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10B1 - 태핑 장치 - Google Patents

태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10B1
KR101875310B1 KR1020170017915A KR20170017915A KR101875310B1 KR 101875310 B1 KR101875310 B1 KR 101875310B1 KR 1020170017915 A KR1020170017915 A KR 1020170017915A KR 20170017915 A KR20170017915 A KR 20170017915A KR 101875310 B1 KR101875310 B1 KR 10187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ase material
driving
support plat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재성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소재성
이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재성, 이용철 filed Critical 소재성
Priority to KR102017001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6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는, 탭(Tap)을 통해 모재의 일면에 태핑(Tapping)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탭이 상기 일면의 태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모재를 배치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재의 일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모재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핑 장치{Apparatus for Tapping}
본 발명은 태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재에 구멍의 내면을 깍아내는 작업을 다량으로 행하는 경우 특히 스터드볼트를 나사로 박아 넣기 위하여 구멍을 뚫고 나사를 깍는 작업 등에는 탭(tap)을 사용하며 이를 태핑(tapping) 작업이라 하고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태핑 장치라 한다.
종래의 태핑 장치(1)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살펴보면, 탭(4)은 통상 지지장치 혹은 척(Chuck)에 의하여 태핑 장치(1)의 주축(2)에 장착되며, 이 주축(2)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태핑 깊이에 맞게 승하강 시키면서 모재를 가공하였고, 주축(2)이 하나의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 및 승하강을 하며 태핑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태핑 장치(1)는, 주축(2)에 장착된 탭(4)이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그에 따라 모재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가공할 수 있는 모재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모재의 고정이 쉽지 않고, 가공시 모재의 고정력이 상당히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이고 다양한 모재에 태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태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는, 탭(Tap)을 통해 모재의 일면에 태핑(Tapping)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탭이 상기 일면의 태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모재를 배치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재의 일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모재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재의 일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모재를 배치시키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이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을 연결하는 이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2 지지판 상에서 상기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및 상기 제1 이동수단이 상기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좌우이동레일이 형성된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전후이동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탭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1 이동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모재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상하이동레일이 형성되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탭을 포함하며 상기 탭을 구동수단으로부터 연장시키되 상기 탭을 위치시키는 탭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탭 수단은, 상기 탭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수단에 고정되는 고정체; 및 상기 탭 수단을 고정하며,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탭 수단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탭 수단이 상기 모재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이동레일은, 상기 고정체의 일면이 함몰 형성되는 암 고정부분; 및 상기 이동체의 일면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암 고정부분에 대응형성되어, 상기 암 고정부분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암 고정부분은, 좌우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체의 일면이 함몰 형성된 내측으로 기설정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 고정부분의 상하이동시 상기 수 고정부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는, 탭과 모재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태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모재의 지지가 안정적이게 되어 태핑 작업의 안정성이 극대화되고 태핑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안전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태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의 구동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의 구동부의 상승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의 구동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의 구동부의 상승시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핑 장치(10)는, 지지부(11), 이동부(12) 및 구동부(13)를 포함한다.
