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370A -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370A
KR20130120370A KR1020127032100A KR20127032100A KR20130120370A KR 20130120370 A KR20130120370 A KR 20130120370A KR 1020127032100 A KR1020127032100 A KR 1020127032100A KR 20127032100 A KR20127032100 A KR 20127032100A KR 20130120370 A KR20130120370 A KR 20130120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speridin
composition
manufacturing
water
poor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075B1 (ko
Inventor
야스시 야마다
게이고 하나키
도시테루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6Benzopyran radicals
    • C07H17/065Benzo[b]pyrans
    • C07H17/07Benzo[b]pyran-4-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수성 매체의 존재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HENOL COMPOSITION}
본 발명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리 기능을 갖는 여러 가지 소재가 제안되어, 이들을 함유하는 수많은 건강 식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페놀은, 항산화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어, 항동맥경화, 항알레르기, 혈류 증강 등의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건강 식품의 중요한 성분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페놀에는 난수용성인 것이 많아, 그들을 청량 음료 등의 수성 식품에 사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헤스페리딘은, 비타민 P 라고도 불리며, 감귤류의 껍질 등에 많이 함유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헤스페리딘은 모세 혈관의 강화, 출혈 예방, 혈압 조정 등 여러 가지 생리 작용을 가지며, 식품, 의약품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헤스페리딘은 알칼리성 수용액에는 용해되지만, 중성 ∼ 산성 수용액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고, 예를 들어 25 ℃ 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겨우 0.02 ㎎/g 이다.
그래서, 이것을 개선하는 기술이 검토되어, 예를 들어, 헤스페리딘에 글루코오스를 결합시킨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은 25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200 ㎎/g 이상으로 높으며, 또한 헤스페리딘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난수용성 폴리페놀을 물에 가용화시키는 기술이 검토되어, 예를 들어, 헤스페리딘 배당체를 감귤 과즙 그리고 과즙 음료에 첨가한 후 가열하여,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2) ; 난수용성 플라보노이드와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가열 처리하여 난수용성 플라보노이드를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킨 후,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공존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3) ; 수성 매체 중에 난용성의 플라보노이드와 대두 사포닌 및/또는 말로닐이소플라본 배당체를 공존시키고, 가열 처리하여 플라보노이드를 가용화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4) 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 난수용성 폴리페놀의 가열 처리는, 70 ℃ ∼ 90 ℃ 전후에서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5494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68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71839호 국제 공개 제2005/003112호 팜플렛
본 발명은 다음의 (1) ∼ (42) 에 관한 것이다.
(1) 수성 매체의 존재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logP 값이 -1.0 ∼ 4.0 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logP 값이 -0.5 ∼ 3.5 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가, 헤스페리딘,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나린긴, 쿠르쿠민, 루틴, 카페산 및 페룰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에 대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질량비 (A)/(B) 가 0.005 ∼ 10 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에 대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질량비 (A)/(B) 가 0.01 ∼ 10 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에 대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질량비 (A)/(B) 가 0.02 ∼ 3 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에 대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질량비 (A)/(B) 가 0.168 ∼ 2.33 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이 메틸헤스페리딘인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추가로,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 및 냉각된 반응액으로부터 고체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페놀 조성물.
(12) 수성 매체의 존재하, 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 당(糖) 부가물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이 글루코실헤스페리딘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이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를 0.1 ∼ 20 으로 하는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를 0.2 ∼ 15 로 하는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를 0.2 ∼ 10 으로 하는 상기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를 0.3 ∼ 5 로 하는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를 1.22 ∼ 3 으로 하는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수성 매체가 물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용액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1) 추가로,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 및 냉각된 반응액으로부터 고체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0.1 ℃/s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3)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0.2 ℃/s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0.5 ℃/s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1 ℃/s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3 ℃/s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5 ℃/s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8)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100 ℃/s 이하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29)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50 ℃/s 이하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30)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형태가 수용액상 또는 분말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31)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3 ∼ 10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32)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4 ∼ 8 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3)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5 ∼ 8 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4)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1 ∼ 5 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5) 물에 대한 25 ℃ 에서의 헤스페리딘 용해량이 1.3 g/ℓ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6) 물에 대한 25 ℃ 에서의 헤스페리딘 용해량이 2 g/ℓ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7) 물에 대한 25 ℃ 에서의 헤스페리딘 용해량이 3 g/ℓ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8) 물에 대한 25 ℃ 에서의 헤스페리딘 용해량이 5 g/ℓ 이상인 상기의 헤스페리딘 조성물.
