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770A -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770A
KR20130125770A KR1020137012540A KR20137012540A KR20130125770A KR 20130125770 A KR20130125770 A KR 20130125770A KR 1020137012540 A KR1020137012540 A KR 1020137012540A KR 20137012540 A KR20137012540 A KR 20137012540A KR 20130125770 A KR20130125770 A KR 2013012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unctional part
drive device
guide element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하이단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1010048723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48723B4/de
Priority claimed from DE201010048803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4880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0056374.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56374B4/d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2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자동차용, 특히 자동차의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용 구동 장치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구동 장치, 특히 자동차의 슬라이딩 루프나 창문 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 요소(10)와, 가이드 요소(10)에 의해 안내되며 특히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기능부(20)와, 가이드 요소(10)에 의해 안내되며 기능부(20)에 연결될 수 있는 캐리어(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리어(30)는 캐리어(30)의 본체(3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연결 요소(34)를 구비함으로써, 캐리어(30)를 가이드 요소(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 요소가 가이드 요소(10)의 수용부(16)의 내부의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결합 위치가 되게 하고, 캐리어(30)가 기능부(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 요소가 기능부(20)의 홈(24)의 내부의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연결 위치가 되게 하며, 캐리어(30)는 캐리어(30)의 본체(32)에 대해 이동 가능한 고정 요소(70)를 구비하고, 고정 요소(70)는 제1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연결 요소(34)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빠져나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시스템{Drive system for a sliding roof or window opener}
본 발명은 가이드 요소와 가이드 요소에 의해 안내되며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기능부와, 가이드 요소에 의해 안내되며 기능부에 연결될 수 있는 캐리어(carrier)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외장 시스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슬라이딩 루프(sliding roof)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윈도우 개방 시스템이나 루프 시스템과,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구동 장치는 자동차의 윈도우 시스템이나, 루프 시스템이나, 예를 들어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roller blind system)과 같은 차양 시스템과 연결된 구성 요소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구동 장치는 가이드 요소를 구비하며,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요소가 가이드 레일(guide rail)로 이해된다. 이러한 가이드 요소는 특별히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기능부와 기능부에 연결될 수 있는 캐리어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기능부와 캐리어는 모두 가이드 요소에 의해 안내되며, 캐리어는 구동 장치의 현재의 기능 상태에 따라 연결 요소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기능 요소는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독일 특허공개공보 10 2009 041 903 B3에 일반적인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캐리어가 상술한 결합 상태에서 기능부와 함께 이동한다. 그러나 캐리어는 기능부로부터 분리되어 그 대신 가이드 요소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가이드 요소에 수용부가 마련된다. 한편으로는 기능부와 결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요소와 결합하기 위해, 캐리어에는 결합 상태에서 가이드 요소의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연결 상태에서는 기능부의 홈부에 배치되는 결합 요소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캐리어에 마련된 조립체, 예를 들어 루프 시스템의 커버가 케이스에 지지된 기능부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기능부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가이드 요소 내에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결합 상태에서, 결합 요소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가이드 요소의 수용부 내로 가압되어 가이드 요소를 따라 캐리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 요소와 스프링 힘의 작용은, 어떤 경우, 예를 들어 캐리어를 바르지 않은 위치에 수동으로 장착하려고 시도하는 경우에 충분하지 못한 사실이 발견되었다.
