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766B1 - 너트 자동용접장치 - Google Patents

너트 자동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766B1
KR100968766B1 KR1020080017852A KR20080017852A KR100968766B1 KR 100968766 B1 KR100968766 B1 KR 100968766B1 KR 1020080017852 A KR1020080017852 A KR 1020080017852A KR 20080017852 A KR20080017852 A KR 20080017852A KR 100968766 B1 KR100968766 B1 KR 10096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welding electrode
welding
pan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547A (ko
Inventor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주)한진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진파워텍 filed Critical (주)한진파워텍
Priority to KR102008001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7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4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에 너트를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통상적인 너트 용접장치에 있어서, 하부용접전극는 내부가 빈 상태에서 상부가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접전극 하부로는 내부가 비고 측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된 하부지그가 연결되며, 상기 하부용접전극과 하부지그 내측으로는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 하부로 구비된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너트 자동용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너트와 패널의 용접 시, 상부용접전극이 하강하면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부용접전극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상기 상부용접전극에 접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지지핀에 의해 막혀있던 관통부를 통해 너트와 패널의 용접부위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너트와 패널 사이의 이물질을 불어 제거하는 동시에 용접부위에 기공(blowhol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춘다.
너트 용접장치, 너트, 패널, 점 용접, 너트로드, 에어호스, 변위센서, 감지센서, 집진기

Description

너트 자동용접장치 { automatic welding apparatus for nut }
본 발명은 패널에 너트를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상에 너트를 용접 시 하부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용접부위의 이물질 제거 및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패널과 너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부용접전극의 정확한 승·하강 및 너트의 정확한 세팅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게 바디와 새시로 구분되며, 이와 같은 바디와 새시에는 여러 가지 부품들이 볼트로서 상호 결합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품을 볼트 결합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최근에는 조립성 개선 및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패널 상에 미리 너트를 용접 고정한 상태에서 각 부품들을 상기용접 고정된 너트에 볼팅 결합하게 된다.
상기 너트는 주로 점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용접·고정되는데, 상기 점 용접은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용접 형태의 하나로서, 접합하고자 하는 판을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끼워놓은 상태에서 전류를 통하면 접촉면의 전기저항이 크므로 발열하게 되고, 접촉면의 저항은 곧 소멸하게 되나 이 발열에 의하여 재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모재 자체의 저항이 커져서 온도는 더욱 상승함과 동시에 전극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져 두 금속판을 접합하는 일종의 전기저항용접이다.
이와 같은 점 용접 방식을 통해 금속으로 제조되는 패널 상에 너트를 용접·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너트 용접장치인데, 이는 본체의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상부용접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용접전극의 하부로는 상단이 돌출한 지지핀이 형성된 하부용접전극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핀에 너트를 공급하는 너트피드가 구비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너트를 용접할 패널의 통공을 상기 지지부에 맞춰 끼운 상태로 하부용접전극에 안착시키고, 그 상부로 너트를 안착시킨 후에, 상기 상부용접전극을 하강시켜 압력을 가해 너트와 패널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용접전극과 하부용접전극에 전기를 가하여, 그 저항열에 의해 너트와 패널을 용접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너트 용접장치를 이용한 너트와 패널의 용접 시, 용접부위의 내부 및 외측으로 기공(blowhole)이 발생하거나, 너트 용접장치의 사용장소가 청결하지 못하여 각종 이물질이 용접부위에 잔존하여 용접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였지만,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어, 너트 용접장치를 이용해 제조된 제품의 불량률이 높은 실정이었다.
