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526A -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526A
KR20130120526A KR1020137022489A KR20137022489A KR20130120526A KR 20130120526 A KR20130120526 A KR 20130120526A KR 1020137022489 A KR1020137022489 A KR 1020137022489A KR 20137022489 A KR20137022489 A KR 20137022489A KR 20130120526 A KR20130120526 A KR 2013012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dentification
difference
different authentic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644B1 (ko
Inventor
히로아키 하마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인증 단말 간의 이동 시간을 미리 측정해 두는 것을 불요(不要)로 할 수 있는 입퇴실 관리 장치 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관리 영역 내의 복수의 관리 구역에 각각 마련된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했을 때에,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당해 식별 대상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수단과,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할 때마다,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ROOM ENTRY/EXIT MANAGEMENT DEVICE AND ROOM ENTRY/EXIT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입퇴실 관리를 행하는 관리 영역은 복수의 관리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관리 구역에는 인증 단말이 마련된다. 각 인증 단말은 관리 장치에 접속된다. 관리 장치에는 각 인증 단말 간의 기준 시간으로서, 실제로 측정한 이동 시간이 미리 등록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관리 장치는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식별했을 때,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差)를 미리 등록된 기준 시간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식별 대상의 인증이 행해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4-204629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인증 단말의 각 조합(照合)에 대해, 인증 단말 간의 이동 시간을 미리 측정해 기준 시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인증 단말 간의 이동 시간을 미리 측정해 두는 것을 불요(不要)로 할 수 있는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퇴실 관리 장치는, 관리 영역 내의 복수의 관리 구역에 각각 마련된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했을 때에,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당해 식별 대상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상기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할 때마다,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퇴실 관리 시스템은, 관리 영역 내의 복수의 관리 구역에 각각 마련된 서로 다른 인증 단말와,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했을 때에,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당해 식별 대상의 인증을 행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상기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할 때마다,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증 단말 간의 이동 시간을 미리 측정하는 것을 불요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이동 시간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건물 등의 관리 영역이다. 관리 영역(1)의 이용자는 인증 매체(2)를 휴대한다. 인증 매체(2)는 휴대 가능한 자기 기록 부재나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인증 매체(2)에는 식별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개인 식별 정보로서, 고유의 카드 ID 번호가 기억된다. 또한, 인증 매체(2)에는 개인 식별 정보로서, 고유의 이용자 ID, 비밀 번호, 이용자의 생년월일, 유효 기간 등을 기억해도 된다.
관리 영역(1) 내는 복수의 관리 구역(도시하지 않음)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관리 구역에는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각 출입구에는,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각 도어에는 전기 자물쇠(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각 출입구 부근에는 각 전기 자물쇠에 대응하여, 인증 단말(3)이 마련된다. 각 인증 단말(3)은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관리 장치(5)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인증 단말(3)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증 단말(3)은 단말 I/F 부(3a), 통신 I/F 부(3b), 전기 자물쇠 I/F 부(3c), 기억부(3d), 단말 제어부(3e)를 구비한다.
단말 I/F 부(3a)는 인증 매체(2)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 부(3b)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전기 자물쇠 I/F 부(3c)는 대응지어진 전기 자물쇠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기억부(3d)는 입퇴실 관리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단말 제어부(3e)는 기억부(3d)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입퇴실 관리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관리 장치(5)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리 장치(5)는 서버나 PC 등의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관리 장치(5)는 통신 I/F 부(5a), 조작 입력부(5b), 화면 표시부(5c), 기억부(5d), 관리 제어부(5e)를 구비한다.
통신 I/F 부(5a)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조작 입력부(5b)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화면 표시부(5c)는 CRT나 LCD 등의 표시 장치로 이루어진다. 화면 표시부(5c)는 입퇴실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나 부정 조작(부정 통행) 검지시의 부정 조작 발생 경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기억부(5d)는 각종 처리에 이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5d)는 이동 시간 테이블(5f)과 조작 이력 테이블(5g)을 기억한다. 이동 시간 테이블(5f)에는 각 인증 단말(3) 사이의 이동에 관한 기준 시간이 기억된다. 조작 이력 테이블(5g)에는 개인 식별 정보의 이용자 ID 마다, 조작을 행한 인증 단말(3)의 ID와 조작 시각이 대응지어 기억된다.
