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120A - 오일플러싱유니트 - Google Patents

오일플러싱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120A
KR20130119120A KR1020120042039A KR20120042039A KR20130119120A KR 20130119120 A KR20130119120 A KR 20130119120A KR 1020120042039 A KR1020120042039 A KR 1020120042039A KR 20120042039 A KR20120042039 A KR 20120042039A KR 20130119120 A KR20130119120 A KR 2013011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il
flushing
tan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세
김동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120A/ko
Publication of KR2013011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4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16N7/4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in a closed circulatio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16N2033/005Flushing

Abstract

오일플러싱유니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플러싱유니트는 오일로 이루어진 플러싱액이 저장되고, 플러싱유니트를 구성하는 구성품 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내부 영역이 격벽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구획된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플러싱액의 순환을 도모하는 순환펌프; 상기 탱크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싱액을 플러싱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온도로 가온하는 히팅부; 및 상기 탱크부에 설치되고 세정 대상물을 경유하여 복귀된 플러싱액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플러싱유니트{Oil flushing unit}
본 발명은 선박용 기계장치 및 이와 연결된 배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오일을 이용한 플러싱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열선 표면에서의 플러싱오일의 열화 및 탄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싱오일의 흐름이 있을 경우에만 히팅부의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오일플러싱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 및 유압기계장치와 여기에 설치되는 배관계통은 설치 중 투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고장 및 사용수명 감소의 위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조립 후 청결한 상태로 하기 위하여 기계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계장치를 제외한 배관계통에 대하여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로 하기 위한 오일플러싱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 된다.
일반적인 오일플러싱 작업은 대부분 장치운전 시에 사용되는 오일 또는 유사한 플러싱 전용오일을 사용하여 계통 내부에 플러싱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방법이 적용된다.
순환오일은 계통 내부를 연속으로 순환하면서 계통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 또는 기계장치를 포함하는 계통내부의 이물질을 순환되는 오일 속에 함유시켜 배관계통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점도를 낮추어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고, 오일플러싱에서 요구되는 난류 유동형태로 순환에 필요한 적정온도유지와, 청정한 상태의 플러싱오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플러싱유니트의 기름탱크 내측부에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플러싱 오일 중에 침적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나, 오일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는 침적된 열선에서의 발열로 인해 탄화물이 부착되고 이로 인해 열효율이 저하되고, 히터의 수명을 감소시키게 되며, 생성된 탄화물이 탈락되는 경우 다량의 이물질이 발생되며 상기 플러싱오일의 산화를 촉진시켜 변질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4283호 (공개일: 2011년05월04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플러싱오일의 흐름이 감지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플러싱오일을 히팅할 수 있는 오일플러싱유니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플러싱액이 저장되고 플러싱유니트를 구성하는 구성품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내부 영역이 격벽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구획된 탱크부; 상기 탱크부에는 플러싱에 필요한 플러싱오일을 공급과 저장을 위한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에는 일측에 구획판에 의해 별도로 구획되고 상기 플러싱오일을 적정온도로 가온하기 위한 히팅부; 타측에는 상기 오일탱크와 하부 및 상부가 연통되는 구조의 격판으로 구획되어 복귀하는 플러싱오일에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분리탱크; 상기 히팅부의 타측에는 복귀하는 플러싱오일을 여과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터링유니트, 상기 필터링유니트의 최종 단인 출구가 되는 하부에는 별도의 격납공간을 형성하면서 필터링된 오일의 임시체류를 위한 임시체류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탱크에 설치되고 플러싱오일의 순환을 도모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는 흡입구가 상기 오일탱크 하단에 위치하고 토출배관은 오일플러싱 대상 배관으로 연결되어 플러싱오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토출배관과 출구배관 사이에는 적정한 압력으로 플러싱오일을 송출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블럭; 상기 압력조절밸브블럭에는 운전 개시 시에 순환펌프 초기부하 경감을 목적으로 하는 언로딩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링유니트는 1차여과기와 2차 여과기가 1조로 구성되고 1차 여과기 입구는 복귀배관에 연결되고 출구는 2차 여과기에 연결되며, 2차 여과기 출구는 임시체류탱크로 연통되는 구조로 하며 연결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히팅부는 일측이 오일탱크와 접촉되고 타측이 임시체류탱크와 접촉되면서 접촉부에는 각각의 구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구획판을 포함한다.