상술한 독일 특허공개공보 10 2009 041 903 B3는 또한 기능부가 연결부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캐리어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두 개의 조립체들이 동일한 구동 기능부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스프링이 장착된 연결 요소를 갖는 비교적 복잡한 캐리어의 구조로 인해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안전한 결합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구동 장치의 디자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조립체들, 특별히 롤러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 수단이나 플레이트와 같은 차양 시스템 및 커버가 적은 노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일반적인 구동 장치를 개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 면에 따르면, 캐리어는 상술한 방식으로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캐리어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함으로써, 캐리어를 가이드 요소에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 요소가 가이드 요소의 수용부의 내부의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결합 위치에 있게 하고, 캐리어가 기능부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연결 요소가 기능부의 홈의 내부의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연결 위치에 있게 한다. 캐리어는 캐리어의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캐리어는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연결부가 제1 위치로부터 빠져 나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구동 장치의 가이드 요소는 정해진 경로를 따라 기능부와 캐리어의 안내를 허용한다. 가이드 요소는 일반적으로 가이드부와 캐리어가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통로를 갖는 가이드 레일이다. 캐리어는 필요한 경우 연결에 의해 기능부에 연결 가능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차양 수단, 예를 들어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의 신축 가능한 로드나 루프 개방구를 폐쇄하는 커버와 같은 부가적인 조립체를 위한 캐리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소는 캐리어의 일부로써 제공되며, 캐리어에 대해 제한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연결 요소는 캐리어 본체에 대해 가이드 요소의 수용부 내에 위치하도록 연결부로 기능하는 상술한 제1 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부가 마련되지 않는 가이드의 지점들에서, 연결 요소는 캐리어의 본체에 대해 제2 위치를 취하며, 이와 같은 제2 위치는 기능부의 홈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공되어 기능부가 캐리어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가 가이드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기 위해, 연결 요소는 가이드 요소의 수용부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러한 작동이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거나 부적절하게 발생하지 않게 하고 캐리어가 기능부에 결합되었을 때에만 발생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가 마련된다.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고정 요소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캐리어의 본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고정 요소가 이와 같은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고정 요소는 연결 요소가 제2 위치를 취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는 연결 요소를 수용부로 가압하기 위한 힘을 연결 요소에 가하는 제1 스프링에 부가하여 작용을 한다. 이러한 제1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를 캐리어의 본체에 연결하는 스프링 바의 형태이다.
고정 요소도 고정 위치의 방향을 향해 제2 스프링의 힘을 연속적으로 받는 다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로 인해 연결 요소가 수용부의 내부에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고정부가 이동함으로써 고정부가 고정 요소를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방지할 수 없는 경우 고정 요소가 곧 바로 고정 위치를 취하는 자동적인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고정 요소는 기능부를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필요한 모든 경우의 단계 이후에 연결 요소가 연결 요소의 고정 요소에 배치되는 고정 상태를 만들기 위해 부가적인 조치가 불필요하도록 설계된다.
제1 스프링 및/또는 제2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판 스프링이다. 제2 스프링이 판 스프링이어서 연결 요소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이 판 스프링의 평면에 대해 적어도 대략 +/- 20도를 이루는 방향이 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고정 위치에 배치된 고정 요소에 의해 제2 위치가 점유된다면 연결 요소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특히 어렵다.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하나의 단일 스프링의 부분들이라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하나의 단일 부분 스프링은 특히 제조하기에 저렴하다. 더 단순한 변형예로서, 캐리어의 본체 영역과 두 개의 스프링들의 모두는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단일 부분은 연결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연결 요소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고정 요소가 고정 요소로부터 빠져 나와 이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동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가 연결 중에 기능부가 기능 영역과 접촉하고 그 결과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로부터 빠져 나오게 밀어내도록 배치된 기능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고정 요소의 기능 영역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고정부의 운동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며 경사진 슬라이딩 표면으로 설계된다. 고정부가 결합된 캐리어로 접근할 때에 고정부는 기능 영역과 결합하며, 그 결과 기능 영역의 방향을 바꾼다. 그 이후 연결 요소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고정부의 캐리어에 대한 접근에 의해 연결 요소가 제2 위치에서 가이드 요소의 수용부로부터 빠져 나오며 상승하는 작용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부의 캐리어에 대한 접근하는 운동은 초기에는 고정 요소의 운동을 일으키고, 그 이후 연결 요소의 운동을 일으킨다. 연결 요소의 결합 상태의 종료 이후에, 연결 요소는 고정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캐리어에 부가하여 가이드 요소에 의해 안내되는 가압부가 마련되며, 고정부와 가압부의 각각이 접촉면들을 구비함으로써 가압부가 가이드 요소 내에서 고정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설계되는 일반적인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정부와 가압부의 모두는 접촉면들의 관점에서 특히 단순한 디자인을 갖는다. 접촉면들은 고정부를 통해 가압부로 가압력을 도입하는 것만을 허용한다. 그러나 캐리어와는 달리 기능부는 가압부에 가압력을 가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능부와 가압부는 서로를 향하는 측면들의 관점에서 단순하게 설계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구동 장치는 가압부 자체 또는 가압부에 마련된 조립체가 상이한 기구에 기초하여, 일 방향을 향하는, 즉 기능부를 향하는 연속적인 힘,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되는 스프링력을 받는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가압부는 기능부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력에 대항하는 운동이 기능부에 의해 가압부에 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반대 방향을 향하는 운동은 가압부의 운동에 의해 스프링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이후 고정부에 의해 제한된다. 가압부와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기능부의 반대 측면들에 배치된다.