(39)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3 ∼ 10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40)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4 ∼ 8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41)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5 ∼ 8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42)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1 ∼ 5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등의 헤스페리딘 배당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높다. 이 때문에, 이것을 헤스페리딘 대신에 사용하는 것, 가용화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말로닐이소플라본 배당체 등의 가용화제를 사용하면, 난수용성 폴리페놀의 용해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가용화제의 대두에서 유래하는 독특한 곡물 냄새가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 용도가 한정된다는 문제가 생각된다. 또한, 헤스페리딘 함유량이 낮은 헤스페리딘 조성물밖에 얻어지지 않았고, 헤스페리딘을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렴하고, 조성물의 풍미에 대한 영향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여, 물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폴리페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스페리딘의 함유량이 높으며, 또한 용해성이 우수한 헤스페리딘 조성물, 그리고 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가용화 기술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수성 매체의 존재하,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또는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을 10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비약적으로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용해 농도가 증가하는 것, 또한, 이러한 처리를 거친 조성물에서는 실온하에 있어서도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석출이 억제되어 높은 용해성이 유지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또는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 의한 조성물의 풍미에 대한 영향은 적은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헤스페리딘의 가용화 기술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수성 매체의 존재하,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을 10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비약적으로 헤스페리딘의 용해 농도가 증가하는 것, 또한 이러한 처리를 거친 조성물에서는 실온하에 있어서도 헤스페리딘의 석출이 억제되어 높은 헤스페리딘의 용해성이 유지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폴리페놀 조성물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페놀 조성물은, 가용화제에 의한 풍미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음식품이나 의약품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 등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용해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헤스페리딘 함유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용해성이 우수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수성 매체의 존재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간단히 성분 (B) 라고도 한다. 또한, 당해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 1 방법이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란, logP 값이 -1.0 ∼ 4.0 인 것을 말한다.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는, logP 값이 -0.5 ∼ 3.5 인 것이 바람직하다. logP 값은, 1-옥탄올/물 사이의 분배 계수의 상용 대수를 취한 값으로, 유기 화합물의 소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플러스로 클수록 소수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폴리페놀류의 logP 값은, 일본 공업 규격 Z7260-107 에 기재된 플라스크 진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하였다.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는, 벤젠 고리에 하이드록실기가 1 개 이상, 또한 2 개 이상 결합한 페놀성 물질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 타닌, 페놀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는, 플라보놀류, 플라바논류, 플라본류, 이스플라본류, 페놀카르복실산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루틴,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퀘르세틴, 미리시트린, 다이제인, 다이진, 글리시테인, 글리시틴, 게니스테인, 게니스틴, 미리세틴, 헤스페리딘, 네오헤스페리딘, 헤스페레틴, 나린긴, 쿠르쿠민, 린게닌, 프루닌, 아스트라갈린, 캠페롤, 레스베라트롤, 아피인, 아피게닌, 델피니딘, 델핀, 나스닌, 페오니딘, 페오닌, 페튜닌, 말비딘, 말빈, 에닌, 시아니딘, 류코시아니딘, 시아닌, 크리산테민, 케라시아닌, 이데인, 메코시아닌, 펠라르고니딘, 칼리스테핀, 카페산, 페룰산, p-쿠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루틴, 퀘르세틴, 헤스페리딘, 나린긴, 쿠르쿠민, 레스베라트롤, 카페산, 페룰산이 바람직하다.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테킨류는, 카테킨, 갈로카테킨, 카테킨갈레이트 및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비(非)에피체 카테킨류와,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에피체 카테킨류를 아우르는 총칭이다. 카테킨류의 함유량은, 상기 8 종의 합계량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카테킨류는 차 추출물을 사용해도 된다. 차 추출물로는, 차 추출액, 그 농축물 및 그들의 정제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차 추출액」이란, 차잎으로부터 열수 또는 수용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추출액으로서, 농축이나 정제 조작이 실시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또한, 수용성 유기 용매로서, 예를 들어,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는, 니더 추출, 교반 추출 (배치 추출), 향류 추출 (드립 추출), 칼럼 추출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추출에 사용하는 차잎은, 그 가공 방법에 따라, 불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불발효차로는, 예를 들어, 전차, 엽차, 옥로, 연차, 부초차, 줄기차, 봉차(棒茶), 아차(芽茶) 등의 녹차가 예시된다. 또한, 반발효차로는, 예를 들어, 철관음, 색종, 황금계, 무이암차 등의 우롱차가 예시된다. 또한, 발효차로는, 다르질링, 아삼, 스리랑카 등의 홍차가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테킨류의 함유량의 면에서, 녹차가 바람직하다.
또한, 「차 추출액의 농축물」이란, 불발효차, 반발효차 및 발효차에서 선택되는 차잎으로부터 열수 또는 수용성 유기 용매에 의해 추출된 용액의 수분의 일부를 제거하여 카테킨류 농도를 높인 것으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21938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05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609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06279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그 형태로는, 고체, 수용액, 슬러리상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차 추출액의 농축물로서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미츠이 농림 (주) 의 「폴리페논」, 이토엔 (주) 의 「테아후란」, 타이요 화학 (주) 의 「산페논」 등의 녹차 추출액의 농축물이 있다.
차 추출액 등의 정제는, 용제나 칼럼을 사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클로로겐산류는, 3-카페오일퀸산, 4-카페오일퀸산 및 5-카페오일퀸산의 모노카페오일퀸산과, 3-페룰로일퀸산, 4-페룰로일퀸산 및 5-페룰로일퀸산의 모노페룰로일퀸산과, 3,4-디카페오일퀸산, 3,5-디카페오일퀸산 및 4,5-디카페오일퀸산의 디카페오일퀸산을 아우르는 총칭이다. 클로로겐산류의 함유량은 상기 9 종의 합계량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또한, 클로로겐산류는, 염의 형태이어도 되고,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과의 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아민과의 염,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클로로겐산류는, 이것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 그 농축물 또는 그들의 정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물 추출물로는, 예를 들어, 해바라기 종자, 사과 미숙과, 생커피콩, 시몬잎, 소나무과 식물의 구과, 소나무과 식물의 종자 껍질, 사탕수수 남천의 잎, 우엉, 가지의 껍질, 매화의 과실, 관동, 포도과 식물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클로로겐산류 함량 등의 면에서, 생커피콩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커피 나무의 종류로는, 아라비카종, 로부스타종, 리베리카종 및 아라부스타종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추출, 농축, 정제의 방법·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 및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클로로겐산류로서 시판되는 클로로겐산류 함유 제제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플레이버 홀더 RC (하세가와 향료 (주))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은, 전술한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를 메틸화하고, 물에 가용화한 것이다. 메틸화의 위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메틸헤스페리딘, 메틸퀘르세틴, 메틸레스베라트롤, 메틸루틴 등을 들 수 있고, 메틸헤스페리딘이 바람직하다. 메틸헤스페리딘에는, 주로 칼콘형 화합물 (A) 및 플라바논형 화합물 (B) 가 함유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구성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의약품 첨가물 및 식품 첨가물로서의 메틸헤스페리딘은, 주로 화합물 (C) 및 (D) 의 혼합물로서 취급되고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Gl 은 글루코오스 잔기, Rh 는 람노오스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Gl-2 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2 위치 (C-1 의 경우, 3 위치도 포함한다), Rh-2 는 람노오스 잔기의 2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헤스페리딘메틸칼콘은, (E)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 취급되고 있다. 또한, 칼콘형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는 조성의 경우, 헤스페리딘메틸칼콘으로도 불린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메틸헤스페리딘은, 상기에서 나타낸 칼콘형 화합물 (A) 와 플라바논형 화합물 (B) 양방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각각의 편방만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메틸헤스페리딘으로는, 화합물 (C) 와 화합물 (D) 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메틸헤스페리딘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헤스페리딘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녹이고, 그 알칼리 용액에 대응하는 양의 디메틸황산을 작용시켜, 반응액을 황산으로 중화시키고, n-부틸알코올로 추출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재결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사키에키, 일본 화학 잡지, 79, 733-6 (1958)), 그 제조법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메틸헤스페리딘으로서 시판되는 메틸헤스페리딘 함유 제제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메틸헤스페리딘」(토쿄 카세이 공업 (주)), 「헤스페리딘메틸칼콘」(Sigma 사), 「메틸헤스페리딘」(하마리 약품 공업 (주))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 (B) 로서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또는 메틸헤스페리딘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수성 매체의 존재하, 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 2 방법이라고도 한다.
