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604B1 -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604B1
KR101549604B1 KR1020140019105A KR20140019105A KR101549604B1 KR 101549604 B1 KR101549604 B1 KR 101549604B1 KR 1020140019105 A KR1020140019105 A KR 1020140019105A KR 20140019105 A KR20140019105 A KR 20140019105A KR 101549604 B1 KR101549604 B1 KR 10154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inge
welding rod
receiv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049A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4001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6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기재된 내용은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한쪽 측면에는 체결공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일측 중앙에는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의 일측 단부에는 제1수납부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의 사이에는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제1클램프와, 저면의 일측 중앙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며 저면의 일측 단부에는 제2수납부가 형성되고 저면의 타측에는 상기 제1안착홈과 대향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홈 사이에는 상기 제2힌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제2클램프와,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의 사이에 내재되는 탄성부재와,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클램프의 상면과 접면되어 선택적 접촉에 따라 상기 제2클램프를 하측으로 밀어주는 캠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단부에는 상기 제2힌지부에 끼워져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절결홈이 형성된 레버부재가 포함되는 것과 관련된다.
이러한 기재된 내용은 클램프에 구비되는 레버부재의 단순한 전후 회전을 통하여 클램프로부터 용접봉의 교체를 간단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할 수 있어 스폿 용잡장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용접봉 교체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Welding Rod Clamp For Spot Welding Device}
기재된 내용은 스폿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용접봉을 견고하면서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폿 용접(점 용접:spot welding)은 금속에 전류가 흐를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모재에 압력을 주면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두매이상 겹쳐진 모재를 상,하부전극의 선단에 개재하고 어느 한곳에 전류를 통전 및 가압하여 접촉된 모재에서 발생하는 저항열을 통해 모재를 용융결합시키는 전기 저항 용접의 일종이다.
이러한 스폿 용접은 주로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등의 강판 결합을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가압방식에 따라 레버 가압형, 직상 가압형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전원방식 또는 전류의 파형에 의한 분류에 따라 단상 교류식, 3상식, 축열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폿 용접장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20-1995-0002180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으며, 종래의 스폿 용접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재와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와, 전극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와, 완충부를 통해 전극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극부는 모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 전극봉과 모재의 상면에 안착되어 가압부의 의해 하강되는 상부 전극봉으로 구성되고, 하부 전극봉과 상부 전극봉은 각각 스폿 용접장치에 구비된 클램프의 내부에 끼워진 후 클램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스폿 용접장치에 구비되는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스폿 용접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용접봉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 작업자는 클램프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제거한 후 클램프로부터 용접봉을 분리한 다음 새로운 용접봉을 클램프에 끼우고 다시 체결부재를 클램프에 체결해야 함에 따라 용접봉의 교체작업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재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램프를 이용한 용접봉의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면서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기재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측면에는 체결공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일측 중앙에는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의 일측 단부에는 용접봉의 저면 일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1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와 대향된 타측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의 사이에는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제1클램프;와 저면의 일측 중앙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힌지결합되며, 저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수납부와 대향되어 용접봉의 상면 일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2수납부가 형성되고, 저면의 타측에는 상기 제1안착홈과 대향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제2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홈 사이에는 상기 제2힌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제2클램프;와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의 사이에 내재되어 제2클램프의 타측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와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클램프의 상면과 접면되어 선택적 접촉에 따라 상기 제2클램프를 하측으로 밀어주는 캠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단부에는 상기 제2힌지부에 끼워져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절결홈이 형성된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연장부는 제1클램프의 상면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를 통해 수납되는 용접봉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연장부의 체결공은 장공의 형태로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1클램프의 상면 또는 제2클램프의 저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클램프의 상면과 제2클램프 저면과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1클램프의 상면과 제2클램프의 저면은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클램프의 상면과 제2클램프 저면과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
기재된 내용은 클램프에 구비되는 레버부재의 단순한 전후 회전을 통하여 클램프로부터 용접봉의 교체를 간단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할 수 있어 스폿 용접장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용접봉 교체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폿 용접장치의 측면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폿 용접장치에 구비되어 용접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폿 용접장치에 구비되어 용접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용접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의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용접봉을 분리시키기 위한 클램프의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기재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스폿 용접장치는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베이스프레임(500) 상에서 구동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고정대(600)와, 그러한 고정대(600)의 대향된 상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완충부(700)와, 완충부(700)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800)가 포함되며, 용접봉이 고정되는 클램프는 그러한 연결부(800)에 고정된다.