게다가, 상기 너트 용접장치에 너트 또는 패널이 공급되지 않거나 두 개 이상 쌓일 때, 혹은 너트가 옆으로 세워지거나 지지핀에서 벗어나 공급되는 등 너트나 패널의 공급이 정상적이지 못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용접 불량이 다수건 발생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부품의 낭비를 초래하여 제작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용접전극의 내부가 빈 상태에서 상부가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하부용접전극 내부에서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핀 하부로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며, 하부용접전극 측면으로는 빈 내측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됨으로써, 너트와 패널의 용접 시, 상부용접전극이 하강하면 이에 접하는 지지핀이 탄성 스프링에 의 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관통부를 통해 너트와 패널의 용접부위로 에어가 분사되는 너트 자동용접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 자동용접장치의 상부용접전극 측면으로는 상부용접전극의 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변위센서가 구비되고, 상부용접전극 하부로 너트가 완전하게 밀착하여 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너트 자동용접장치를 통한 너트와 패널의 용접 시, 너트와 패널의 용접부위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너트와 패널 사이의 이물질을 불어 제거하는 동시에 용접부위에 기공(blowhol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변위센서에 의해 최초 설정된 하강 높이와의 편차 발생 유무를 통한 너트 및 패널의 공급상태 및, 감지센서를 통한 너트의 정확한 세팅상태를 감지하여, 용접불량의 방지에 따른 부품의 불필요한 낭비 방지 및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통하여 제작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패널에 너트를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상에 너트를 용접 시 하부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용접부위의 이물질 제거 및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패널과 너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부용접전극의 정확한 승·하강 및 너트의 정확한 세팅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통상적인 너트 용접장치에 있어서, 하부용접전극는 내부가 빈 상태에서 상부가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접전극 하부로는 내부가 비고 측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된 하부지그가 연결되며, 상기 하부용접전극과 하부지그 내측으로는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 하부로 구비된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너트 자동용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너트와 패널의 용접 시, 상부용접전극이 하강하면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부용접전극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핀이 상기 상부용접전극에 접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지지핀에 의해 막혀있던 관통부를 통해 너트와 패널의 용접부위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너트와 패널 사이의 이물질을 불어 제거하는 동시에 용접부위에 기공(blowhol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춘다.
그리고 상기 너트 자동용접장치의 상부용접전극 측면으로는 상부용접전극의 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변위센서가 구비되어, 하강 높이와의 편차 발생 유무를 통한 너트 및 패널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고, 상부용접전극 하부로 너트가 완전하게 밀착 하여 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너트의 정확한 세팅상태를 감지하여, 용접불량의 방지에 따른 조립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여 제작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킨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너트 자동용접장치를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너트 자동용접장치(10)는, 도1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의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상부용접전극(110)과, 상기 상부용접전극(110)의 하부로 고정되는 하부용접전극(120)과, 상기 하부용접전극(120)으로 너트(20)를 공급하는 너트로드(140) 및, 상기 본체(100) 외부에서 가이드튜브(210)를 통해 너트로드(140)에 너트(20)를 공급하는 너트피더기(200)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용접전극(120)은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서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홈(121)과, 상기 삽입홈(121) 중앙에서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관통되어 후설할 지지핀(133)이 통과 가능한 관통부(12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22) 하부를 따라서는 외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넓어지는 경사홈(1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용접전극(120) 하부로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그(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지그(130)는 상부에서 내측으로 홈이 파인 공간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31) 외측을 따라서는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하부용접전극(120)의 삽입홈(121) 내측으로 밀착하여 삽입·고정되는 수용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그(130)의 측면으로는 공간부(131)에서 외측으로 관통된 에어공급부(136)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공급부(136)로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137)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하부용접전극(120)과 하부지그(130) 내측으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20) 및 패널(30)의 통공 내측으로 삽입해 이를 지지하는 지지핀(133)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핀(133)은 하부용접전극(120)의 관통부(122)를 통해 하부용접전극(12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상부로 너트(20)와 패널(30)을 동시에 안착시킨 후에도 소정의 길이가 돌출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핀 형태에 그 하부 끝단부는 경사홈(123)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134)가 형성되어 경사홈(123)에 경사부(134)가 밀착·걸림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핀(133)의 하부로는 탄성 스프링(135)을 구비한다.
