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470A - 고속 펄핑 두유 머신 - Google Patents

고속 펄핑 두유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470A
KR20130124470A KR1020137000424A KR20137000424A KR20130124470A KR 20130124470 A KR20130124470 A KR 20130124470A KR 1020137000424 A KR1020137000424 A KR 1020137000424A KR 20137000424 A KR20137000424 A KR 20137000424A KR 20130124470 A KR20130124470 A KR 2013012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oymilk
cooker
uni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223B1 (ko
Inventor
슈닝 왕
쉥화 왕
종인 리우
웨이쉥 조우
Original Assignee
조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010195075.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20478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20219055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85511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20543739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2014544U/zh
Application filed by 조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조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자가조리 두유 머신은 베이스(1), 콘트롤유닛(12), 분쇄조리부(121), 분쇄조리부(131)내의 분쇄블레이드(134), 분쇄블레이드(134)를 회전시키는 모터(135) 및 가열기를 포함한다. 모터(135) 및/또는 분쇄조리부(131)는 베이스(1)에 설치되고, 모터는 콘트롤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유 재료와 물이 분쇄조리부(131)에서 혼합되고 세리플렉스/페이스트로 분쇄될 때, 세리플렉스/페이스트는 세리플렉스/페이스트, 분쇄블레이드(134) 및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 가열된다. 고분쇄조리 효율을 갖는 분쇄조리부의 설계는 자가조리 두유 머신으로 하여금 펄핑시간을 단축시키고 5분 내에 펄프를 생산하게 한다.

Description

고속 펄핑 두유 머신{SOYBEAN MILK MACHINE OF RAPID PULPING}
본 발명은 식품 가공기구, 특히 두유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 두유 메이커는 콩 분쇄 및 두유 제조의 작동원리에 따라 세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첫번째 타입의 두유 메이커에는 컵체(cup body) 내에 메시 커버(mesh cover)가 장착된다. 콩은 메시 커버에 놓여지고 메시 커버 내에 돌출된 커터에 의해 분쇄된다. 이어서, 그로부터 제조된 두유는 그것이 메시 커버의 홀(hole)을 통해 컵체로 흘러들어간다.
두번째 타입의 두유 메이커에 있어서, 메시 커버는 제거된다. 콩은 컵체 내에 놓여지고 고속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두유가 된다. 이러한 타입의 두유 메이커에는 컵체의 내벽에 콩의 분쇄를 용이하게 하는 배플(baffle)이 더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플에 의해서, 컵체 내의 공간이 불규칙해지고, 유체의 순환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블레이드(blade)의 법선방향의 힘(radial force)에 의해서 컵의 벽으로 유동하는 재료가 블레이드의 근처로 다시 흘러들어오며 분쇄된다.
세번째 타입의 두유 메이커에 있어서, 메시 커버는 유동 안내부재로 대체된다. 분쇄수행시, 재료는 컵체에 놓여지고 분쇄커터의 펌핑 운동에 의해서 유동 안내부재의 내측과 외측을 순환하면서 분쇄되어 두유가 생성된다.
그러나, 두유를 만들기 위해서, 위의 세가지 타입의 두유 메이커 각각에는 재료가 분쇄커터의 근처로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분쇄되도록 대공간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재료의 순환경로가 길어져서, 재료가 분쇄커터와 출동되는 단위 시간당 횟수가 필연적으로 감소되므로, 분쇄 효율이 떨어진다. 종래 가정용 두유 메이커의 두유 제조 사이클은 일반적으로 약 25분 정도, 좀 더 심하게는 최소 30분 이상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두유 제조 속도는 현대 생활의 빠른 속도에 맞추기에는 너무 느리다. 또한, 종래 가정용 두유 메이커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비등 과정(boiling process)을 거쳐서 두유가 조리되는데, 이는 두유의 비등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두유 제조 시간도 더 증가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속으로 두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고분쇄효율을 갖는 두유 메이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하기에서 언급되는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는 베이스 및 콘트롤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는 분쇄커터,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분쇄조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터와 상기 분쇄조리부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콘트롤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쇄커터는 상기 분쇄조리부 내에 위치된다. 재료가 상기 분쇄조리부 내에서 물과 혼합되고 상기 분쇄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세리플럭스(seriflux)나 페이스트(paste)가 되는 동안, 상기 세리플럭스나 페이스트는 상기 세리플럭스나 페이스트, 상기 분쇄커터 및 상기 분쇄조리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서 가열되고 조리된다.
상기 분쇄조리부는 50-10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가진다.
상기 분쇄조리부는 100-5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가진다.
상기 분쇄조리부는 밀폐된 용기 또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용기이다.
상기 두유 메이커는 상기 콘트롤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쇄조리부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지름이 D이고, 상기 분쇄커터의 회전면의 지름이 d이며, d에 대한 D의 비를 α라고 할 때, α의 범위는 1<α≤3이다.
상기 분쇄조리부는 중공구, 중공실린더 또는 중공타원체이다.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주입구 및 배출구가 제공된다.
상기 분쇄조리부의 체적에 대한 상기 재료와 상기 물이 혼합된 체적의 비는 1:2 내지 1:1이다.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향에 배치된다.
상기 두유 메이커는 상기 분쇄조리부와 소통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물탱크 또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분쇄조리부를 소통시키는 물주입통로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두유 메이커에는 자동 주입유닛이 더 제공되고,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주입구가 제공되며, 상기 자동 주입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자동 주입유닛에 제공된다.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의 하향에 배치된다.