헤스페리딘은, 헤스페레틴(5,7,3'-트리하이드록시-4'-메톡시플라바논)의 7 위치의 수산기에 루티노오스(L-람노실-(α1→6)-D-글루코오스)가 β 결합한 화합물이다.
또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은 헤스페리딘에 추가로 1 개 ∼ 10 개의 당이 결합한 화합물이다. 당으로는,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프룩토오스, 람노오스, 락토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해성 및 가용화력의 면에서, 헤스페리딘에 1 개 ∼ 10 개의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글루코오스 1 개가 결합한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루코오스의 부가수는 분포를 갖고 있어도 되고, 헤스페리딘 1 몰에 대한 글루코오스의 평균 부가 몰수는 1 ∼ 10 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스페리딘 자신도, 상기와 같이, 헤스페레틴을 아글리콘으로 하고, 이것에 당이 결합한 배당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헤스페리딘에 추가로 당이 결합한 것을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이라고 표기한다.
이들 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은, 화학 합성이나 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헤스페리딘에 대해서는, 이것을 함유하는 천연물, 바람직하게는 식물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이들 물질은 또한, 시약 등으로서 제조 판매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헤스페리딘의 예로는, 하마리 약품 공업 (주) 의 헤스페리딘 「하마리」를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의 예로는, (주) 하야시바라 생물 과학 연구소의 「하야시바라 헤스페리딘 S」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성 매체란, 물, 및 유기 용매의 수용액을 말한다. 물로는, 수돗물, 증류수, 이온 교환수, 정제수가 예시된다. 유기 용매로는, 물과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용매로는 탄소수 4 이하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메탄올 및 에탄올이 보다 바람직하며, 식품에 적용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에탄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용액 중의 유기 용매의 농도는, 0.1 ∼ 80 질량% (이하, 간단히 「%」라고 한다) 가 바람직하고, 1 ∼ 7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5 ∼ 60 % 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 5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로서 유기 용매의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의 함유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성 매체는, 용질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용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미노산 등의 산, 무기염, 유기염, 당 등이 예시된다. 간장, 감귤류초간장, 소스, 과즙, 과채즙, 커피, 차 등을 사용해도 된다.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수성 매체에 분산시켜, 슬러리 상태로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방법에 있어서의 수성 매체 중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함유량은,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유동성의 면에서, 0.1 ∼ 100 g/ℓ 가 바람직하고, 0.5 ∼ 50 g/ℓ 가 보다 바람직하며, 0.7 ∼ 20 g/ℓ 가 더욱 바람직하고, 0.72 ∼ 10 g/ℓ 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성분 (B) 는 수성 매체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유동성의 면에서, 0.1 ∼ 200 g/ℓ 가 바람직하고, 0.5 ∼ 100 g/ℓ 가 보다 바람직하며, 1 ∼ 50 g/ℓ 가 더욱 바람직하고, 4.28 ∼ 4.31 g/ℓ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방법에 있어서, 수성 매체 중, 성분 (B) 에 대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질량비 ((A)/(B)) 는, 가열 처리, 냉각 후에 얻어지는 폴리페놀 조성물의 용해성의 면에서, 0.005 ∼ 10 이 바람직하고, 0.01 ∼ 10 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 ∼ 3 이 더욱 바람직하고, 0.168 ∼ 2.33 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방법에 있어서의 수성 매체 중의 헤스페리딘의 함유량은, 유동성의 면에서, 0.1 ∼ 100 g/ℓ 가 바람직하고, 0.5 ∼ 50 g/ℓ 가 보다 바람직하며, 1 ∼ 20 g/ℓ 가 더욱 바람직하고, 4 ∼ 18 g/ℓ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은 수성 매체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 중의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의 함유량은, 유동성의 면에서, 0.1 ∼ 200 g/ℓ 가 바람직하고, 0.5 ∼ 100 g/ℓ 가 보다 바람직하며, 1 ∼ 50 g/ℓ 가 더욱 바람직하고, 5 ∼ 20 g/ℓ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방법에 있어서, 수성 매체 중,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는, 가열 처리, 냉각 후에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용해성의 면에서, 0.1 ∼ 20 이 바람직하고, 0.2 ∼ 15 가 보다 바람직하며, 0.2 ∼ 10 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 5 가 더욱 바람직하고, 1.22 ∼ 3 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의 존재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성분 (B) 를 가열 처리하는 방법, 및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을 가열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가열 처리의 온도는,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용해성 향상과 열 안정성의 면에서, 100 ∼ 180 ℃ 이지만, 110 ∼ 17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 160 ℃ 가 더욱 바람직하며, 120 ∼ 15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의 수단은, 예를 들어, 수증기, 전기를 들 수 있다.
