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933A -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 - Google Patents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933A
KR20130121933A KR1020137020740A KR20137020740A KR20130121933A KR 20130121933 A KR20130121933 A KR 20130121933A KR 1020137020740 A KR1020137020740 A KR 1020137020740A KR 20137020740 A KR20137020740 A KR 20137020740A KR 20130121933 A KR20130121933 A KR 2013012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ste
glass
glass frit
solar cell
semiconductor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019B1 (ko
Inventor
고우지 도미나가
준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반도체 실리콘 태양전지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사용 가능한 납을 포함하지 않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결 수단] 반도체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는 태양전지용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그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유리 프릿의 조성은 실질적으로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질량%로 SiO2를 1~20, B2O3를 5~30, Al2O3를 0~10, ZnO를 5~35, RO(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5~30, R2O(Li2O, Na2O 및 K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0.1~6, Bi2O3를 1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Description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Electroconductive paste and solar cell element obtained using the electroconductive paste}
본 발명은 반도체 실리콘 태양전지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사용 가능한 납을 포함하지 않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전자부품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태양전지 소자가 알려져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 소자는 두께가 200 ㎛ 정도인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의 수광면측에 n형 반도체 실리콘층(2)을 형성하고, 수광면측 표면에 수광 효율을 올리기 위한 질화규소막 등의 반사 방지막(3), 추가로 그 반사 방지막(3) 상에 반도체와 접속한 표면 전극(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의 안쪽에는 알루미늄 전극층(5)이 고루 형성되어 있다. 이 알루미늄 전극층(5)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분말, 유리 프릿, 에틸셀룰로오스나 아크릴 수지 등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유기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페이스트 재료를 스크린 인쇄 등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600~900℃ 정도의 온도에서 단시간 소성(燒成)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알루미늄 페이스트 재료의 소성에 있어서 알루미늄이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에 확산됨으로써 알루미늄 전극층(5)과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 사이에 BSF(Back Surface Field)층(6)이라 불리는 Si-Al 공정층(共晶層)이 형성되고, 더 나아가서는 알루미늄의 확산에 의한 불순물층 p+층(7)이 형성된다. 이 p+층(7)은 pn 접합의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생성된 캐리어의 재결합에 의한 손실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와 태양전지 소자의 변환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이 BSF 효과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페이스트 재료에 포함되는 유리 프릿으로서 납을 함유하는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5938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65744호 공보
일반적으로 p+층의 표면 저항과 BSF 효과에는 상관이 있어 p+층의 표면 저항이 낮을수록 BSF 효과가 높아 태양전지 소자로서의 변환 효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납 성분을 포함하는 유리 프릿은 알루미늄 페이스트 재료와 같은 도전성 페이스트에 사용함으로써 높은 BSF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저융점으로 하는 데에 중요한 성분이지만,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폐해가 크다.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납 성분을 포함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반도체 실리콘 태양전지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사용 가능한 납을 포함하지 않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반도체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는 태양전지용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그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유리 프릿의 조성은 실질적으로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질량%로 SiO2를 1~20, B2O3를 5~30, Al2O3를 0~10, ZnO를 5~35, RO(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5~30, R2O(Li2O, Na2O 및 K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0.1~6, Bi2O3를 1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이다.
납을 함유하는 유리 프릿을 사용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경우 p+층의 표면 저항은 20~30 Ω/□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했을 때의 p+층의 표면 저항은 30 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표면 저항이 낮을수록 태양전지 소자로서 사용한 경우 변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리 프릿은 30℃~300℃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가 (70~110)×10-7/℃, 연화점이 450℃ 이상 6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열팽창계수는 선팽창계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알루미늄 분말을 갖는 알루미늄 페이스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상기 유리 프릿의 조성에 있어서 R2O로서 적어도 K2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상기 유리 프릿의 조성에 있어서 RO로서 적어도 Ba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납을 포함하지 않는 유리 프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태양전지 소자로서 사용함으로써 높은 BSF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실리콘 기판과 양호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폐해가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실리콘 태양전지 셀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알루미늄 분말과 에틸셀룰로오스나 아크릴 수지 등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유기 비히클에 더하여 유리 프릿을 포함하고(1~5 질량%), 그 유리 프릿이 실질적으로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질량%로 SiO2를 1~20, B2O3를 5~30, Al2O3를 0~10, ZnO를 5~35, RO(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5~30, R2O(Li2O, Na2O 및 K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0.1~6, Bi2O3를 1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이다.