상기 두유 메이커는 상기 가열유닛이 배치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나; 또는 상기 두유 메이커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배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배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배출통로에 제공된다.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커버본체가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는 개구부가 더 제공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상기 분쇄조리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의 샤프트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측벽을 통과하여 상기 분쇄조리부 내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는 상기 베이스 내에 제공되어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부 벽체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상기 분쇄조리부 내부로 하향 연장되는 구동샤프트를 통해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모터는 상기 베이스 내에 제공되어 상기 분쇄조리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하부 벽체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상기 분쇄조리부 내부로 상향 연장되는 구동샤프트를 통해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는 기존의 두유 메이커의 개방형 대용량 컵체와 차이가 있는데, 특히 50-10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 소형 용기이다. 상기 재료와 물은 동일한 용기 내에서 순환되고, 상기 분쇄커터는 상기 용기의 유효작업 공간(effective work space)에 비해 크며, 상기 분쇄커터는 분쇄시에 상기 재료 내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재료와 물은 상기 분쇄조리부에 의해서 상기 분쇄커터 주위에서 분쇄되도록 한정되며, 상기 재료의 분쇄 및 순환경로가 짧아지는데, 이러한 모든 사항들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조리부의 범위 내에 있다. 여기서 언급된 상기 체적은 상기 분쇄조리부의 유효작업 공간의 체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gourd)형태로 형성된 중공체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의 하부는 상기 중공체의 효율적인 작업 공간이고, 상기 하부의 체적이 상기 범위 내에 있기만 하면,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실질적으로 밀폐된"이라는 용어는 상기 분쇄조리부가 하기의 비밀폐 상태(non-closed state)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분쇄조리부와 소통하는 통로는 상기 분쇄조리부에 제공되고, 상기 통로에는 홀(hole) 또는 슬릿(slit)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통로는 충분히 길고 완전히 개방된다. 그 구조가 개방된 경우뿐 아니라 상기 재료와 물을 그 내부에서 분쇄되도록 제한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세리플럭스(seriflux)가 분쇄과정에서 유출되지 않기만 하면, 그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으로 밀폐된"의 범위에 속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도 속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쇄조리부는 기존의 두유 메이커의 개방형 대용량 컵체와 다르며, 여기서 언급된 분쇄조리부는 밀폐되거나 실질적으로 밀폐된 소형 용기이고, 특히 소형 용기는 50-10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다. 분쇄조리부가 소형 공간을 갖고 밀폐되거나 실질적으로 밀폐되기 때문에, 분쇄조리부 내에서 재료가 분쇄될 확률이 증가하므로, 분쇄효율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분쇄조리부에서 물 중량에 대한 재료 중량의 비를 크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그 비가 2:1이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두유 메이커의 컵체에 의해서는 구현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는 고농도를 갖는 식품을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머드형(mud-like) 또는 페이스트형(paste-like) 식품이 여기에 해당된다. 한편, 분쇄조리부 내의 재료와 물은 분쇄조리부의 체적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므로(예를 들어, 기존의 두유 메이커의 컵체에 첨가되는 재료와 물과 비교해서, 그 비율은 1/2 이상이 될 수 있다), 많은 에너지가 분쇄과정에서 분쇄 및 충돌에 제공되고, 이로 인해 두유 또는 콩 머드 또는 콩 페이스트의 온도는 급속도로 상승할 수 있어서, 두유가 스스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열이 쉽게 분산되지 않으므로, 두유 또는 콩 머드 또는 콩 페이스트는 분쇄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스스로 조리 온도까지 가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조리부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두유 메이커의 컵체와 차이가 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두유 메이커의 컵체의 체적은 일반적으로 분쇄커터에 비해 크므로, 재료가 분쇄커터에 근접하여 잘 한정될 수 없어서, 분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시 커버, 유동안내장치 또는 배플과 같은 다른 구조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분쇄조리부는 분쇄커터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재료가 분쇄커터에 근접되므로, 급격한 난류 분쇄효과를 야기하고 분쇄효율 및 조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두유 메이커의 컵체는 대용량이므로, 유동성이 우수한 저농도 두유를 제조하는데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쇄조리부는 50-10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도록 설계되어지므로, 두유에 대한 일반적 수요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능한 신속하게 두유가 식품안정성 요건에 부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고농도 두유는 분쇄조리부에서 제조되고, 물과 혼합되어 원하는 농도를 갖는 두유가 된다. 만일 분쇄조리부의 체적이 50 밀리미터보다 작으면, 그로부터 제조된 두유는 1인분으로 부족하다. 만일 분쇄조리부의 체적이 1000 밀리미터보다 커지면, 열이 너무 급속히 분산되고, 분쇄조리부에 대응되는 분쇄커터 및 모터를 제공하기 어려워지며, 분쇄조리 시간이 길어지므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유하게 설계된 분쇄조리부가 이용된다. 분쇄조리부의 크기는 분쇄커터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재료는 분쇄조리부에 의해 분쇄커터에 근접하여 한정되며, 분쇄조리부의 주변 벽체가 분쇄커터에 인접되므로 재료는 항상 이상적인 절단상태에 있게 된다. 거시적 관점에서, 분쇄조리부에는 분쇄과정에서 재료로 채워지고, 급격한 난류 분쇄조리 효과는 분쇄커터에 근접한 곳에서 발생한다. 또한, 분쇄조리부는 밀폐되거나 실질적으로 밀폐된 용기이므로, 세리플럭스/페이스트, 분쇄커터 및 분쇄조리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생성되는 열은 단시간에 다량 축적되어 분쇄조리부 내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될 수 있으므로, 세리플럭스/페이스트는 가열되고 조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에는 두유를 끓이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 없이 모터 및 분쇄조리부에 기초해서 자가-가열(self-heating)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두유 메이커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두유 메이커에서 재료를 분쇄한 후 별도로 두유를 끓이는 시간이 본 발명에 의해 생략되므로, 두유 제조에 소요되는 전반적인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5분이내에 두유를 제조할 수 있어서, 즉석음료형 두유 메이커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물은 분쇄조리부에 주입되고, 분쇄커터는 물을 교반하여 분쇄조리부의 주변 벽체를 자동으로 세정한다. 분쇄시에, 본 발명에서는 오직 소량의 물과 콩이 혼합되고 분쇄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분쇄커터는 오직 최소의 재료만을 교반하고 분쇄하여, 에너지를 줄이고 단위 체적당 콩의 비율을 증가시키므로, 재료의 분쇄효율 및 분쇄두께가 개선된다. 또한, 두유 메이커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두유의 농도와 체적은 두유에 혼합되는 물 또는 다른 액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되므로, 소비자의 개별적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분쇄조리부는 100-5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과 혼합된 후의 두유는 1인분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고 3인 가족의 요구량도 충족시킬 수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분쇄조리부는 밀폐된 용기 또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용기이므로, 열의 분산을 막을 수 있어서, 세리플럭스/페이스트, 분쇄커터 및 분쇄조리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생성되는 열이 단시간에 다량 축적될 수 있기 때문에 분쇄조리부내의 온도는 빠르게 상승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리플럭스/페이스트는 가열되고 조리될 수 있다.
물 및/또는 재료는 분쇄조리 전이나 분쇄조리 과정에서 두유 메이커의 가열유닛에 의하여 또한 가열될 수 있어서, 분쇄조리부에서 고온, 예를 들어, 적어도 90℃가 유지되어, 조리를 보조하므로, 두유 제조 시간이 더 단축된다.
분쇄조리부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직경에 대한 분쇄커터의 회전면의 직경의 비는 1:3 내지 1:1로 한정되는데, 이로 인하여 재료의 원활한 순환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좀더 효과적으로 재료를 분쇄커터에 근접되게 한정가능하므로, 분쇄커터의 분쇄효과를 증진시킨다.