관리 제어부(5e)는 각 관리 구역의 입퇴실에 관한 각종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제어 수단(5e)은 이동 시간 테이블(5f)과 조작 이력 테이블(5g)에 기초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가 처음으로 관리 영역(1) 내에 들어갔을 경우나 시스템이 리셋트 되었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이용자가 어느 하나의 관리 구역에 대응한 인증 단말(3)의 단말 I/F 부(3a)에 인증 매체(2)를 갖다 댄다. 인증 단말(3)의 단말 I/F 부(3a)는 인증 단말(3)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개인 식별 정보는 인증 단말(3)의 통신 I/F 부(3b),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관리 장치(5)의 통신 I/F 부(5a)에 전달된다. 관리 장치(5)의 기억부(5d)는 전달된 개인 식별 정보의 이용자 ID에, 조작된 인증 단말(3)의 ID와 조작 시각(식별 시각)을 대응지어 조작 이력 테이블(5g)에 기억한다.
그 후, 이용자는 다른 관리 구역으로 이동하여, 이동처의 관리 구역에 대응한 인증 단말(3)의 단말 I/F 부(3a)에 인증 매체(2)를 갖다 댄다.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단말 I/F 부(3a)는 인증 매체(2)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개인 식별 정보는,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통신 I/F 부(3b),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관리 장치(5)의 통신 I/F 부(5a)에 전달된다.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통신 I/F 부(5a)를 통해, 이동처의 인증 단말(3)로부터의 조작 통지를 수신한다. 그 후,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개인 식별 정보의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당해 이용자에 의해 직전에 조작된 인증 단말(3)의 ID를 이동원 인증 단말(3)의 ID로서 취득함과 아울러, 그 이동원 인증 단말(3)에서의 조작 시각도 취득한다.
그 후,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이동원 인증 단말(3)에서의 조작 시각과 이동처 인증 단말(3)에서의 조작 시각을 이용하여, 양 인증 단말(3)에서의 조작의 시간차를 추정 이동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그 후,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이동원 인증 단말(3)의 ID와 이동처 인증 단말(3)의 ID에 기초하여, 이동 시간 테이블(5f)을 참조하여, 양 인증 단말(3) 사이의 기준 시간을 취득한다. 그 후,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추정 이동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예를 들면, 추정 이동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경우, 이용자가 기준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양 인증 단말(3) 사이를 이동한 것이 된다. 이 이동은, 현실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부정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이동처의 관리 구역의 전기 자물쇠는 열리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이동처로의 관리 구역으로의 부정 침입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 시간 테이블(5f)에는 이동원과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ID에 대응지어서, 기준 시간을 등록할 필요가 있다. 이 기준 시간을 미리 등록하기 위해서는, 각 인증 단말(3) 사이를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 시간을 미리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인증 단말(3)의 수가 많은 경우, 인증 단말(3)의 배치를 변경했을 경우, 신규로 인증 단말(3)을 추가했을 경우, 기준 시간의 등록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크다.
이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관리 장치(5)에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갱신 수단)(5h)을 마련하고, 서로 다른 인증 단말(3)에서의 각 이용자 ID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갱신하도록 했다. 이하, 기준 시간의 갱신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이동 시간 테이블(5f)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이동 시간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시간 테이블(5f)에는 이동원의 인증 단말(3)의 ID와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ID가 대응지어진다. 이러한 대응지음에, 포인터값도 대응지어진다. 이러한 포인터값에 대응하여, 이동원의 인증 단말(3)과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인식 시각의 차가 실측값으로서 기억된다.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이들 실측값의 통계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통계값으로서 이동 평균, 표준 편차, 변동 계수가 산출된다. 이러한 통계값은 이동원의 인증 단말(3)과 이동처의 인증 단말(3)에 대응지어져 이동 시간 테이블(5f)에 기억된다.