본 발명의 유리 프릿에 있어서 SiO2는 유리 형성 성분으로 다른 유리 형성 성분인 B2O3와 공존시킴으로써 안정한 유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1~20%(질량%,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함유시킨다. 20%를 초과하면 유리의 연화점이 상승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사용하기 곤란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17%, 더욱 바람직하게는 8~15%의 범위이다.
B2O3는 유리 형성 성분으로 유리 용융을 용이하게 하고 유리의 열팽창계수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며 또한 소성시에 유리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유리의 유전율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유리 중에 5~30% 함유시킨다. 5% 미만에서는 유리의 유동성이 불충분해짐으로써 소결성이 손상되는 한편으로 30%를 초과하면 유리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의 범위이다.
Al2O3는 유리의 결정화를 억제하는 임의 성분이다. 유리 중에 0~10% 함유시키는데 10%를 초과하면 유리의 연화점이 상승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사용하기 곤란해진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로 해도 된다.
ZnO는 유리의 연화점을 낮추는 성분으로 유리 중에 5~35% 함유시킨다. 5% 미만에서는 상기 작용을 발휘할 수 없고 35%를 초과하면 유리가 불안정해져 결정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이다.
RO(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는 유리의 연화점을 낮추는 것으로 유리 중에 5~30% 함유시킨다. 5% 미만에서는 유리의 연화점 저하가 불충분해져 소결성이 손상되는 한편으로 30%를 초과하면 유리의 열팽창계수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1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이다. 또한 RO는 1 성분이어도 되고 복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BaO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2O(Li2O, Na2O 및 K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는 유리의 연화점을 낮춰 열팽창계수를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는 것으로 0.1~6%의 범위로 함유시킨다. 0.1% 미만에서는 유리의 연화점 저하가 불충분해져 소결성이 손상되는 한편으로 6%를 초과하면 열팽창계수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 프릿에 함유되는 R2O량을 증가시킴으로써 p+층의 표면 저항을 30 Ω/□보다 낮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R2O를 6 질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그 R2O의 알칼리 성분이 많아짐으로써 조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 R2O를 6 질량% 이하로 한다.
또한 R2O는 1 성분이어도 되고 복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특히 R2O 성분 중의 K2O량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또는 K2O 성분만을 사용하면 외관이나 기판과의 밀착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주성분」이란 R2O 성분의 질량의 합계값에 대한 K2O의 질량이 50 질량% 이상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Bi2O3는 유리의 연화점을 낮춰 열팽창계수를 조정하는 것으로 10~60%의 범위로 함유시킨다. 10% 미만에서는 유리의 연화점 저하가 불충분하여 소결성이 손상되는 한편으로 60%를 초과하면 열팽창계수를 과도하게 상승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5%의 범위이다.
상기 외에도 일반적인 산화물로 나타내는 CuO, TiO2, In2O3, SnO2, TeO2 등을 첨가해도 된다.