분쇄조리부는 중공구, 중공실린더 또는 중공타원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유닛은 분쇄조리부에 배치되거나 분쇄조리부의 상방이나 하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유닛은 물탱크 또는 물탱크를 분쇄조리부에 연결하는 물주입통로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유 메이커에는 자동 주입유닛이 더 제공될 수 있고, 분쇄조리부에는 주입구가 제공되며, 자동 주입유닛은 분쇄조리부의 주입구에 소통되고, 가열유닛은 자동 주입유닛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유 메이커는 수용부 및 수용부에 대응되는 배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분쇄조리부에는 배출구가 제공되며, 배출통로는 분쇄조리부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가열유닛은 배출통로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는 개폐가능한 분쇄조리부를 채용하므로, 사용자는 두유 메이커를 사용함에 있어서 분쇄조리부의 커버본체를 개방하여 재료를 분쇄조리부에 첨가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주입 메커니즘 및/또는 물주입 메커니즘을 두유 메이커에서 생략할 수도 있으므로, 두유 메이커의 구조는 좀더 콤팩트(compact)해지고 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분쇄조리부를 세정하기 위해서, 커버본체 및 분쇄조리부를 밀폐하여 자동 세정을 수행할 수 있고, 수동 세정도 커버본체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수행할 수도 있어서, 사용상 많은 선택을 할 수 있고 더욱 편리해진다. 또한, 분쇄조리부는 일정한 체적을 가지는데, 수동으로 재료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너무 다량의 재료가 첨가되어 발생하는 불량 분쇄 및 조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불량방지(fool-proof) 효과를 가지며 두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분쇄조리되는 다양한 재료에 따라 커버본체를 개방하여 언제 어디서나 분쇄커터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모터는 베이스상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분쇄조리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전체 두유 메이커의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전체 메이커의 안정성이 개선되며, 수동조작시 세리플럭스나 물이 모터 및 콘트롤유닛으로 유입되는 확률이 감소되므로, 두유 제조가 좀더 안전해지고 신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쇄커터가 직접 재료에 접촉되고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하여 재료를 분쇄할 수 있다. 따라서, 분쇄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모터는 분쇄조리부의 하부로부터 분쇄조리부 내로 연장되므로 커터샤프트 또는 모터의 샤프트가 두유 제조시에 항상 세리플럭스 내에 있게 되는 바, 즉, 모터의 샤프트는 세리플럭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세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속회전하는 모터의 샤프트 또는 커터샤프트 및 베어링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생성되는 대부분의 열은 세리플럭스(seriflux)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바, 한편으로는, 모터의 샤프트 또는 커터샤프트의 온도를 감소시켜 모터의 샤프트 또는 커터샤프트의 과열로 인해 두유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편 모터의 샤프트 또는 커터샤프트는 세리플럭스(seriflux)에 의해 세정되므로, 모터의 샤프트 또는 커터샤프트가 고정되어서 세정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면, 이것은 두유 제조를 용이하게 하므로, 두유 제조 시간을 더 단축한다. 또한, 두유 메이커에는 베이스가 제공되므로, 전체 두유 메이커의 무게중심이 낮아지며, 전제 메이커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또한, 분쇄커터가 직접 재료에 접촉되고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하여 재료를 분쇄하므로, 분쇄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도 1에서 도시된 두유 메이커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주입 메커니즘 및 다른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주입 메커니즘, 분쇄조리부 및 다른 구성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부분Ⅱ에 도시된 분쇄조리부의 마운팅 구조체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부분Ⅱ에 도시된 분쇄조리부의 마운팅 구조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와 연관하여 이하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는 세리플럭스형 또는 페이스트형 식품, 예를 들면, 두유나 쌀페이스트 등에 적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언급되는 재료는 콩이나 쌀과 같이 분쇄되기 전의 원재료를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두유 메이커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두유 메이커(10)는 베이스(11), 콘트롤유닛(12), 분쇄조리부(131), 주입 메커니즘(132), 배출 메커니즘(133), 분쇄커터(134) 및 분쇄커터(134)를 회전시키는 모터(135)를 포함한다. 주입 메커니즘(132)과 배출 메커니즘(133)은 각각 분쇄조리부(131)에 소통된다. 분쇄커터(134)는 분쇄조리부(131) 내에 위치된다. 분쇄커터(134)가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재료와 물을 교반함으로써 재료가 분쇄 및 조리되어 두유가 된다. 모터(135) 또는 분쇄조리부(131)는 베이스(11)에 장착된다.
베이스(11)는 실질적으로 유(U)자형으로 형성되고, 받침대(111), 받침대(11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판(112) 및 상판(112)과 받침대(111)를 연결하는 지지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판(112)에는 쓰루홀(1121)이 제공되어 모터(135), 주입 메커니즘(132) 등이 쓰루홀(1121) 외측으로 노출된다.
분쇄조리부(131)는 3차원 공간으로 분쇄커터(134)의 주변에 제공되는 밀폐된 용기 또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용기이다.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는 3차원 공간으로 분쇄커터(13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131)는 실질적으로 중공구이고,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의 내주면은 유선형의 아크(arc) 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분쇄조리부(131)는 밀폐되거나 실질적으로 밀폐됨으로써,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분쇄커터(134)가 작동되는 동안에 분쇄조리부(131)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밀폐되거나 실질적으로 밀폐된 구조는 분쇄조리부(131) 내의 재료와 물의 순환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재료의 분쇄가 용이하다. 마운팅부(1311)는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에 제공되고, 마운팅부(1311)에는 쓰루홀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모터(135)의 샤프트(shaft)가 분쇄조리부(131) 내로 돌출되고, 모터(135)는 볼트를 통해 수직으로 마운팅부(1311)에 고정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131)의 내주면은 비점착성 물질로 코팅되어 내주면에 두유가 쉽게 점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쇄조리부는 50-1000 밀리미터의 체적으로 형성되어, 일반적인 두유 수요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능한 조속하게 두유를 조리할 수 있어서 조리된 두유가 식품 안전 요구조건을 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는 5분 이내에 두유 제조를 마칠 수 있게 한다. 만일 분쇄조리부의 체적이 50 밀리미터보다 작은 경우에는, 두유 메이커에 의해 만들어지는 두유는 한 사람에게도 부족하므로, 두유 메이커의 활용도가 낮아진다; 만일 분쇄조리부의 체적이 1000 밀리미터보다 큰 경우에는, 분쇄조리 과정에서 열이 지나치게 급격히 소실되고, 분쇄조리부와 부합되는 분쇄커터 및 모터를 분쇄조리부에 제공하기 어려우며, 분쇄조리 시간이 길어져서, 비경제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쇄조리부의 체적은 300 밀리미터이다.
주입 메커니즘(132)에는 콩을 분쇄조리부(131)로 주입하는 콩주입조립체(136) 및 물을 분쇄조리부(131)로 주입하는 물주입조립체(137)를 포함한다(도 1에 도시).
콩주입조립체(136)는 빈(bin, 1361) 및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에 제공되고 이를 관통하여 연장된 콩주입통로(1362)를 포함한다. 콩주입통로(1362)의 일단은 빈(bin, 1361)과 소통되고, 타단은 분쇄조리부(131)와 소통된다. 빈(bin, 1361)은 콩주입통로(1362)에 대응되고 스크류(screw)를 통해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에 장착된다. 콩주입통로(1362)에는 콩주입통로(1362)의 개폐를 제어하는 콩주입콘트롤러(1363)가 제공된다. 콩주입콘트롤러(1363)는 구동부(1364), 연결로드(1365) 및 배플판(baffle plate, 1366)을 포함한다. 배플판(1366)은 콩주입통로(136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로드(1365)는 구동부(1364)와 배플판(1366)을 연결한다.
