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659A - 튀김기 - Google Patents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659A
KR20130127659A KR1020120051339A KR20120051339A KR20130127659A KR 20130127659 A KR20130127659 A KR 20130127659A KR 1020120051339 A KR1020120051339 A KR 1020120051339A KR 20120051339 A KR20120051339 A KR 20120051339A KR 20130127659 A KR20130127659 A KR 2013012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ryer
frying
uni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진
권오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지
Priority to KR102012005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659A/ko
Publication of KR2013012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통의 홈부의 둘레에 기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형성하여, 냉각부를 이루는 냉각파이프에 냉수를 공급하여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응고시킨 후 배출구를 통해 이들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튀김기는, 튀김기 본체; 상기 튀김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기름이 수용되는 튀김통; 상기 튀김통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튀기통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기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튀김통은, 상기 튀김기 본체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방으로 통형태로 형성되어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모으는 홈부; 상기 홈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의 쌓인 정도 및 기름의 탁도를 확인하는 투명창; 및 상기 홈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찌꺼기, 동물성 지방 또는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튀김기{FRYER}
본 발명은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통의 홈부의 둘레에 기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형성하여, 냉각부를 이루는 냉각파이프에 냉수를 공급하여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응고시킨 후 배출구를 통해 이들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기는 물은 사용하지 않고, 기름만을 튀김통에 넣고 기름전체를 가열하여 튀기는 방법이 있고, 물과 기름을 함께 튀김통에 넣은 다음에 물과 기름의 분리 특성을 이용하여 기름만을 가열하여 튀기는 방법이 있다.
기름만을 이용하여 튀기는 경우에는, 튀김통 내벽에 튀김찌꺼기가 달라붙거나, 기름과 혼합되어 계속해서 가열되므로 기름의 산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기름만을 이용하는 튀김기의 경우에는, 튀김통 내부 및 기름이 쉽게 오염되며, 그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기름이 빨리 산화되기 때문에, 새 기름으로 자주 바꾸어주어야 하므로, 그로 인한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물과 기름을 함께 튀김통에 넣고 물과 기름의 분리 특성을 이용하여 기름만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튀기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경우 물과 기름을 튀김통 내부에 함께 넣더라도, 물과 기름의 밀도 차이로 인해서 경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기름만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되면, 조리시에 발생하는 튀김찌꺼기는 물이 위치한 하부로 가라앉게 되므로, 종래보다 기름을 깨끗한 상태로 오래 유지할 수 있고, 기름의 산화를 지연시킬 수 있어, 기름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하부로 가라앉은 튀김찌꺼기를 수시로 제거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부피가 작은 튀김찌꺼기는 기름에 오래 머무르기 때문에 물 및 기름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통의 홈부의 둘레에 기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형성하여, 냉각부를 이루는 냉각파이프에 냉수를 공급하여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응고시킨 후 배출구를 통해 이들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튀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튀김기는, 튀김기 본체; 상기 튀김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기름이 수용되는 튀김통; 상기 튀김통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튀기통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기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튀김통은, 상기 튀김기 본체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방으로 통형태로 형성되어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모으는 홈부; 상기 홈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의 쌓인 정도 및 기름의 탁도를 확인하는 투명창; 및 상기 홈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찌꺼기, 동물성 지방 또는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튀김기는, 상기 가열부의 상측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튀김재료가 상기 냉각부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기는,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기름온도 또는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은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튀김기 본체는, 상기 튀김통의 유지보수 및 청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냉수가 순환되는 냉각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튀김통의 홈부의 둘레에 기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형성하여, 냉각부를 이루는 냉각파이프에 냉수를 공급하여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응고시킨 후 배출구를 통해 이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 중 튀김통의 정면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튀김기(1)는 튀김기 본체(100), 튀김통(200), 가열부(300) 및 냉각부(500)를 포함한다.
튀김기 본체(100)는 튀김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튀김기 본체(100)는 튀김통(200)의 유지보수 및 청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튀김기 본체(100)는 개구된 형태일 수 있고, 별도로 뚜껑(미도시)이 설치되어 열거나 닫을 수도 있다.
튀김기 본체(100)는 튀김재료가 튀겨진 후에 기름이 빠지도록 하기 위하여, 튀김재료를 튀기는 튀김석쇠 등을 거취할 수 있는 거취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튀김통(200)은 튀김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기름이 수용되는 장치이다. 튀김통(200)은 튀김기 본체(100)와 결합되는데,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튀김통(200)의 외측벽은 튀김기 본체(100)와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튀김통(2000)의 열이 튀김기 본체(1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튀김통(200)은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튀김통(2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부(300)는 튀김통(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즉 가열부(300)는 튀김통(200)의 내부에 수용된 기름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사용자는 가열부(300)를 작동시키면 가열부(300)는 열을 발생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기에 적절한 소정의 온도로 기름을 가열한다. 소정의 온도는 튀김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냉각부(500)는 튀김통(200)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하부의 기름을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냉각부(5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튀김기(1)는 가열부(300)의 상측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튀김찌꺼기가 튀김통(200)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400)은 튀김통(20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가열부(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400)은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촘촘한 그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튀김통(200)의 내부에서 튀김재료를 튀길 때에 발생한 튀김찌꺼기는 밀도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게 되고, 가라앉는 도중 거름망(400)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기름에 부유하는 튀김찌꺼기들은 대부분이 거름망(400)에 의해 걸러지기 때문에 기름의 산화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튀김기(1)는 가열부(300)를 제어하여 기름온도 또는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가열부(300)를 구동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700)는 튀김기 본체(100)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 중 튀김통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튀김통(200)은 경사부(210), 홈부(230), 투명창(250) 및 배출구(270)를 포함한다.
경사부(210)는 튀김기 본체(100)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경사부(210)는 튀김찌꺼기가 밀도에 의하여 아래로 가라앉는 경우, 경사에 의해서 홈부(230)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홈부(230)는 경사부(210)의 하방으로 통형태로 형성되어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모으는 부분이다. 홈부(230)는 튀김통(200)에 비하여 면적이 좁은 통형태로 형성된다. 홈부(230)가 통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이에 수용되는 기름의 양을 최소화하여 기름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부(500)에 의해서 냉각시킬 경우에도 냉각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투명창(250)은 홈부(230)의 일면에 형성되어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의 쌓인 정도 및 기름의 탁도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즉 투명창(250)을 통해 튀김통(200)의 홈부(230)에 쌓인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의 쌓인 정도를 확인하고,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언제 배출시킬 것인지 사용자가 판단하게 된다. 투명창(250)은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화유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270)는 홈부(230)의 일면에 설치되어 찌꺼기를 배출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는 배출구(270)에 있는 밸브(271)의 조작에 의해 튀김통(200)의 홈부(230)에 수용되어 있는 튀김찌꺼기, 동물성 지방 또는 기름을 배출하게 된다. 배출구(270)는 튀김통(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500)는 튀김통(200)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냉각부(500)는 냉각된 공기 또는 냉수가 순환되는 냉각파이프일 수 있다.
냉각부(500)를 형성하는 냉각 파이프를 튀김통(200)의 외부에 설치하여 튀김통(200)의 홈부(230)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낮추어 기름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성 지방을 응고시켜 아래로 가라앉게 한다. 동물성 지방이 응고됨으로써 기름의 산화속도를 늦출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튀김기 100 : 튀김기 본체
110 : 도어부 130 : 거치대
200 : 튀김통 210 : 경사부
230 : 홈부 250 : 투명창
270 : 배출구 300 : 가열부
400 : 거름망 500 : 냉각부
700 : 제어부