가열 처리시의 압력은, 게이지 압력으로 0 ∼ 10 ㎫ 가 바람직하고, 0.1 ∼ 8 ㎫ 가 보다 바람직하며, 0.1 ∼ 6 ㎫ 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 6 ㎫ 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 4 ㎫ 가 더욱 바람직하고, 0.25 ∼ 2 ㎫ 가 더욱 바람직하고, 0.3 ∼ 1.5 ㎫ 가 더욱 바람직하고, 0.3 ∼ 0.6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물의 포화 증기압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에는, 가스를 사용해도 되고, 사용되는 가스로는,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 수증기, 질소 가스, 헬륨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가압에는,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배압 밸브에 의해 조정해도 된다.
가열 처리는, 예를 들어, 회분법, 반회분법, 유통식 반응 방법 등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통식 반응 방법은, 반응 시간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의 시간은,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용해성 향상과 열 안정성의 면에서, 수성 매체가 설정 온도에 이르고 나서 0.1 ∼ 30 분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2 ∼ 15 분, 나아가 0.5 ∼ 8 분이 바람직하다.
유통식 반응 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 가열 처리의 시간은, 반응기의 고온 고압부의 체적을 수성 매체의 공급 속도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는 평균 체류 시간을 사용한다.
유통식 반응 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의 수성 매체의 유속은, 반응기의 체적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반응기 체적이 100 ㎖ 인 경우, 3.3 ∼ 200 ㎖/분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6.7 ∼ 150 ㎖/분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반응액을 9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로 냉각시키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의 하한은 동결되지 않으면 되지만, 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냉각시에, 반응액을 0.5 ∼ 5 일간, 바람직하게는 1 ∼ 3 일간 혼합 교반해도 된다. 또한, 고체상의 조성물을 얻는 경우에는, 반응액을 동결 건조에 제공해도 된다.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 저하되는 데에 필요로 하였던 시간으로부터 산출되는 반응액의 냉각 속도는 0.1 ℃/s 이상, 나아가 0.2 ℃/s 이상, 나아가 0.5 ℃/s 이상, 나아가 1 ℃/s 이상, 나아가 3 ℃/s 이상, 나아가 5 ℃/s 이상이 바람직하다. 냉각 속도가 클수록 용해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각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 ℃/s 이하, 나아가 50 ℃/s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액으로부터 고체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얻어지는 조성물의 용해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체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심 분리나 데칸테이션, 여과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제 1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페놀 조성물은,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함유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실온하에서도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석출이 억제되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다. 또한,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또는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 의한 조성물의 풍미에 대한 영향도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페놀 조성물은, 여러 가지 음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용기에 담은 음료에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용기에 담은 음료로는, 녹차 등의 차계 음료나, 스포츠 음료, 아이소토닉 음료, 니어 워터 등의 비차계 음료를 들 수 있다.
또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성분 (B) 를 10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UV 스펙트럼 해석으로부터,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난수용성 폴리페놀류,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은, 용해도의 차는 있지만 각각의 분자가 자기 회합하여, 소수부를 적층시키고, 친수부를 밖으로 향하게 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물에 용해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양 성분이 수성 매체 중에 공존하고, 100 ℃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적층 구조가 무너져 흐트러지며, 또한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성분 (B) 사이에서 상호 작용이 생겨,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성분 (B) 가 혼재하는 새로운 적층 구조가 만들어지고, 냉각 후에도 이 적층 구조가 유지됨으로써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용해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1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페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함유량은,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0.1 ∼ 70 %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0.2 ∼ 50 % 가 바람직하다.
제 2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조성물은, 헤스페리딘 함유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실온하에서도 헤스페리딘의 석출이 억제되어, 용해성이 우수하다.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헤스페리딘 용해량은, 바람직하게는 1.3 g/ℓ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g/ℓ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g/ℓ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g/ℓ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해량은, 물에 대한 25 ℃ 에서의 용해량이다.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헤스페리딘의 가용화제에 사용하는 것은 종래 알려져 있는 것이지만, 특허문헌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에 의한 가용화 작용은 한정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10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하는 것에 의한 상기 효과는 선행 기술로부터는 예상할 수 없는 의외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을 100 ℃ 이상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UV 스펙트럼 해석으로부터,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은, 용해도의 차는 있지만 각각의 분자가 자기 회합하여, 소수부를 적층시키고, 친수부를 밖으로 향하게 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물에 용해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양 성분이 수성 매체 중에 공존하고, 100 ℃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적층 구조가 무너져 흐트러지며, 또한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 사이에서 상호 작용이 생겨,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이 혼재하는 새로운 적층 구조가 만들어지고, 냉각 후에도 이 적층 구조가 유지됨으로써 헤스페리딘의 용해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헤스페리딘 조성물에 있어서의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는 0.3 ∼ 10 이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8,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이다.