물주입조립체(137)는 물탱크(1371), 물주입튜브(1373) 및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에 제공되고 관통하여 연장된 물주입통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주입통로와 콩주입통로는 일체로 하나의 통로로 형성된다. 물주입튜브(1373)의 일단은 물탱크(1371)와 연결되고, 타단은 물주입통로와 연결된다. 물주입튜브(1373)에는 물탱크(1371)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1374)가 제공된다. 콩주입콘트롤러(1363)는 콘트롤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실링조립체(sealing assembly)는 콩주입통로(1362)를 밀폐하기 위해서 콩주입통로(1362)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분쇄조리부(131) 주변 벽체의 내주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조립체는 연질고무(1313)로서, 일단은 분쇄조리부(131) 주변 벽체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두유를 제조하는 동안 연질고무(1313)는 유수와의 충돌에 의해서 분쇄조리부(131) 주변 벽체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콩주입통로(1362)를 밀폐시켜서 두유 제조시 재료가 콩주입통로(1362)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배출 메커니즘(133)은 배출통로(1331) 및 세리플럭스(seriflux)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콘트롤러(1332)를 포함한다. 배출통로(1331)는 비등 용기(14)에 대응되는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에 제공되고 관통하여 연장된다. 배출콘트롤러(1332)는 밸브본체(1333), 밸브코어(1334), 연결체(1335) 및 작동부(1336)를 포함하는 콘트롤 밸브이다. 밸브본체(1333)는 배출통로(1331)에 대응되고 분쇄조리부(131)의 주변 벽체에 고정연결된다. 밸브코어(1334)는 밸브본체(133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부(1336)는 연결시트(1337)를 통해서 밸브본체(1333)에 장착되고, 구동부(1364)의 일단은 밸브코어(1334)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체(1335)를 통해 밸브코어(1334)에 연결되며, 타단은 콘트롤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밸브본체(1333)는 분쇄조리부(1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분쇄커터(134)는 모터(135)의 샤프트(shaft)의 일단에 장착되고, 세리플럭스를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커터(134)의 회전면에서 분쇄커터(134)의 블레이드의 일단과 분쇄조리부(131)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분쇄커터(134)의 반경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료는 분쇄커터(134)와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되어짐으로써, 분쇄를 위해 분쇄커터(134)로 더욱 잘 유도된다. 또한, 모터(135)는 6000-50000r/min의 회전속도를 자지므로,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효율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회전속도가 너무 느리면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효율이 낮아진다. 그러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사용자에게 위험하고,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분쇄조리부(131)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직경에 대한 분쇄커터(134)의 직경의 비는 1:3 내지 1:1로 정할 수 있어서, 재료의 원활한 순환을 보장하고 재료를 효과적으로 분쇄커터(134)에 인접하도록 한정할 수 있으므로, 분쇄커터(134)의 분쇄효과를 증진시킨다. 분쇄조리부(131)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반경에 대한 분쇄커터(134)의 반경의 비가 1:1보다 큰 경우에는 분쇄조리부(131) 내에 분쇄커터(134)를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분쇄조리부(131)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반경에 대한 분쇄커터(134)의 반경의 비가 1:3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쇄조리부(131)가 분쇄커터(134)에 비해 지나치게 커지므로 재료가 분쇄조리부(131)에 의해 분쇄커터(134)에 근접하게 한정될 수 없어서, 분쇄조리의 효율이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쇄조리부(131)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반경에 대한 분쇄커터(134)의 반경의 비는 1:2가 바람직하다.
두유 메이커(10)를 조립함에 있어서, 먼저, 분쇄조리부(131)의 마운팅부(1311)가 볼트를 통해 베이스(11)의 상판(112)에 고정연결되고, 이후에 모터(135)가 마운팅부(1311)에 장착되며, 이어서, 빈(bin, 1361)이 분쇄조리부(131)에 장착된 다음, 물탱크(1371)가 물주입튜브(1373)에 의해 물주입통로와 소통되고; 마지막으로, 배출콘트롤러(1332)가 분쇄조리부(131)에 장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두유 메이커에 의해 두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콩주입콘트롤러(1363)가 콘트롤유닛(12)에 의해 작동되어서 두유 제조용 콩이 콩주입통로(1362)를 통해 분쇄조리부(131) 내로 모두 주입된다. 그리고 나서, 두유 제조용 물이 부분적으로 물주입튜브(1373)를 통해 분쇄조리부(131) 내로 주입된다. 한편, 모터(135)가 작동되어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분쇄커터(134)를 회전시키므로 재료가 분쇄되어 고농도 두유가 된다. 두유가 고농도를 갖고, 재료가 분쇄조리부(131)에 의해서 분쇄커터(134)에 인접되게 강제되므로, 고농도 두유, 분쇄커터(134) 및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고농도 두유가 완전히 조리될 때까지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나서, 배출통로(1331)가 콘트롤유닛(12)에 의해 개방되어 조리된 고농도 두유는 컵과 같은 용기 내로 배출된다. 다음에, 일부 잔존하는 두유 제조용 물이 분쇄조리부(131) 내로 주입되어 분쇄조리부(131) 주변 벽체의 내주면에 접착된 잔여 두유와 혼합되므로, 그 혼합물은 배출통로(1331)를 통해 용기로 배출되고 그 전에 용기로 이미 배출된 두유와 혼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유를 제조함에 있어, 물의 중량에 대한 재료의 중량의 비는 1:10 내지 2:1인 경우, 고농도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가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재료가 물과 혼합되고 분쇄커터(134)에 의해 분쇄된 후에 생성되므로, 그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분쇄커터(134) 및 분쇄조리부(131)는 서로에 대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마찰됨으로써, 그들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물의 중량에 대한 재료의 중량의 비가 1:10 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재료가 물과 혼합되고 분쇄커터(134)에 의해 분쇄되어 생성된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의 농도가 너무 낮아지므로, 그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분쇄커터(134) 및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력은 작아지고, 이로 인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을 정도로 서로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마찰될 수 없다. 물의 중량에 대한 재료의 중량의 비가 2:1 보다 큰 경우에는, 분쇄조리부(131)내에서 재료가 물과 혼합되고 분쇄커터(134)에 의해 분쇄되어 만들어진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므로,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가 분쇄커터(134)나 분쇄조리부(131)에서 농축되고,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가 고르게 가열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물의 중량에 대한 재료의 중량의 비는 1:3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쇄조리부(131)의 체적에 대한 재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의 체적의 비가 1:2 내지 1:1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분쇄커터(134) 및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온도가 효과적으로 상승될 수도 있다. 분쇄조리부(131)의 체적에 대한 재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의 체적의 비가 1:1 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재료와 물은 분쇄조리부(131)로부터 에 넘칠 수 있다. 그리고 분쇄조리부(131)의 체적에 대한 재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의 체적의 비가 1:2 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분쇄커터(134) 및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131)의 체적에 대한 재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의 체적의 비는 1:1.5가 바람직하다.
