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91A -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 Google Patents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91A
KR20130125191A KR1020120048744A KR20120048744A KR20130125191A KR 20130125191 A KR20130125191 A KR 20130125191A KR 1020120048744 A KR1020120048744 A KR 1020120048744A KR 20120048744 A KR20120048744 A KR 20120048744A KR 20130125191 A KR20130125191 A KR 20130125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ower electrode
housing
electrode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143B1 (ko
Inventor
강윤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웰
Priority to KR102012004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14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전극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상의 하부전극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부전극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하부전극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는 평판 형태의 패널 상에 너트 피더를 통해 공급된 너트가 자동으로 용접되도록 상기 너트 피더, 상부전극장치 및 하부전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자동용접기에서 상기 너트를 상기 패널 상의 일정위치에 정렬하여 상기 상부전극장치와 상호 동작에 의해 접합시키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내측 하단에 탄성부재의 하단부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하우징;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밀착되어 탄발 고정되며, 상기 너트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대한 상기 패널 상 위치를 정렬시키는 너트 정렬 핀; 중앙에 상기 너트 정렬 핀이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하우징;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되는 상부 캡; 및 중앙에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이드 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이 상기 상부 캡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과 밀착되어 상면이 상기 상부 캡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캡의 상단과 같거나 일정높이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고정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Lower electrode device of nut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전극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상의 하부전극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부전극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하부전극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 자동용접기는 평판 형태의 패널에 너트의 한쪽이 자동으로 용접이 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와 같이 평면 형태의 패널에 용접에 의해서 너트가 부착된 형태는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많은 산업분야의 부품 등에 적용이 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135호에 공지된 종래기술에 의한 너트 자동용접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너트 정렬 핀에 너트가 삽입 정렬되어 하부전극에 너트의 하면이 밀착되는 상태를 부분 확대로 추가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너트 자동용접기(10)는 본체(12), 본체(12)의 한쪽 상하 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 전극(14)과 하부 전극(16), 상부 전극(14)과 하부 전극(16) 사이에 위치된 패널(P)을 향해서 너트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너트 피더(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패널(P)의 표면에 너트 피더(20)에 의해서 1개씩 공급이 된 너트(N)는 하면에 상기 패널(P)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P)의 하면에 상기 하부전극(16)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너트 정렬 핀(15)에 안내되어 상기 너트 정렬 핀(15)에 삽입 정렬된 후, 상기 상부 전극(14)과 하부 전극(16)의 상호 동작에 의해서 패널(P)의 표면에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너트 피더(20)에 의해서 공급된 너트(N)는 상기 상부 전극(14)을 포함하는 상부전극장치(13)의 너트 클램프(13a)를 통해 클램핑되어 하강하며, 상기 너트 클램프(13a)는 하단이 상기 하부전극장치(19)의 너트 정렬 핀(15)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너트(N)가 상기 패널(P)의 접합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렬된 후, 상기 상부전극(14)과 하부전극(16)에 의한 전기저항용접을 통하여 용접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너트 자동용접기에서 하부전극장치(19)는 너트(N)의 하면이 밀착된 패널(P)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전극(16)과, 상부에 상기 하부전극(16)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우징(18)과, 상기 하우징(18)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면에 탄성부재(17)가 밀착되어 상기 하부전극(16)에 의해 상기 하부전극(16)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탄발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너트 정렬 핀(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하부전극장치(19)는 하우징(18) 상단에 하부전극(16)이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8) 내측에 너트 정렬 핀(15)이 탄성부재(17)를 통하여 탄발적으로 상기 하부전극(16)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9)는 너트 자동용접기에서 너트 피더(20)를 통해 공급된 너트(N)가 상기 너트 정렬 핀(15)에 삽입 정렬된 후, 상기 너트(N)가 상부 전극(14)과 하부 전극(16)의 상호 동작에 따른 용접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하부전극(16)에 대한 지속적인 마모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전극(16)에 대한 지속적인 마모 현상에 따라 상기 하부전극(16)은 주기적으로 교체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는 하부전극의 주기적인 교체시마다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는 하부전극 전체에 대한 교체가 요구되므로 하부전극의 교체에 따른 비용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서 하부전극의 교체에 따른 비용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하부전극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13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전극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상의 하부전극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부전극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하부전극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상부하우징의 상단부에 판 상으로 구비되는 하부전극이 밀착되도록 상부 캡을 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캡의 분리, 결합만으로 하부전극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전극에 대한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상부 캡이 다각기둥 상으로 구비되고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이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는 