일례로서 제1 단말을 이동원으로 하고, 제2 단말을 이동처로 했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각 포인터값에 대응한 실측값은 「300」(초), …,「308」(초)이다. 이때의 평균은 303.0(초)이다. 이때의 표준 편차는 16.6이다. 이때의 변동 계수는 5.48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통계값의 산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스텝 S1에서는,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관리 장치(5)의 통신 I/F 부(5a)와 관리 제어부(5e)를 통해, 조작 통지를 수신한다. 그 후,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조작 통지 중인 이용자 ID와 인증 단말(3)의 ID를 취득하여, 인증 단말(3)의 ID를 당해 이용자의 이동처 인증 단말(3)의 ID로서 기억한다. 그 후, 스텝 S2로 진행하여,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조작 이력 테이블(5g) 내에, 수신한 이용자 ID의 전(前)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한 이용자 ID의 전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동작을 종료한다. 수신한 이용자 ID의 전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그때의 인증 단말(3)의 ID를 취득하여, 이동원 인증 단말(3)의 ID로서 기억한다.
그 후, 스텝 S4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이동원 인증 단말(3)에서의 조작 시각과 이동처 인증 단말(3)에서의 조작 시각의 차를 계산하여,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그 후, 스텝 S5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이동 시간 테이블(5f)의 이동원 인증 단말(3)의 ID와 이동처 인증 단말(3)의 ID가 각각 해당하는 행의 포인터값을 참조한다.
그 후, 스텝 S6으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이동 시간 테이블(5f)의 해당 행의 실측값에서 포인터값에 대응한 컬럼의 값을, 산출한 이동 시간으로 변경한다. 그 후, 스텝 S7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포인터값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참조한 포인터값이 N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포인터값이 N보다 작은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는,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포인터값을 1만큼 증가한다. 그 후, 스텝 9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이동 시간 테이블(5f)의 해당하는 행의 포인터값을 갱신한다. 그 후, 스텝 S10으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통계값으로서 이동 평균, 표준 편차, 변동 계수를 재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이동 시간 테이블(5f)의 해당하는 행에 격납한다.
이것에 반해, 스텝 S7에서 참조한 포인터값이 N인 경우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포인터값을 1로 한다. 그 후, 스텝 S9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이동 시간 테이블(5f)의 해당하는 행의 포인터값을 1로 되돌린다. 그 후, 스텝 S10으로 진행하며,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5h)은 통계값으로서 이동 평균, 표준 편차, 변동 계수를 재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이동 시간 테이블(5f)의 해당하는 행에 격납한다.
이러한 동작은, 각 이용자가 각 인증 단말(3)을 조작할 때마다 행해진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인증 단말(3)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할 때마다, 이동 시간 테이블(5f)에는, 해당하는 인증 단말(3) 사이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가 기억된다.