Claims (6)

  1. 튀김기 본체;
    상기 튀김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기름이 수용되는 튀김통;
    상기 튀김통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튀기통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기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튀김통은
    상기 튀김기 본체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방으로 통형태로 형성되어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을 모으는 홈부;
    상기 홈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튀김찌꺼기 또는 동물성 지방의 쌓인 정도 및 기름의 탁도를 확인하는 투명창; 및
    상기 홈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튀김찌꺼기, 동물성 지방 또는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상측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튀김재료가 상기 냉각부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기름온도 또는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기 본체는
    상기 튀김통의 유지보수 및 청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수가 순환되는 냉각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KR1020120051339A 2012-05-15 2012-05-15 튀김기 KR20130127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39A KR20130127659A (ko) 2012-05-15 2012-05-15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39A KR20130127659A (ko) 2012-05-15 2012-05-15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59A true KR20130127659A (ko) 2013-11-25

Family

ID=4985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339A KR20130127659A (ko) 2012-05-15 2012-05-15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6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7594A (en) Method of cooking comestibles
CN113163986A (zh) 油炸器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567300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200464259Y1 (ko) 튀김기
KR200456048Y1 (ko) 전기튀김기
KR101447799B1 (ko) 수유식 튀김기
KR20130127659A (ko) 튀김기
KR101214152B1 (ko)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KR101667887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643131B1 (ko)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101379444B1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KR101892515B1 (ko) 냉각장치를 갖는 수유식 튀김용기의 튀김류 역류 방지장치
KR101265764B1 (ko) 동물성 기름 제거가 용이한 튀김기
KR101265765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KR101052615B1 (ko) 튀김기
KR101035521B1 (ko) 튀김기
US20200281407A1 (en) Easily cleanable water and oil fryer
JP3088222U (ja) テーブル付揚物器
KR101538769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KR20110053661A (ko) 찌꺼기 수거수 냉각수단을 구비한 튀김장치
KR20110053663A (ko) 기름 여과수단을 구비한 튀김장치
KR20120111517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160049B1 (ko) 수유식 튀김용기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