이렇게 형성된 하부용접전극(120)과 하부지그(130) 및 지지핀(133)은 도3 또 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135)이 하부지그(130)의 공간부(131) 내부로 삽입된 다음, 하부에서 지지핀(133)이 관통부(122)를 통과하도록 구비된 하부용접전극(120)의 삽입홈(121) 내부로 하부지그(130)의 수용부(132)를 밀착·삽입하여 고정한 형태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탄성 스프링(135)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일정한 텐션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지지핀(133)은 도4 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용접전극(120)의 관통부(122)를 통과한 상태에서 경사부(134)가 경사홈(123)에 밀착·걸림 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 때문에 하부지그(130)의 에어호스(137)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는 공간부(131) 내에 가득 찬 상태에서 외부로 유출되지않고 유지되다가 도7 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핀(133)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경사부(134)가 경사홈(123)에서 떨어지는 동시에 그 사이의 틈을 통해 에어가 관통부(122)를 따라 유출되면서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부용접전극(110)으로는 변위센서(111) 및 감지센서(112)가 각각 구비되어 너트(20)와 패널(30)의 세팅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는데, 먼저, 변위센서(11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용접전극(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부용접전극(110)이 하강하는 높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패널(30)과 너트(20)가 정확히 세팅된 상태에서 상부용접전극(110)이 하강하는 높이를 최초에 설정하게 되면, 너트(20) 또는 패널(30)이 공급되지 않거나 두 개 이상 쌓일 때, 혹은 너트(20)가 옆으로 세워지는 등으로 인한 상부용접전극(110)의 최초 설정된 하강 높이와의 편차가 발생할 경우, 너트(20) 또는 패널(30)의 불량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용접작업이 중지되거나 경고음을 울리는 등을 통해 너트(20)와 패널(30)을 다시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감지센서(112)는 도6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20)와 접하는 상부용접전극(110)의 하부면에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 형성되어 너트(20)와 상부용접전극(110)의 접점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부용접전극(110)의 하강 시, 이에 접하는 너트(20)가 거꾸로 공급되거나 지지핀(133)에 끼움 되지 않고 제 위치를 벗어난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 등에 의해 너트(20)가 상기 감지센서(112)의 양측에 동시에 접하지 않게 되면, 상부용접전극(110)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아, 너트(20)와 패널(30)의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부품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해 제작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0)의 하부용접전극(120)과 너트피더기(200)의 측면으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기(150)를 더 구비하는데, 너트(20)와 패널(30)의 용접작업은 고정된 하부용접전극(120) 측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작업 시 하부용접전극(120)의 관통부(122)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너트(20)와 패널(3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면, 그 측면으로 구비된 집진기(150)가 상기 비산되는 이물질 을 집진함으로써, 이물질이 용접부위로 다시 날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너트피더기(200)에서 너트(20)가 정렬되면서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먼지 역시 집진기(150)로 집진함으로써,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시켜, 용접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너트 자동용접장치(10)는 기공(blowhole)이나 이물질에 의한 용접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너트(20)와 패널(30)의 정확한 세팅을 감지하여, 부품의 낭비를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하 너트 자동용접장치(10)를 이용한 너트(20)와 패널(30)의 용접방법의 설명을 통해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너트 자동용접장치(10)를 이용하여 패널(30) 상에 너트(20)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용접전극(120)의 관통부(122)를 통과하여 돌출된 지지핀(133)에 용접할 패널(30)의 관통된 통공을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패널(30)을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위치시킨 다음, 너트피더기(200)에서 선별되어 정렬된 너트(20)가 가이드튜브(210)를 통해 너트로드(140)로 공급되면, 너트로드(140)는 이 너트(20)를 패널(30)의 통공 상부로 돌출된 지지핀(133)에 삽입시켜 패널(30) 상에 용접할 너트(20)가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핀(133)은 패널(30)과 너트(20)를 동시에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20) 상부로 소정의 길이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용접할 패널(30)과 너트(20)가 차례로 구비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용접전극(110)이 하강하면서 너트(20)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용접전극(110)은 하강하면서 변위센서(111)에 의해 하강하는 높이를 감지하여, 패널(30) 또는 너트(20)의 세팅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상부용접전극(110)의 하부면과 너트(20)의 접촉 시 감지센서(112)에 의해 너트(20)의 끼움 상태를 확인하여, 패널(30) 또는 너트(20)의 세팅 및 끼움 상태가 불량하면 정확히 세팅되도록 다시 조작하고, 패널(30)과 너트(20)가 정확히 세팅되면 상부용접전극(110)과 하부용접전극(120)에 전기가 인가되어 너트(20)와 패널(30)이 용접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용접전극(110)은 너트(20)를 가압하면서 상부용접전극(110)과 하부용접전극(120)에 각각 전기가 인가되어 너트(20)를 패널(30) 상에 용접하게 되는데, 이때, 도7 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135)의 탄성에 의해 하부용접전극(120)의 경사홈(123)에 밀착·걸림 된 상태에서 일정한 텐션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지지핀(133) 역시 상기 상부용접전극(110)에 의해 너트(20)와 동시에 눌림으로써, 하부로 눌린 지지핀(133)의 경사부(134)가 하부용접전극(120)의 경사홈(123)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 때문에 하부지그(130)의 공간부(131) 내에 가득 찬 고압의 에어가 관통부(122)를 통해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분사되게 된다.