지지부(11)는, 모재(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며, 구동부(13)와 이동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고, 모재의 일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모재를 배치시킨다 .
구체적으로, 지지부(11)는, 모재의 일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모재를 배치시키는 제1 지지판(111), 제1 지지판(111)으로부터 하측으로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구동부(13)와 이동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지지판(113), 제1 지지판(111)과 제2 지지판(113)이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제1 지지판(111)과 제2 지지판(113)을 연결하는 이격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판(11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B)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B)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격판(112)은, 구동부(13)의 구동수단(131)의 크기로 인해 모재에 탭(133a)이 적절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지지판(111)으로부터 하향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판(113)은, 제1 지지판(111)과 좌우 길이가 동일하게 또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탭(133a)의 이동범위가 모재의 전 좌우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12)는, 탭(133a)이 모재의 일면의 태핑(Tapping)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동부(13)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2)는, 구동부(13)가 배치되며 구동부(13)가 모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전후이동레일(121b)이 형성되고, 구동부(13)를 제2 지지판(113) 상에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121), 제1 이동수단(121)이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좌우이동레일(122b)이 형성된 이동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수단(121)은, 제2 지지판(113) 상에 형성된 좌우이동레일(122b)을 따라서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하고, 구동수단(131)을 제1 이동수단(121) 자체에 형성된 전후이동레일(121b)을 따라서 모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수단(121)의 모재에 대한 좌우 이동은, 제1 핸들(121a)에 의해 조작되며, 구동수단(131)의 모재에 대한 전후 이동은 제2 핸들(122a)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수단(121) 또는 구동수단(131)의 좌우 또는 전후 이동의 조작은 핸들(121a, 122a) 외의 다른 조작수단에 의해서도 구현가능할 수 있다.
구동부(13)는, 탭(133a)을 통해 모재의 일면에 태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는, 탭(133a)을 구동하는 구동수단(131), 제1 이동수단(121)과 연결되며 구동수단(131)을 모재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상하이동레일(132b)이 형성되는 제2 이동수단(132), 탭(133a)을 포함하며, 탭(133a)을 구동수단(131)으로부터 연장시키되 탭(133a)을 위치시키고, 탭(133a)이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위치시키는 탭 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수단(132)은, 탭 수단(133)을 고정하며, 고정체(1322)에 대하여 탭 수단(133)을 상하로 이동시켜 탭 수단(133)이 모재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이동체(1321) 및 제1 이동수단(121)에 고정되는 고정체(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이동레일(132b)은, 고정체(1322)의 일면이 함몰 형성되는 암 고정부분(1322a) 및 이동체(1321)의 일면이 돌출 형성되되, 암 고정부분(1322a)에 대응 형성되어 암 고정부분(1322a)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수 고정부분(1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암 고정부분(1322a)은 좌우 양단부가 각각 고정체(1322)의 일면이 함몰 형성된 내측으로 기설정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 고정부분(1321a)의 상하이동시 수 고정부분(1321a)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131)은 일례로 전기모터일 수 있으며, 탭(133a)의 회전을 구현하는 다양한 구동수단일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수단(132)은, 고정체(1322)와 이동체(1321) 사이에 형성된 상하이동레일(132b)을 따라서 이동체(1321)가 모재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하며, 이동체(1321)의 상하 이동은 제3 핸들(132a)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1321)가 모재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A1) 이동체(1321)의 일면에 고정된 탭 수단(133)의 탭(133a) 및 주축(133b)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A2)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핑 장치(10)는, 탭(133a)과 모재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태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모재의 지지가 안정적이게 되어 태핑 작업의 안정성이 극대화되고 태핑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안전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종래의 태핑 장치 2: 주축
3: 구동 모터 4: 탭
10: 본 발명의 태핑 장치 11: 지지부
111: 제1 지지판 112: 이격판
113: 제2 지지판 12: 이동부
121: 제1 이동수단 121a: 제1 핸들
121b: 전후이동 레일 122: 이동판
122a: 제2 핸들 122b: 좌우이동 레일
13: 구동부 131: 구동수단
132: 제2 이동수단 132a: 제3 핸들
132b: 상하이동 레일 1321: 이동체
1321a: 수 고정부분 1322: 고정체
1322a: 암 고정부분 133: 탭 수단
133a: 탭 133b: 주축
B: 지지 프레임

