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595B1 -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595B1
KR101133595B1 KR1020050065499A KR20050065499A KR101133595B1 KR 101133595 B1 KR101133595 B1 KR 101133595B1 KR 1020050065499 A KR1020050065499 A KR 1020050065499A KR 20050065499 A KR20050065499 A KR 20050065499A KR 101133595 B1 KR101133595 B1 KR 10113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m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707A (ko
Inventor
이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5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2Attaching image data to computer messages, e.g. to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 H04N2201/320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of an e-mail or network add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이 허용되는 수신처 정보 및 전송이 금지되는 수신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등록받는 단계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수신처 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전송이 허용되는 상대방을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취급이 허용되는 상대방에게는 편리하게 전자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전자메일주소, 도메인, 화상형성장치, 보안

Description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An image forming apparutus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a method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대상 문서를 스캔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대외비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방법의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자메일로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스캐닝부 150: 제어부
160: 수신처 정보 등록부 170: 전송허용 판단부
180: 전자메일 처리부 190: 인쇄부
195: 전송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는 내부에 문서에 대한 독취가 가능한 스캐너, 수신된 데이터 및 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데이터를 문자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공중 전화망에 연결된 전화선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화상형성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스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공중 전화망 대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수신처의 전자메일주소로 발송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문서를 상대방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일체화한 장치를 말하며, 예를 들어, 팩시밀리장치, 복합기 등을 포함한다.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취급하는 정보량의 증가와 더불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것이 정보의 보안에 관한 문제이다. 특히, 신기술과 노하우를 많이 다루게 되는 기업이나 사무소 등에 있어서, 정보보안의 중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최근에는, 다수의 사용자가 기록매체나 인쇄장치 등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이 기업이나 사무소에 구축될 경우, 다수의 사용자 이외에도 불특정 다수가 손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어 정보의 보안에 있어 취약해지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적용한 시스템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정보에 대한 보안요구정도는 일률적인 것이 아닌 차등적인 것이다. 예 를 들면, 정보는 모든 사용자가 취급하여도 상관없는 일반정보에서부터, 극소수의 사용자들만이 취급하여야 하는 극비정보까지 다양하다. 또한, 사용자의 직무나 직책 등에 따라 취급을 허용해야 할 정보의 보안등급 역시 일률적인 것이 아닌 차등적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대외비 문서를 아무런 검사 없이 바로 상대방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보안에 문제가 있거나, 보안기능을 구비하더라도 전송대상 문서가 대외비 문서일 경우 대외비 문서를 수신하는 상대방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전송을 모두 차단하도록 하여 대외비 문서의 취급이 허용되어 있는 상대방의 전자메일주소로도 문서를 송신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전송이 허용되는 상대방을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이 허용되는 수신처 정보 및 전송이 금지되는 수신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등록받는 수신처 정보 등록부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상기 수신처 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전송허용 판단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상기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하는 전자메일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금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이 허용되는 수신처 정보 및 전송이 금지되는 수신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등록받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상기 수신처 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상기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금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스캐닝부(140),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 전송허용 판단부(170), 전자메일 처리부(180), 인쇄부(190) 및 전송부(195)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다수개의 기능버튼, 숫자버튼 및 문자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전반적인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문서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수신번호 또는 상대방의 전자메일주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자메일전송 여부 및 대외비 설정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전송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 대외비 설정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특별히 대외비 여부를 설정받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모든 이미지 데이터를 대외비로 설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표시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상황에 대한 정보 및 시스템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전자메일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LCD 패널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스캐닝부(140)에서 전송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 및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캐닝부(140)는 전송대상 문서를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스캐닝하여 디지털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는 저장부(130)에 대외비로 설정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수신처 정보 또는 전송이 금지되는 수신처 정보를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아 등록한다. 여기서, 수신처 정보는 전자메일주소 자체 또는 전자메일서버의 도메인이 될 수 있다. 예컨대, abc@def.com와 같은 특정 전자메일주소가 전자메일전송이 허용되거나 금지되는 전자메일주소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def.com과 같은 특정 메일서버의 도메인이 전송허용 또는 금지 수신처로 등록될 수도 있다.
전송허용 판단부(17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자메일 전송대상으로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가 대외비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외비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상대방의 전자메일주소를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등록된 수신처 정보와 비교하여 전자메일 전송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상대방의 전자메일주소가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등록된 전송허용 전자메일주소와 일치하거나 전송허용 전자메일서버 도메인과 도메인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상대방의 전자메일주소가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등록된 전송금지 전자메일주소와 일치하거나 전송금지 전자메일서버 도메 인과 도메인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금지하는 메시지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허용 판단부(170)에서 전송대상 이미지 데이터가 대외비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수신처 정보와 비교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 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메일 처리부(180)는 SMTP 및 POP3를 지원하는 메일서버를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메일 처리부(180)는 전송허용 판단부(170)에서 전송이 허용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대상으로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저장부(130)로부터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여 전자메일 처리부(180)에 제공함으로써 전자메일로 작성되어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대상으로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금지되는 경우 표시부(120)에 전송금지를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인쇄부(19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전송부(195)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스캐닝된 디지털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조 출력하여 공중전화망(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미도시)을 통해 수신측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거나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대상 문서를 스캔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대외비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스캐닝부(140)는 전송대상 문서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전송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210).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220).
이후,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대외비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대외비로 설정한다(S230).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한 후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대외비로 설정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송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대외비 설정여부를 입력받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전자메일주소 및 전자메일서버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등록시킨다(S240).
S24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 금지 전자메일주소 및 전자메일서버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등록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허용/전송금지 전자메일주소 및 전자메일서버 도메인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도록 구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형성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전송허용/전송금지 전자메일주소 및 전자메일서버 도메인이 등록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외비로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자메일로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로부터 전자메일 전송대상으로 선택되면(S310),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입력받아 전송허용 판단부(170)로 전달한다(S320).
다음으로, 전송허용 판단부(170)는 전송대상으로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가 대외비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S3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가 대외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송허용 판단부(170)는 제어부(150)에 전송허용 메시지를 전달한다.
S3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가 대외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송허용 판단부(170)는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수신처 정보 등록부(160)에 등록되어 있는 수신처 정보와 비교하여 전송허용 여부를 판단한다(S340).
S34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전송허용 판단부(170)는 제어부(150)에 전송허용 메시지를 전달한다.
S34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금지되는 경우 전송허용 판단부(170)는 제어부(150)에 전송금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다음으로, 전송허용 판단부(170)에서 전송허용 메시지가 전달되면, 제어부(150)는 전자메일 처리부(180)를 제어하여 전송대상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한다(S360).
한편, 전송허용 판단부(170)에서 전송금지 메시지가 전달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전송금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350).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대상 이미지 데이터가 대외비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외비 설정 여부에 대한 판단 없이 바로 S340 단계로 진행하여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대외비 문서의 전송이 허용되는 상대방을 구분하여 전자메일을 제한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외비 문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대외비 문서의 취급이 허용되는 상대방에게는 편리하게 대외비 문서가 포함된 전자메일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안 설정 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안 설정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보안 설정 명령을 입력 받은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수신처 정보 및 전송이 금지되는 수신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수신처 정보 등록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수신할 상대방 전자메일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안 설정이 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안 설정이 된 경우,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상기 수신처 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전송허용 판단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상기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하는 전자메일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전송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금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4.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안 설정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안 설정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보안 설정 명령을 입력 받은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수신처 정보 및 전송이 금지되는 수신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수신할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안 설정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안 설정이 된 경우,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자메일주소와 상기 수신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상기 상대방 전자메일주소로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금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보안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65499A 2005-07-19 2005-07-19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3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499A KR101133595B1 (ko) 2005-07-19 2005-07-19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499A KR101133595B1 (ko) 2005-07-19 2005-07-19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07A KR20070010707A (ko) 2007-01-24
KR101133595B1 true KR101133595B1 (ko) 2012-04-09