상기 히팅부와 오일탱크의 구획판은 완전 밀폐 구조로 하되 하부에 드레인을 위한 작은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부와 임시체류탱크의 구획판은 하부의 일측에서 히팅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하되 상부에 공기배출을 위한 작은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부는 다수개의 히터가 히타하우징의 내측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히터 사이를 서로 간에 구획하고 유체흐름을 유도하는 유체흐름전환판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세로 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흐름전환판은 상기 히터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위치에 각각 1개씩 교대로 연통되고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하우징은 하부 일측이 임시체류탱크와 연통되도록 하는 유입구; 상부 타측에는 가열된 오일의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구에는 상기 기액분리탱크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는 순환되는 플러싱오일의 순환 양을 감지하는 유체흐름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흐름감지부는 지지부재에 삽입된 회전축을 매개로 일단에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임펠러가 설치된 회전부; 상기 영구자석의 외측으로 근접되어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회전에 따른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플러싱유닛은 상기 유체흐름감지부에서 감지된 유도전류에 따라 히팅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서로 다르게 인가하는 히터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플러싱유닛은 순환펌프와 상기 히팅부를 동시에 제어하고 안전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운전조작판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히터의 과열로 발생되어 열선표면에 부착되는 탄화물의 생성을 방지하여 상기 히터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플러싱오일의 흐름이 감지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히터가 작동되므로 플러싱오일의 열화 및 탄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플러싱오일에 탄화물 오염이 방지되어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일플러싱유니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일플러싱유니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일플러싱유니트에 설치된 유체흐름감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일플러싱유니트의 구성 회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플러싱유니트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오일플러싱유니트(1)는 플러싱오일이 저장되는 내부 영역이 구획판(111)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구획된 오일탱크(110)와, 상기 오일탱크(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플러싱오일의 순환을 도모하는 순환펌프(151)와, 상기 오일탱크(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싱오일을 순환 가능한 온도로 가온하는 히팅부(200) 및 상기 오일탱크(1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세정 대상물을 경유하여 복귀된 플러싱오일 중에 포함된 기체성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탱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탱크부(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플러싱에 사용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110))가 구비된다. 상기 탱크부(100)는 플러싱오일의 히팅을 위한 히팅부(200)가 내부에 일체로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히팅부(200)의 상단에 가열된 오일의 출구가 되는 유출구(401)는 기액분리탱크(140)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에 직렬로 연결되고 플러싱오일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체흐름감지부(400)를 포함한다. 참고로 임시체류탱크(120)와 기액분리탱크(140)에도 오일이 저장된다.
이를 위해 탱크부(100)는 플러싱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110)와, 상기 순환펌프(151)에 의해 공급된 플러싱오일이 세정 대상물(2) 또는 오일플러싱유니트(1)을 자체 순환환 후에 유입되는 기액분리탱크(140)를 포함한다.
오일탱크(110)는 기액분리탱크(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게 이루어지고, 순환펌프(151)의 흡입구가 내측 하부에 위치된다.
순환펌프(151)는 토출배관(152)을 향해 연장된 연장관(151a)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배관(152)은 순환펌프(151)와 연결된다.