면취부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분리 및 결합 작업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하부전극에 대한 교체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는 평판 형태의 패널 상에 너트 피더를 통해 공급된 너트가 자동으로 용접되도록 상기 너트 피더, 상부전극장치 및 하부전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자동용접기에서 상기 너트를 상기 패널 상의 일정위치에 정렬하여 상기 상부전극장치와 상호 동작에 의해 접합시키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내측 하단에 탄성부재의 하단부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하우징;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밀착되어 탄발 고정되며, 상기 너트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대한 상기 패널 상 위치를 정렬시키는 너트 정렬 핀; 중앙에 상기 너트 정렬 핀이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하우징;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되는 상부 캡; 및 중앙에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이드 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이 상기 상부 캡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과 밀착되어 상면이 상기 상부 캡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캡의 상단과 같거나 일정높이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고정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극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 상으로 구비되되 외면에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상향 협소해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 상단으로부터 외면 상단에 이르기까지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 캡의 통공은 상기 하부전극의 경사면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전극이 상기 수직면의 길이만큼 돌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 정렬 핀은 하단부에 외향 경사지게 확장된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 내측으로 협소하게 경사진 후 일정길이 수직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를 클램핑하여 하강시키는 상기 상부전극장치의 상부전극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너트 클램프 하단이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이드 공 하단부에는 상기 너트 정렬 핀의 걸림돌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적으로 밀착 구속되는 걸림턱이 외향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하부전극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캡은 다각기둥 상의 너트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은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어 면취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깊이만큼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 일정길이에 대하여 내향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 하부의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 고정되는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의 단턱 상측 외면에도 일정높이에 대하여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캡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대하여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부 캡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 고정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부전극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상의 하부전극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부전극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하부전극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상부하우징의 상단부에 판 상으로 구비되는 하부전극이 밀착되도록 상부 캡을 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캡의 분리, 결합만으로 하부전극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전극에 대한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상부 캡이 다각기둥 상으로 구비되고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이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는 면취부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분리 및 결합 작업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하부전극에 대한 교체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나타낸 분리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나타낸 분리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다.
도 3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는 평판 형태의 패널(P) 상에 너트 피더(101)를 통해 공급된 너트(N)가 자동으로 용접되도록 상기 너트 피더(101), 상부전극장치(110) 및 하부전극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자동용접기(100)에서 상기 너트(N)를 하면이 상기 패널(P) 상의 일정위치에 밀착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상부전극장치(110)와 상호 동작에 의해 접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너트 자동용접기(100)의 하부전극장치(120)는 하부하우징(150), 너트 정렬 핀(160), 상부하우징(170), 상부 캡(180) 및 하부전극(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50)은 하단부가 상기 너트 자동용접기(100)에서 상기 하부전극장치(120)를 고정설치하는 고정대(13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특히 내측 하단에 탄성부재(140)의 하단부가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하우징(150)은 내측 하단에 일정지름을 가지는 고정홈(151)이 하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고정홈(151)을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140)의 하단부가 일정길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하부하우징(150)은 상기 고정홈(151) 상단으로부터 상기 고정홈(151)보다 확대된 설치홈(15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설치홈(152) 내에는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이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탄발적으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너트 정렬 핀(160)은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140)의 상단에 밀착되어 탄발 고정되는 것으로, 즉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은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설치홈(152) 내에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탄발 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너트 정렬 핀(160)은 상기 너트(N)의 결합공(H)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N)에 대한 상기 패널(P) 상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은 하단부에 외향 경사지게 확장된 걸림돌부(161)와, 상기 걸림돌부(161)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162)와, 상기 연장부(162)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 내측으로 협소하게 경사진 후 일정길이 수직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N)를 클램핑하여 하강시키는 상기 상부전극장치(110)의 