다음으로, 기준 시간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평균값-표준 편차×3의 값이 최소 이동 시간으로서 설정된다. 이것에 대해, 평균값+표준 편차×3의 값이 최대 이동 시간으로서 설정된다. 최소 이동 시간과 최대 이동 시간은, 이동원의 인증 단말(3)과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각 조합에 대응하여 산출된다. 이들 산출 결과는, 이동원의 인증 단말(3)과 이동처의 인증 단말(3)의 각 조합에 대응지어서, 이동 시간 테이블(5f)에 격납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기준 시간에 기초하여,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부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장치(5)의 관리 제어부(5e)는 산출한 이동 시간이 최소 이동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나 최대 이동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 부정 조작 있음으로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인증 단말(3)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실제의 이동 시간에 대응한 기준 시간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인증 단말(3) 사이의 이동 시간을 미리 측정해 두는 것을 불요로 할 수 있다. 또, 인증 단말(3)의 배치를 변경했을 경우, 기준 시간을 다시 측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더하여, 기준 시간은 갱신된다. 이 때문에, 기준 시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시간에 의해 부정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그 이동 시간을 이동 시간 테이블(5f)에 격납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통계값을 구할 때의 모집단으로부터 특이값을 제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 시간 테이블(5f) 내의 통계값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입퇴실 관리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이용자 마다나, 성별, 연령대별, 휠체어 이용자 등 이용자의 속성마다, 통계값을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 이용자의 속성에 맞은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최소 이동 시간을 설정할 때에 이동 속도가 빠르다고 상정되는 이용자의 속성의 통계값을 이용하고, 최대 이동 시간을 설정할 때에 이동 속도가 늦다고 상정되는 이용자의 속성의 통계값을 이용하면, 보다 확실히 관리 구역 내로의 부정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계산의 간략화를 위해, N개의 이동 평균을 이용해 기준 시간을 설정했다. 그렇지만, 단순한 산술 평균을 이용해 기준 시간을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인증 단말(3) 사이에서의 조작 시각의 차의 실측값이 N개 갖추어질 때까지는, 실측값의 하나를 카피하여, 다른 실측값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스템의 도입 당초부터,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입퇴실을 관리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인증 단말(3) 사이에서의 조작 시각의 차이의 실측값이 N개 갖추어질 때까지 부정 조작의 판단을 금지하면, 부정 조작을 오판단하는 확률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각 인증 단말(3)의 배치를 고려하여, 기준 시간의 설정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직선 모양의 통로에 접한 관리 구역 간을 이동하는 경우, 원칙으로서 도보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관리 구역 간의 이동 시간의 편차는, 비교적 작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 이동 시간과 최대 이동 시간의 차를 비교적 작게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반해, 다른 층의 관리 구역 간을 이동하는 경우, 이동 수단으로서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구역 간의 이동 시간의 편차는, 비교적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 이동 시간과 최대 이동 시간의 차를 비교적 크게 설정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각 인증 단말(3)의 배치에 적절한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식별 대상의 식별에, 생체 인증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의 관리 장치(5)는 실시 형태 1의 관리 장치(5)에, 부정 통행 여부 판정 수단(5i)을 부가한 것이다. 부정 통행 여부 판정 수단(5i)은 인증 단말(3) 사이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편차를 나타내는 지표(예를 들면, 변동 계수)를 참조하여, 기준 시간을 이용해 부정 조작(부정 통행)을 판단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정 통행 여부 판정 수단(5i)은 참조한 지표가 소정의 판정 기준값보다도 큰 경우는, 통계값에 기초한 부정 조작의 판단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관리 장치(5)는 식별 시각의 차의 편차가 작은 인증 단말(3) 사이에서만 부정 조작의 판단을 행한다. 이 때문에, 부정 조작을 오판단할 확률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시각의 차의 편차가 큰 인증 단말(3) 사이에서는, 당해 인증 단말(3) 사이에 대응한 실측값의 최소값을 최소 이동 시간으로 설정하고, 당해 인증 단말(3) 사이에 대응한 실측값의 최대값을 최대 이동 시간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 식별 시각의 차의 편차가 큰 인증 단말(3) 사이에서도,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입퇴실을 관리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은 입퇴실 관리를 행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관리 영역
2: 인증 매체
3: 인증 단말
3a: 단말 I/F 부
3b: 통신 I/F 부
3c: 전기 자물쇠 I/F 부
3d: 기억부
3e: 단말 제어부
4: 통신 네트워크
5: 관리 장치
5a: 통신 I/F 부
5b: 조작 입력부
5c: 화면 표시부
5d: 기억부
5e: 관리 제어부
5f: 이동 시간 테이블
5g: 조작 이력 테이블
5h: 이동 시간 테이블 작성 변경 수단
5i: 부정 통행 여부 판정 수단

Claims (8)

  1. 관리 영역 내의 복수의 관리 구역에 각각 마련된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했을 때에,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당해 식별 대상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상기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할 때마다,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편차를 나타내는 지표가 소정의 판정 기준값보다도 큰 경우는, 상기 통계값에 기초한 기준 시간으로의 인증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가 상기 기준 시간을 벗어난 경우는, 상기 통계값을 산출할 때의 모집단(母集團)으로부터 당해 식별 시각의 차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통계값의 산출을, 이용자의 속성마다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장치.