실질적으로 납(이하 PbO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PbO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PbO가 유리 원료 중에 분순물로서 혼입되는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저융점 유리 중에 있어서의 0.3% 이하의 범위라면 전술한 폐해, 즉 인체, 환경에 대한 영향, 절연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어 실질적으로 PbO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유리 프릿을 사용함으로써 30℃~300℃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가 (70~110)×10-7/℃, 연화점이 450℃ 이상 600℃ 이하인 도전성 페이스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팽창계수가 (70~110)×10-7/℃를 벗어나면 전극 형성시에 박리, 기판의 휨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75~100)×10-7/℃의 범위이다. 또한 연화점이 600℃를 초과하면 소성시에 충분하게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반도체 실리콘 기판과의 밀착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화점이 480℃ 이상 58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소자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로 그 도전성 페이스트는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한 것으로부터 은이나 알루미늄 등을 사용한 배선 패턴의 형성 재료나 각종 전극 등 전자재료용 기판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는 유리 프릿, 알루미늄 분말, 유기 비히클을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이고 그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를 200 ㎩·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도전성 페이스트는 반도체 실리콘 기판 상에 도포·소성하여 알루미늄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인데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성형성이나 가공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유리 프릿의 입자경은 평균 입경을 1~10 ㎛, 최대 입경을 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프릿의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경·입도분포 측정장치(닛키소(주) 제조)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유리 프릿의 평균 입경이 10 ㎛를 초과하고 또한 최대 입경이 30 ㎛를 초과하면 반도체 실리콘 기판 상에 알루미늄 전극층을 형성했을 때에 반도체 실리콘 기판과 알루미늄 전극층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분말은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알루미늄 전극층으로서 이용 가능한 도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도전성 페이스트에 대해서 50~80 질량%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비히클은 유기 용제와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소성하여 알루미늄 전극층을 형성할 때 휘발되는 것이다. 그 유기 용제와 바인더는 점도가 전술한 범위가 되어 소성 과정에서 휘발되도록 함유량이나 종류 등이 적절히 조정되면 되는데,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에 대해서 유기 용제를 10~40 질량%, 바인더를 1~10 질량%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유기 용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α-테르피네올, 고급 알코올, γ-부틸락톤(γ-BL), 테트랄린,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초산에틸, 초산이소아밀,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톨루엔, 3-메톡시-3-메틸부탄올,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설폭시드(DMSO),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사용 가능하다. 특히 α-테르피네올은 고점성이고 수지 등의 용해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바인더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 수지), 에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이 사용 가능하다. 특히 아크릴산에스테르,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는 열분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전성 페이스트)
먼저 유리 분말은 실시예에 기재된 소정 조성이 되도록 각종 무기 원료를 칭량, 혼합하여 원료 배치(batch)를 제작하였다. 이 원료 배치를 백금 도가니에 투입하고 전기 가열로 내에서 1000~1300℃, 1~2시간에 걸쳐 가열 용융하여 표 1의 실시예 1~6, 표 2의 비교예 1~5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리를 얻었다. 유리의 일부는 틀에 흘려 넣고 블록형상으로 하여 열팽창계수 측정용으로 제공하였다. 잔여 유리는 급랭 쌍롤 성형기로 플레이크상으로 하여 분쇄장치에서 평균 입경 1~10 ㎛, 최대 입경 30 ㎛ 미만의 분말상으로 정립(整粒)하였다.
또한 연화점은 열분석장치 TG―DTA(리가쿠(주) 제조)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열팽창계수는 열팽창계를 사용하여 5℃/분으로 승온했을 때의 30~300℃에서의 신장량으로부터 선팽창계수를 구하였다.