상부전극(1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너트 클램프(113) 하단이 접촉되는 접촉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170)은 중앙에 상술한 너트 정렬 핀(160)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공(17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가이드 공(171) 하단부에는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의 걸림돌부(161)가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탄발적으로 밀착 구속되도록 걸림턱(172)이 외향 경사지게 확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걸림턱(172)에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의 걸림돌부(161)가 탄발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탄성부재(140)를 통하여 하중에 의한 가압시 선택적으로 탄발력을 가지고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캡(180)은 중앙에 통공(18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상단부에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전극(190)은 중앙에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가이드 공(171)과 연통되는 연통공(191)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이 상기 상부 캡(180)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상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상면이 상기 상부 캡(180)의 통공(181)을 통하여 상기 상부 캡(180)의 상단과 같거나 일정높이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극(19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 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외면에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상향 협소해지는 경사면(192)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192) 상단으로부터 외면 상단에 이르기까지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19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캡(180)의 통공(181)은 상기 하부전극(190)의 경사면(192)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캡(180)의 통공(181)이 경사지게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캡(18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전극(190)이 상기 수직면(193)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는 상기 하부전극(190)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하우징(150)과 상부하우징(17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캡(180)이 다각기둥 상의 너트 타입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150)과 상부하우징(170)은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어 면취부(153, 17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다각기둥 상의 너트 타입으로 구비되는 상기 상부 캡(180)과,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어 면취부(153, 173)가 형성되는 상기 하부하우징(150)과 상부하우징(170)을 통하여, 상기 하부전극(190)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하우징(150)과 상부하우징(17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는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깊이만큼 나선(S)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하부 일정길이에 대하여서는 내향 단턱(174)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174) 하부의 외면에도 나선(S)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50)과 상부하우징(170)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단턱(174) 상측 외면에도 일정높이에 대하여 나선(S)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캡(180)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대하여 나선(S)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70)과 상부 캡(180)도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상부에 상기 상부하우징(170)이 결합 고정되며, 특히 상기 상부하우징(170)은 상기 단턱(174)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턱(174)의 상부 외면과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외면이 동일선 상이 되도록 결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너트(N)를 접합 고정하고자 하는 패널(P) 상의 일정위치에 관통 형성된 통공(미부호)를 통하여 너트 정렬 핀(160)의 접촉부(163)가 삽입되도록 상기 패널(P)을 하부전극장치(120)의 하부전극(190) 상면 상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너트(N)를 너트 피더(101)로부터 공급받아 상부전극장치(110)의 너트 클램프(113)로 클램핑하여 상기 너트(N)가 클램핑 된 상태로 상기 상부전극장치(110)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전극장치(110)의 하강을 통하여 상기 너트 클램프(113)의 하단이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의 접촉부(163)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너트 클램프(113)에 의해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이 일정길이 탄발적으로 하강된다.
동시에 상기 너트 클램프(113)에 의해 클램핑 된 상기 너트(N)의 결합공(H)이 상기 너트 정렬 핀(160)의 접촉부(163) 하단으로부터 연장부(162)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너트 정렬 핀(160)에 의한 상기 너트(N)의 상기 패널(P) 상에 접합될 위치에 정렬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N)의 상기 패널(P) 상에 접합될 위치에 정렬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상부전극장치(110)의 상부전극(111)은 하면이 상기 너트(N)의 상면에 밀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전극(111)의 상기 너트(N)의 상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전극(190)은 상기 너트(N)가 개재된 상기 패널(P) 저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전기저항용접을 통하여 상기 너트(N)가 상기 패널(P)의 접합하고자하는 위치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100)의 하부전극장치(120)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너트(N)를 용접하고자 하는 패널(P) 상에 용접 고정하는 공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반복적인 공정을 통하여 상기 하부전극(190)은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마모 발생에 따라 상기 하부전극(190)은 주기적으로 교체가 요구된다.
이때,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는 상기 하부전극(190)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상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부전극(190)의 주기적으로 교체가 요구되는 상기 하부전극(190)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는 상기 상부하우징(170)의 상단부에 판 상으로 구비되는 하부전극(190)이 밀착되도록 상부 캡(180)을 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캡(180)의 분리, 결합만으로 하부전극(190)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전극(190)에 대한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120)는 상부 캡(180)이 다각기둥 상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상부하우징(170) 및 하부하우징(150)이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는 면취부(173, 153)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분리 및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하부전극(190)에 대한 교체작업도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너트 자동용접기