상기 순환펌프(151)는 모터(150)의 초기운전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언로딩장치(미도시)와 순환펌프(151)로부터 흡입되어 토출되는 플러싱오일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가 일체화된 콘트롤밸브블럭(153)과, 외측에 세정 대상물(2)로의 플러싱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로(161)와, 상기 공급관로(161)에 장착된 공급밸브(161a,161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히팅부(200)는 다수개의 히터(210)가 히터 하우징(202)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히터(210)를 서로 간에 구획하고 하측에 설치된 히터를 경유하여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오일이 흐름을 가이드 하기 위한 흐름전환판(20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히터(210)는 모두 3개가 설치된 것으로 한정 도시하였으나, 상기 히터(210)의 개수는 변동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히터(210)는 탱크부(100)의 내측에서 최소한의 체적을 가지고 설치되기 위해 히터하우징(202)의 세로 방향에 배치된다.
히팅부(200)는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흐름전환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흐름전환판(203)은 히터 하우징(202)의 전면과 후면(도 2 기준으로 좌측이 전면이고 우측이 후면으로 설명한다) 위치에 각각 1개씩 교대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이유는 플러싱액이 히팅부(200)를 경유하여 설정 온도까지 상승될 때 다수개의 히터(210) 전체에서 열선 표면의 오일 흐름을 충분히 유지시키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세정 대상물(2)에 특정 온도로 상승되어 낮은 점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세정 대상물(2)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흐름전환판(203)은 히터하우징(202)에 설치되고 히터(210)와 히터(210') 사이에 오일이 이동되도록 유도하면서 열선표면을 흐르는 오일의 유속이 극대화되어 원활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므로 히터(210) 열선표면에서의 탄화물 발생을 억제시키고 오일의 고온화에 따른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필터링유니트(300)는 전단에1차 여과기가 설치되고, 후단에 2차 여과기가 유니트화 되어 직렬로 연결 설치되며, 플러싱액중에 포함된 이물질 중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1차 여과기(301) 와, 마이크로 필터가 장착 되어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2 차 여과기(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체흐름감지부(4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유체흐름감지부(400)는 플러싱오일이 히팅부(200)를 순환하여 오일탱크(110)로 순환되는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싱오일이 이동되는 연결관 상에 직렬로 설치되는 유체흐름감지부(400)는 내측의 지지부재(411)에 삽입된 회전축(410a)을 매개로 후단에는 영구자석(410b)이 설치되고, 선단에는 임펠러(410c)가 설치된 회전부(410)와, 상기 영구자석(410b)의 외측으로 근접되어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410)의 회전에 따른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유도코일(412)을 포함한다.
지지부재(411)는 회전축(4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10a)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베어링이 사용된다. 임펠러(410c)는 플러싱액의 흐름에 따라 회전축(410a)과 함께 회전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영구자석(410b)은 회전축(410a)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너트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고정체에 의해 회전축(410a)에 고정된다.
유도코일(412)은 영구자석(410b)의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도코일(412)의 내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에 근접하여 철심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410a)의 회전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되고, 발생된 유도 전류는 후술할 제어부(500)에 인가된다.
제어부(500)는 유도코일(412)에서 전송된 유도 전류에 따라 히터(210)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러싱오일이 유체흐름감지부(400)를 통해 이동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히터(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러싱오일의 가열을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오일플러싱유니트(1)이 미사용 중일 경우와, 히팅부(200)에 오일의 흐름이 없는 경우 히터(2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기 히터(210)의 과열로 인한 손상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플러싱오일이 이상고온으로 탄화되어 히터(210) 발열부 열선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오일플러싱유니트(1)가 사용되고 오일의 흐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히터(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플러싱액을 가열하여 세정 대상물(2)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일플러싱유니트의 사용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세정을 실시할 세정 대상물(2)에 공급포트(161a 또는 161b)와, 복귀포트(162a 또는 162b)를 연결하고 메인전원을 투입하여 순환펌프모터(150)을 운전하면 순환펌프(151)는 오일탱크(110) 내부의 오일을 흡입하여 세정대상물(2) 및 드레인포트(154)를 경유하여 필터링유니트(300)와, 임시체류탱크(120)와 히팅부(200)와 기액분리탱크(140)와 유체흐름감지부(40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상기 유체흐름감지부(400)의 내측에 위치한 임펠러(410c)를 회전시키고 연동된 영구자석(410b)의 회전에 따라 유도코일(412)에 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동작에 따라 제어부(500)가 이를 입력 받아 유체흐름감지부(400)를 통한 플러싱오일의 순환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플러싱오일의 순환이 유체흐름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될 경우에는 순환펌프(151)에서 토출된 플러싱오일이 세정 대상물(2)로 공급되고, 상기 세정 대상물(2)에 잔존하는 각종 이물질을 세정한 후에 필터링유니트(300)을 통해 필터링되어 히팅부(200)로 공급된다.