이를 통해 너트(20)와 패널(30)의 용접 시, 용접부위로 고압의 에어가 불어짐에 따라 너트(20)와 패널(30) 사이에 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용접되는 동안 용접부위에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피더기(200) 및 하부용접전극(120) 측면으로 구비된 집진기(150)에 의해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집진함으로써, 이물질이 용접부위로 다시 날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시켜, 용접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너트(20)와 패널(30)의 용접이 완료되면, 상부용접전극(110)은 다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핀(133) 역시 탄성 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다가 하부용접전극(120)의 경사홈(123)에 경사부(134)가 밀착·걸림 되면서 관통부(122)를 통한 에어의 분사가 중단되고, 다음 작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복합적으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장치의 전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 자동용접장치의 측면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용접전극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용접전극의 일부 절취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용접전극의 조립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접전극과 하부용접전극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접전극과 하부용접전극의 단면도.
도8은 도7의 A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너트 자동용접장치 20: 너트 30: 패널
100: 본체 110: 상부용접전극 111: 변위센서
112: 감지센서 120: 하부용접전극 121: 삽입홈
122: 관통부 123: 경사홈 130: 하부지그
131: 공간부 132: 수용부 133: 지지핀
134: 경사부 135: 탄성 스프링 136: 에어공급부
137: 에어호스 140: 너트로드 150: 집진기
200: 너트피더기 210: 가이드튜브

Claims (4)

  1. 본체(100)의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상부용접전극(110)과, 상기 상부용접전극(110)의 하부로 고정되는 하부용접전극(120)과, 상기 하부용접전극(120)으로 너트(20)를 공급하는 너트로드(140) 및, 상기 본체(100) 외부에서 가이드튜브(210)를 통해 너트로드(140)에 너트(20)를 공급하는 너트피더기(200)로 구성되는 너트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너트 피더기(200)와 하부 용접 전극(120) 측면으로 용접과정에서 비산 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집진하는 집진기(150)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용접전극(110)의 측면에는, 너트(20) 또는 패널(30)의 세팅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용접전극(110)의 하강하는 높이를 감지하는 변위센서(111)가 구비되고, 이 상부 용접 전극(110)의 하부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 너트(20)와 상부 용접 전극(110)의 접점을 감지하여 너트(20)의 정상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센서(112)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용접전극(120)은, 하부에서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홈(121)과, 상기 삽입홈(121) 중앙에서 하부용접전극(120) 상부로 관통된 관통부(122) 및, 관통부(122) 하부를 따라서 외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넓어지는 경사홈(1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접 전극(120) 하부로는, 상부에서 내측으로 홈이 파인 공간부(131)와, 상기 공간부(131)의 상부 외측을 따라서 하부 용접 전극(120)의 삽입홈(121) 내측으로 밀착하여 삽입·고정 가능하도록 돌출된 수용부(132)와, 공간부(131) 외측으로 관통된 에어공급부(136) 및 상기 에어공급부(136)에 연결되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호스(137)가 형성된 하부 지그(13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접전극(120)의 관통부(122)를 통해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 형태에 그 하부 끝단부는 경사홈(123)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134)가 형성된 지지 핀(133)과, 상기 지지 핀(133)의 하부로는 탄성 스프링(135)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탄성 스프링(135)이 하부지그(130)의 공간부(131) 내부로 삽입되고, 하부에서 지지 핀(133)이 관통부(122)를 통과한 상태에서 경사부(134)가 경사홈(123)에 밀착·걸림 되는 하부 용접 전극(120)의 삽입홈(121) 내부로 하부 지그(130)의 수용부(132)를 밀착·삽입하여 고정한 하부 용접 전극(120)으로 구성되어,