본 발명의 폴리페놀 조성물 및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형태는, 수용액의 상태이어도 되고, 수분량을 조정하여 페이스트상으로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상, 과립상, 고형상 등의 고체물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수분을 조정, 제거하는 수단으로는, 동결 건조, 증발 건고, 분무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난수용성 폴리페놀류, 메틸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의 측정]
난수용성 폴리페놀류, 메틸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의 측정은, 히타치 제작소 제조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고, 임택트사 제조의 칼럼 Cadenza CD-C18 (4.6 ㎜φ×150 ㎜, 3 ㎛) 을 장착하여, 칼럼 온도 40 ℃ 에서 그레이디언트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이동상 A 액은 0.05 ㏖/ℓ 아세트산 수용액, B 액은 아세토니트릴로 하여, 1.0 ㎖/분으로 송액하였다. 그레이디언트 조건은 이하와 같다.
Figure pct00004
시료 주입량은 10 ㎕, 검출은 루틴과 메틸헤스페리딘은 파장 360 ㎚, 페룰산과 카페산은 파장 320 ㎚, 쿠르쿠민은 파장 425 ㎚, 그 밖의 난수용성 폴리페놀류 및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은 파장 283 ㎚ 의 흡광도에 의해 정량하였다.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logP 값의 측정]
일본 공업 규격 Z7260-107 에 기재된 플라스크 진탕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먼저 1-옥탄올과 증류수를 25 ℃ 에서 24 시간 진탕하여 평형화시켰다. 이어서 마개 달린 유리병에 폴리페놀 10 ㎎ 을 칭량하고, 평형화시킨 1-옥탄올과 증류수를 각각 4 ㎖ 씩 첨가하여, 25 ℃ 에서 4 일간 진탕하였다. 원심 분리에 의해 1-옥탄올상과 수상을 나누고, 상기 [난수용성 폴리페놀의 측정] 과 동일하게 하여 HPLC 에 의해 각 상의 폴리페놀류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2 상 간의 분배 계수의 상용 대수를 취한 값을 logP 값으로 하였다.
[카테킨류의 측정]
시료를 증류수로 적절히 희석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팩트 칼럼 L-칼럼 TM ODS (4.6 ㎜φ×250 ㎜ : 재단 법인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 제조) 를 장착한, 시마즈 제작소 제조,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형식 SCL-10AVP) 를 사용하여, 칼럼 온도 35 ℃ 에서 그레이디언트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동상 A 액은 아세트산을 0.1 ㏖/ℓ 함유하는 증류수 용액, B 액은 아세트산을 0.1 ㏖/ℓ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으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20 ㎕, UV 검출기 파장은 280 ㎚ 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농도 구배 조건)
Figure pct00005
[클로로겐산류의 측정]
(분석 기기)
HPLC (히타치 제작소 (주) 제조) 를 사용하였다. 장치의 구성 유닛의 형번은 다음과 같다.
송액 유닛 (디개서 내장) : L-2130,
오토샘플러 (쿨러 구비) : L-2200,
칼럼 오븐 : L-2300,
분리 칼럼 : Cadenza CD-C18, Size : 4.6 ㎜ i.d.×150 ㎜, 3 ㎛ (임택트 (주))
검출기 (자외 가시 흡광 광도계) : L-2420
(분석 조건)
샘플 주입량 : 10 ㎕,
유량 : 1.0 ㎖/min,
자외선 흡광 광도계 검출 파장 : 325 ㎚ (클로로겐산류),
용리액 A : 0.05 ㏖/ℓ 아세트산, 0.01 ㏖/ℓ 아세트산나트륨, 및 0.1 mmol/ℓ HEDPO 를 함유하는 5 % 아세토니트릴,
용리액 B : 아세토니트릴
(농도 구배 조건)
Figure pct00006
실시예 1
헤스페리딘 제제 (헤스페리딘 「하마리」(상품명), 하마리 약품 공업 (주) 제조, 헤스페리딘 함유량 90 %, 이하 동일) 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EGCG) 제제 (DMS Nutritional Products 사 제조 TEAVIGO, EGCG 함유량 100 %, 이하 동일) 를 증류수에 각각 10 g/ℓ 로 분산, 4.29 g/ℓ 로 용해시키고, 슬러리 공급 탱크 내에서 균일 교반하였다. 내부 용적 100 ㎖ 의 스테인리스제 유통식 반응기 (닛토 고압 (주) 제조) 에, 슬러리 공급 탱크 내의 액을 100 ㎖/분으로 공급하고, 120 ℃ 에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평균 체류 시간 1 분). 압력은 출구 밸브에 의해 0.3 ㎫ (게이지 압력) 로 조정하였다. 반응기 출구로부터 반응액을 배출하고, 실온 (25 ℃) 까지 냉각시켜 회수하였다. 회수한 액은 실온에서 3 일간, 진탕 교반 후, 고체부를 여과 분리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반응 온도 11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및 2
반응 온도를 90 ℃ 또는 70 ℃, 게이지 압력을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3
클로로겐산류로서 커피콩 추출물의 정제물 (클로로겐산류 함유량 40 %, 이하 동일) 을 10.7 g/ℓ 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클로로겐산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3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클로로겐산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4
EGCG 제제 대신에, 메틸헤스페리딘 제제 (하마리 약품 공업 (주) 제조, 메틸헤스페리딘 함유량 100 %, 이하 동일)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5
반응 온도 150 ℃, 게이지 압력 0.6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4 및 5
반응 온도를 90 ℃ 또는 25 ℃, 게이지 압력을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6
EGCG 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6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퀘르세틴 제제 (ACROS ORGANICS 사 제조, 퀘르세틴 함유량 95 %) 를 사용하고, 반응 온도 150 ℃, 게이지 압력 0.6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퀘르세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퀘르세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퀘르세틴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7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퀘르세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퀘르세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퀘르세틴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8
EGCG 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퀘르세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퀘르세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퀘르세틴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7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레스베라트롤 제제 (와코 쥰야쿠 공업 (주) 제조, 생화학용) 를 0.72 g/ℓ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레스베라트롤 함유 수용액으로서 레스베라트롤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9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레스베라트롤 함유 수용액으로서 레스베라트롤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10
EGCG 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레스베라트롤 함유 수용액으로서 레스베라트롤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8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나린긴 제제 (ACROS ORGANICS 사 제조, 나린긴 함유량 97 %, 이하 동일) 를 사용하고, 반응 온도 150 ℃, 게이지 압력 0.6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나린긴 함유 수용액으로서 나린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나린긴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9
반응 온도 110 ℃, 게이지 압력 0.3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나린긴 함유 수용액으로서 나린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나린긴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11 및 12