용접봉이 고정되는 클램프의 구성은 상하로 마주하면서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탈착가능하도록 용접봉이 수납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와, 그러한 제1클램프와 힌지결합된 제2클램프의 타측을 제1클램프로부터 상측을 향해 밀어주는 탄성부재와, 제2클램프의 타측 상면에 위치하여 제2클램프의 타측을 하측방향으로 밀어주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크게 구분되며,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클램프(100)는,
클램프의 하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2 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클램프(100)의 어느 한쪽 측면에 연장부(150)가 형성되고, 그러한 연장부(150)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공(151)이 형성되며, 체결공(151)은 체결부재(도면중 미도시)를 통해 스폿 용접장치의 연결부(800)에 고정된다.
체결공(151)은 장공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결부(800)에 고정되는 연장부(150)의 설치위치를 장공의 간격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클램프(100)의 상면 중 일측 중앙에는 제1힌지부(1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힌지부(110)와 대향되는 제1클램프(100)의 상면 중 타측에는 내부를 향하여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안착홈(14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제1안착홈(140)에는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의 하측 일부분이 각각 수용된다.
제1클램프(100)의 상면 중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안착홈(140) 사이에는 제2힌지부(120)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클램프(100)의 제1힌지부(110)에 근접하는 상면 일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원형의 제1수납부(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수납부(130)에는 용접봉이 놓여지게 되면서 용접봉의 저면 일부가 제1수납부(130)에 감싸져 안착된다.
제2클램프(200)는,
클램프의 상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2 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클램프(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클램프(200)의 저면 중 일측 중앙에는 관통부(210)가 형성되어 전술한 제1클램프(100)의 제1힌지부(110)가 그러한 관통부(210)에 관통되고, 제2클램프(200)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힌지핀(250)이 제1힌지부(110)의 측면에 관통되면서 제2클램프(200)와 제1힌지부(110)가 서로 힌지결합되며, 제1힌지부(110)와 대향되는 제2클램프(200)의 저면 중 타측에는 내부를 향하여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2안착홈(240)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제2안착홈(240)은 전술한 제1클램프(100)의 제1안착홈(140)에 대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의 하측 일부는 제1안착홈(140)에 수용되고 탄성부재(300)의 상측 일부는 제2안착홈(240)에 수용된다.
제2클램프(200)의 저면 중 타측에 형성된 제2안착홈(240)의 사이에는 절개부(220)가 형성되어 전술한 제1클램프(100)의 제2힌지부(120)가 그러한 절개부(220)를 통해 끼워져 제2클램프(200)의 타측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제2클램프(200)의 관통부(210) 및 절개부(220)는 각각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서 시작되는 홈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관통되는 구멍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제2클램프(200) 또한 제1힌지부(110)에 근접하는 제2클램프(200)의 저면 일측 단부에는 반원형의 제2수납부(2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2수납부(230)는 전술한 제1클램프(100)의 제1수납부(130)와 대향되게 형성됨에 따라 용접봉의 상면 일부는 제2수납부(230)에 의해 감싸져 안착된다.
용접봉은 제1클램프(100)의 제1수납부(130)와 제2클램프(200)의 제2수납부(230)에 의해 감싸져 수납된 상태에서 제1수납부(130) 및 제2수납부(230)의 내면과 용접봉의 외면과의 접면상태에 따라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의해 용접봉이 고정되거나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로부터 용접봉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제2클램프(200)의 절개부(220)에 끼워져 돌출되는 제2힌지부(120)에는 후술되는 레버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핀(440)으로 힌지 결합되며, 레버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전술한 제1힌지부(110)를 회전중심으로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양방향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클램프(100)의 제1수납부(130)와 제2클램프(200)의 제2수납부(230)에 용접봉이 수납될 때 용접봉의 길이방향으로 제1클램프(100)의 연장부(150)가 위치되는 경우 서로 간섭이 될 수 있으므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부(150)의 상면은 제1클램프(10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단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300)는,
전술한 제1클램프(100)의 제1안착홈(140)과 그러한 제1안착홈(140)에 마주하는 제2클램프(200)의 제2안착홈(24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제1안착홈(140)과 제2안착홈(240)이 이루는 내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원통형, 장구형, 데퍼형, 번데기형 등의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제1안착홈(140)과 제2안착홈(240)에 수용되면서 제2클램프(200)의 타측 저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올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일정한 압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제2수납부(230)는 제1수납부(130)쪽으로 이동되어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가 이루는 내경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용접봉과 제1수납부(130) 및 제2수납부(230)의 내면과 접면되는 압력이 커지게 되어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수납된 용접봉은 클램프로부터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용접봉을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반대로 제2클램프(200)의 타측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며, 이때 탄성부재(300)는 압축되고, 제2수납부(230)는 제1수납부(130)의 반대쪽으로 이동되어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가 이루는 내경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용접봉과 제1수납부(130) 및 제2수납부(230)의 내면과 접면되는 압력이 작아지게 되어 용접봉을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2클램프(200)의 타측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300)가 복원되면서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다시 상측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의 내경은 다시 작아지게 됨은 물론이다.