가압부의 동시적인 운동 없이 기능부의 운동이 상술한 스프링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가압부의 운동이 가이드 요소를 따라 한정된 위치를 따라서만 이루어지게 하도록 가이드 요소와 가압부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일치한다. 이러한 작동은 가이드 요소에 대해 고정되며 가압부의 일 방향에서의 자유 로운 운동을 제한하는 정지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가압부가 상술한 스프링력에 의해 기능부에 의해 가압되고 기능부가 운동하는 경우, 이로 인해 가압부가 상술한 정지 수단에 도달할 때까지 연결된 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부의 연속된 운동은 가압부의 연속된 운동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변형예들을 위해, 기능부가 케이블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가압력 및 인장력이 전달될 수 있게 설계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케이블은 특히 가이드 요소의 일 통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케이블은 기능부와 일체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필요한 설계 작업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차양 수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수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동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된다.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강체 요소이며, 루프 개구나 윈도우 개구를 덮기에 적합하다. 차양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개구 위에 펼쳐져 그늘을 제공할 수 있는 차양 롤러 블라이드와 같은 그늘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커버와 차양 수단의 모두를 구비함으로써 루프 개구의 예에서 커버에 의해 밀폐하는 방식으로 루프 개구를 폐쇄하여 차양 수단을 통해 이와 같은 개구를 통과하는 광의 통과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상술한 제2 변형예의 경우 적어도 가압부에 연속적인 이동력을 가하는 이동 스프링이 부가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이동력이 기능부의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하나의 차양 수단이나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가압부에 체결됨으로써 가압부의 운동이 또한 차양 수단의 운동을 일으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장치는, 기능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직접 가압되며 이동 스프링에 의해 기능부가 허용하는 한도에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차양 수단이 가압부에 체결되고, 커버가 캐리어에 체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결과, 많은 차양 시스템들, 특히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들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력이 차양 수단을 가압부에 대해 연속적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루프 시스템, 특히 상술한 유형의 루프 시스템의 일 형태이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리프팅 루프 시스템들(lifting roof systems)과, 틸트-슬라이드 루프 시스템들(tilt-and-roof systems)과, 스포일러 루프 시스템들(spoiler roof systems)을 포함한다. 원리 상, 윈도우 개방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서의 사용과 같은 다른 적용예들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윈도우 개방 시스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개구를 폐쇄하는 시트가 캐리어에 고정되고, 예를 들어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이나 분리 가능한 플레이트를 갖는 시스템으로 설계된 예에서는 차양 수단이 가압부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구동 시스템의 구동 장치는 안전한 결합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들과 본 발명의 두 개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실시예들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한 특징들과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면들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구동 장치를 이용한 루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의 작동의 모드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를 도시한다. 제1 구동 장치는 제1 메인 요소들로서, 가이드 블록(12)이 마련된 가이드 레일(10)을 구비한다. 구동 장치를 형성하는 세 개의 구성 요소들이 가이드 블록(12)을 따라 길이 방향(2)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기능부(20)와, 캐리어(30)와, 가압부(40)이다. 기능부(20)는 가이드 블록(12)의 내에서 모터(미도시)와 구동 케이블(22)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부(20)와 캐리어(30)는 서로에 대해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기능부(20)는 캐리어(30)의 연결 요소(34)를 수용할 수 있는 홈(24)을 구비한다. 연결 요소(34)는 판 스프링(36)에 의해 캐리어(30)의 본체(3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판 스프링은 연결 요소(34)에 화살표(4)의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힘을 가하도록 설계된다. 