반응 온도를 90 ℃ 또는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나린긴 함유 수용액으로서 나린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나린긴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10
나린긴 제제와 메틸헤스페리딘 제제를 증류수에 각각 5 g/ℓ 로 분산, 4.29 g/ℓ 로 용해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나린긴 함유 수용액으로서 나린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나린긴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13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나린긴 함유 수용액으로서 나린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나린긴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14
EGCG 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나린긴 함유 수용액으로서 나린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나린긴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11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쿠르쿠민 제제 (와코 쥰야쿠 공업 (주) 제조, 시약 특급) 를 10 g/ℓ 사용하고, 반응 온도 150 ℃, 게이지 압력 0.6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쿠르쿠민 함유 수용액으로서 쿠르쿠민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쿠르쿠민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비교예 15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쿠르쿠민 함유 수용액으로서 쿠르쿠민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쿠르쿠민 및 EGCG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비교예 16
EGCG 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쿠르쿠민 함유 수용액으로서 쿠르쿠민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쿠르쿠민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1
실시예 12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루틴 제제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 루틴 함유량 100 %, 이하 동일) 를 2 g/ℓ 사용하고, 카테킨류로서 녹차 추출물의 정제물 (카테킨류 함유량 15 % 를 함유하는 수용액, 갈레이트체율 30 %) 을 28.6 g/ℓ 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및 카테킨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비교예 17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및 카테킨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클로로겐산류로서 커피콩 추출물의 정제물 (클로로겐산류 함유량 40 %) 을 10.7 g/ℓ 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및 클로로겐산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비교예 18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및 클로로겐산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실시예 14
카테킨류로서 녹차 추출물의 정제물 (카테킨류 함유량 15 % 를 함유하는 수용액, 갈레이트체율 30 %) 14.3 g/ℓ, 및 클로로겐산류로서 커피콩 추출물의 정제물 (클로로겐산류 함유량 40 %) 5.4 g/ℓ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카테킨류 및 클로로겐산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비교예 19
반응 온도 70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카테킨류 및 클로로겐산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실시예 15
녹차 추출물의 정제물 대신에, 메틸헤스페리딘 제제를 4.29 g/ℓ 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비교예 20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및 메틸헤스페리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비교예 21
카테킨류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비교예 22
카테킨류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 온도 25 ℃, 게이지 압력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루틴 함유 수용액으로서 루틴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루틴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16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페룰산 제제 (토쿄 카세이 공업 (주) 제조, 페룰산 함유량 100 %) 를 6 g/ℓ 로 사용하고, 클로로겐산류로서 커피콩 추출물의 정제물을 10.7 g/ℓ 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페룰산 함유 수용액으로서 페룰산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페룰산 및 클로로겐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7 에 나타냈다.
비교예 23 및 24
반응 온도를 70 ℃ 또는 25 ℃, 게이지 압력을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페룰산 함유 수용액으로서 페룰산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페룰산 및 클로로겐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7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17
난수용성 폴리페놀류로서 카페산 제제 (토쿄 카세이 공업 (주) 제조, 카페산 함유량 100 %) 를 6 g/ℓ 사용하고, 클로로겐산류로서 커피콩 추출물의 정제물을 10.7 g/ℓ 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카페산 함유 수용액으로서 카페산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카페산 및 클로로겐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8 에 나타냈다.
비교예 25 및 26
반응 온도를 80 ℃ 또는 25 ℃, 게이지 압력을 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 과 동일하게 하여 카페산 함유 수용액으로서 카페산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카페산 및 클로로겐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8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4
표 1 ∼ 8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함유율이 높은 폴리페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어,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용해도를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어느 조성물도, 곡물 냄새 등의 이취가 없고,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를 사용한 것은, 그들로 인한 적당한 씁쓸한 맛을 갖고 있어, 여러 가지 음식품이나 의약품, 특히 기능성 음료로서 걸맞은 풍미였다.
실시예 18
헤스페리딘 제제와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제제 (하야시바라 헤스페리딘 S (상품명), (주)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제조, 헤스페리딘 함유량 17 질량%,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 함유량 74 질량%, 이하 동일) 를 증류수에 각각 10.0 g/ℓ 로 분산, 4.3 g/ℓ 로 용해시키고, 슬러리 공급 탱크 내에서 균일 교반하였다. 내부 용적 100 ㎖ 의 스테인리스제 유통식 반응기 (닛토 고압 (주) 제조) 에, 슬러리 공급 탱크 내의 액을 100 ㎖/분으로 공급하고, 120 ℃ 에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평균 체류 시간 1 분). 압력은 출구 밸브에 의해 1.5 ㎫ 로 조정하였다. 반응기 출구로부터 반응액을 배출하고, 실온 (25 ℃) 까지 냉각시켜 반응액 회수 탱크에 회수하였다. 냉각은, 유통식 반응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반응액을 2 중관식 냉각기를 사용하여 냉각수로 연속적으로 열교환함으로써 실시하였다.
회수한 반응액을 실온에서 3 일간 교반 후, 고체부를 여과 분리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 조건과 조성물 중의 헤스페리딘 (HES) 및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 (mGHES)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9 에 나타냈다 (이하 동일).