두유 메이커(10)를 세정함에 있어서, 먼저, 물이 분쇄조리부(131)내에 주입되고; 모터(135)가 작동되어 분쇄커터(134)를 회전시키며, 분쇄커터(134)는 다시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물을 회전시키면서, 모터(135)의 샤프트(shaft), 분쇄조리부(131) 주변 벽체의 내주면, 콩주입통로(1362) 등을 세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유 메이터는 자동으로 세정된다.
두유 메이커(10)는 특별한 형상을 갖는 분쇄조리부(131)를 이용함으로써, 두유 제조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키므로, 두유 메이커(10)는 10분 이내에 두유 제조를 마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두유 메이커는 즉석 두유 제조의 시대를 열고, 종래 두유 메이커에 의해 두유를 제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오랜 기간 관련산업계에서 난제로 여겨져 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두유 제조용 재료가 두유 메이커(10)의 분쇄커터(134)에 의해 교반되고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분쇄되는 동안, 고농도 두유가 조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료의 분쇄와 조리가 동시에 행해지므로, 두유가 조리될 수도 있다.
분쇄조리부의 내주면에는 유동을 방해하는 리브(rib)가 더 제공될 수 있어서, 재료가 분쇄커터로 리바운딩(rebounding)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농도 두유는 또한 분쇄조리부 내에서 물과 혼합될 수도 있어서, 혼합과정에서 얻어진 두유가 용기로 배출되고; 모터는 혼합과정 동안 회전하여 두유를 교반된다.
고농도 두유와 물의 혼합과정은 또한 분쇄조리부와 용기에서 각각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링조립체는 또한 다른 밸브형의 실링(sealing) 구조체를 가질 수도 있다.
모터의 속도와 회전방향은 분쇄 또는 세정을 행함에 있어서 분쇄효과 또는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변화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주입 메커니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제2 실시예는 물주입통로(331)와 콩주입통로(1362)가 하나의 동일한 통로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분쇄조리부(131) 주변 벽체에 별개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트롤유닛(12)은 물주입 작동과 콩주입 작동을 각각 좀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분쇄조리부(431)가 분쇄조리부(431)에 단열층이 제공된다는 점, 즉 분쇄조리부(431)는 단열층(4311)과 내부층(4312)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분쇄조리부(131)와 차이가 있다. 내부층(4312)은 단열층(4311)에 겹쳐지고, 밀폐된 분쇄챔버의 형태로 형성된다. 분쇄조리부(431)에 단열층(4311)이 제공됨으로써,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되고, 분쇄챔버는 외부 환경과 고립되므로, 두유 제조에 미치는 외부 환경의 영향이 감소된다.
분쇄조리부는 복수 개의 단열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쇄챔버를 좀더 고립시키기 위해서 내부층과 단열층 사이에 진공층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주입 메커니즘과 다른 구성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제4 실시예는 본 실시예가 상부 분쇄커터(531)와 하부 분쇄커터(532)를 포함하는 더블레이어(double-layer) 커터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부 분쇄커터(531)와 하부 분쇄커터(532)는 분쇄조리부(131)내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더블레이어(double-layer) 커터의 배열은 분쇄 효율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분쇄조리부(131)의 상부까지 효과적으로 물이 유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세정과정에서 모터(135) 샤프트(shaft)의 루트부(root portion)와 분쇄조리부(131)의 상부도 세정되게 하여, 완벽한 세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멀티레이어(multi-layer) 분쇄커터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주입 메커니즘과 다른 구성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제5 실시예는 분쇄커터(134)가 분쇄조리부(131)의 내벽에 장착되고, 모터(135)가 분쇄조리부(131)의 외측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모터(135)는 커플링(coupling, 631)을 통해서 분쇄커터(134)를 회전시키므로, 모터(135)는 분쇄커터(134)와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coupling)은 접촉형 커플링(contact type coupling) 또는 비접촉형 커플링(non-contact type coupling)일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분쇄조리부(731)는 중공이고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분쇄조리부(131)와 차이가 있다. 분쇄조리부(731)가 중공이고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므로, 분쇄조리부(731) 주변 벽체의 외측에 모터(152)와 같은 구성을 장착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진다.
분쇄조리부는 또한 분쇄조리부에 의해서 분쇄커터 주변에 재료가 제한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중공구, 중공실린더 또는 중공타원체 등일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분쇄조리부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두유 메이커는 콘트롤유닛에 연결되는 가열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유닛은 분쇄조리부(131)의 상향에 배치된다. 특히, 가열유닛은 물주입튜브(1373) 외측 주변 벽체에 부착되는 가열필름(1372)으로서, 물주입튜브(1373) 내의 물을 가열하여 끓은 물이 상향으로 수송되어 분쇄조리부(131) 내로 유입되게 한다. 즉, 가열유닛은 물을 가열할 뿐 아니라 분쇄조리부(131)로 물을 주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 및/또는 재료가 가열유닛에 의해서 적어도 50℃까지 가열될 수 있어서, 재료와 물의 분쇄 및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용이하다. 또한, 물 및/또는 재료는 가열단계에서 80℃에서 100℃까지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는, 그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분쇄커터(134) 및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을 통해서 빠르게 가열되기 어려우므로, 가열된 후 물 및/또는 재료의 온도가 50℃ 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리되기 어렵고; 가열된 후 물 및/ 또는 재료의 온도가 100℃ 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가 분쇄조리부(131)로부터 넘치거나 분쇄조리부(131) 내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서 위험하다.
가열유닛은 물주입튜브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가열튜브일 수도 있다. 물탱크(1371) 또한 유압펌프(도 3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물주입튜브(1373)에 연결되어 물이 유압펌프를 통해 분쇄조리부(131)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유닛은 물탱크(1371)에 배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유닛은 물탱크 또는 물탱크와 분쇄조리부를 소통해 주는 물주입통로에 배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두유 메이커에는 자동 주입유닛이 더 제공될 수도 있고, 분쇄조리부에는 주입구가 제공되며, 자동 주입유닛은 분쇄조리부의 주입구와 소통되고, 가열유닛은 자동 주입유닛에 배치된다.
가열유닛은 분쇄조리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8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제8 실시예로서, 여기서 제8 실시예는 두유 메이커(90)가 비등 용기(14) 및 가열유닛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7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유닛은 비등 용기(14)의 하부에 제공되는 전열튜브(15)이다. 비등 용기(14)는 베이스(11)의 받침대(111) 위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분쇄조리부(131)의 하향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분쇄조리부(131)로부터 유출되는 두유를 수용한다. 전열튜브(15)는 비등 용기(14)에 제공되고 콘트롤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는 5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가진다.
두유 메이커(90)에 있어서, 분쇄조리부(131) 내에서 조리된 두유는 비등 용기(14)와 가열유닛에 의해 더욱 조리될 수 있다.
가열유닛(15)은 전자기 가열유닛, 스팀 가열유닛, 광파 가열유닛 등 일 수도 있다.