이어서 α테르피네올과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페이스트 오일 39 질량%에 바인더로서의 에틸셀룰로오스 1 질량%와 상기 유리 분말 3 질량%, 또한 도전성 분말로서 알루미늄 분말을 57 질량%로 혼합하여 점도 100±50 ㎩·s 정도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을 준비하여 그 상부에 상기에서 제작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였다. 이들의 시험편을 140℃의 오븐에서 10분간 건조시키고 다음으로 전기로에서 800℃ 조건하 1분간 소성하여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에 알루미늄 전극층(5)과 BSF층(6)을 형성한 구조를 얻었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전극층(5)의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과의 밀착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멘딩 테이프(니치반 제조)를 알루미늄 전극층(5)에 첩부(貼付)하고 박리했을 때의 알루미늄 전극층(5)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후, 알루미늄 전극층(5)을 형성한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침지하여 알루미늄 전극층(5) 및 BSF층(6)을 에칭함으로써 p+층(7)을 표면에 노출시켜 p+층(7)의 표면 저항을 4탐침식 표면 저항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무연 저융점 유리 조성 및 각종 시험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또한 표 1 및 2의 접착 강도 칸에 있어서 A는 접착 강도가 양호했던 것을 나타내고, B는 접착 강도가 어느 쪽인가 하면 양호했던 것을 나타내며, C는 접착 강도가 불충분했던 것을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의 실시예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에 있어서는 연화점이 450℃~600℃이고 적합한 열팽창계수(70~110)×10-7/℃를 가지고 있어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과의 밀착성도 양호하였다. 더 나아가서는 태양전지 소자의 변환 효율에 관계되는 p+층(7)의 저항값도 26 Ω/□ 이하가 되어 반도체 실리콘 태양전지용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 범위를 벗어나는 표 2에 있어서의 비교예 1~5는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1)과의 양호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거나 p+층(7)의 저항값이 높거나 또는 용해 후에 유리가 조해성을 나타내는 등 반도체 실리콘 태양전지용 도전성 페이스트로서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1 p형 반도체 실리콘 기판
2 n형 반도체 실리콘층
3 반사 방지막
4 표면 전극
5 알루미늄 전극층
6 BSF층
7 p+

Claims (6)

  1. 반도체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는 태양전지용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그 도전성 페이스트는 유리 프릿을 포함하고, 그 유리 프릿의 조성은 실질적으로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질량%로
    SiO2를 1~20,
    B2O3를 5~30,
    Al2O3를 0~10,
    ZnO를 5~35,
    RO(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5~30,
    R2O(Li2O, Na2O 및 K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계)를 0.1~6,
    Bi2O3를 10~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릿은 30℃~300℃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가 (70~110)×10-7/℃, 연화점이 450℃ 이상 6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알루미늄 분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릿의 조성에 있어서 R2O로서 적어도 K2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릿의 조성에 있어서 RO로서 적어도 Ba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성시킨 알루미늄 전극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소자.
KR1020137020740A 2011-02-10 2012-01-31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 KR101455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6781 2011-02-10
JPJP-P-2011-026781 2011-02-10
JP2011270958A JP5888493B2 (ja) 2011-02-10 2011-12-12 導電性ペースト及び該導電性ペーストを用いた太陽電池素子
JPJP-P-2011-270958 2011-12-12
PCT/JP2012/052055 WO2012108290A1 (ja) 2011-02-10 2012-01-31 導電性ペースト及び該導電性ペーストを用いた太陽電池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933A true KR20130121933A (ko) 2013-11-06
KR101455019B1 KR101455019B1 (ko) 2014-10-28

Family

ID=4663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740A KR101455019B1 (ko) 2011-02-10 2012-01-31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88493B2 (ko)
KR (1) KR101455019B1 (ko)
CN (1) CN103314414B (ko)
TW (1) TWI497739B (ko)
WO (1) WO2012108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0899B (zh) * 2013-08-15 2015-10-07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银电极浆料
JP6155965B2 (ja) * 2013-08-23 2017-07-05 旭硝子株式会社 電極形成用ガラス粉末および電極形成用導電ペースト
CN103440900B (zh) * 2013-09-10 2016-06-15 乐凯胶片股份有限公司 一种晶体硅太阳能电池用无铅正银浆料
CN103617824B (zh) * 2013-12-06 2016-10-05 苏州柏特瑞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附着力太阳能电池正面银浆及其制备方法