실시예 19
반응 온도를 15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동결 건조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상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분말상의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물 (25 ℃) 에 재용해시킨 결과, 10 g/ℓ 에 있어서도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0
반응 온도를 18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1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제제의 증류수 중의 농도를 1.1 g/ℓ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헤스페리딘 제제의 증류수 중의 농도를 20 g/ℓ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7
반응 온도를 2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8
반응 온도를 9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3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제제의 증류수 중의 농도를 10 g/ℓ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4
반응 온도를 15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5
반응 온도를 18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9
반응 온도를 9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8 ∼ 25 및 비교예 27 ∼ 29 에서 얻어진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mGHES 에 대한 HES 의 질량비는 표 9 와 같다.
Figure pct00015
표 9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헤스페리딘과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헤스페리딘 함유율이 높은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을 수 있어, 헤스페리딘의 용해도를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26
헤스페리딘 제제를 분산,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제제를 용해시키는 수성 매체를 증류수로부터 50 vol% 에탄올 수용액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 중의 HES 및 mGHES 를 측정한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이하 동일).
비교예 30
반응 온도를 2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및 비교예 30 에서 얻어진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mGHES 에 대한 HES 의 질량비는 표 10 과 같다.
Figure pct00016
표 10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반응시의 수성 매체를 유기 용매 함유 수용액으로 함으로써, 헤스페리딘 함유율이 높은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7
증류수 대신에 간장 (pH 4.9, 야마사 간장 (주) 제조)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 중의 HES 및 mGHES 를 측정한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이하 동일).
실시예 28
증류수 대신에 감염(減鹽) 간장 (pH 4.7, 야마사 간장 (주) 제조) 을 사용하고, 압력을 0.3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9
증류수 대신에 시즈닝 감귤류초간장 (pH 2.0, (주) 미츠칸 그룹 본사 제조) 을 사용하고, 압력을 0.3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ct00017
표 1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이나 염 등의 용질을 함유하는 수성 매체를 사용해도, 헤스페리딘 함유율이 높은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0
압력을 0.3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120 ℃ 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시간으로부터 구한 냉각 속도는 7.06 ℃/s 였다. 조성물 중의 HES 및 mGHES 를 측정한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이하 동일).
실시예 31
냉각수의 온도와 유량을 변화시키고, 120 ℃ 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시간으로부터 구한 냉각 속도를 0.52 ℃/s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0 과 동일하게 하여 헤스페리딘 함유 수용액으로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ct00018

Claims (19)

  1. 수성 매체의 존재하,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와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logP 값이 -1.0 ∼ 4.0 인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가, 헤스페리딘,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나린긴, 쿠르쿠민, 루틴, 카페산 및 페룰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B) 카테킨류, 클로로겐산류 및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에 대한 (A)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질량비 (A)/(B) 가 0.005 ∼ 10 인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수용성 폴리페놀류의 메틸화물이 메틸헤스페리딘인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 및 냉각된 반응액으로부터 고체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페놀 조성물.
  8. 수성 매체의 존재하, 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을 100 ∼ 180 ℃ 에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이 글루코실헤스페리딘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이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를 0.1 ∼ 20 으로 하는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매체가 물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용액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 및 냉각된 반응액으로부터 고체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0.1 ℃/s 이상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반응액을 냉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 온도에서부터 90 ℃ 까지의 냉각 속도가 100 ℃/s 이하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8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형태가 수용액상 또는 분말상인 헤스페리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3 ∼ 10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물에 대한 25 ℃ 에서의 헤스페리딘 용해량이 1.3 g/ℓ 이상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19. 제 8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스페리딘 당 부가물에 대한 헤스페리딘의 질량비가 0.3 ∼ 10 인 헤스페리딘 조성물.
KR1020127032100A 2010-06-09 2011-06-08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774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1816 2010-06-09
JP2010131816 2010-06-09
JPJP-P-2010-226574 2010-10-06
JP2010226574 2010-10-06
PCT/JP2011/063098 WO2011155505A1 (ja) 2010-06-09 2011-06-08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43A Division KR101824375B1 (ko) 2010-06-09 2011-06-08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370A true KR20130120370A (ko) 2013-11-04
KR101774075B1 KR101774075B1 (ko) 2017-09-01

Family

ID=450981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43A KR101824375B1 (ko) 2010-06-09 2011-06-08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27032100A KR101774075B1 (ko) 2010-06-09 2011-06-08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43A KR101824375B1 (ko) 2010-06-09 2011-06-08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79933B2 (ko)
EP (1) EP2581089B1 (ko)
KR (2) KR101824375B1 (ko)
CN (2) CN105213414B (ko)
WO (1) WO2011155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5229B2 (ja) * 2012-04-11 2016-09-06 花王株式会社 難水溶性ポリフェノール類の糖付加物の製造方法
CN104379175B (zh) * 2012-04-19 2018-08-07 普渡研究基金会 高度支化的α-D-葡聚糖
JP6062783B2 (ja) * 2012-05-24 2017-01-18 花王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6062666B2 (ja) * 2012-06-14 2017-01-18 森永製菓株式会社 水溶性向上剤、水溶性向上方法、及び、水溶液調製方法
JP6392507B2 (ja) * 2012-08-24 2018-09-19 花王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6150518B2 (ja) 2012-12-27 2017-06-21 花王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MX366664B (es) * 2013-03-14 2019-07-18 Shaklee Corp Método para preparar un extracto de residuo pulposo de muscadine.