비등 용기(14)는 가열유닛(15)이 두유 제조를 보조하도록 분쇄조리부(131)에 직접 제공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열유닛은 수용부에 제공되거나; 또는 두유 메이커는 수용부 및 수용부에 대응되는 배출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분쇄조리부에는 배출구가 제공되며, 배출통로는 분쇄조리부의 배출통로와 소통되고, 가열유닛은 배출통로에 제공된다.
제9 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의 제9 실시예이다.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는 베이스(11), 콘트롤유닛(12), 분쇄조리부(13), 모터(14)가 제공되는 모터베이스(15), 커터샤프트(16) 및 분쇄커터(17)를 포함한다. 모터(14)는 콘트롤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터샤프트(16)는 분쇄조리부(13) 내로 연장된다. 분쇄커터(17)는 커터샤프트(16)의 일단에 제공된다. 모터(14)는 분쇄커터(17)를 회전시키는 커터샤프트(16)를 구동한다. 재료가 분쇄조리부(13)에서 물과 혼합되고 분쇄커터(17)에 의해 분쇄되어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가 되는 동안,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는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자체의 마찰,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커터(17) 사이의 마찰, 그리고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조리부(13)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서 가열되고 조리된다. 모터베이스(15)는 분쇄조리부(13) 위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는 10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분쇄조리부(13)는 개구부(1311)가 제공된 분쇄조리부(131), 및 분쇄조리부의 개구부(1311)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본체(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132)는 모터베이스(15)의 하부에 제공되고 모토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다. 커터샤프트(16)는 모터(14)의 샤프트이다. 개구부(1311)는 분쇄조리부(131)의 상부에 제공된다. 분쇄조리부(131)는 중공타원체이거나 중공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본체(132)에는 홀(1321)이 제공되는데, 이 홀(1321)을 통해서 모터의 샤프트가 분쇄조리부(131) 내로 연장된다. 분쇄조리부(131)는 베이스(11)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방식에서, 사용자는 분쇄조리부(131)를 재료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재료를 수용하는 다른 용기 없이도 재료를 첨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는 베이스(11)로부터 분쇄조리부(131)를 분리하여 급수전 아래에서 분쇄조리부(131)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이 편리하고 쉬워진다. 커버본체(132)의 일단은 힌지 구조체(133)를 통해서 베이스(11)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 구조체(133)는 모터베이스(15)에 고정연결되는 샤프트본체(1331) 및 베이스(11)와 고정연결되는 샤프트배럴(shaft barrel, 1332)을 포함한다. 샤프트본체(1331)는 샤프트배럴(1332)에 내장된다.
두유 메이커(10)로 두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커버본체(132)가 개방되면, 이후, 재료가 쉽게 분쇄조리부(131)로 투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본체(132)는 개구부(1311)가 밀폐되도록 밀폐된다. 이때, 전원이 켜지면, 모터(14)는 두유를 제조하도록 콘트롤유닛(12)에 의해 제어된다.
두유 메이커(10)를 세정함에 있어서, 분쇄커터(17)는 모터(14)에 의해서 회전되고, 분쇄커터(17)는 물을 교반하여 물이 분쇄커터(17)에서 회전하게 하며, 커터샤프트(16) 및 분쇄조리부(131)의 내부 주변 벽체를 세정함으로써, 두유 메이커(10)의 자동 세정이 가능해진다. 두유 메이커는 수동으로도 세정할 수 있다. 즉, 세정은 사용자가 커버본체(132)를 개방한 후에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상 많은 선택이 제공되어 더욱 편리하다. 고속으로 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두유 메이커에 있어서 주입 메커니즘 및/또는 물주입 메커니즘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두유 메이커의 구조는 좀더 콤팩트해지고 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메이커 자체의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분쇄조리부(131)는 일정한 체적을 가지는데, 수동으로 재료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너무 다량의 재료가 첨가되어 발생하는 불량 분쇄 및 조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이것은 불량 방지 효과를 가지며 두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분쇄조리되는 다양한 재료에 따라 분쇄커터(17)를 교체하기 위해서 언제 어디서나 커버본체(132)를 개방할 수도 있다.
모터의 속도와 회전방향은 분쇄효과 또는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쇄 또는 세정을 행함에 있어서 변화될 수도 있다.
고속 두유 제조하는 두유 메이커(10)는 두유를 제조하는 것뿐 아니라 과일과 야채주스, 참깨 페이스트 등과 같이 분쇄 및 가열이 필요한 다른 식품을 제조하는 데에도 사용가능하다.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10)에 있어서,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열은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자체의 마찰,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커터(17) 사이의 마찰,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조리부(131)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생성되는 열을 포함하며, 분쇄조리부(131) 내의 여러 요소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열 또한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두유 메이커(50)는 분쇄조리부(131)가 베이스(11)에 고정 장착되거나 베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베이스(15)가 버클(buckle) 구조체(151)를 통해 분쇄조리부(131)의 개구부(1311)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9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는 1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다.
모터베이스(15)는 분쇄조리부(131)의 개구부(1311)에 직접 스냅핏(snap fit)을 이용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11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두유 메이커는 베이스(11), 콘트롤유닛(12), 분쇄커터(13), 커터샤프트(14), 분쇄조리부(15) 및 모터(16)를 포함한다. 모터(16)는 분쇄커터(13)를 회전시키고, 콘트롤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터샤프트(14)는 분쇄조리부(15) 내로 연장된다. 분쇄커터(13)는 커터샤프트(14)의 일단에 제공된다. 재료가 분쇄조리부(15) 내에서 물과 혼합되고 분쇄커터(13)에 의해 분쇄되어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가 되는 동안,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는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자체의 마찰,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커터(13) 사이의 마찰, 그리고 세리플럭스(seriflux)나 페이스트(paste)와 분쇄조리부(15)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서 가열되고 조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는 8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분쇄조리부(15)는 개구부(1511)가 제공된 분쇄조리부(151) 및 분쇄단계에서 개구부(1511)를 개폐하는 커버본체(152)를 포함한다. 분쇄조리부(151)는 베이스(11)에 고정 장착된다. 커버본체(152)의 일단은 힌지 구조체(153)를 통해서 개구부(1511)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커버본체(152)의 타단은 스냅(snap, 154)을 통해서 개구부(1511)의 타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 구조체(153)는 커버본체(152)에 고정 연결되는 샤프트본체(1531) 및 분쇄조리부(151)에 고정 연결되는 샤프트배럴(shaft barrel, 1532)을 포함한다. 샤프트본체(1531)는 샤프트배럴(1532)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1511)는 분쇄조리부(151)의 상부에 제공되고, 분쇄조리부(151)는 중공타원체 또는 중공실린더이다.
분쇄조리부(151)의 최대 단면적 S₂에 대한 개구부(1511)의 면적 S₁의 비는 1:4에서 1:1 사이가 바람직한데, 이 경우 수동으로 재료를 첨가하기에 적당하다. 분쇄조리부(151)의 최대 단면적 S₂에 대한 개구부(1511)의 면적 S₁의 비가 1:4 보다 작은 경우에는, 개구부(1511)가 너무 작아서 단시간 내에 분쇄조리부(151)에 재료를 첨가하기가 어렵다. 개구부(1511)의 면적 S₁의 최대면적은 분쇄조리부(151)의 최대 단면적 S₂라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조리부(151)의 최대 단면적 S₂에 대한 개구부(1511)의 면적의 비는 3:4이다.