JP2015115400A (ja) * 2013-12-10 2015-06-22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導電性アルミニウムペースト
KR20170108577A (ko) * 2016-03-18 2017-09-27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무연 도전 페이스트
JP6688500B2 (ja) * 2016-06-29 2020-04-28 ナミ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及び太陽電池
JP6714275B2 (ja) * 2016-08-23 2020-06-24 ナミ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及び太陽電池
CN106396417A (zh) * 2016-08-31 2017-02-15 安徽斯迈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大功率电阻中玻璃相的制备方法
CN106571172A (zh) * 2016-09-27 2017-04-19 东莞珂洛赫慕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基板厚膜电路中温烧结介质浆料及其制备方法
CN109994247A (zh) * 2017-12-29 2019-07-09 白金光学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导电浆料
JP7088811B2 (ja) * 2018-11-09 2022-06-21 Agc株式会社 ガラス、ガラス粉末、導電ペーストおよび太陽電池
JP7444552B2 (ja) * 2019-06-04 2024-03-06 Agc株式会社 ガラス組成物、ガラス組成物の製造方法、導電ペースト、及び太陽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345A (ja) * 1999-11-10 2001-05-22 Asahi Glass Co Ltd 無鉛低融点ガラスおよびガラスフリット
US7176152B2 (en) * 2004-06-09 2007-02-13 Ferro Corporation Lead-free and cadmium-free conductive copper thick film pastes
JP5349791B2 (ja) * 2007-11-19 2013-11-20 旭硝子株式会社 色素増感型太陽電池製造用無鉛ガラスおよびガラスセラミックス組成物
JP2011525887A (ja) * 2008-06-26 2011-09-29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光起電力電池用導体に用いるガラス組成物
US8007930B2 (en) * 2008-07-10 2011-08-30 Ferro Corporation Zinc containing glasses and enamels
JP5541605B2 (ja) * 2009-04-16 2014-07-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電極形成用ガラス組成物および電極形成材料
JP5703539B2 (ja) * 2009-01-30 2015-04-22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組成物
JP2010192480A (ja) * 2009-02-16 2010-09-0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電極形成用ガラス組成物および電極形成材料
JP5796270B2 (ja) * 2009-04-16 2015-10-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電極形成材料
JP2010280554A (ja) * 2009-06-08 2010-12-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ガラスおよ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材料
JP5685813B2 (ja) * 2009-12-29 2015-03-1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絶縁被覆用無鉛低融点ガラスペースト
CN101840744B (zh) * 2010-02-10 2012-04-25 武汉伊莱瑞尔高新技术有限公司 环保型无铅铝浆及其制备方法
JP5569094B2 (ja) * 2010-03-28 2014-08-1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低融点ガラス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ペースト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14414A (zh) 2013-09-18
TW201242060A (en) 2012-10-16
KR101455019B1 (ko) 2014-10-28
TWI497739B (zh) 2015-08-21
JP2012180261A (ja) 2012-09-20
CN103314414B (zh) 2015-09-16
JP5888493B2 (ja) 2016-03-22
WO2012108290A1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019B1 (ko)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
TWI428303B (zh) A low melting point glass composition and a conductive paste material using the same
JP5272373B2 (ja) 多結晶Si太陽電池
JP5532512B2 (ja) 電極形成用ガラス組成物および電極形成材料
JP5796270B2 (ja) 電極形成材料
TWI469944B (zh) A low melting point glass composition and a conductive paste material using the same
KR101474677B1 (ko) 도전성 페이스트 및 그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태양전지 소자
KR101317228B1 (ko) 실리콘 태양전지의 저 휨 고특성 구현용 알루미늄 페이스트 조성물
KR20140074415A (ko) 태양전지 후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
JP5943295B2 (ja) 電極形成用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電極形成材料
JP6112384B2 (ja) 電極形成用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電極形成材料
JP2010192480A (ja) 電極形成用ガラス組成物および電極形成材料
JP2013189372A (ja) 導電性ペースト材料
KR20120069160A (ko) 알루미늄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
KR20130042756A (ko) 알루미늄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
KR20130043805A (ko) 알루미늄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
KR20140052480A (ko) 알루미늄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
KR20130042366A (ko) 알루미늄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