플러싱오일은 히터(21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와 열교환을 통해 소정의 온도로 상승되고,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210)와 히터 사이에 구비되는 흐름전환판(203)에 의해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상기 히터(210)를 순차적으로 적정유속을 유지하면서 통과하게 되어 상기 히팅부(200)에서 최대한 열교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유체 흐름 감지부(400)로 이동된다. 임펠러(410c)는 플러싱액에 의해 회전축(410a)과 함께 회전되고, 유도코일(412)에서 영구자석(122b)의 회전에 따른 유도 전류가 발생되어 제어부(500)에 전송된다.
제어부(500)는 이를 입력 받아 플러싱오일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히터(210)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세정 대상물(2)에 대한 세정과 플러싱오일의 히팅을 동시에 실시한다.
상기 동작에 따라 히터(210)는 순환펌프(151)가 운전되어 플러싱오일이 정상적으로 순환되는 경우에만 동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유지하고자 하는 온도설정 범위 안에서 안전하게 자동제어 되는 것이다.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세정 대상물(2)에 대한 세정이 모두 종료된 후에 제어부(500)는 장비 전체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작동을 종료 시킨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서 펌프 토출구(152)와 공급포트(161)와 필터링유니트(300) 전/후단에는 압력계와, 히팅부(200) 최상단에는 온도스위치와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며, 구성품 간의 연결은 배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플러싱오일을 공급하고 사용이 완료 된 후 장비 내부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보조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탱크부
110 : 오일탱크
120 : 임시체류탱크
140 : 기액분리탱크
151 : 순환펌프
153 : 콘트롤밸브블럭
161 : 공급관로
162 : 복귀관로
200 : 히팅부
210 : 히터
203 : 흐름전환판
300 : 필터링유니트
400 : 유체흐름감지부
500 : 제어부

Claims (7)

  1. 오일로 이루어진 플러싱액이 저장되고, 플러싱유니트를 구성하는 구성품 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내부 영역이 격벽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구획된 탱크부;
    상기 탱크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플러싱액의 순환을 도모하는 순환펌프;
    상기 탱크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싱액을 플러싱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온도로 가온하는 히팅부; 및
    상기 탱크부에 설치되고 세정 대상물을 경유하여 복귀된 플러싱액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니트를 포함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플러싱액이 저장되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에 설치된 순환펌프에 의해 공급된 플러싱액이 세정 대상물 또는 오일플러싱유니트를 자체 순환환 후에 유입되는 임시체류탱크;
    상기 순환펌프를 보호를 위해 복귀되는 플러싱액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탱크를 포함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다수개의 히터가 히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히터 하우징을 경유하여 이동되는 오일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는 흐름 전환판을 포함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플러싱유니트는,
    상기 히팅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된 오일탱크와, 타측에 임시체류조가 구획판을 경계로 각각 구획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세정 대상물 또는 오일플러싱유니트를 순환한 플러싱액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체흐름감지부를 포함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감지부는,
    지지부재에 삽입된 회전축을 매개로 일단에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임펠러가 설치된 회전부;
    상기 영구자석의 외측으로 근접되어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플러싱유니트는,
    상기 유체흐름감지부에서 감지된 유도 전류에 따라 히팅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서로 다르게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일플러싱유니트.