도 1에 도시된 연결 상태에서는, 연결 요소(34)가 가이드 요소(10)의 가장자리(14)에 의해 기능부의 홈(24)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되므로 판 스프링(36)의 이와 같은 스프링력은 분리를 불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요소의 내에는 기능부(20)로부터 캐리어(30)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용부(16)가 마련된다. 기능부(20)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화살표(2a)의 방향으로 이동하자마자, 연결 요소(34)가 수용부(16)의 높이에 배치될 때까지 캐리어(30)가 당겨진다. 그 이후 연결 요소(34)는 판 스프링(36)에 의해 수용부(16)로 가압되며, 그 결과 연결 요소(34)가 기능부(2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분리의 이후에, 기능부(20)가 화살표(2b)의 방향을 따라 캐리어(30)를 향하여 되돌아가자마자, 연결 요소(34)는 수용부(16)로부터 다시 빠져 나오도록 가압되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면을 통과하여 접근하는 중에 홈(24)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도 1을 참조할 때 캐리어가 수용부(16)의 좌측 면에 배치된다면 캐리어가 항상 기능부(20)에 연결된다. 그러나 우측에서는 캐리어가 수용부(16)를 넘어 기능부(2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가압부(40)는 기능부(20)의 우측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화살표(2b)의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을 연속적으로 받는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10)이 기능부(20)가 통과할 수 있으나 가압부(40)가 통과할 수 없는 정지부(18)를 구비하므로, 가압부(40)는 도 1에 도시된 단부 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 그러나 기능부(20)가 정지부(18)를 통과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 가압부를 향하는 기능부(20)의 접촉면(26)이 가압부(40)의 대응하는 접촉면(42)과 접촉함으로써 기능부(20)의 화살표(2a)를 향하는 우측 방향으로의 연속된 움직임으로 인해 가압부(40)의 동일 방향의 움직임이 이루어진다.
도 2a, 도 2b, 도 2c는 도 1의 구동 장치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루프 개구(54)를 갖는 차량 루프(52)를 구비한 루프 시스템(5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플렉시글라스(Plexiglas)와 같은 광을 투과시키는 소재의 커버(56)가 루프 개구(54)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56)는 루프 개구(54)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차양부(60)는 커버(56)의 하부에 배치되며, 롤러 블라인드 축(62)와 롤러 블라인드 웹(64)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롤러 블라인드 축(62)은 나선형 스프링(미도시)의 감는 방향의 힘을 연속적으로 받는다. 선택적으로는 나머지 부분을 향하는 스프링력을 받는 강성 플레이트를 갖는 차양부(6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커버(56)는 캐리어(30)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완전한 연결은 단순화된 특별한 경우이다. 변형된 구성으로서 캐리어(30)와 커버(56)의 사이의 연결이 방향(2)으로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나, 도 2a에 도시된 위치까지 커버(56)가 상승할 수 있도록 커버(56)의 자유도가 존재함으로써 둘러싸는 루프(52)와 커버가 수평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롤러 블라인드(64)의 단부는 가압부(40)에 연결된다.
도시되며 설명된 구성으로 인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이 달성된다. 도 2a로부터 시작을 하면, 한편에서는 루프 개구(54)가 커버(56)에 의해 폐쇄되고, 루프 개구(54)의 다른 한편에서는 루프 개구를 가로질러 연장된 롤러 블라인드 웹(64)을 가져, 기능부(20)의 화살표(2b)의 방향으로의 운동이 최초로 차양 수단(64)이 이동하게 한다. 기능부(20)가 화살표(2b)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가압부(40)는 감는 축(62)의 나선 스프링의 힘의 결과 기능부(20)를 따라감으로써, 도 2a의 상태에서 도 2b로 전환하는 동안 차양 수단(64)이 처음에는 윈도우 개구(54)를 대부분 개방한다. 가압부(40)가 정지부(18)에 도달하면 롤러 블라인드 웹(64)의 운동이 종료한다. 여기에서부터 화살표(2b)의 방향으로의 가압부(40)의 어떠한 이동도 불가능하다. 그러나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부(20)의 화살표(2b)의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운동은 캐리어(30)와의 결합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결합의 결과로 인해, 기능부(20)의 연속적인 운동은 도 2c의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커버(56)의 운동을 가져올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의 복귀는 기능부의 화살표(2a)의 방향으로의 운동에 의해 달성된다. 캐리어(30)와 기능부(20)의 연결로 인해, 커버(56)는 당기는 힘에 적합하여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 먼저 복귀하고, 이와 같은 위치에서는 캐리어가 기능부(20)로부터 분리된다. 기능부(20)의 화살표(2a)의 방향으로의 연속된 운동의 경우 기능부(20)가 돌아와 가압부(40)와 접촉하며,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2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차양 수단(64)이 감는 축(62)으로부터 다시 풀린다.
