219)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유저가 조작 키(종료 통지)(526)를 누른 경우에 표시된 주소록 화면이다. 도 12의 화면은, 도 6의 화면과 비교하여, "이-메일"의 어드레스만을 표시하고, 그 이외의 어드레스는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이-메일"의 어드레스 이외의 어드레스를 표시하지 않는 대신에, "이-메일"의 어드레스 이외의 어드레스를 선택 불가능한 상태에서 "이-메일"의 어드레스이외의 어드레스를 표시해도 된다.
도 13은, MFP(101)에 있어서의 송신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13의 흐름도는, 화상 데이터의 보낼곳이 설정된 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타트 키를 유저가 조작하는 경우에 개시된다.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단계)는, MFP(101)의 CPU(211)가 HDD(21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1301에서는, 스캐너(221)가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S1302에서는, 단계S1301에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도 8의 단계S805 또는 S807에서 설정된 보낼곳에 송신한다. 그 보낼곳이 이-메일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를 그 이-메일에 첨부한 이-메일을 생성하여, 이-메일 서버(103)를 통해 송신한다.
단계S1303에서, CPU(211)는 조작 키(526)를 사용하여 종료 통지의 보낼곳이 설정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종료 통지의 보낼곳이 설정된 경우에는(단계S1303에서 YES), 단계S1304의 처리에 진행된다. 그 종료 통지의 보낼곳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1303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304에서, CPU(211)는 스캔 잡이 종료한 것(송신 종료)을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을 생성하여, 도 9의 단계S905에서 설정된 보낼곳에 송신한다. 종료 통지 이-메일은, 접수번호, 개시시각, 페이지 수, 송신 파일명, 보낼곳에 관한 정보를 갖지만, 단계S1302에서 송신한 화상 데이터는 첨부되어 있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한정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되는 이-메일의 보낼곳은,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된다. 달리 말하면, 그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된다. 한편, 송신하는 이-메일이 종료 통지 이-메일인 경우에는, 그 한정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그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정보누설의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고,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첨부한 이-메일의 보낼곳이 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기타의 방법으로 상기 보낼곳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를 첨부한 이-메일의 보낼곳으로서 설정가능한 이-메일 어드레스를 미리 복수 등록해두고, 한정 모드가 "ON"이 되었을 때에 설정가능한 이-메일 어드레스를 상기 등록된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하여도 된다. 또는, 화상 데이터를 첨부한 이-메일의 보낼곳으로서 설정가능한 이-메일 어드레스의 도메인을 미리 등록해두어도 되고, 한정 모드가 "ON"이 되었을 때에 설정가능한 이-메일 어드레스를 상기 도메인을 포함하는 어드레스에 한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스캐너(221)가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이-메일에 첨부해서 송신하는 경우를 사용했지만, 상기의 설명은 HDD(214)에 미리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한정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되는 이-메일의 보낼곳은, 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스캔 잡의 종료 통지 이-메일을 송신하는 경우를 사용했지만, 상기의 설명은 그 밖의 잡(예를 들면, 카피 잡)의 종료 통지 이-메일에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한정 모드가 "ON"으로 설정될 때에도, 그 밖의 잡의 종료 통지 이-메일의 보낼곳은, 현재 MFP(10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7)

  1. 유저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가 접수한 유저 정보에 근거해서 특정되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취득부;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하는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1 설정부;
    상기 제1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2 설정부; 및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상기 취득부가 취득하는 상기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를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주소록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소록에 등록된 어드레스 중 이-메일 어드레스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부를 더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메일에는 화상 데이터가 첨부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으로서 상기 취득부가 취득하는 이-메일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키를 더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7.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한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1 설정부;
    상기 제1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제2 설정부; 및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8. 이-메일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가 송신한 상기 이-메일에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메일의 보낼곳은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송신부가 송신한 상기 이-메일에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9.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이외의 이-메일의 보낼곳은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0. 유저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접수한 유저 정보에 근거해서 특정되는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단계;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하는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상기 취득된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취득된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화상 데이터를 첨부해서 송신한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메일의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메일의 보낼곳이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제2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2. 이-메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메일에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메일의 보낼곳은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이-메일에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3.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의 보낼곳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이외의 이-메일의 보낼곳은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만, 상기 송신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이-메일의 보낼곳은 상기 소정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4. 청구항 10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5. 청구항 11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6. 청구항 12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7. 청구항 13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30056841A 2012-05-21 2013-05-21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670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5758 2012-05-21
JP2012115758A JP6184060B2 (ja) 2012-05-21 2012-05-21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855A true KR20130129855A (ko) 2013-11-29
KR101670224B1 KR101670224B1 (ko) 2016-10-28