  5. 관리 영역 내의 복수의 관리 구역에 각각 마련된 서로 다른 인증 단말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했을 때에,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당해 식별 대상의 인증을 행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이 상기 식별 대상을 연속하여 식별할 때마다,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통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의 편차를 나타내는 지표가 소정의 판정 기준값보다도 큰 경우는, 상기 통계값에 기초한 기준 시간으로의 인증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서로 다른 인증 단말에서의 식별 시각의 차가 상기 기준 시간을 벗어난 경우는, 상기 통계값을 산출할 때의 모집단으로부터 당해 식별 시각의 차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통계값의 산출을, 이용자의 속성마다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퇴실 관리 시스템.
KR1020137022489A 2011-02-18 2011-02-18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 KR101475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3529 WO2012111146A1 (ja) 2011-02-18 2011-02-18 入退室管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退室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526A true KR20130120526A (ko) 2013-11-04
KR101475644B1 KR101475644B1 (ko) 2014-12-22

Family

ID=4667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89A KR101475644B1 (ko) 2011-02-18 2011-02-18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16761B2 (ko)
KR (1) KR101475644B1 (ko)
CN (1) CN103238171B (ko)
WO (1) WO2012111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9118A1 (en) * 2013-03-15 2014-09-17 Inventio AG Adaptive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EP2779117A1 (en) * 2013-03-15 2014-09-17 Inventio AG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CN104775683B (zh) * 2014-01-10 2018-01-19 广东建邦计算机软件股份有限公司 安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138A (ja) * 1994-03-09 1995-09-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滞留時間計測方法
JP2004204629A (ja) * 2002-12-26 2004-07-22 Yamatake Corp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33127B2 (ja) * 2003-12-26 2007-06-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旅行時間予測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71408B2 (ja) * 2004-04-16 2007-09-05 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ログモニタ装置
JP4574335B2 (ja) * 2004-11-19 201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認証サーバ、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458834A (zh) * 2007-12-14 2009-06-17 英业达股份有限公司 门禁管制的认证方法及应用其的移动电子装置与门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644B1 (ko) 2014-12-22
JP5516761B2 (ja) 2014-06-11
WO2012111146A1 (ja) 2012-08-23
CN103238171A (zh) 2013-08-07
JPWO2012111146A1 (ja) 2014-07-03
CN103238171B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651B1 (ko) 시간에 따른 로케이션 정보를 사용하는 아이덴티티 검증
KR101171698B1 (ko) 입퇴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70222B1 (ko) 이용자 인증 장치, 이용자 인증 방법 및 이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2175426A2 (en) Security system, securit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security program
KR20080088416A (ko) 대조 장치, 대조 방법 및 대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1008529A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00061332A (ko) 인증 장치 및 인증 방법
JP2008140024A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EP3706021B1 (en) System, device, method and program to prevent collision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JP3797523B2 (ja) 指紋による個人認証システム
JP2013117876A (ja) 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及び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プログラム
JP2006293766A (ja) 団体構成員体調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団体構成員体調管理方法
US20230205857A1 (en) Authentication terminal and security system
KR20130120526A (ko) 입퇴실 관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
JP2023101766A (ja)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6644825A (zh) 一种基于大数据的门诊信息查询预约管理系统
JP2004204629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209562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存储媒体
JP6544578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2016162382A (ja) 来訪者を訪問先へ誘導する機能を有する入退室管理システム
CN115022046A (zh) 一种验证可信用户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13206195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JP2019006546A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EP3007141B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program
EP40635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