따라서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구동되는 기능부를 가지고, 차양 수단(64)과 커버(56)의 순차적인 운동을 허용한다. 수용부(16) 및/또는 정지부(18)의 적용 또는 운동에 의해 운동이 바르게 겹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b에서 가이드 요소(10)가 생략되었다. 도 3a에 도시된 구동 장치도 가이드 그루브(12)를 갖는 가이드 요소(10)를 구비한다. 캐리어(30)와 기능부(40)는 가이드 그루브(12)에 의해 안내된다. 캐리어(30)와 기능부(40)는 도 1에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캐리어의 메인 영역(32)이 화살표(4)의 방향으로 연결 요소(34)의 힘을 항상 가하는 판 스프링(36)을 통해 캐리어의 연결 요소(3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기능부(20)는 연결 요소(34)가 연결된 상태가 되게 하는 홈(24)을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성의 특별한 특징은 고정 요소(70)이다. 고정 요소(70)는 연결 요소(34)와 같이 캐리어의 일부이며, 판 스프링(72)에 의해 캐리어의 본체(32)에 연결된다. 판 스프링(72)은 고정 요소(70)가 도 3b에서 취하는 위치까지 고정 요소(70)를 화살표(6)의 방향으로 하측을 향해 가압한다. 도 3a 및 도 3b는 고정 요소(70)의 고정 위치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고정 위치에서는, 고정 요소(70)가 중간을 가로 막고 있으므로 연결 요소(34)가 화살표(4)의 방향에 대해 이동할 수 없게 하도록 고정 요소(70)가 배치된다. 캐리어(30)가 가이드 요소(10)의 수용부(16)의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와 같은 결합 상태는 연결 요소(34)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확보될 뿐만 아니라 고정 요소(70)에 의해서도 확보된다. 여기에서 캐리어(30)가 가이드 요소(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더 어려워짐으로써, 향상된 기능적 신뢰성이 달성된다.
결합 상태를 종료하고 그 대신 캐리어(30)를 기능부(20)에 연결하는 것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기능부(20)를 캐리어에 가깝게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캐리어(30)와 기능부(20)는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서로 대응됨으로써, 기능부(20)의 화살표(2b)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최초로 고정 요소(70)의 기능면(74)과 기능부(20)의 상승 가장자리(28)의 사이의 접촉을 가져온다. 이로 인해, 고정 요소(70)는 고정 요소가 연결 요소(34)의 이동을 다시 허용할 때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연결 요소(34)가 기능부(20)의 홈(24)으로 들어가는 이와 같은 운동은 기능부(20)에 마련된 가이드 면(20a)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4a 및 도 4b는 캐리어(30)의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된 연결 상태로의 전환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의 배치는 도 3a 및 도 3b의 배치와 약간 다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중요한 구성 요소들의 모든 부분들은 동일하거나 동등한 형태로 제공되었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캐리어(30)는 결합 상태에 있다. 연결 요소(34)는 가이드 요소(10)의 수용부(16)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부(20)의 화살표(2b)의 방향으로 운동은 상승하는 가장자리(28)가 고정 요소(70)와 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은 도 4b에 명확히 나타난 것과 같이, 홈(24)이 수용부(16)의 높이에 위치하여 연결 요소(34)가 수용부(16)에 수용되기 이전에 이루어진다. 도 4c에 명확히 나타난 것과 같이, 기능부(20)의 화살표(2b)의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운동 중에는 고정 요소(70)가 기능부(20)의 상부면(20b)에 놓일 때까지 고정 요소(70)가 실질적으로 상승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4c에서 달성된다. 가이드 면(20a) 내에서의 기능부(20)의 계속된 연속적인 운동은 연결 요소(34)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기능부(20)는 수용부(16)로부터 빠져 나와 상승함으로써 홈(24)으로 가압된다. 이 지점에서의 고정 요소(70)는 연결 요소(34)의 이와 같은 운동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놓인다.