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제2클램프(200)의 일측을 고정하고 있는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클램프(100)와 제2클램프(200)의 일측에 위치한 제1힌지부(110)를 시작으로 제1클램프(100)와 제2클램프(200)의 타측으로 갈수록 제1클램프(100)의 상면과 제2클램프(200)의 저면 간의 간격이 점점 커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클램프(100)와 상면과 제2클램프(200)의 저면 간의 간격은 제1클램프(100)의 상면이 평면이면서 제2클램프(200)의 저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제2클램프(200)의 저면은 평면이면서 제1클램프(100)의 상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제1클램프(100)의 상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과 동시에 제2클램프(200)의 저면 또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클램프(100)의 상면과 제2클램프(200)의 저면의 기울기 및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상하방향을 회전되면서 제2클램프(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2수납부(230)가 제1수납부(130)를 향하여 모여지거나 제1수납부(130)로부터 제2수납부(230)가 벌어질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레버부재(400)는,
전술한 제2클램프(200)의 타측을 하측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레버부재(4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410)가 구비되고, 레버부재(400)의 타측에는 제2클램프(200)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면되는 캠부(420)가 형성되며, 레버부재(400)의 타측 단부에는 절결홈(430)이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절결홈(430)에 전술한 제2힌지부(120)가 끼워진 후 레버부재(400)의 타측 단부의 측면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핀(440)이 제2힌지부(120)에 관통하게 되면서 레버부재(400)가 제2힌지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부재(400)의 캠부(420)는 일 예로 레버부재(400)와 제2힌지부(120)를 힌지결합시켜주는 체결핀(440)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선단부인 제1캠면(421)까지의 거리(d1)가 체결핀(440)에서 길이방향과 수직인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선단부인 제2캠면(422)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레버부재(400)가 제2클램프(200)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캠부(420)의 제2캠면(422)이 제2클램프(20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제2캠면(422)은 거리(d2)가 짧아 제2클램프(200)의 상면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탄성부재(300)가 제2클램프(200)의 타측 저면을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클램프(200)의 제2수납부(230)가 제1수납부(130)쪽으로 이동되어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수납되는 용접봉은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레버부재(400)가 제2클램프(2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캠부(420)의 제1캠면(421)이 제2클램프(20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제1캠면(421)의 거리(d1)가 제2캠면(422)의 거리(d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됨에 따라 제1캠면(421)이 제2클램프(20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제1안착홈(140)과 제2안착홈(240)에 수용된 탄성부재(300)가 압축되면서 제2클램프(200)의 상면 타측이 하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클램프(200)의 제2수납부(230)는 제1수납부(130)로부터 이격되면서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수납되어 있던 용접봉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재된 내용에 따른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를 이용하여 용접봉이 교체되는 과정을 도 4 와 도 5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폿 용접장치의 연결부(800)에 클램프가 설치되고, 이러한 클램프에 용접봉이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봉을 통해 스폿 용접장치에 놓여진 모재가 용접되며, 이러한 스폿 용접장치를 이용한 모재의 용접 과정에서 용접봉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도 4 와 같이 제2클램프(200)의 상면에 수평하게 위치한 레버부재(400)의 손잡이부(4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어올려 도 5 와 같이 레버부재(400)를 수직상태로 만들어주면 레버부재(400)의 캠부(420)에 의해 제2클램프(200)의 상면 타측이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때 탄성부재(300)는 압축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레버부재(400)의 수직상태에 따라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하측을 향하여 회전되면 상대적으로 제2클램프(200)의 저면 일측 단부에 위치한 제2수납부(230)는 제1수납부(130)와 이격되어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수납된 용접봉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새로운 용접봉을 서로 이격된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수납시킨 다음 수직상태로 세워져 있던 레버부재(400)를 다시 도 4 와 같이 수평상태로 회전시켜주게 되면 캠부(42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던 제2클램프(200)의 타측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제1힌지부(110)를 중심으로 다시 상승되고 상대적으로 제2클램프(200)의 저면 일측 단부에 위치한 제2수납부(230)는 제1수납부(130)쪽으로 이동되면서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의 가압에 의해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에 수납된 새로운 용접봉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수납부(130)와 제2수납부(230)가 용접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력은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300)를 설치함에 있어서 용접봉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력과 상응하는 인장력을 가진 탄성부재(30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1클램프 110 : 제1힌지부