모터(16)는 베이스(11)에 수평으로 제공되고 분쇄조리부(151)의 측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터샤프트(14)는 모터(16)의 샤프트(shaft)로서, 분쇄조리부(151)의 벽체를 통과하여 분쇄조리부(151) 내로 연장된다. 분쇄커터(13)와 분쇄조리부(151) 하부까지의 최소거리 d₁은 1-30 밀리미터이므로, 분쇄커터(15)가 재료 속에 삽입되어, 분쇄커터(15)와 재료의 충돌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분쇄커터(15)와 분쇄조리부(151) 하부까지의 최소거리 d₁이 1 밀리미터보다 작은 경우에는, 재료가 분쇄커터(15)와 분쇄조리부(151) 사이에 끼일 수 있어서, 세정이 어려워진다. 분쇄커터(15)와 분쇄조리부(151) 하부까지의 최소거리 d₁이 30 밀리미터보다 큰 경우에는, 분쇄조리부(151) 하부에서 재료가 잘 교반되기 어려우므로, 분쇄커터가 그 하부에서 재료와 젼혀 접촉될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다량의 전기적 에너지가 낭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커터(15)와 분쇄조리부(151) 하부까지의 최소거리 d₁은 10 밀리미터이다.
두유를 제조하기 위해 두유 메이커(10)를 사용함에 있어서, 먼저, 커버본체(152)가 개방되는데, 이때, 재료가 분쇄조리부(151) 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어서 커버본체(152)가 밀폐되어 개구부(1511)를 밀폐하고, 이때, 전원이 켜지면서 모터(16)가 두유를 콘트롤유닛(12)에 의해 제어되어 두유를 제조한다.
두유 메이커(10)를 세정함에 있어서, 분쇄커터(15)는 모터(16)에 의해 회전되고, 분쇄커터(15)가 분쇄조리부(15) 내에서 물을 교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커터샤프트(14)와 분쇄조리부(15)의 내부 주변 벽체를 세정하므로, 두유 메이커(10)의 자동 세정이 이루어진다. 물론, 두유 메이커는 수동으로 세정될 수도 있다. 즉, 세정은 커버본체(152)가 개방된 후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상 많은 선택이 제공되어 더욱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10)에 있어서, 개폐가능한 분쇄조리부(15)가 이용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두유 메이커(10)를 사용함에 있어서 분쇄조리부(15)의 커버본체(152)를 개방하여 분쇄조리부(151)에 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입 메커니즘 및/또는 물주입 메커니즘은 두유 메이커(10)에서 생략될 수 있으므로, 두유 메이커의 구조는 더욱 콤팩트해지고 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전체 메이커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분쇄조리부(151)는 일정한 체적을 가지는데, 수동으로 재료를 첨가함에 있어서, 너무 다량의 재료가 첨가되어 발생하는 불량 분쇄 및 조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서, 불량 방지 효과를 가지며 두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분쇄조리되는 다양한 재료에 따라 커버본체(152)를 개방하여 언제 어디서나 분쇄커터(13)를 교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의 모터(16)는 베이스(11)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분쇄조리부(151)의 측면에 위치되며, 전체 두유 메이커의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전체 메이커의 안정성이 개선되고, 수동조작시 세리플럭스 또는 물이 모터(16) 및 콘트롤유닛(12)으로 유입되는 확률이 감소되므로, 두유 제조가 좀더 안전해지고 신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쇄커터(13)가 직접 재료와 접촉되게 위치되고 모터(16)에 의해 고속회전되어 재료를 분쇄한다. 따라서, 분쇄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10)에 있어서, 개폐가능한 분쇄조리부(15)가 이용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분쇄조리부(15)의 커버본체(152)를 개방하여 분쇄조리부(15)에 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입 메커니즘 및/또는 물주입 메커니즘은 두유 메이커(10)에서 생략될 수 있으므로, 두유 메이커의 구조는 더욱 콤팩트해지고 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전체 메이커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분쇄조리부(151)는 일정한 체적을 가지는데, 수동으로 재료를 첨가함에 있어서, 너무 다량의 재료가 첨가되어 발생하는 불량 분쇄 및 조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서, 불량 방지 효과를 가지며 두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분쇄조리되는 다양한 재료에 따라 커버본체(152)를 개방하여 언제 어디서나 분쇄커터(13)를 교체할 수도 있다.
모터의 속도와 회전방향은 분쇄효과 또는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쇄 또는 세정을 행함에 있어서 변화될 수도 있다.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10)는 두유 제조뿐 아니라 과일과 야채주스, 참깨 페이스트 등과 같이 분쇄 및 가열이 필요한 다른 식품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메이커에 있어서,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열은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 자체의 마찰,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커터(13) 사이의 마찰, 세리플럭스 또는 페이스트와 분쇄조리부(15)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생성되는 열을 포함하며, 분쇄조리부(13) 내에서 여러 요소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열 또한 세리플럭스 또한 페이스트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14)

  1. 베이스 및 콘트롤유닛을 포함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로서, 상기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는, 분쇄커터;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분쇄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분쇄조리부는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콘트롤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쇄커터는 상기 분쇄조리부 내에 위치되고, 재료가 상기 분쇄조리부 내에서 물과 혼합되고 상기 분쇄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세리플럭스, 머드 또는 페이스트가 되는 동안, 상기 세리플럭스, 머드 또는 페이스트는 상기 세리플럭스, 머드 또는 페이스트와 상기 분쇄커터 사이, 및 상기 세리플럭스, 머드 또는 페이스트와 상기 분쇄조리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서 가열되고 조리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는 50-10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는 100-500 밀리미터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는 밀폐된 용기 또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의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지름이 D이고, 상기 분쇄커터의 회전면의 지름이 d이며, d에 대한 D의 비를 α라고 할 때, α의 범위는 1<α≤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는 중공구, 중공실린더 또는 중공타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주입구 및 배출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향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와 소통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물탱크 또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분쇄조리부를 소통하는 물주입통로에 제공되거나; 또는 자동 주입유닛이 더 제공되고,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주입구가 제공되며, 상기 자동 주입유닛은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기 주입구와 소통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자동 주입유닛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의 체적에 대한 상기 재료와 상기 물이 혼합된 체적의 비는 1:2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리부에는 커버본체가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는 개구부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수평으로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고 상기 분쇄조리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의 샤프트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측벽을 통과하여 상기 분쇄조리부 내부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어 상기 분쇄조리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상부 벽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고 상기 분쇄조리부 내부로 하향으로 연장되는 드라이빙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모터는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어 상기 분쇄조리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분쇄조리부의 하부 벽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고 상기 분쇄조리부 내부로 상향으로 연장되는 드라이빙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두유 제조 두유 메이커.