    상부 용접 전극(110)이 하강하면서 하부 용접 전극(120) 측의 탄성 스프링(135)에 의해 지지 된 지지 핀(133)을 밀어 내리게 되면, 경사 홈(123)과 관통부(122)에 의해 발생 된 공간을 통하여 에어 호스(137)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가 순간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너트와 패널의 용접 시, 감지센서에 의한 너트의 정확한 위치 인식과,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용접부 주위의 이물질 제거 및 용접 과정에서의 기공발생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자동 용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17852A 2008-02-27 2008-02-27 너트 자동용접장치 KR10096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852A KR100968766B1 (ko) 2008-02-27 2008-02-27 너트 자동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852A KR100968766B1 (ko) 2008-02-27 2008-02-27 너트 자동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547A KR20090092547A (ko) 2009-09-01
KR100968766B1 true KR100968766B1 (ko) 2010-07-08

Family

ID=4130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852A KR100968766B1 (ko) 2008-02-27 2008-02-27 너트 자동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43B1 (ko) 2012-05-08 2014-05-19 주식회사 조웰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CN108788426A (zh) * 2018-06-29 2018-11-13 广州中设机器人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板件自动生产线上的螺母凸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96B1 (ko) * 2019-04-09 2020-04-03 주식회사 한강이엔지 저항 용접 장치
KR102096401B1 (ko) * 2019-11-14 2020-04-03 주식회사 한강이엔지 저항 용접 방법
KR102502266B1 (ko) 2021-06-08 2023-02-21 티에이치산업주식회사 너트 자동 용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71U (ja) * 1992-05-15 1993-12-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装置
KR960010159A (ko) * 1994-09-23 1996-04-20 전성원 프로젝션 너트의 용접 시스템
KR19990007618A (ko) * 1998-10-10 1999-01-25 김용무 플라즈마 아크절단기의 배연장치
KR20010013244A (ko) * 1998-04-02 2001-02-26 모리시타 요이찌 고융점 재료의 용융접합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71U (ja) * 1992-05-15 1993-12-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装置
KR960010159A (ko) * 1994-09-23 1996-04-20 전성원 프로젝션 너트의 용접 시스템
KR20010013244A (ko) * 1998-04-02 2001-02-26 모리시타 요이찌 고융점 재료의 용융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7618A (ko) * 1998-10-10 1999-01-25 김용무 플라즈마 아크절단기의 배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43B1 (ko) 2012-05-08 2014-05-19 주식회사 조웰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CN108788426A (zh) * 2018-06-29 2018-11-13 广州中设机器人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板件自动生产线上的螺母凸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547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766B1 (ko) 너트 자동용접장치
KR101407075B1 (ko) 웰딩 너트의 용접불량 검출장치
KR101918192B1 (ko) 다종 볼트의 불량 일괄 검출 장치
CN111547487A (zh) 一种料管缺失检测防呆的冲切机台及其控制方法
CN103862214B (zh) 连接套的取料系统及连接套的取料方法
CN106624503B (zh) 顶升定位装置、油汀片输送设备和油汀焊接系统
JP2021109228A (ja) 溶接用下部電極機構の組付け方法および溶接用下部電極機構
CN111974697A (zh) 一种水管螺母的自动检测结构
KR102517555B1 (ko) 자동 볼트 압입기
KR101357108B1 (ko)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KR101328659B1 (ko) 차량용 연료분배관의 연결캡 검사장치
CN209647944U (zh) 一种车厢板焊接工业机器人
JP2011051003A (ja) スポット溶接ロボットの溶接電極ズレ検出方法
KR200377936Y1 (ko) 휴대폰용 배터리셀 용접장치
CN219572985U (zh) 汽车顶盖上边梁螺母螺柱检测工装
JP4503774B2 (ja) 多段式ナット溶接不良検出装置
CN219900623U (zh) 一种具有螺母防错检测的凸焊装置
CN104874641B (zh) 一种密集小孔检测方法
CN215145599U (zh) 基于激光测距的螺母焊接检测装置
CN211856467U (zh) 一种锻件用自动化探伤装置
CN112207381A (zh) 一种激光锡焊机及其操作方法
CN210548787U (zh) 一种空调底盘的点焊装置
CN217317719U (zh) 一种螺母检测定位装置
CN112090777B (zh) 一种轴承外圈漏工序检测装置
CN218411031U (zh) 一种用于真空玻璃检测的厚度快速测量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