101: 너트 피더 110: 상부전극장치
111: 상부전극 113: 너트 클램프
120: 하부전극장치
130: 고정대 140: 탄성부재
150: 하부하우징 151: 고정홈
152: 설치홈 153: 면취부
160: 너트 정렬 핀 161: 걸림돌부
162: 연장부 163: 접촉부
170: 상부하우징 171: 가이드 공
172: 걸림턱 173: 면취부
174: 단턱 180: 상부 캡
181: 통공 190: 하부전극
191: 연통공 192: 경사면
193: 수직면
N: 너트 H: 결합공
P: 패널
S: 나선

Claims (5)

  1. 평판 형태의 패널 상에 너트 피더를 통해 공급된 너트가 자동으로 용접되도록 상기 너트 피더, 상부전극장치 및 하부전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 자동용접기에서 상기 너트를 상기 패널 상의 일정위치에 정렬하여 상기 상부전극장치와 상호 동작에 의해 접합시키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내측 하단에 탄성부재의 하단부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하우징;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밀착되어 탄발 고정되며, 상기 너트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대한 상기 패널 상 위치를 정렬시키는 너트 정렬 핀;
    중앙에 상기 너트 정렬 핀이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발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하우징;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고정되는 상부 캡; 및
    중앙에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이드 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하면이 상기 상부 캡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과 밀착되어 상면이 상기 상부 캡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캡의 상단과 같거나 일정높이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고정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 상으로 구비되되 외면에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상향 협소해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 상단으로부터 외면 상단에 이르기까지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 캡의 통공은 상기 하부전극의 경사면과 대응되어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전극이 상기 수직면의 길이만큼 돌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정렬 핀은 하단부에 외향 경사지게 확장된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 내측으로 협소하게 경사진 후 일정길이 수직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를 클램핑하여 하강시키는 상기 상부전극장치의 상부전극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너트 클램프 하단이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이드 공 하단부에는 상기 너트 정렬 핀의 걸림돌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적으로 밀착 구속되는 걸림턱이 외향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의 교체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캡은 다각기둥 상의 너트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은 각각 외면에 180도 대향되어 면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깊이만큼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 일정길이에 대하여 내향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 하부의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 고정되는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의 단턱 상측 외면에도 일정높이에 대하여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캡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대하여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부 캡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KR1020120048744A 2012-05-08 2012-05-08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KR10139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44A KR101397143B1 (ko) 2012-05-08 2012-05-08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744A KR101397143B1 (ko) 2012-05-08 2012-05-08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91A true KR20130125191A (ko) 2013-11-18
KR101397143B1 KR101397143B1 (ko) 2014-05-19

Family

ID=4985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744A KR101397143B1 (ko) 2012-05-08 2012-05-08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1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2263A (zh) * 2013-12-31 2015-07-01 北京北方微电子基地设备工艺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反应室定位结构及反应室
KR20200088875A (ko) * 2017-12-14 2020-07-23 하우매트 에어로스페이스 인코포레이티드 저항 스폿 리벳 용접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299B1 (ko) 2014-07-21 2016-01-07 주식회사 조웰 너트 자동용접기의 용접전극 연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127B2 (ja) * 1993-11-02 2004-05-10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抵抗溶接装置および電極チップの取付け方法
KR100968766B1 (ko) 2008-02-27 2010-07-08 (주)한진파워텍 너트 자동용접장치
JP3148669U (ja) * 2008-11-26 2009-02-26 新光機器株式会社 電気抵抗スポット溶接機用電極、電気抵抗スポット溶接機用電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2263A (zh) * 2013-12-31 2015-07-01 北京北方微电子基地设备工艺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反应室定位结构及反应室
KR20200088875A (ko) * 2017-12-14 2020-07-23 하우매트 에어로스페이스 인코포레이티드 저항 스폿 리벳 용접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143B1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5419B (zh) 一种用于服务器滑轨的锁定机构
KR101397143B1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CN108247661B (zh) 连接吸嘴的组装结构
CN102528257B (zh) 二氧化碳气体保护焊接装置用焊丝接合装置
CN108012446B (zh) 一种翻板装置
CN108306609B (zh) 夹具及具有夹具的板状元件组装系统
KR101714242B1 (ko) 리브너트 용접용 전극유닛
WO2017067309A1 (zh) 一种利用接触传感器的电力供电设备
KR101310269B1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상부전극장치용 너트 클램프
KR101585549B1 (ko) 용접 장치용 팁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CN111883391A (zh) 一种新型继电器
KR101667545B1 (ko) 프로젝션 용접기용 전극유닛
CN103706929A (zh) 螺柱焊机的防烟尘装置
CN104235778A (zh) 灯具及其安装底座
KR101187695B1 (ko) 저압용 진공압력 스위치
CN211858093U (zh) 一种检测压头及检测治具
TWI735183B (zh) 毛細管導引裝置以及打線接合裝置
KR101549604B1 (ko)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CN217692040U (zh) 一种电阻焊辅助快速加热基材超声波焊接装置
KR101593024B1 (ko) 용접 장치용 팁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KR101936256B1 (ko) 센서 고정 장치
CN103541980A (zh) 一种安装卡扣及采用该安装卡扣连接的转向开关
KR101492263B1 (ko) 사용수명이 향상되는 고정용 지그의 클램프
CN220155765U (zh) 磁力搭铁器
KR101700674B1 (ko) 교체가 용이한 글라스 패드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