KR1020137000424A 2010-06-09 2011-06-09 고속 펄핑 두유 머신 KR101880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95075.1A CN102204789B (zh) 2010-06-09 2010-06-09 快速制浆的豆浆机
CN2010202190559U CN201855119U (zh) 2010-06-09 2010-06-09 自熟化豆浆机
CN201010195075.1 2010-06-09
CN201020219055.9 2010-06-09
CN201020543739.4 2010-09-27
CN2010205437394U CN202014544U (zh) 2010-09-27 2010-09-27 自热豆浆机
PCT/CN2011/075506 WO2011153946A1 (zh) 2010-06-09 2011-06-09 快速制浆的豆浆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470A true KR20130124470A (ko) 2013-11-14
KR101880223B1 KR101880223B1 (ko) 2018-07-20

Family

ID=4509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24A KR101880223B1 (ko) 2010-06-09 2011-06-09 고속 펄핑 두유 머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30081544A1 (ko)
JP (1) JP5801881B2 (ko)
KR (1) KR101880223B1 (ko)
AU (1) AU2011264213B9 (ko)
CA (1) CA2801945A1 (ko)
SG (2) SG186225A1 (ko)
WO (1) WO20111539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9303A (zh) * 2017-08-24 2019-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豆浆制取的方法、控制系统、豆浆机及计算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1904B1 (en) * 2014-01-17 2018-07-17 Raymond Fikes Food processing systems
DE202014102077U1 (de) * 2014-05-05 2014-07-08 Genius Gmbh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Lebensmitteln
CN108236403B (zh) * 2016-12-23 2024-01-1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制浆方法
CN108236405A (zh) * 2016-12-23 2018-07-0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及其制浆方法
CN108236396B (zh) * 2016-12-23 2024-01-1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制浆方法
CN108245041A (zh) * 2016-12-29 2018-07-0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研磨器、机头、豆浆机及研磨器的加工方法
CN108925641B (zh) * 2018-07-24 2021-08-06 向朝婉 一种基于一体式工艺流程的核桃乳加工用设备
CN109431273A (zh) * 2019-01-04 2019-03-08 姚贤德 一种浆渣分离的豆浆机
WO2020255115A1 (en) * 2019-06-19 2020-12-24 Gidi Amir Fresh hummus maker and dispenser
CN110367846A (zh) * 2019-07-24 2019-10-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制作豆嘴饮品的食品处理机和控制方法
CN113940568B (zh) * 2020-07-17 2023-07-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品加工机、食物制作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493888B (zh) * 2020-11-03 2024-04-0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宽容量的食品加工机
WO2022137230A1 (en) * 2020-12-23 2022-06-30 Gidi Amir Fresh hummus maker and dispenser
CN112741479B (zh) * 2021-02-05 2021-09-14 浙江炊大王炊具有限公司 一种野外摩擦发热自动加油锅
CN113180503B (zh) * 2021-04-29 2022-03-15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制浆设备控制方法和制浆设备
CN113876001B (zh) * 2021-09-28 2023-08-01 佳木斯冬梅大豆食品有限公司 一种豆制品生产用大豆清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26770Y (zh) * 2008-07-22 2009-04-29 程静安 全自动豆浆机
CN101617797A (zh) * 2009-07-30 2010-01-0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压力豆浆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49739A1 (en) * 2000-03-30 2001-10-15 Melvin R. Kennedy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food
JP2004105155A (ja) * 2002-09-20 2004-04-08 Jcs International:Kk 家庭用豆乳・豆腐製造機
ES2311826T3 (es) * 2003-06-17 2009-02-16 Xuning Wang Dispositivo de trituracion y molienda, maquina para hacer leche de semilla de soja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y un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eche de semilla de soja.
US20090000494A1 (en) * 2003-10-08 2009-01-01 Hong-Bae Kim Household soybean milk and tofu maker
JP4383979B2 (ja) * 2004-07-26 2009-12-16 鈴与工業株式会社 豆腐の製造方法
CN2801040Y (zh) * 2005-06-02 2006-08-02 罗晓峰 一种豆浆机
CN201855119U (zh) * 2010-06-09 2011-06-08 九阳股份有限公司 自熟化豆浆机
CN201878695U (zh) * 2010-10-27 2011-06-29 九阳股份有限公司 便捷自熟化豆浆机
CN201797923U (zh) * 2010-09-29 2011-04-20 九阳股份有限公司 快速安全制浆的豆浆机
CN201879476U (zh) * 2010-10-27 2011-06-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粉碎单元及豆浆机
CN201879475U (zh) * 2010-10-27 2011-06-29 九阳股份有限公司 宽容量自熟化豆浆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26770Y (zh) * 2008-07-22 2009-04-29 程静安 全自动豆浆机
CN101617797A (zh) * 2009-07-30 2010-01-0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压力豆浆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9303A (zh) * 2017-08-24 2019-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豆浆制取的方法、控制系统、豆浆机及计算机装置
CN109419303B (zh) * 2017-08-24 2022-02-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豆浆制取的方法、控制系统、豆浆机及计算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1544A1 (en) 2013-04-04
AU2011264213B2 (en) 2015-10-29
KR101880223B1 (ko) 2018-07-20
JP5801881B2 (ja) 2015-10-28
SG10201504532RA (en) 2015-07-30
CA2801945A1 (en) 2011-12-15
US20160374514A1 (en) 2016-12-29
JP2013528054A (ja) 2013-07-08
AU2011264213B9 (en) 2015-11-05
AU2011264213A1 (en) 2013-01-10
SG186225A1 (en) 2013-01-30
WO2011153946A1 (zh)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470A (ko) 고속 펄핑 두유 머신
KR101453120B1 (ko) 다기능 두유제조기
CN101862125B (zh) 家庭用豆浆机
KR20070033971A (ko) 세척이 용이한 다기능 두유 제조기
KR20080079975A (ko) 다기능 두유기
CN113069015B (zh) 料理机
TWI540969B (zh) Quickly squeezed soymilk
CN201855119U (zh) 自熟化豆浆机
CN113040626A (zh) 料理机的制浆方法及料理机
CN214231052U (zh) 料理机
KR100622781B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CN202069454U (zh) 座体式自熟化豆浆机
CN201775491U (zh) 一种能够加工豆腐脑的豆浆机
CN201878695U (zh) 便捷自熟化豆浆机
CN201491673U (zh) 一种豆浆机
CN206651759U (zh) 料理机和养生机
CN112493888B (zh) 一种宽容量的食品加工机
CN101536757A (zh) 一种豆浆机
CN215605014U (zh) 一种磨豆装置以及咖啡机
CN206745198U (zh) 食物料理机杯体及食物料理机
CN112168019B (zh) 一种食品加工机及其制浆方法
CN213850333U (zh) 多功能食品加工机
CN213757930U (zh) 料理杯及料理机
KR20110101448A (ko) 전두부의 제조장치
CN108236396B (zh) 料理机的制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