120 : 제2힌지부 130 : 제1수납부
140 : 제1안착홈 150 : 연장부
151 : 체결공 200 : 제2클램프
210 : 관통부 220 : 절개부
230 : 제2수납부 240 : 제2안착홈
250 : 힌지핀 300 : 탄성부재
400 : 레버부재 410 : 손잡이부
420 : 캠부 421 : 제1캠면
422 : 제2캠면 430 : 절결홈
440 : 체결핀 500 : 베이스프레임
600 : 고정대 700 : 완충부
800 : 연결부

Claims (5)

  1.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이동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대향된 상하부 끝단에 위치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클램프가 고정되는 연결부가 포함되는 스폿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측면에는 체결공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일측 중앙에는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의 일측 단부에는 용접봉의 저면 일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1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와 대향된 타측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의 사이에는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제1클램프;
    저면의 일측 중앙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가 끼워진 상태로 힌지결합되며, 저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수납부와 대향되어 용접봉의 상면 일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2수납부가 형성되고, 저면의 타측에는 상기 제1안착홈과 대향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제2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홈 사이에는 상기 제2힌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제2클램프;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의 사이에 내재되어 제2클램프의 타측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 및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클램프의 상면과 접면되어 선택적 접촉에 따라 상기 제2클램프를 하측으로 밀어주는 캠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단부에는 상기 제2힌지부에 끼워져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절결홈이 형성된 레버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제1클램프의 상면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를 통해 수납되는 용접봉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체결공은 장공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의 상면 또는 제2클램프의 저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클램프의 상면과 제2클램프 저면과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의 상면과 제2클램프의 저면은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클램프의 상면과 제2클램프 저면과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KR1020140019105A 2014-02-19 2014-02-19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KR10154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105A KR101549604B1 (ko) 2014-02-19 2014-02-19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105A KR101549604B1 (ko) 2014-02-19 2014-02-19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049A KR20150098049A (ko) 2015-08-27
KR101549604B1 true KR101549604B1 (ko) 2015-09-03

Family

ID=5405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105A KR101549604B1 (ko) 2014-02-19 2014-02-19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338B1 (ko) 2020-11-09 2021-03-18 나이스레이저(주) 용접용 클램프
CN114535883B (zh) * 2022-03-29 2024-05-28 浙江晶科能源有限公司 夹爪组件及焊带的夹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18B1 (ko) 2009-11-19 2010-06-21 (주)위드 저항 용접용 전극홀더 및 그것을 갖는 저항 용접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18B1 (ko) 2009-11-19 2010-06-21 (주)위드 저항 용접용 전극홀더 및 그것을 갖는 저항 용접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049A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803B1 (ko)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TWI540032B (zh) 剪切治具
EP1970915A3 (en) Electric power cable fixing apparatus for an insulator
KR101549604B1 (ko) 스폿 용접장치의 용접봉 클램프
KR101714242B1 (ko) 리브너트 용접용 전극유닛
KR101780011B1 (ko) 전지모듈들을 고정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및 그것에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체결하는 방법
KR101426685B1 (ko) 휴대형 용접 와이어 이음장치
CN209998634U (zh) 一种适用于电池模组的焊接工装
CN204868160U (zh) 直角工件定位装置
KR101397143B1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KR102119655B1 (ko) 용접봉 홀더
KR101675753B1 (ko) 가변형 공작물 고정장치
US20170264031A1 (en)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US2199793A (en) Terminal clamp for electric fuses, etc.
CN109202342B (zh) 将固定支架焊接到板状部件上的凸焊夹具
US1996888A (en) Fuse holder
CN203751959U (zh) 用于固定异形零件的夹具
KR101875310B1 (ko) 태핑 장치
CN218253501U (zh) 辅助激光焊接的压紧装置及激光焊接机
CN214607826U (zh) 一种电动自行车用固定式龙头把手机卡盘
CN104772548A (zh) 一种电连接器焊接夹持装置
TWM505375U (zh) 工件加工夾具之改良結構
US1045911A (en) Electric metal-working machine.
CN213439274U (zh) 具有滑动轴承的自适应工件夹具
US1933942A (en) Weldrod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