Family

ID=3801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499A KR101133595B1 (ko) 2005-07-19 2005-07-19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4060B2 (ja) * 2012-05-21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563B1 (ko) * 1997-07-18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의 수신자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563B1 (ko) * 1997-07-18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의 수신자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07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7866B2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US8149467B2 (en) E-mail transmission apparatus, e-mail transmission method and e-mail transmission program
US20140340717A1 (en) Real-time secure digital facsimile implementation using cloud services
US20080148370A1 (en) Method and multi-function machine having an email system for password protecting scanned documents
US8549194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of the same
US83125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pd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a E-mail
US20070016644A1 (en) System and method to exclude certain email recipients from receiving an attachment sent from a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
US20050012966A1 (en) Method for blocking unwanted facsimile transmissions
US795273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2500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ulti function printe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20070206574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KR101133595B1 (ko) 보안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58598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suitable for passing data among plurality of user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embodi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8079092A (ja) 情報通信装置
JP2004304292A (ja) データ送信装置
JP201922081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US10728422B1 (en)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secure scanning
JP2006197386A (ja) データ送信装置
JP4830955B2 (ja) デジタル複合機
JP7265126B2 (ja) 画像形成装置
JP4159444B2 (ja) 画像送信システム及び画像送信装置
JP2007329600A (ja) 画像通信装置
JP2007150387A (ja) 情報誤送信防止システム
JP202215869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004265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