KR1020120042039A 2012-04-23 2012-04-23 오일플러싱유니트 KR2013011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39A KR20130119120A (ko) 2012-04-23 2012-04-23 오일플러싱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39A KR20130119120A (ko) 2012-04-23 2012-04-23 오일플러싱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20A true KR20130119120A (ko) 2013-10-31

Family

ID=4963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39A KR20130119120A (ko) 2012-04-23 2012-04-23 오일플러싱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12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11A (ko) 2014-10-17 2016-04-27 강선욱 와류 발생 장치와 이를 구비한 와류 플러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류 플러싱 방법
KR20170000154A (ko) * 2015-06-23 2017-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솔더링 오일 히팅 및 필터 시스템
KR102060009B1 (ko) 2019-09-23 2019-12-27 주식회사 신일하이드로테크 배관 플러싱 장치
KR20200109169A (ko) 2019-03-12 2020-09-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아이스 피깅을 이용한 오일 플러싱 장치 및 방법
CN114033758A (zh) * 2021-11-10 2022-02-11 中国航发南方工业有限公司 一种航空零件冲洗机液压系统
CN115031150A (zh) * 2022-06-28 2022-09-09 中国航发燃气轮机有限公司 一种燃气轮机的滑油管路清洗质量控制方法
KR20230168777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툴엔텍 부동액 플러싱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11A (ko) 2014-10-17 2016-04-27 강선욱 와류 발생 장치와 이를 구비한 와류 플러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류 플러싱 방법
KR20170000154A (ko) * 2015-06-23 2017-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솔더링 오일 히팅 및 필터 시스템
KR20200109169A (ko) 2019-03-12 2020-09-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아이스 피깅을 이용한 오일 플러싱 장치 및 방법
KR102060009B1 (ko) 2019-09-23 2019-12-27 주식회사 신일하이드로테크 배관 플러싱 장치
CN114033758A (zh) * 2021-11-10 2022-02-11 中国航发南方工业有限公司 一种航空零件冲洗机液压系统
KR20230168777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툴엔텍 부동액 플러싱 장치
CN115031150A (zh) * 2022-06-28 2022-09-09 中国航发燃气轮机有限公司 一种燃气轮机的滑油管路清洗质量控制方法
CN115031150B (zh) * 2022-06-28 2024-02-27 中国航发燃气轮机有限公司 一种燃气轮机的滑油管路清洗质量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9120A (ko) 오일플러싱유니트
JP6756824B2 (ja) 改良されたエアパージ機構を使用する耐漏性液体冷却システム
EP2360432B1 (en) Steam generator
JP6447618B2 (ja) 燃料油移送装置
KR101971993B1 (ko) 축열재를 이용한 전기온풍기
JP5102171B2 (ja) 水槽用外付け温度制御装置
JP5453071B2 (ja) 水槽用外付け温度制御装置
JP2009074777A (ja) ドレン中和槽を有した給湯装置
KR20130119121A (ko) 케미컬 플러싱 유닛
JP7250537B2 (ja) 気泡発生装置、及び、気泡発生方法
JP7179285B2 (ja) 工作液供給システム
KR102059448B1 (ko) 연료유 이송 시스템
KR101809915B1 (ko) 바이브레이터용 작동유 냉각장치
KR102271967B1 (ko) 플러싱 장치
JP2010133573A (ja) 熱媒注入方法
JP4765702B2 (ja) 給湯暖房熱源機
CN212538293U (zh) 用于热水装置的水箱及热水装置
JP5064325B2 (ja) 蒸気調理器
EP3409342A2 (en) Cyclone for air cleaning and filtering module having the same
KR20130034094A (ko) 선박의 해수공급장치
KR101981070B1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CN103954150A (zh) 调温换热系统
KR101369875B1 (ko)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CN107860054A (zh) 一种基于商用的大功率一体式热水供应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06020B1 (ko) 저온 화상 방지 기능을 갖는 냉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