JP5901818B2 (ja) * 2014-04-09 2016-04-13 花王株式会社 難水溶性芳香族化合物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5908635B1 (ja) * 2015-04-08 2016-04-26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ES2569132B1 (es) 2015-12-31 2017-02-15 Hidroxicinamics, S.L. Método para la obtención de extractos que comprenden compuestos hidroxicinamicos a partir de residuos vegetales
US11441161B2 (en) 2017-07-26 2022-09-13 Immortazyme Company Ltd. Removing polyphenol contaminants from feedstock-based polyphenols
US11173187B2 (en) 2018-11-13 2021-11-16 Immortazyme Company Ltd. Concentrated oil-based polyphenol composi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oil-based polyphenol composition
EP3943071A1 (de) 2020-03-31 2022-01-26 Zurab Durmischchanowitch Khinikadze Zusammensetzung, enthaltend natürliche lipophile verbindungen, verwendung der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zusammensetzung
CN112841643A (zh) * 2020-12-31 2021-05-28 浙江大学 以亲水性多酚增溶疏水性多酚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7995A (en) * 1971-10-22 1974-09-10 For Ind Res Ltd Centre Prevention of crystallization of sparingly soluble flavonoids and food acidulants in acidic soft drinks
US4668525A (en) * 1982-01-05 1987-05-26 Thomas J. Lipton, Inc. Tea extraction process
CA1237329A (en) * 1984-04-30 1988-05-31 Frank Dicicca Process for producing an enhanced citrus flavor
JPH09252746A (ja) * 1996-03-22 1997-09-30 Nippon Kankyo Yakuhin Kk 栄養補助食品
JP3878763B2 (ja) 1999-02-24 2007-02-07 江崎グリコ株式会社 柑橘系果汁ならびに果汁飲料の製造方法
JP3549436B2 (ja) 1999-04-08 2004-08-0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グリコシルヘスペリジ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4524465B2 (ja) 2001-12-07 2010-08-18 雪印乳業株式会社 抗アレルギー剤
CN1662264A (zh) * 2002-04-24 2005-08-31 诺和酶股份有限公司 除臭剂组合物
KR20030087566A (ko) 2002-05-07 2003-11-14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식물생리활성 영양 보조물
JP4000283B2 (ja) * 2002-08-07 2007-10-31 丸善製薬株式会社 甘草油性抽出物の可溶化組成物、並びに飲料、液状調味料、化粧品及び医薬部外品
AU2004253788B2 (en) 2003-07-02 2010-05-13 Fuji Oil Company, Limited Flavonoid solubilization agent and method of solubilizing flavonoid
KR20070095338A (ko) 2004-12-24 2007-09-28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간기능 개선제
JP4907122B2 (ja) * 2005-08-05 2012-03-28 東洋精糖株式会社 水溶性ナリンジン組成物
JP4558637B2 (ja) 2005-12-13 2010-10-06 花王株式会社 液体調味料の製造方法
JP2007306414A (ja) 2006-05-12 2007-11-22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スピーカの搭載構造
JP5160049B2 (ja) * 2006-05-18 2013-03-13 花王株式会社 ヘスペリジン組成物
JP5000373B2 (ja) 2007-04-27 2012-08-15 東洋精糖株式会社 水溶性フラボノイ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水溶性フラボノイド組成物を含む食品等
JP5015746B2 (ja) 2007-12-07 2012-08-29 花王株式会社 容器詰コーヒー飲料
JP2012077051A (ja) 2010-10-05 2012-04-19 Kao Corp ヘスペリジン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13414A (zh) 2016-01-06
US9688712B2 (en) 2017-06-27
CN105213414B (zh) 2018-01-30
KR101774075B1 (ko) 2017-09-01
CN102933219A (zh) 2013-02-13
WO2011155505A1 (ja) 2011-12-15
US9079933B2 (en) 2015-07-14
EP2581089A4 (en) 2014-06-25
EP2581089A1 (en) 2013-04-17
CN102933219B (zh) 2015-11-25
KR20170040376A (ko) 2017-04-12
KR101824375B1 (ko) 2018-01-31
EP2581089B1 (en) 2019-09-04
US20130085270A1 (en) 2013-04-04
US20150225440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0370A (ko) 폴리페놀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5921868B2 (ja) 育毛料組成物の製造方法
Atoui et al. Tea and herbal infusion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file
Luximon-Ramma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antioxidant functions of flavonoids and proanthocyanidins in Mauritian black teas
Arlorio et al. Roasting impact on the contents of clovamide (N-caffeoyl-L-DOPA)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coa beans (Theobroma cacao L.)
Mattila et al. Polyphenol and vitamin C contents in European commercial blackcurrant juice products
Kokotkiewicz et al.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Cyclopia subternata Vogel (honeybush) intact plant and in vitro cultures
JP5162698B2 (ja)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6150518B2 (ja)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5930953B2 (ja) 抗菌剤組成物の製造方法
Othman et al. Epi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coa beans from four different countries
JP6247525B2 (ja) 難水溶性芳香族化合物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8012196A1 (ja) インスタント粉末茶
Jordheim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properties of pyranoanthocyanins and anthocyanin forms
JP2012077051A (ja) ヘスペリジン組成物の製造方法
Luximon‐Ramma et al. Assessment of the polyphenolic composition of the organic extracts of Mauritian black teas: a potential contributor to their antioxidant functions
de Moura et al. Sustainable and effective approach to recover antioxidant compounds from purple tea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 cv. Zijuan) leaves
CN109152379A (zh) 含有茶聚合多酚和RebD及/或RebM的饮料
JP6062783B2 (ja)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Tanaka et al. Biochem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polyphenols
JP6358422B2 (ja) イワベンケイ属植物エキスの製造方法
DEMIRKAN et al. PHENOLIC COMPOUNDS, EXTRACTION METHODS AND SOME METHODS USED IN THEIR ANALYSIS
ZIN et al. Current Research in Nutrition and Food Science
Sen et al. 21 Extraction,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Al Bittar 3-Deoxyanthocyanins: Chemical synthesis, structural transformations, affinity for metal ions and serum albumin, antioxidant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