분리 단계는 반대 순서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는다. 연결된 캐리어(30)를 갖는 기능부(20)가 수용부(16)를 지나쳐 이동하자마자, 연결 요소(343)가 스프링(36)에 의해 수용부(16)의 내부로 뒤로 가압되어, 캐리어(30)의 운동의 정지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기능부(20)의 연속된 운동 중의 이와 같은 동작의 정지를 통해, 고정 요소(70)가 하측으로 다시 슬라이딩 함으로써, 수용부(16) 내의 연결 요소를 차단한다. 결합되며 고정된 상태가 다시 회복된다.
10: 가이드 요소
20: 기능부
30: 캐리어
40: 가압부

Claims (15)

  1. 가이드 요소(10)와,
    가이드 요소(10)에 의해 안내되며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기능부(20)와,
    가이드 요소(10)에 의해 안내되며 기능부(20)에 연결될 수 있는 캐리어(30)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구동 장치로서:
    캐리어(30)가 캐리어(30)의 본체(3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연결 요소(34)를 구비함으로써,
    - 연결 요소가 가이드 요소(10)의 수용부(16)의 내측의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캐리어(30)를 가이드 요소(10)에 고정하는 결합 위치가 되게 하고,
    - 캐리어(30)가 기능부(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 요소가 기능부(20)의 홈(24)의 내부의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연결 위치가 되게 하며,
    캐리어(30)의 본체(3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연결 요소(34)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34)가 가이드 요소(10)의 수용부(16)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스프링(36)의 힘을 연속적으로 받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70)가 고정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스프링(72)의 힘을 연속적으로 받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36)과 제2 스프링(72)은 단일 스프링의 부분들인, 자동차용 구동 장치.
  5. 상기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70)는 연결시키는 중에 기능부(20)가 기능 영역(74)과 접촉하고 그 결과 고정 요소(70)가 고정 위치로부터 빠져나오도록 고정 요소(70)를 가압하도록 배치된 기능 영역(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6.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상기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요소(10)에 의해 안내되는 가압부(40)가 부가적으로 마련되고,
    가압부(40)가 기능부(20)에 의해 가이드 요소(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능부(20)와 가압부(40)의 각각이 접촉면(26, 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호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압부(40)가 기능부(20)의 캐리어(30)에 대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가압부(40)가 규정된 위치에만 있도록 가이드 요소(10)와 가압부(40)가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부(20)의 이동을 위해 케이블(2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구동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차양 수단(6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56)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수단(6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56)의 이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구동 장치가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 수단(64)이나 적어도 하나의 커버(56)가 가압부(40)에 체결됨으로써 가압부(40)의 움직임도 차양 수단(64)이나 커버(56)의 움직임을 발생시키고,
    기능부(20)의 방향을 향하는 연속적인 변이 힘을 가압부(40)에 가하는 변이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차양 수단(64)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변이 스프링의 힘이 차양 수단(64)을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차양 수단이 가압부(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차양 수단(64)은 가압부(40)에 체결되고 커버(56)는 캐리어(30)에 체결되는, 시스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루프 시스템(roof system)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리프팅 루프 시스템(lifting roof system)이나, 다중 커버 루프 시스템이나, 틸트-슬라이드 루프 시스템(tilt-and-slide roof system)이나, 스포일러 루프 시스템(spoiler roof syste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윈도우 개방 시스템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7012540A 2010-10-19 2011-10-19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시스템 KR20130125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010048723 DE102010048723B4 (de) 2010-10-19 2010-10-19 Antriebseinheit
DE102010048723.6 2010-10-19
DE102010048803.8 2010-10-20
DE201010048803 DE102010048803A1 (de) 2010-10-20 2010-10-20 Antriebseinheit für Dachsysteme
DE102010056374.9A DE102010056374B4 (de) 2010-12-29 2010-12-29 Mitnehmer einer Antriebseinheit
DE102010056374.9 2010-12-29
PCT/EP2011/068232 WO2012052464A1 (de) 2010-10-19 2011-10-19 Antriebssystem für ein schiebedach oder einen fensterhe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770A true KR20130125770A (ko) 2013-11-19