Claims (5)

  1. 탭(Tap)을 통해 모재의 일면에 태핑(Tapping)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탭이 상기 일면의 태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모재를 배치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재의 일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모재를 배치시키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2 지지판 상에서 상기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탭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1 이동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모재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상하이동레일이 형성되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탭을 포함하며 상기 탭을 구동수단으로부터 연장시키되 상기 탭을 위치시키는 탭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수단에 고정되는 고정체; 및
    상기 탭 수단을 고정하며,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탭 수단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탭 수단이 상기 모재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이동레일은,
    상기 고정체의 일면이 함몰 형성되는 암 고정부분; 및
    상기 이동체의 일면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암 고정부분에 대응형성되어, 상기 암 고정부분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암 고정부분은,
    좌우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체의 일면이 함몰 형성된 내측으로 기설정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 고정부분의 상하이동시 상기 수 고정부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암 고정부분은,
    좌우 양단부의 상기 고정체의 일면이 함몰 형성된 내측으로 기설정길이만큼 돌출 시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탭 수단이 관통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이 좌우방향보다 더 긴 형태의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을 연결하는 이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수단이 상기 모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좌우이동레일이 형성된 이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모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전후이동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수단은,
    상기 탭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핑 장치.
  5. 삭제
KR1020170017915A 2017-02-09 2017-02-09 태핑 장치 KR10187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15A KR101875310B1 (ko) 2017-02-09 2017-02-09 태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15A KR101875310B1 (ko) 2017-02-09 2017-02-09 태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10B1 true KR101875310B1 (ko) 2018-08-02

Family

ID=6325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15A KR101875310B1 (ko) 2017-02-09 2017-02-09 태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748A (ko) * 2021-03-22 2022-09-29 황민욱 프로파일 탭 가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57B1 (ko) * 2006-12-29 2008-02-21 (주)아워 솔루션 3축 정밀이동이 가능한 수평식 드릴링머신
KR100967166B1 (ko) * 2008-06-10 2010-07-05 주식회사 태일정밀 금형 표면 가공기
KR20130101671A (ko) * 2012-02-29 2013-09-16 장규철 수평식 측면 가공장치
KR20150111215A (ko) * 2014-03-25 2015-10-05 대신전자 주식회사 공작물 자동 측면 가공기
KR200481126Y1 (ko) * 2016-02-12 2016-08-17 배광섭 자동 측면 드릴링머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57B1 (ko) * 2006-12-29 2008-02-21 (주)아워 솔루션 3축 정밀이동이 가능한 수평식 드릴링머신
KR100967166B1 (ko) * 2008-06-10 2010-07-05 주식회사 태일정밀 금형 표면 가공기
KR20130101671A (ko) * 2012-02-29 2013-09-16 장규철 수평식 측면 가공장치
KR20150111215A (ko) * 2014-03-25 2015-10-05 대신전자 주식회사 공작물 자동 측면 가공기
KR200481126Y1 (ko) * 2016-02-12 2016-08-17 배광섭 자동 측면 드릴링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748A (ko) * 2021-03-22 2022-09-29 황민욱 프로파일 탭 가공 장치
KR102493695B1 (ko) 2021-03-22 2023-01-30 황민욱 프로파일 탭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11702A (ja) 卓上丸鋸のバイス装置
CN204135939U (zh) 一种用于夹紧板材的工作台
US20070144508A1 (en) Tile cutter
CN103722491B (zh) 塑胶模具顶针磨削治具
KR101875310B1 (ko) 태핑 장치
KR100785455B1 (ko) 휴대용 부스바 가공장치
KR101027241B1 (ko) 커팅각도가 조절되는 목재 재단장치
CN105252654A (zh) 异形角专用切割机
JP3165294U (ja) 丸鋸切断機用補助具
JP5120935B2 (ja) 畳床裁断装置
CN205074777U (zh) 轴瓦打孔装置
KR20120094997A (ko) 앵글용 절단기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CN211052582U (zh) 一种板材打孔机构
CN211052853U (zh) 一种多角度激光打标机
US20080196705A1 (en) Cutting means for a slate cutter
KR101853200B1 (ko) 자동 위치정렬 지그가 구비된 사출물 사상장치
KR20160091132A (ko) 라벨지의 다이커팅장치
CN220348182U (zh) 一种零件加工定位装置
JP6182285B1 (ja) コアドリル装置及びコアドリル装置における位置決め機具
JP3190546U (ja) 切断装置の補助治具
CN112777925A (zh) 一种玻璃切割装置的辅助安装装置
CN219426173U (zh) 一种彩钢瓦切割装置
KR200473601Y1 (ko) 론지의 직선 및 간격 조정용 지그
KR102484767B1 (ko)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