Family

ID=4857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841A KR101670224B1 (ko) 2012-05-21 2013-05-21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110759B2 (ko)
EP (1) EP2667550B1 (ko)
JP (1) JP6184060B2 (ko)
KR (1) KR101670224B1 (ko)
CN (2) CN1068781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4060B2 (ja) 2012-05-21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76046B2 (ja) * 2015-04-14 2019-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92293B2 (ja) * 2016-07-20 2022-01-13 株式会社リコー 共有端末、通信システム、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1137B2 (ja) * 2017-07-11 2021-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33551B2 (ja) * 2017-07-27 2018-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36582B2 (ja) * 2017-12-22 2022-03-15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9106709A (ja) * 2019-01-23 2019-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71345B2 (ja) 2019-07-08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75874B2 (ja) * 2020-01-30 2024-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2117773A (ja) * 2021-02-01 2022-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
JP2023000918A (ja) 2021-06-18 2023-01-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2023137927A (ja) * 2022-03-18 2023-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8153A1 (en) * 2005-05-02 2006-11-02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mail behavior with a multi-function machine
JP2006343862A (ja) * 2005-06-07 2006-12-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979330B1 (ko) * 2005-12-26 2010-08-3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10076816A (ko) * 2009-12-28 2011-07-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송신처에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 송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562A (ja) 2002-12-13 2004-07-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形成装置のイベント通知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ネットワーク
JP3829847B2 (ja) 2004-01-08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キャンデータ送信装置及びスキャンデータ送信システム
US20050195425A1 (en) * 2004-01-24 2005-09-08 Bridges Amanda K. Email confirmation for specified task at print device
JP3859651B2 (ja) 2004-02-26 2006-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合機
JP4745752B2 (ja) 2004-08-30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33595B1 (ko) 2005-07-19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08820A (ja) * 2006-02-03 2007-08-16 Murata Mach Ltd 通信端末装置
US7570398B2 (en) 2006-10-10 2009-08-04 Ricoh Company, Ltd. Secure scanning device
JP2008123318A (ja) * 2006-11-14 2008-05-29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通信端末、宛先正誤判定方法および宛先正誤判定プログラム
US8218736B1 (en) * 2006-12-07 2012-07-10 Callwa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rming message delivery
JP2010520520A (ja) 2007-03-02 2010-06-10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エクスポート制限付きのScan−to−Email
JP2009100200A (ja) 2007-10-16 2009-05-07 Seiko Epson Corp 電子メール通信装置及び電子メール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4547430B2 (ja) * 2008-01-18 2010-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信装置
JP2009188694A (ja) * 2008-02-06 2009-08-20 Murata Mach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5633526B2 (ja) * 2012-01-30 2014-12-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184060B2 (ja) 2012-05-21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8153A1 (en) * 2005-05-02 2006-11-02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mail behavior with a multi-function machine
JP2006343862A (ja) * 2005-06-07 2006-12-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979330B1 (ko) * 2005-12-26 2010-08-3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10076816A (ko) * 2009-12-28 2011-07-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송신처에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 송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28392A (zh) 2013-12-04
US10855853B2 (en) 2020-12-01
JP2013243541A (ja) 2013-12-05
CN106878144B (zh) 2020-06-26
JP6184060B2 (ja) 2017-08-23
US10110759B2 (en) 2018-10-23
US20130308167A1 (en) 2013-11-21
KR101670224B1 (ko) 2016-10-28
EP2667550B1 (en) 2020-05-06
US20190020768A1 (en) 2019-01-17
EP2667550A1 (en) 2013-11-27
CN103428392B (zh) 2016-12-28
CN106878144A (zh)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24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99301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115044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nding image data
US10205851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nding image data
US10498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authenticating users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or image processing system
US98541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04747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8037601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ersonalization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7362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0987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87389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643355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1021B2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1742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4480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939115A (zh) 图像形成装置、信息处理装置、其控制方法及存储介质
JP2018191339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