Family

ID=4490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540A KR20130125770A (ko) 2010-10-19 2011-10-19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9499B2 (ko)
EP (1) EP2629994A1 (ko)
KR (1) KR20130125770A (ko)
CN (1) CN103313867B (ko)
WO (1) WO2012052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6862B (zh) * 2019-02-11 2024-04-12 英纳法天窗系统集团有限公司 一种敞开式车顶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9860C1 (ko) * 1991-09-07 1992-09-17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Stockdorf, De
DE4407286C1 (de) * 1994-03-04 1995-05-04 Webasto Karosseriesysteme Fahrzeugdach mit einer Folge von Lamellen
DE29811016U1 (de) * 1998-06-19 1999-10-28 Meritor Automotive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Sonnendach eines Fahrzeuges
DE19944853C5 (de) 1999-09-18 2007-02-22 Magna Car Top Systems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in vorgegebener Abfolge gegeneinander verstellbare Teile, insbesondere Dach- und/oder Deckelteile von Kraftfahrzeugen
JP2002103978A (ja) * 2000-09-28 2002-04-0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装置
DE10110013C2 (de) * 2001-03-01 2003-06-26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mit zwei transparenten Deckeln
DE10146285B4 (de) * 2001-03-19 2007-03-29 Webasto Ag Fahrzeugdach
DE50212200D1 (de) * 2001-03-19 2008-06-19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Windabweiser mit einstellbarer Stellung
DE102004018461A1 (de) * 2004-04-16 2005-11-03 Arvinmeritor Gmbh Schiebedachsystem
EP1844967A1 (de) * 2006-04-04 2007-10-17 ArvinMeritor GmbH Schiebedachsystem
JP2008037229A (ja) * 2006-08-04 2008-02-21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ガイドフレームの取り付け構造
DE102006037787B4 (de) 2006-08-11 2009-03-12 Webasto Ag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mit modularer Verstell- und Führungsanordnung
DE202007001217U1 (de) 2006-12-29 2007-04-19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EP2098396B1 (en) * 2008-03-04 2012-05-16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Drive unit for at least two movable parts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roof assembly thereof
DE102008017489B3 (de) 2008-04-03 2009-09-10 Webasto Ag Deckelvorrichtung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mit einer Notbetätigung
DE102009041903B3 (de) 2009-09-19 2011-03-03 Michael Heidan Mechanik für Schiebedäc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9994A1 (de) 2013-08-28
CN103313867B (zh) 2017-03-01
WO2012052464A1 (de) 2012-04-26
CN103313867A (zh) 2013-09-18
US20130276560A1 (en) 2013-10-24
US8939499B2 (en)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769B2 (en) Motor vehicle sunroof
CN105365530B (zh) 引导件以及设置有所述引导件的遮阳组件
US4433507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vertical movement of a sliding door
US20050173947A1 (en) Mechanism for a sun roof
US20020113467A1 (en) Motor vehicle roof
US7155862B2 (en) Sliding closure panel assembly
KR20120032002A (ko) 특히 자동차용 슬라이딩 루프 장치
JP311564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1507418A (ja) 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ケーブル式窓リフタ
CN108367658A (zh) 可打开的车辆顶篷,包括具有耦合杆的移位运动机构
CN107995897B (zh) 用于机动车窗的遮蔽装置
US9387749B2 (en) Sunroof apparatus
EP2845759B1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US5203605A (en) Folding roof for an automobile
US20120025568A1 (en) Cover Element Carrier Having Control Slide
KR102066406B1 (ko) 차량용 개방 루프 시스템
KR20130125770A (ko) 슬라이딩 루프나 윈도우 개방 장치의 구동 시스템
GB2455483A (en) Openable vehicle roof with an actuating device for a roof element
EP2845756B1 (en) Vehicle sunroof apparatus
EP1024043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8500193B2 (en) Vehicle roof having drive carriage for cover element
JP2002036882A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US20110049940A1 (en) Vehicle Roof Having Roof Opening System
EP0899138B1 (en) Open roof contruction for a vehicle
CN111216528A (zh) 用于机动车辆的滑动车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